푸시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와 그 제조 방법

申请号 KR1020060038721 申请日 2006-04-28 公开(公告)号 KR1020060113540A 公开(公告)日 2006-11-02
申请人 폴리마 시산칸리 가부시키가이샤; 发明人 나카지마다이스케; 호사카준코;
摘要 A cover sheet for a pushbutton switch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increase a waterproof property of the pushbutton switch cover sheet by using base sheet made of rubber-phase elastic unit to prevent permeation of moisture through a display portion. A cover sheet(11) for a pushbutton switch is made of a metal manipulation plate(12) and integrated with a base sheet(13), which is made of a rubber-phase elastic unit. A partition groove(14) is punched on one plane of the manipulation plate, and a pressurizing manipulation slice(15) is formed by the partition groove. A display portion(16) for displaying characters, symbols, and numbers is formed by penetrating the manipulation plate. A first pressuring manipulation slice with a first display portion is formed under the partition groove. A second pressuring manipulation slice with a second display portion is formed on the partition groove. The first and second pressurizing slices face each other.
权利要求
  • 금속제 또는 경질 수지제의 조작판에, 가압 변위 가능한 가압 조작편을 형성하는 칸막이홈을 설치한 푸시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조작편이 설편형(舌片形)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홈을 환상(環狀) 파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칸막이홈을 사이에 두고 각 측에 상기 가압 조작편을 각각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홈을 각형(角形) 파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칸막이홈을 사이에 두고 각 측에 상기 가압 조작편을 각각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조작편에, 판의 두께를 관통하도록 천공된 형상의 문자, 숫자, 기호, 도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표시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
  • 제1항에 있어서,
    조작판의 두께가 50μm ~ 2000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판의 조작면의 배면에, 고무상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시트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시트는 차광성(遮光性)의 상층과 투광성(透光性)의 하층이 적층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이, 상기 조작판에 설치한 상기 표시부에 대응하는 부위에 상기 표시부와 연속되는 관통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은 상기 조작판에 형성된 칸막이홈으로 돌출하는 홈 내 돌기를 가지고, 상기 하층은 상기 조작판에 형성된 표시부로 돌출하는 홈 내 돌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
  • 제7항에 있어서,
    가압 조작편의 하방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 시트의 배면에, 접점 전극을 가압하는 가압자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시트에, 상기 조작판의 칸막이홈의 홈 내로 돌출하는 홈 내 돌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홈 내 돌기가 차광성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판을 경질 수지제로 형성하고, 상기 조작판의 조작면의 배면에, 금 속 박막층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홈에 칸막이홈의 홈 내측면에 고착되는 고무상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홈 매립체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홈 내 돌기는 상기 칸막이홈의 홈 내측면에 고착되고, 상기 칸막이홈을 매립하는 홈 매립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홈 매립체는 베이스 시트와 별개의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홈 매립체는 200% 이상의 신장율을 가지는 고무상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홈 매립체와 조작판 사이의 접착력이 180° 인장 접착 시험에 의한 접 착력으로 3N/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홈 매립체가 칸막이홈의 홈 내로부터 팽출하여, 상기 조작판의 조작면 또는 상기 조작면의 배면에서의 칸막이홈의 홈 에지면에도 고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판의 조작면을 덮는 피복층을 가지고, 상기 피복층이 칸막이홈을 폐색(閉塞)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판과 상기 베이스 시트 사이에 피복층을 가지고, 상기 피복층이 칸막이홈을 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
  • 베이스 시트와 홈 내 돌기를 가지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의 제조 방법으로서, 조작판에 상기 베이스 시트를 융착하고, 상기 베이스 시트로부터 조작판의 칸막이홈의 홈 내로 돌출하는 홈 내 돌기를 설치하고, 상기 조작판과 상기 베이스 시트를 일체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의 제조 방법.
  • 说明书全文

    푸시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와 그 제조 방법{PUSHBUTTON SWITCH COVER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푸시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커버 시트)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 선단면에 해당하는 커버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 선단면에 해당하는 커버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 2에 따른 커버 시트의 도 2에 해당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예 3에 따른 커버 시트의 도 2에 해당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실시예 4에 따른 커버 시트의 도 2에 해당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실시예 5에 따른 커버 시트의 도 2에 해당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실시예 6에 따른 커버 시트의 도 2에 해당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실시예 7에 따른 커버 시트의 도 2에 해당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실시예 8에 따른 커버 시트의 도 2에 해당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실시예 9에 따른 커버 시트의 도 2에 해당하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 시트의 변경예 1을 나타내는 도 1에 해당하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 시트의 변경예 2를 나타내는 도 1에 해당하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 시트의 변경예 3을 나타내는 도 1에 해당하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 시트의 변경예 4를 나타내는 도 1에 해당하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 시트의 변경예 5를 나타내는 도 1에 해당하는 평면도이다.

    도 17a, 도 17b 및 도 17c는 도 12의 영역 R에 해당하는 부분을 확대하여 칸막이홈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확대 평면도이다.

    도 18은 휴대 전화기의 외관 평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휴대 전화기에 구비하는 종래예에 따른 푸시 버튼 스위치용 커버 부재의 평면도이다.

    일본국 특개 2003-197063호 공보

    본 발명은, 휴대 전화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자동차 내비게이션(car navigation) 장치, 카 오디오 장치 등 각종 기기의 조작부에 사용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으로 사용하는 전자·전기 기기는, 소형화, 박형화가 진행되고, 또한 편리성의 추구로 인하여 다양한 부가 기능이 내장되어 있다. 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는, 전화기로서의 통화 기능뿐만 아니라, 전자 메일 기능, 인터넷 접속 기능, 촬영 기능 등의 보조 기능도 구비하여, 소비자의 구매 의욕을 고취시키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상품의 매출 증대를 위해서는, 다양한 기능만으로는 불충분하고, 개인용 상품의 특성을 가미하여 개성적이며 참신한 디자인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 그래서, 전자·전기 기기로서의 다양한 기능뿐만 아니라, 디자인의 다양화가 진행되고 있다.

    즉, 휴대 전화기의 하우징의 디자인은 말할 필요도 없고, 휴대 전화기의 표면 부분을 형성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의 커버 부재에도, 타 기종과의 차별화를 도모하는 디자인 경쟁이 격화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 2003-197063호 공보에는 수지제 키탑(keytop)의 상면에, 다수의 금속 박편을 겹쳐서 거울면 광택층을 형성하여 금속 색을 나타내는 수지제 키탑이 기재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배경하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독창적인 디자인을 가지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커버 부재를 만드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금속제 또는 경질 수지제의 한 장의 판형 조작판 내에, 가압 변위 가능한 가압 조작편을 형성하는 칸막이홈을 설치한 푸시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를 제공한다.

    도 1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일반적인 푸시 버튼 스위치용 커버 부 재(1)는, 고무상 탄성체 베이스 시트(2)에 개개의 접점 기판에 대응하는 수지제 키탑(3)을 하나씩 고착시킨 것이며, 도 19에서 나타내는 휴대 전화기(5)의 하우징(5a)에 설치한 칸막이(프레임)(5b)의 사이로부터 수지제 키탑(3)만 표출시켜서 이용되고 있다. 그러므로, 칸막이(5b)의 제약을 받는 디자인이 될 수밖에 없었다. 한편, 전혀 칸막이(5b)가 없는 기기(도시하지 않음)에 대해, 상기 푸시 버튼 스위치용 커버 부재(1)을 장착하면, 베이스 시트(2)의 외주 부분(2a)을, 주위 전체에 걸쳐서 압접하여 유지하는 구조가 되고, 압접 부분의 내측에서는 구속되지 않는 장착 구조가 되므로, 베이스 시트(2)가 수지제 키탑(3)의 중량 부하에 의해 전체적으로 늘어나서 비뚤어지는 문제점이 생긴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의 푸시 버튼 스위치용 커버 부재인 푸시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는, 금속제 또는 경질 수지제의 조작판에, 가압 변위 가능한 가압 조작편을 형성하는 칸막이홈를 설치하여 구성하였으므로, 기기의 하우징의 칸막이가 없어도 푸시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가 비뚤어지거나 휘지 않게 된다. 또, 기기의 하우징의 칸막이가 없어도 되므로, 참신한 디자인을 부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조작판은, 가압 조작을 받는 경질 수지제 키탑과, 가압을 받으면 탄성 가압을 제거하여 원래 상태로 복원되는 고무상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시트의 양쪽의 기능을 겸비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부재로서 키탑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디자인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기능성에 있어서도 우수하다. 상기 조작판은 박판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기기 전체의 두께를 얇게 형성할 수 있는 특징도 가진다. 또한, 조작판을 금속제로 형성하여, 조광식(照光式)의 커버 시 트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조작판을 통해서 광의 누출이 생기지 않고, 또, 조작판이 내부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반사시키기 때문에, 목적하는 부분으로부터 강한 광을 균일하게 조광시킬 수 있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가압 조작편은, 푸시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에서의 가압 조작부에 해당한다.

    조작판에 설치한 가압 조작편은 칸막이홈에 의하여 나누어져 형성되어 있으므로, 칸막이홈의 형상의 변화에 대응한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가압 조작편을 만들 수 있다. 그러므로, 다양한 디자인이 가능하게 된다.

    그 일례로서 예를 들면, 칸막이홈에 의하여 나누어진 가압 조작편을 설편형(舌片形)으로 형성할 수 있다. 설편형으로 형성되면 설편형의 밑 부분이 지지된 상태에서 가압 조작편을 누를 수 있다. 그러므로, 조작판이 푸시 버튼 스위치용의 키탑으로서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설편형은, 선단 부분이 환상(環狀)일 수도 있고, 각 질 수도 있다.

    또, 칸막이홈을 환상 파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칸막이홈을 사이에 두고 각 측으로 가압 조작편을 각각 형성할 수 있다. 칸막이홈를 환형 파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칸막이홈를 사이에 두고 각 측으로 가압 조작편을 각각 형성하기 위해, 가압 조작편의 단이 환상 구조가 된다. 그러므로, 가압 조작편의 단에 의하여 손가락 등이 상처를 입는 일이 적어지고, 안전성이 높아진다. 또한, 부드러운 이미지를 연출하는 디자인이 된다. 그리고 여기서, 환형 파형이란, 물결의 파고부, 물결 저부가 곡선적으로 매끈하게 나타나고 전체적으로 환상 파형 형상을 말한다.

    또는, 칸막이홈를 각진 파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칸막이홈를 사이에 두고 각 측으로 가압 조작편을 각각 형성할 수 있다. 칸막이홈를 각진 파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칸막이홈을 사이에 두고 각 측으로 가압 조작편을 각각 형성하기 위해, 가압 조작편의 면적을 넓게 취할 수 있다. 또, 조작판을 금속조로 하는 경우 등, 금속의 색조에 따른 날카로운 이미지를 가지는 디자인을 표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여기서, 각진 파형이란, 물결의 파고부, 물결 저부가 직선으로 나타나고 전체적으로 각이진 파형을 말한다.

    이와 같이 하여 칸막이홈에 의하여 나누어진 가압 조작편은, 칸막이홈에 의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나누어진 가압 조작편을 인접하여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칸막이홈에 의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나누어진 가압 조작편을 인접하여 설치하면, 종래의 기기 하우징에 의하여 행해진 획일적인 칸막이 형상과는 상이하게 된다. 그러므로, 디자인이 뛰어난 푸시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푸시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에서는, 조작판을 관통하여 이루어지는 표시부를 가압 조작편에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는, 문자나 숫자, 기호, 및 도형 등을 나타내는 부분을 말한다.

    조작판을 관통하여 이루어지는 표시부를 가압 조작편에 설치하였으므로, 가압 조작편을, 상기 표시부가 나타낸 문자나 숫자, 기호, 및 도형 등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키로서 식별할 수 있다. 또, 표시부는 칸막이홈의 형성과 동시에 천공에 의해 형성되므로, 표시부의 형성이 용이한 푸시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의 내부에 조광원을 설치하면, 표시부를 통해서 조광하는 조광식 키로서 기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는 조작판을 반 관통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반 관통이란, 조작판의 조작면으로부터 그 배면에 이르는 관통공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조작판의 배면에까지는 도달하지 않는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을 말한다.

    조작판의 두께는 50μm ~ 2000μm로 설정할 수 있다. 조작판의 두께를 50μm ~ 2000μm로 설정하면, 푸시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 전체에 강성을 부여하고, 밀어넣지만 않으면, 비뚤어지거나 휘지않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를 얻을 수 있다. 또 한편으로는, 가압을 받으면 가압 조작편이 변형 가능하게 되어, 가압이 해제되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커버 부재로서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조작판의 조작면의 배면에 고무상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시트를 설치한 푸시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를 제공한다.

    조작판의 조작면의 배면에 고무상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시트를 설치하였으므로, 조작판이 직접 프린트 기판을 가압하지 않고, 프린트 기판이 쉽게 손상되지 않는다. 또한, 베이스 시트로 조작판의 조작면의 배면을 덮으면, 칸막이홈이나 표시부로부터 수분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베이스 시트에는, 조작판의 가압 조작편의 하방 위치에서 베이스 시트의 이면에, 접점 전극을 가압하는 가압자를 설치할 수 있다. 접점 전극을 가압하는 가 압자를 설치하였으므로, 가압 조작편이 가압되는 가압 조작에 의하여 확실하게 접점 전극이 통전되게 할 수 있어서, 가압 조작편을 눌렀음에도 불구하고 입력되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베이스 시트에, 조작판의 칸막이홈의 홈 내에 돌출하는 홈 내 돌기를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칸막이홈의 홈 내에 돌출하는 홈 내 돌기는, 베이스 시트와 조작판의 고착면으로부터, 조작판의 칸막이홈이 결여된 부위에 베이스 시트의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된 부위를 말한다. 홈 내 돌기는, 칸막이홈을 매립하여 형성되는 한편, 가압 조작편이 가압 조작에 의해 변위되도록 어느 정도 여유있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 시트가, 조작판의 칸막이홈에 돌출하는 홈 내 돌기를 가지므로, 가압 조작편에 가압됨에 따라 가압 조작편이 휘고, 칸막이홈의 에지가 나타나는 경우라 하더라도, 고무상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홈 내 돌기가 존재하기 때문에, 손끝이 직접 에지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손끝이 상처를 입지 않고, 안전성이 높은 푸시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를 형성할 수 있다.

    홈 내 돌기는 차광성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홈 내 돌기가 차광되도록 형성하면, 조광식 키로서 사용한 경우, 칸막이홈의 부분으로부터의 광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푸시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는, 조작판에 경질 수지제의 재료를 사용하고, 상기 조작판의 조작면의 배면에 금속 박막층을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조광식 키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내부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이 조작 판의 배면에 설치된 금속 박막층에서 반사하기 때문에, 원하는 부분으로부터 강한 광을 군일하게 조광시킬 수 있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푸시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는, 칸막이홈에, 상기 칸막이홈의 홈 내측면에 고착되는 고무상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홈 매립체를 설치하여 형성할 수 있다. 조작판의 칸막이홈에 들어간 고무상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홈 매립체를 상기 칸막이홈에 형성하고, 홈 매립체가 칸막이홈의 홈 내측면에 고착되어 있으므로, 가압 조작편이 휘어져도, 칸막이홈를 매립한 홈 매립체가 가압 조작편을 변형시키더라도 가압 조작편의 에지가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므로, 조작판의 질감이나 디자인을 유지한 채, 칸막이홈에 의하여 손끝이 상처를 입지 않고, 안전성이 높은 푸시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홈 매립체는, 베이스 시트로부터 칸막이홈의 홈 내에 돌출하는 홈 내 돌기를 칸막이홈의 홈 내측면에 고착시켜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시트와 홈 매립체를 동일 소재로 형성할 수 있고, 베이스 시트와 홈 매립체를 일체로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홈 매립체는, 베이스 시트와는 별도의 부재로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 시트와 별도의 부재로 형성하면, 베이스 시트로서 사용되는 매우 부드러운 재질 등, 홈 매립체의 기능에 가장 적합한 재질을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 매립체가, 칸막이홈의 홈 내로부터 팽출하여, 조작판의 조작면 또는 상기 조작면의 배면에서의 칸막이홈의 홈 에지면에 고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홈 매립체가, 칸막이홈의 홈 내로부터 팽출하여, 조작판의 조작면 또는 상 기 조작면의 배면에서의 칸막이홈의 홈 에지면에 대해서도 고착되기 때문에, 칸막이홈의 홈 내측면뿐만아니라, 조작판의 조작면인 상면, 또는 조작면의 배면의 부분과도 고착되어, 조작판과 홈 매립체가 강하게 고착된다. 그러므로, 칸막이홈과 홈 매립체의 고착이 유지되어 쉽게 벗겨지기 않는다. 그리고, 칸막이홈으로부터 비어져 나와서 피복층을 형성하는 부분은, 칸막이홈의 홈에지에 이어지는 조작판의 조작면 또는 그 배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일부로부터, 조작판의 조작면 또는 그 배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전부에 이르기까지 넓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작판의 조작면을 덮는 피복층을 가지고, 상기 피복층이 칸막이홈을 폐색(閉塞)하고 있는 구성으로 형성할 수 있다. 피복층이 칸막이홈를 폐색하고 있으므로, 칸막이홈에 손끝이 들어가지 않는 안전한 푸시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는, 칸막이홈에 홈 매립체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용융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푸시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는, 조작판에 베이스 시트를 융착(融着)하여 상기 조작판과 베이스 시트를 일체화하여 제조될 수 있다.

    조작판에 베이스 시트를 융착하여 상기 조작판과 베이스 시트를 일체화하기 때문에, 조작판과 베이스 시트를 간극없이 고착시킬 수 있고, 조작판의 외측으로부터 베이스 시트의 내부에까지 수분이 들어가는 간극이 없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커버 부재를 형성할 수 있다. 또, 이 제조 방법에 의하면, 조작판의 칸막이홈에 용융한 베이스 시트가 흘러들어가기 때문에, 용이하게 홈 내 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베이스 시트와 홈 내 돌기를 가지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의 제조 방법에서는, 조작판에 베이스 시트를 융착하여, 베이스 시트로부터 조작판의 칸막이홈의 홈 내에 돌출하는 홈 내 돌기를 설치하는 동시에, 조작판과 베이스 시트를 일체화하여 푸시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함으로써, 베이스 시트가 조작판에 고착됨과 동시에, 홈 내 돌기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푸시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는, 종래의 푸시 버튼 스위치용 커버 부재로서는 나타낼 수 없는 참신한 디자인을 가진다. 또, 탑재하는 기기도 경량화, 소형화, 및 박형화되며, 참신하게 디자인될 수 있다. 또, 조광식 커버 시트로 형성하면, 도광성이 좋고, 원하는 부분으로부터 균일하게 조광할 수 있다.

    또한, 홈 내 돌기나 홈 매립체, 피복층을 가지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는, 칸막이홈에 의하여 손끝이 상처를 입지 않고, 안전한 푸시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이다.

    본 발명의 내용은 이상의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목적, 이점, 특징, 그리고 용도에 대해서는,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한 설명에 의하여 더욱 명료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정신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당한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그리고, 종래 기술과 공통되는 구성, 각각의 실시예에서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기기」는 전자 기기를 의미하고, 휴대 전화기를 포함한다.

    실시예 1[도 1 ~ 도 3]

    실시예 1에 따른 푸시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11)(이하 「커버 시트」라고도 한다)는, 금속제의 조작판(12)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고무상 탄성체가 되는 베이스 시트(13)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스테인레스제의 박판 상태로 이루어지는 조작판(12)은, 한 장의 판의 평면 내에 천공하여 칸막이홈(14)이 각형으로 설치되고, 상기 칸막이홈(14)에 의하여 설편형으로 나누어진 부분이 가압 조작편(15)을 형성하고 있다. 또, 가압 조작편(15)의 중앙에는, 문자나 숫자, 기호, 도형 등을 나타내는 표시부(16)가, 칸막이홈(14)과 마찬가지로 천공에 의하여 조작판(12)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에서는, 대략 파형으로 칸막이홈(14)이 설치되어 있고, 예를 들면 숫자 「1」을 나타내는 표시부(16a)가 설치된 가압 조작편(15a)은, 칸막이홈(14)이 하 방향으로 형성되고, 숫자 「2」를 나타내는 표시부(16b)가 설치된 가압 조작편(15b)은, 칸막이홈(14)이 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가압 조작편(15a, 15b)은 서로 반대로 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조작판(12)에는, 형상을 유지하기 위하여 강성이 높은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나, 알루미늄, 크롬, 금, 은, 동, 니켈, 주석 등의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금속 중에서, 박판으로 형성하기 용이한 스테인레스나, 알루미늄, 금, 동 등의 금속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금속 이외에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나, ABS 수지 등의 경질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조작판(12)의 두께는, 통상 50μm ~ 2000μm이다. 상기 두께가 50μm 미만이면, 강성이 약하고 커버 시트(11)의 불균일을 억제하는 것이 곤란하며, 상기 두께가 2000μm를 초과하면, 베이스 시트(13)로서의 통상적인 규격 제한을 초과하게 된다. 상기 두께는, 재질이나 가압 조작편(15)의 형상에 따라 달라지지만, 강성과 박판화의 요망에 따라 70μm ~ 300μm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조작판(12)의 두께는, 50μm ~ 300μm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300μm를 초과하면, 칸막이홈(14)이나 표시부(16)를 가공하기 곤란하며, 또, 가압 하중이 커지고, 조작감도 떨어지게 된다. 50μm보다 얇으면 강성이 약해지고 커버 시트(11)의 불균일을 억제하기 곤란하게 된다. 또, 50μm ~ 70μm의 범위가 바람직한 이유는, 피복층이나 홈 매립체를 형성함으로써 강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조작판(12)에서 칸막이홈(14)이나 표시부(16)의 형성은, 포토 에칭 등으로 가공할 수 있다.

    조작판(12)의 배면에는 고무상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시트(13)가 고착되어 있다. 도 1의 평면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 시트(13)는 조작판(12)의 외형에 대응하여 모서리가 환상인 직사각형의 외관 형상을 이루어, 도 2나 도 3의 단면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 시트(13)의 상면(13a)은 요철이 없는 평탄한 면이 되고, 베이스 시트(13)의 배면(13b)은, 베이스 시트(13) 전체를 지지하는 지지부(17)와 접점 전극을 가압하는 가압자(18)가 돌출되도록 복수개의 오목부(1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오목부(19)가 형성되는 부분의 두께는 얇으며, 두께가 얇은 부분이 조작판(12)의 가압 조작편(15)과 함께 가압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기기의 내부에 설치한 내부 광원으로부터 표시부(16)를 통해서 조광시키기 때문에, 베이스 시트(13)의 지지부(17)에는, 내부 광원이 들어갈 수 있도록 절결부(13c)가 형성되어 있다(도 3). 그리고, 절결부(13c)의 상부에 조작판(12)이 배치되어 있다.

    베이스 시트(13)는, 반발 탄성이 우수하고 유연성이 있는, 실리콘 고무, 이소프렌 고무,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 부타디엔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천연 고무 등의 열강화성 일래스터머(elastomer)나, 스틸렌계, 에스테르계, 우레탄계, 올레핀계, 아미드계, 부타디엔계, 에틸렌-초산비닐계, 불소 고무계, 이소프렌계, 염소화 폴리에틸렌계 등의 열가소성 일래스터머 등의 고무상 탄성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고무상 탄성체 중, 실리콘 고무나, 스틸렌계 열가소성 일래스터머, 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일래스터머는, 반발 탄성이 우수하고, 또한 높은 내구성을 가지는 점에서 바람직한 재료할 할 수 있다. 또, 조광식의 커버 시트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투광성이 있는 재질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조작판(12)과 베이스 시트(13)는, 다음의 방법에 의해 고착시킬 수 있다. 먼저, 제1 방법으로서, 금형 상에 조작판(12)을 배치하고, 여기에 베이스 시트(13)가 되는 열가소성의 고무상 탄성체를 흘려 넣어서 융착하는 방법이다. 제2 방법으로서는, 별도로 성형한 조작판(12)과 베이스 시트(13)를 접착제로 접착하는 방법이다. 어느쪽 방법도 일장 일단이 있지만, 조작판(12)이 기기(1)에 유지되지 않는 구조로 되는 경우는, 조작판(12)이 베이스 시트(13)로부터 벗겨지고 떨어지지 않도록 정확하게 고착될 필요가 있고, 접착제에 의해 고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커버 시트(11)에 의한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설편형으로 설치된 가압 조작편(15)은, 설편형의 밑 부분을 남겨서 칸막이홈(14)에 의하여 구획되어 있다. 그러므로, 가압 조작편(15)을 손가락으로 가압하면, 그 뿌리 부분을 중심으로, 잘려나간 부분이 변형된다. 그러면, 베이스 시트(13)에 설치된 가압자(18)가 도시되지 않은 프린트 기판 등에 설치된 접점 전극을 가압하여 스위치가 'ON'이 된다. 한편, 손가락을 떼면, 가압 조작편(15)과 베이스 시트(13)의 복원력에 의하여 원래 상태로 복귀하여 스위치가 'OFF'가 된다.

    이와 같이, 조작판(12)은, 경질감과 가압 변위 가능성을 가지고, 종래의 푸시 버튼 스위치용 키 시트의 수지제 키탑과 고무상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시트의 양쪽 기능을 겸비한 부재가 된다. 또한, 박판 상태이므로 기기 전체의 두께를 얇게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참신한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조작판(12)의 강성에 의해, 기기 하우징의 칸막이를 없앤 구조이면서, 커버 시트(11)전체에 걸쳐서 불균일이나 휨이 생기지 않고, 오동작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 커버 시트(11)의 제조 시에도, 종래의 푸시 버튼 스위치용 키 시트와 같이, 개개의 키탑을 따로 따로 위치를 결정하여 베이스 시트에 접착할 필요가 없고, 조작판(12)과 베이스 시트(13)를 용이하게 고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조작판(12)에는, 고무상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시트(13)가 고착되어 있으므로, 조작판(12)을 관통하여 설치된 칸막이홈(14)이나 표시부(16)를 통해서 수분이 기기(1) 내부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방수 성능이 우수하게 된다.

    또, 베이스 시트(13)의 두꺼운 부분에 설치된 절결부(13c)에 위치하는 내부 광원(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상측으로 조사되는 광은, 스테인레스제의 조작판(12)에서 잘 반사되고, 베이스 시트(13) 내에서 효율적으로 광이 전달된다. 그러므로, 광원 부근만이 밝게 조광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표시부(16)를 균일하게 조광할 수 있다.

    또한, 조작판(12)의 가압 조작편(15)의 하방에서 베이스 시트(13)의 이면에, 접점 전극을 가압하는 가압자(18)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가압 조작편(15)이 가압되어 확실하게 접점 전극으로 통전되도록 안내할 수 있고, 가압 조작편(15)을 눌렀음에도 불구하고 입력되지 않는 문제점이 생기지 않는다.

    실시예 2[도 4]

    실시예 2에서, 푸시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21)는, 실시예 1에서 나타낸 푸시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11)와 비교하면 베이스 시트(23)가 상이하다. 즉, 실시예 1에서 사용한 베이스 시트(13)는, 1층으로 구성되는 투광성 베이스 시트(13)인 데 비해, 본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베이스 시트(23)는, 차광성과 투광성을 가지는 2층 구성인 점에서 상이하다. 베이스 시트(23) 이외의 구성은 실시예 1에서 나타낸 푸시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11)과 동일하다.

    본 실시예의 푸시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21)를 나타내는 도 4는, 도 2에 해당하는 단면도이다. 도 4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시트(23)는, 차광성을 가지는 상층(23a)과 투광성을 가지는 하층(23b)이 적층되어 형성된 것이다. 차광성을 가지는 상층(23a)은 조작판(12)에 접착되고, 조작판(12)에 설치한 칸막이 홈(14)을 뚫고 나오는 홈 내 돌기(24)를 가지고 있다. 홈 내 돌기(24)는, 상층(23a)의 상면으로부터, 조작판(12)의 칸막이홈(14)을 향하여 상층(23a)의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 상층(23a)에는, 조작판(12)의 표시부(16)에 해당하는 부위가 절결되고, 조작판(12)의 표시부(16)와 연속되는 관통공(25)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층(23a)은, 필름 상태의 수지나 고무상 탄성체로 형성할 수 있어서, 조작판(12)의 위에 사출 성형함으로써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하층(23b)은, 상층(23a)의 하부에 형성되고, 실시예 1에서 나타낸 베이스 시트(13)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가지는 고무상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광이 통과하는 층이다. 상기 하층(23b)은, 상층(23a)에 형성된 표시부(16)와 연속되는 관통공(25)이 하방에서 커버를 하듯이 설치된다. 상기 하층(23b)은, 상층(23a)에 접착제로 접착하여 고착될 수도 있고, 상층(23a)의 위에 사출하여 하층(23b)을 설치할 수도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커버 시트(21)에 의한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베이스 시트(23)의 상층(23a)에는, 조작판(12)에 설치한 칸막이홈(14)의 홈 내 돌기(24)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손끝이 인접하는 가압 조작편(15)의 에지에 부딪히더라도, 손끝이 상처를 입지 않고, 안전성이 높은 푸시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21)로서 형성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커버 시트(21)를 조광식의 커버 시트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홈 내 돌기(24)를 차광성으로 형성함으로써, 칸막이홈(14) 부분으로부터 광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조작판(12)의 표시부(16)에 대응하는 부 위에, 투광성의 하층(23b)에 이르기까지 관통공(25)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표시부(16)를 조광할 수 있다.

    또한, 고무상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하층(23b)은, 조작판(12)에 형성한 관통공(25)에 커버를 하듯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수분이 기기(1) 내부에까지 침투하지 않으므로, 높은 방수 성능을 가지게 된다.

    실시예 3[도 5]

    본 실시예의 푸시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31)를 나타내는 도 5는, 도 2에 해당하는 단면도이다. 실시예 3의 커버 시트(31)에서는, 경질 수지제의 조작판(32)을 형성하고, 실시예 1의 금속제의 조작판(12)과 재질이 상이한 점, 조작판(32)과 고무상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시트(33) 사이에 금속 박막층(37)을 설치하고 있는 점, 지지부(17)를 설치하고 있지 않은 점이 상이하다. 금속 박막층(37)은, 실시예 1에서의 금속제의 조작판(12)과 마찬가지로, 조광식의 커버 시트로 형성한 경우에 내부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적절하게 반사시키기 위하여, 도광성을 향상시켜 원하는 부분으로부터 균일하게 조광할 수 있다.

    금속 박막층(37)은, 금속만으로 이루어지는 층인 경우 외에, 금속을 주성분으로하는 잉크나 도료로 이루어지는 층이라도 되고, 얇은 막 상태로 막이 제조되어 조작판(32)에 고착할 수 있는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 박막층(37)은, 알루미늄, 크롬, 금, 은, 동, 니켈, 주석 등의 금속을 증착법에 의해 부착시키거나 이들 금속 미립자를 포함하는 잉크나 도료를 사용하여 도포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알루미늄이나 크롬, 은 등은 조작판(32)의 표면에 비교적 용이 하게 증착법이나 도장법으로 박막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한 재질이라 할 수 있다.

    금속 박막층(37)의 두께는, 도광성의 관점에서, 10nm ~ 80nm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 박막층(37)의 두께가 10nm 미만에서는, 금속 박막층(37)의 가시광선 투과율이 50% 이상이 되고, 내부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효율적으로 반사하기 곤란하며, 80nm를 초과하면, 광의 반사 효율은 거의 변하지 않고, 두께가 두꺼워질 뿐 재료가 쓸데없이 필요해지고 낭비를 초래한다.

    실시예 4[도 6]

    실시예 1에서는, 조작판(12)을 천공하여 칸막이홈(14)과 표시부(16)를, 베이스 시트(13)에서 아래로부터 커버를 한 구성이었지만, 실시예 4에서의 푸시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41)는,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칸막이홈(14)과 표시부(16)가, 베이스 시트(43)로부터의 홈 내 돌기(44)에서 매립되어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 베이스 시트(43)를 투광성의 재질로 형성한 경우에는, 칸막이홈(14)과 표시부(16)로부터 조광하는 조광식의 커버 시트(41)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베이스 시트(43)를 차광성의 재질로 형성한 경우에는, 칸막이홈(14)과 표시부(16)로부터 광이 누출되지 않는 커버 시트(41)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커버 시트(41)는, 칸막이홈(14)이나 표시부(16)에 홈 내 돌기(44)를 가지고 있으므로, 칸막이홈(14)이나 표시부(16)에서 손끝이 상처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5[도 7]

    실시예 2에서는, 조작판(12)의 표시부(16)와 연결되는 관통공(25)을, 베이스 시트(13)와 연속되게 하여 아래로부터 커버를 하고 있지만, 실시예 5의 푸시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51)는,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 시트(53)의 상층(53a)으로부터 칸막이홈(14)으로 돌출하는 홈 내 돌기(54a)와, 베이스 시트(53)의 하층(53b)으로부터 표시부(16)로 돌출하는 홈 내 돌기(54b)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커버 시트(51)는, 상층(53a)을 차광성, 하층(53b)을 투광성으로 형성하여, 칸막이홈(14)으로부터 광이 누출되지 않게 하고, 표시부(16)로부터 조광하는 조광식의 커버 시트(51)로 형성할 수 있다. 또, 칸막이홈(14)이나 표시부(16)에 홈 내 돌기(54a, 54b)를 가지고 있으므로, 칸막이홈(14)이나 표시부(16)에서 손끝이 상처를 입지 않는 커버 시트(51)를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 6[도 8]

    실시예 1에서는, 조작판(12)을 천공하여 칸막이홈(14)과 표시부(16)를, 베이스 시트(13)에 의하여 아래로부터 커버를 한 구성이지만, 실시예 6의 푸시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61)는, 도 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칸막이홈(14)과 표시부(16)가, 고무상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홈 매립체(64)가 매립되어 구성되어 있다. 홈 매립체(64)는 고무상 탄성체이지만, 베이스 시트(63)를 형성하는 재료와는 별개의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점, 및 칸막이홈(14)의 홈 내측면(14a)과 고착되어 있는 점에서, 홈 내 돌기(44)가 매립된 도 6으로 나타낸 실시예 4의 푸시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41)와 상이하다. 또한, 조작판(82)에서는, 반관통공(85)에서 표시부(16)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조작판(12)에 관통공(25)을 설치하여 표시부(16)를 형성하는 도 6에서 나타낸 실시예 4의 푸시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41)와 상이하다.

    홈 매립체(64)는, 칸막이홈(14)을 형성하는 관통공(25) 내에서, 상기 홈 내측면(14a)에 고착되어 있다. 그러므로, 홈 매립체(64)를 형성하는 고무상 탄성체는, 칸막이홈(14)을 두고 인접하는 가압 조작편(15)끼리 연결하고 있어 가압 조작 시에도 가압 조작편(15)에 따라서 신축하고, 홈 내측면(14a)이 노출되지 않는다. 상기 고무상 탄성체는, 200% 이상, 바람직하게는 300% 이상 늘어나는 유연성 고분자 재료로 형성된다. 한편, 조작판(12)과 접착 시의 접착력은, 180°인장 시험에 의한 접착력에서 3N/mm 이상이지만, 5N/mm 이상이 바람직하다. 200% 미만으로 늘어나면, 가압 조작 시에 홈 매립체(64)가 절단되거나 파괴될 우려가 있고, 또한 가압 조작 시의 하중이 커진다. 또한, 접착력이 3N/mm 미만에서는, 가압 조작 시에 홈 매립체(64)가 홈 내측면(14a)으로부터 박리될 우려가 있다. 반관통공(85)으로 형성된 표시부(16)도 마찬가지로 홈 매립체(64)가 매립되어 있다. 이와 같은 홈 매립체(64)의 형성은, 액체 수지나 잉크, 도료, 접착제 등의 형태로 된 유연성 고분자를 칸막이홈(14)이나 표시부(16) 내에 주입한 후, 경화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유연성 고분자의 재질로서는, 실리콘계 수지나 우레탄계 수지 등의 액상 수지나, 초산비닐계 수지, 염화 비닐계 수지, 클로로프렌 고무, 니트릴 고무, 스틸렌 부타디엔 고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연성 고분자의 재질에 따라, 상온 경화, 반응 경화, 열 경화, 습기 경화, UV 경화, 광 경화 등으로 경화시킬 수 있다.

    커버 시트(61)는, 칸막이홈(14)이나 표시부(16)가 홈 매립체(64)에 의하여 매립되어 있으므로, 칸막이홈(14)이나 표시부(16)의 각에 의하여 손가락이 상처를 입지 않게 된다. 또, 가압 조작편(15)끼리 홈 매립체(64)를 통하여 연결되는 구조이므로, 홈 매립체(64)가 없는 경우와 비교하여, 가압 하중은 약간 커지지만, 유연성 고분자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압 조작은 가능하다. 그리고, 홈 매립체(64)가 홈 내측면(14a)과 고착되어 있으므로, 가압 조작된 가압 조작편(15)과 거기에 인접하는 가압 조작편(15) 사이에 단차가 생겨도, 가압 조작편(15, 15) 끼리 홈 매립체(64)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으므로, 그 단이 노출되지 않고 손가락이 상처를 입거나 끼이지 않게 된다.

    실시예 7[도 9]

    실시예 7에서 나타내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71)는, 조작판(12)에 설치한 칸막이홈(14)을 고무상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홈 매립체(74)가 매립되고, 홈 매립체(74)가 조작판(12)의 배면(12b)까지 팽출하여 조작판(12)의 배면(12b)에 이르기끼지 그 전체를 덮도록 구성되는 피복층(77)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커버 시트(71)는, 도 4에서 나타낸 실시예 2의 커버 시트(21)와 층 구성은 유사하지만, 커버 시트(71)가 베이스 시트(73)와 피복층(77)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비하여, 실시예 2의 커버 시트(21)에서는, 베이스 시트의 상층(23a)과 하층(23b)으로 이루어지는 점에서 상이하다. 또, 실시예 2의 커버 시트(21)에서의 홈 내 돌기(24)가 홈 내측면(14a)과 고착되지 않는 경우에는, 가압 하중이 낮은데 비하여, 본 실시예의 커버 시트(71)는 홈 매립체(74)가, 홈 내측면(14a)과 고착하고 있으므로, 가압 하중이 약간 높아지지만, 베이스 시트(73)보다 늘어나는 고무상 탄성체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므로, 가압 조작에 지장이 생길 만큼 가압 하중이 높아지지는 않는다.

    커버 시트(71)에서는, 가압 조작편(15)의 단(에지), 즉, 칸막이홈(14)의 단(에지)이 홈 매립체(74)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홈 내 돌기(24)가 홈 내측면(14a)과 고착하고 있지 않는 경우의 커버 시트(21)보다는, 가압 조작편(15)의 단에 의하여 손가락 등이 상처를 입을 우려가 저감된다.

    실시예 8[도 10]

    실시예 8에서 나타낸 푸시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81)는, 조작판(12)에 설치한 칸막이홈(14)을 고무상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홈 매립체(84)가 매립되고, 홈 매립체(84)가 조작판(12)의 상면(12a)까지 팽출하여 조작판(12)의 상면(12a)에까지 이르러 그 전체를 덮도록 구성되는 피복층(87)을 형성하고 있다.

    커버 시트(81)에서는, 칸막이홈(14)의 홈 에지와 중첩되는 조작판(12)의 상면(12a)의 일부뿐만 아니라, 상기 상면(12a) 전체를 피복층(87)으로 덮고 있으므로, 조작판(12)의 상면(12a)을 보호할 수 있어서, 조작판(12)을 금속판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금속 광택을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조작판(12)의 색조를 눈으로 확인할 필요가 있으므로, 피복층(87)을 형성하는 고무상 탄성체는 투광성 재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홈 매립체(84)가 칸막이홈(14)에 들어가 있기 때문에, 뾰족한 물건으로 가압하여도 피복층(87)이 쉽게 파손되지 않는다.

    홈 매립체(84)와 피복층(87)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이한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동일한 재질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나타낸 것과 마찬가지의 고무상 탄성체를 사용할 수 있 다. 또, 상이한 재질로 형성하는 경우에, 홈 매립체(84)로서 상기 고무상 탄성체를 사용하면서, 피복층(87)에는, 투명성의 수지의 도료 가공물이나 점착성 테이프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계나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계 등의 필름 상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필름이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등의 베이스재에 점착층이 부가된 점착성 필름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홈 매립체(84)를 형성한 후에, 스프레이로 도장할 수도 있다. 상기 커버 시트(81)는, 칸막이홈(14)이나 표시부(16)를 피복층(87)으로 덮고 있으므로, 칸막이홈(14)이나 표시부(16)에 손가락이 들어갈 수 없으므로, 안전성이 높아진다. 또한, 가압 조작편(15)에 금속 대신 고무상 탄성체의 질감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미끄럼방지 효과나, 온화한 느낌을 줄 수 있다.

    실시예 9[도 11]

    실시예 9에서 나타내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91)는, 조작판(12)의 상면(12a)을 덮는 피복층(97)을 형성하고 있는 점에서, 도 10에서 나타낸 실시예 8의 푸시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81)와 동일하지만, 칸막이홈(14)에 들어가는 홈 매립체(84)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점에서 상이하다.

    본 실시예의 커버 시트(81)는, 실시예 8의 커버 시트(71)와 비교하면, 칸막이홈(14)에 홈 매립체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가압 조작편(15) 사이에서 피복층(97)이 약간 파손되기 쉬운 결점이 있다. 그러나, 홈 매립체가 없기 때문에, 가압 조작 하중이 낮은 이점이 있다. 칸막이홈(14)이나 표시부(16)에 홈 매립체를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조작판(12)의 상면(12a)에 설치한 접착제와 피복층(97)을 접착하거나, 칸막이홈(14)이나 표시부(16)를 임시로 매립하고, 피복층(97)을 도포 등에 의하여 형성한 후에, 임시로 매립한 것을 제거하는 등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서 도 1 ~ 도 11에서 나타낸 조작판(12, 32) 대신, 도 12 ~ 도 16에서 나타내는 푸시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101, 111, 121, 131, 141)와 같이, 칸막이홈(104, 114, 124, 134, 144)과 가압 조작편(15)의 형상을 변경한 조작판(102, 112, 122, 132, 142)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5나 도 16에서 나타내는 칸막이홈(134, 144)은 등그스럼한 파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도 17a, 도 17b, 도 17c에 나타낸 가압 조작편(15)은, 도 12의 영역 R에 해당하는 부분을 확대한 것이지만, 도 17a, 도 17b, 도 17c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칸막이홈(104a, 104b, 104c)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휴대 전화기(1)에 사용하는 커버 시트(11, 21, 31, 41, 51, 61, 71, 81, 91, 101 ~ 141)를 예시하였지만, 그 이외의 기기, 예를 들면 PDA나 리모트 컨트롤러 등에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작판(12)은, 경질감과 가압 변위 가능성을 가지고, 종래의 푸시 버튼 스위치용 키 시트의 수지제 키탑과 고무상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시트의 양쪽 기능을 겸비한 부재가 된다. 또한, 박판 상태이므로 기기 전체의 두께를 얇게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지금까지 보지 못한 참신한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조작판(12)의 강성에 의해, 기기 하우징의 칸막이를 없앤 구조이면서, 커버 시트(11) 전체에 걸쳐서 불균일이나 휨이 생기지 않고, 오동작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 커버 시트(11)의 제조 시에도, 종래의 푸시 버튼 스위치용키 시트와 같이, 개개의 키탑을 별개로 위치를 결정하여 베이스 시트에 접착할 필요가 없고, 조작판(12)과 베이스 시트(13)를 용이하게 고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조작판(12)에는, 고무상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시트(13)가 고착되어 있으므로, 조작판(12)을 관통하여 설치된 칸막이홈(14)이나 표시부(16)를 통해서 수분이 기기(1) 내부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방수 성능이 우수하게 된다.

    또한, 베이스 시트(13)의 두꺼운 부분에 설치된 절결부(13c)에 위치하는 내부 광원(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상측으로 조사되는 광은, 스테인레스제의 조작판(12)에서 잘 반사되고, 베이스 시트(13) 내에서 효율적으로 광이 전달된다. 그러므로, 광원 부근만이 밝게 조광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표시부(16)를 균일하게 조광할 수 있다.

    또한, 조작판(12)의 가압 조작편(15)의 하방에서 베이스 시트(13)의 이면에, 접점 전극을 가압하는 가압자(18)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가압 조작편(15)이 가압됨으로써 확실하게 접점 전극으로 통전되도록 안내할 수 있고, 가압 조작편(15)을 눌렀음에도 불구하고 입력되지 않는 문제점이 생기지 않는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