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기기용 조작키

申请号 KR1020040015741 申请日 2004-03-09 公开(公告)号 KR1020050090591A 公开(公告)日 2005-09-14
申请人 삼성전자주식회사; 发明人 김일권;
摘要 본 발명은 패널 일체형 네비게이션키에 관한 것으로서, 탄성 복원력을 가지도록 형성된 원통형의 분할키와, 상기 분할키를 수납하는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는, 상기 패널에 일체로 고정되어 형성되고, 상기 분할키가 하방으로 눌릴 때, 상기 홀더 하방에 설치된 택트 스위치를 직접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权利要求
  • 전자기기의 패널에 설치되는 네비게이션키에 있어서,
    탄성 복원력을 가지도록 형성된 분할키; 및
    상기 분할키를 수납하는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는, 상기 패널에 일체로 고정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일체형 네비게이션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분할키가 하방으로 눌릴 때, 상기 홀더 하방에 설치된 택트 스위치를 직접 누르는 누름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일체형 네비게이션키.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키는, 기기의 동작을 위해 가압하는 버튼부와, 상기 버튼부를 상기 홀더 상에 고정지지하는 복수의 걸쇠턱을 더 포함하며,
    상기 홀더는, 상기 버튼부가 안착되는 수납부와, 상기 걸쇠턱을 수납시켜 위에서 잡아주는 록킹돌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일체형 네비게이션키.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수납부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걸쇠턱이 관통하는 가이드 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일체형 네비게이션키.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키는, 상기 버튼부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거리 연장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홀더는, 상기 돌출부와 연동하여 그 하방에 설치되는 택트 스위치를 누를 수 있도록 형성되는 누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일체형 네비게이션키.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버튼부가 하방으로 눌릴 때 상기 누름부재의 상부에 걸리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가 상기 누름부재의 상부로 가이드 하는 가이드 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누름부재는, 상부에는 상기 지지대가 고정되도록 일정 두께가 원주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도록 소정의 깊이로 홈이 형성되며, 하부 끝단은 그 하방에 설치되는 택트 스위치를 누를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일체형 네비게이션키.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누름부재의 상부와 연결되어서, 상기 누름부재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일체형 네비게이션키.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고리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일체형 네비게이션키.
  • 제 1 항 내지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키 및 홀더는 내부에 원형의 홀을 형성하며,
    상기 각각의 원형의 홀에 삽입되고, 상기 홀더의 후면에 설치되는 수용돌기에 걸려 고정되는 원형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일체형 네비게이션키.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전자기기의 전면에 형성되는 프런트 패널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일체형 네비게이션키.
  • 说明书全文

    패널 일체형 네비게이션키{Navigation key formed in Panel as one body}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패널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네비게이션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젼, 비디오, 오디오 및 DVD 플레이어의 패널, 특히 프런트 패널에는 전기적인 작동을 위한 다수의 키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키들은 대부분 일자형의 단일키로 형성되어 그 하부에 위치하는 택트 스위치를 작동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일자형의 단일키들은 프런트 패널의 공간을 많이 차지하며, 또한 상기 일자형의 키들을 누를때에는 뒤로 밀리는 문제점이 발생하므로, 최근에는 프런트 패널에 원형 모양의 네비게이션키를 적용하는데 관심이 많아졌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원형 모양의 네비게이션키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은 은 복수의 동작키들(10)의 정면도이고, 도 2는 상기 복수의 동작키들을 수용하는 홀더(20)의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모양의 네비게이션키는 가운데 형성된 원통형의 원형키(12)와, 상기 원형키의 외주에 맞닿게 위치하면서 상기 원형키를 둘러싸는 네 개의 분할키(14)와, 상기 키들을 수납하는 홀더(20)를 포함한다. 상기 원형키(12)는 원통의 보턴과, 하방에 설치되는 택트 스위치를 누르도록 형성고 홀더(20)의 택트 접점 수납홀(23)에 수용되는 택트 접점(13)과, 상기 홀더(20)의 걸림턱(28)에 의해서 걸려서 상기 걸림턱과 함께 상기 원통 보턴이 하방으로 눌릴때 텐션을 형성하는 걸쇠턱(미도시) 및 상기 원형키의 상부를 상기 홀더(20) 상에 고정지지하는 지지대(미도시)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네 개의 분할키(14)는 각각 고리형상의 버튼과, 하방에 설치되는 택트 스위치를 누를 수 있도록 형성되고 홀더(20)의 택트 접점 수납홀(26)에 수납되는 택트 접점(미도시)과, 상기 홀더의 걸림턱(28)에 의해서 걸려서 상기 걸림턱과 함께 상기 고리 형상의 버튼이 하방으로 눌릴때 텐션을 형성하는 걸쇠턱(17) 및 상기 분할키를 상기 홀더(20) 상에 고정지지하는 지지대(18)를 구비한다.

    상기의 구조를 가지는 종래의 원형 모양의 네비게이션키의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분할키(14)의 걸쇠턱(17)을 분할키 수납홀(22)의 걸림턱(28)과 맞닿게 하여 위에서 아래로 밀면서 택트접점(미도시)을 택트접전 수납홀(26)에 수납되도록 안으로 밀어넣으면, 택트접점(미도시)과 걸쇠턱(17)은 서로 대향하는 쪽으로 탄성변형을 일으키면서 지지대(18)가 지지대홈(21)에 걸리면서 조립이 된다. 이처럼 네 개의 분할키(14)를 각각 조립한 다음에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원형키(12)를 조립하면 된다.

    상기 원형키(12) 및 복수의 사분할키(14)는 택트 스위치를 누르기 위해서 보통 탄력적 변형이 가능한 사출성형으로 형성된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한다. 그런데, 이 키들은 비디오, 오디오, DVD 플레이어의 프런트 패널의 전면에 위치하므로, 외관상의 미관을 위하여 도금을 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런데, 이렇게 도금한 상기 원형키 및 분할키들의 택트접점은 택트스위치를 직접적으로 누르므로, 택트스위치와 연결된 회로기판에는 정전기가 발생하게 되어 기기의 손상을 주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정전기 발생의 문제점을 없애기 위해 택트 스위치와 접촉하게 되는 상기 택트접점을 비전도성 액을 일일치 붓으로 칠해야만 했다. 그런데,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네비게이션 키는 한 개의 원형키와 네 개의 분할키를 가지므로, 모두 다섯 개의 택트 접점의 끝에 손으로 일일이 액을 칠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이는 생산비용을 상승시키는 요인이 된다. 또한, 상기 원형의 네비케이션키는 여러개의 키들과, 이를 지지하는 홀더 및 상기 홀더를 프런트 패널에 고정시키는 별도의 고정 부재가 필요하므로 매우 복잡한 구성요소를 가지게 되며, 결국 과다한 조립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텔레비젼, 오디오, 비디오 및 DVD 플레이어등의 패널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패널 일체형 네비게이션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패널에 설치되는 네비게이션키에 있어서, 탄성 복원력을 가지도록 형성된 원통형의 분할키와, 상기 분할키를 수납하는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는, 상기 패널에 일체로 고정되어 형성되고, 상기 분할키가 하방으로 눌릴 때, 상기 홀더 하방에 설치된 택트 스위치를 직접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할키는, 소정의 깊이를 가지는 측면이 외주를 둘러싸는 원통형의 버튼과, 상기 원통 버튼의 측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거리 연장되어 상기 홀더의 걸림턱에 걸려서 수납하여, 상기 원통버튼의 텐션을 형성하도록 상기 원통 버튼을 상기 홀더 상에 고정지지하는 복수의 걸쇠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분할키는, 상기 원통 버튼의 측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거리 연장되는 원추형 돌기와, 상기 원추형 돌기의 저면에 접하고 상기 원통 버튼의 측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홀더의 지지대 홈에 의해 걸려서, 상기 원통 버튼이 하방으로 눌릴 때 상기 지지대 홈과 함께 하방으로 움직이는 지지대를 더 포함한다.

    상기 홀더는, 상기 원통 버튼이 안착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걸쇠턱이 관통하는 가이드 홀; 및 상기 가이드 홀을 관통한 걸쇠턱을 위에서 아래로 활주시키면서 탄성변형을 일으켜 수납시킨 후, 상기 걸쇠턱을 위에서 잡아주는 걸림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홀더는, 상부에는 상기 지지대가 고정되도록 일정 두께가 원주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원추형 돌기가 삽입되도록 소정의 깊이로 홈이 형성되며, 하부 끝단은 그 하방에 설치되는 택트 스위치를 누를 수 있도록 형성되는 지지대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홀더는, 상기 지지대 홈과 연결되어서, 상기 지지대가 지지대 홈에 걸려 상기 원통 버튼이 하방으로 눌릴 때 상기 지지대 홈이 하방으로 움직이도록, 상기 지지대 홈에 탄성 복원력을 형성하는 고리 형상의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분할키 및 홀더는 내부에 원형의 홀을 형성하며, 상기 각각의 원형의 홀에 삽입되고, 상기 홀더의 후면에 설치되는 수용돌기에 걸려 고정되는 원형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할키가 패널에 형성된 홀더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전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패널 일체형 네비게이션키는 원통형의 분할키(200)와, 패널(100)에 형성되어 상기 분할키(200)를 수납하여 지지하는 홀더(도 4 참조) 및 원형키(400)을 구비한다. 상기 패널(100)은 일반적으로 텔레비젼, 비디오, 오디오 및 DVD 플레이어등의 프런트 패널로써, 각종 일자형의 동작키들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분할키(200)는 상기 전자기기들에서 주로 사용되는 동작 메뉴들, 예를 들면 플레이, 되감기, 빠른 되감기, 빠른 전진키, 채널 조정, 볼륨 조정, 녹화 등을 하기 위한 동작키이다. 상기 분할키(200)는 일반적으로 분할키(200)의 원주상을 사등분으로 분할여 동작하는 사분할의 키가 바람직하다.

    도 4는 도 3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는 도 4의 분할키(200)의 배면도이고, 도 7는 도 4의 홀더(300)의 정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배면도이다.

    상기 분할키(200)는 버튼부(210)과, 복수의 걸쇠턱(230)과, 복수의 가이드 돌기(240) 및 복수의 지지대(242)를 포함한다. 그리고, 분할키(200)의 내부에는 후술할 원형키(400)가 삽입되는 원형홀(220)이 형성된다.

    상기 버튼부(210)은 내부에 원형의 홀(220)이 형성되고, 소정의 깊이를 가지는 측면(212)이 외주를 둘러싸며, 상기 홀더(300)에 수납된다. 그리고 상기 버튼부(210)의 상부 외주 및 내주의 표면부의 모서리에는 상기 원통 버튼의 부드러운 동작을 위한 윤할부(244)가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걸쇠턱(230)은 상기 버튼부(210)의 측면(212)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거리 연장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버튼부(210)의 외주를 균등하게 사분할 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걸쇠턱(230)은 상기 홀더(300)의 록킹돌기(322)에 걸려서 수납하여, 상기 버튼부(210)이 홀더(300) 안으로 소정 깊이 이상 들어가지 않도록 텐션을 형성하며 홀더(300)상에 고정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복수의 가이드 돌기(240)는 상기 버튼부(210)의 측면(212)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거리 연장되어 설치된다. 복수의 가이드 돌기(240)도 상기 복수의 걸쇠턱(230)와 마찬가지로 상기 버튼부(210)의 외주를 균등하게 사분할 되도록 설치되지만, 그 위치는 상기 인접하는 두 개의 걸쇠턱(230)의 대략 중간지점에 배치된다.

    상기 복수의 지지대(242)는 상기 복수의 가이드 돌기(240) 각각의 저면에 접하도록, 상기 버튼부(210)의 측면(212)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설치된다. 지지대(242)는 상기 홀더(300)의 누름부재(340)에 의해 걸려서, 상기 록킹돌기(322)와 함께 상기 원통 버튼(300)이 하방으로 눌릴 때, 상기 누름부재(340)이 하방으로 움직이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누름부재(340)가 하방으로 움직임으로써, 후술할 택트 스위치를 누르게 된다.

    상기 홀더(300)는 수납부(310)와, 상기 수납부(310) 저면에 설치된 복수개의 록킹돌기(322), 누름부재(340) 및 탄성부재(35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홀더(300)는 후술할 원형키(400)가 삽입되는 원형홀(360)이 형성된다.

    상기 수납부(310)는 상기 버튼부(210)가 안착되도록, 상기 버튼부(210)의 측면(212) 깊이에 대응하는 깊이를 가진다.

    상기 가이드 홀(320)은 상기 수납부(310)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버튼부(210)의 걸쇠턱(230)이 관통하도록 복수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홀(320)과 연결되며 그 하부로 소정 거리 연장되게 록킹돌기(322)가 설치된다. 상기 록킹돌기(322)은 상기 가이드 홀(320)을 통과한 걸쇠턱(230)을 위에서 아래로 활주시키면서 탄성변형을 일으켜 수납시킨 후, 상기 걸쇠턱(230)을 위에서 잡아준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걸쇠턱(230)이 상기 록킹돌기(322)에 걸려서 고정 수납되므로, 상기 버튼부(210)은 홀더(300) 안으로 소정 깊이 이상 들어가지 않게 된다.

    상기 누름부재(340)은 상기 인접하는 두 개의 가이드 홀(320)의 대략 중간지점에 배치된다. 상기 누름부재(340)의 상부(342)에는 상기 분할키(200)의 지지대(242)가 고정되도록 일정 두께가 원주상으로 형성되고, 내부로는 상기 원추형 돌기가 삽입되도록 소정의 깊이로 홈(344)이 형성된다. 그리고, 누름부재(340)의 하부의 끝단(346)은 그 하방에 설치되는 택트 스위치(도면 미도시)를 누르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350)는 상기 누름부재(340)의 상부(342)와 연결되어서, 상기 누름부재(340)가 탄성 복원력을 갖도록 한다. 즉, 탄성부재(350)는 상기 분할키(200)의 지지대(242)가 상기 누름부재(340)의 상부(342)에 걸려서 상기 버튼부(210)이 하방으로 눌릴 때, 상기 누름부재(340)가 하방으로 움직이도록 한다. 그리고, 버튼부(210)에 가압하는 힘이 제거되면, 다시 누름부재(340)이 상방으로 복원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350)는 일측이 상기 누름부재(340)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가이드 홀(320)의 외부면에 연결되는데, 그 연결은 최단 거리가 아니고, 고리 형상으로 일정거리 돌아서 연결된다. 그 이유는, 상기 탄성부재(350)의 탄성 복원력 수명을 향상시키기 위해서이다. 즉, 상기 분할키는 전자기기의 작동키들 중에서 가장 빈번히 쓰이는 작동키들로 사용하는 경우가 일반적인데, 탄성부재(350)의 길이가 짧을 경우, 상기 누름부재(340)이 하방으로 움직이도록 하기 위해서는 그만큼 하방으로 누르는 힘을 증가시켜야 하고, 또한 힘이 가해지는 부위가 집중되어서 그 부위에 피로도가 증가해 금방 부러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350)는 적당한 길이를 갖게 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갈고리 형상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분할키(200) 및 홀더(300)는 탄력적 변형이 가능하도록 사출성형으로 형성된 플라스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분할키(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의 전면 특히, 전자기기의 전면에 형성된 프런트 패널의 전면에 장착되어 일체로 형성되므로, 외관이 중시되어 도금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도금 처리된 상기 분할키(200)가 직접 택트 스위치에 접하지 않고, 상기 플라스틱 재질인 홀더(300)의 누름부재(340)를 통하여 택트 스위치를 누르게 되므로, 정전기 발생이 방지되어 기기에 손상을 주지 않고 안정적으로 동작하게 된다.

    상기 원형홀(360)은 상기 홀더(300)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수납부(310)의 깊이만큼 외접면(362)이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외접면으로부터 원주 중심의 밖으로 걸쇠턱 가이드 홈(364)이 형성된다. 상기 걸쇠턱 가이드 홈(364)는 상기 분할키(200)의 걸쇠턱(230)이 가이드 홀(320)로 용이하게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원형키(400)는 상기 홀더(300)의 뒷면에 형성된 수용돌기(370)에 고정되며, 상기 분할키 및 홀더의 내부 원형의 홀(220, 360)에 삽입된다. 상기 원형키(400)는 상기 분할키(200)와는 반대로 홀더(300)의 뒤로 결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형키(400)는 택트 스위치를 직접적으로 누르는 별도의 택트 접면(11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조의 분할키(200) 및 원형키(400)가 상기 홀더(300)에 삽입되는 과정 및 동작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분할키(200)의 걸쇠턱(230)을 적당한 위치의 홀더(300)의 가이드 홀(320)에 삽입하여 아래로 밀면, 상기 걸쇠턱(230)은 탄성변형을 일으키면서 홀더(300)의 록킹돌기(322)에 걸리면서 조립이 된다. 이때, 복수의 걸쇠턱(230) 중 한 개만 상기 걸쇠턱 가이드 홀(320)에 삽입하면, 나머지 걸쇠턱은 이에 대응되는 걸림턱에 자동으로 삽입되게 되므로, 매우 간편하게 조립이 된다. 그리고, 원형키(400)를 홀더(300)의 뒷면에 형성된 수용돌기(370)에 맞추어 조립하면 조립공정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분할키 및 하나의 원형키를 상기 홀더에 간단히 끼움 결합하기만 하면 되므로, 조립공정이 매우 간단해지고 결과적으로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분할키 및 원형키의 해체방법은 조립되는 순서의 역순으로 하면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분할키가 결합된 홀더가 직접 택트 스위치를 누르므로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여 전자기기에 손상을 주지 않으며, 또한 구조가 간단하여 결국은 기기 조립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며, 그러한 변형 및 균등물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동작키들의 정면도이고,

    도 2는 상기 복수의 동작키들을 수용하는 홀더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할키가 패널에 형성된 홀더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전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후면 분해 사시도이고,

    도 6는 도 4의 분할키의 배면도이고,

    도 7는 도 4의 홀더의 정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배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패널 200. 분할키

    210. 버튼부 230. 걸쇠턱

    240. 가이드 돌기 242. 지지대

    300. 홀더 310. 수납부

    320. 가이드 홀 322. 록킹돌기

    340. 누름부재 350. 탄성부재

    400. 원형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