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용 공조기의 조작장치

申请号 KR1019960047041 申请日 1996-10-21 公开(公告)号 KR100457452B1 公开(公告)日 2005-01-25
申请人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세이사쿠쇼; 发明人 이시구로가즈요시; 아키타도시키;
摘要 An operation device for a vehicle, capable of being used in a vehicle air conditioner system. The operation device has front panels that have a light transmissive portion, and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shaped to correspond to the arrangement of the front panels.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elements at position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s of the front panels. There are switching mean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printed circuit and arranged so that these switching means are operated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of the front panels. The rear portion of the front panel can be moved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elements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of the front panel.
权利要求
  • 차량용 공조기의 조작장치로서,
    광투과부를 갖는 전면패널을 복수개 갖고,
    상기 복수의 전면패널의 배치에 따른 형상이 되는 가요성(可撓性)의 프린트 기판에 상기 복수의 전면패널의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발광소자를 설치함과 아울러 그 발광소자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기배선을 형성하고,
    상기 프린트 기판을 상기 복수의 전면패널의 배치에 따라 그 전면패널에 닿는 부분을 잘라내고, 그 전면패널 각각의 후방에 위치하는 곳이 프린트 기판의 가요성에 의하여 그 전면패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발광소자와 함께 이동가능하도록 형성하고,
    그 프린트 기판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전면패널의 조작에 따라 조작되는 복수의 스위치 수단을 갖추고,
    그 프린트 기판의 이면에는 상기 전면패널과 요철결합되는 상자체를 설치하고,
    상기 복수의 스위치 수단은, 상기 전면패널의 조작에 의하여 후방으로 이동하는 상기 상자체에 의하여 눌려져 조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기의 조작장치.
  • 제1항에 있어서,
    발광소자는 프린트 기판의 표면상에 실장되는 팁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기의 조작장치.
  • 说明书全文

    차량용 공조기의 조작장치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기(空調機)의 조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조명식의 조작 스위치를 갖춘 조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에는 차량용 공조기의 조작장치로서 각 조작부를 광투과성(光透過性)의 전면패널(前面 panel)로 하여서, 이 전면패널의 이면(裏面)으로부터 투광(投光)하여 잘 보이게 한 것이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차량용 공조기의 조작장치는, 고휘도(高輝度)의 발광소자(發光素子)로부터의 빛을 라이트 가이드(light guide)라 불리우는 투광율(透光率)이 높은 부재로 각 전면패널의 이면 중앙까지 유도하고, 각 전면패널의 이면 가장자리에 전기적인 스위치 기능을 하는 스위치 수단을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조명이 붙은 스위치로서는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평6-283077호 공보 혹은 특개평5-325703호 공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전면패널의 이면 중앙에 각각 발광소자를, 이면 가장자리에 스위치 수단을 설치하는 구성의 것 등이 알려져 있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상기 종래의 차량용 공조기의 조작장치에서는 그 시인성(視認性; 즉 잘 보이게 함)과 조작성을 양립시키는 것이 곤란하였다. 이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각종 구성의 조명 스위치는 시인성을 높이기 위하여 라이트 가이드 혹은 발광소자를 전면패널의 이면 중앙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것은 전면패널의 대략 중앙에 그 조작 스위치의 기능표시가 되기 때문이고 이렇게 함으로써 조작 스위치의 기능표시가 되는 부분의 전면패널의 조명이 유효하게 작용한다.

    조작 스위치의 시인성을 중시하여 조명부를 전면패널의 중심부에 설치하는 이러한 구성에서는 전면패널을 조작하는 때에 스위칭 작용을 하는 스위치 수단은 전면패널의 중심에 설치할 수 없다. 스위치 수단은 이면 주연부(周綠部;가장자리)에 설치되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전면패널의 조작시에 전면패널에 경사방향의 힘이 가하여져 조작감(操作感;operation feeling)이 저하한다.

    상기의 시인성과 조작성의 관계는, 이들의 배치를 바꾸는 때에는 시인성의 저하라고 하는 문제를 초래한다. 즉 전면패널의 중앙에 스위치 수단을 설치한다면 조작성은 개선이 되지만 전면패널의 조명효율이 저하하여 조명식의 조작 스위치의 우수성이 손상된다.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기의 조작장치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조명에 의한 시인성의 높임과 스위치 조작의 확실성 및 조작성이 모두 뛰어난 차량용 공조기의 조작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취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및 작용/효과)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기의 조작장치는, 차량용 공조기의 조작장치로서,

    광투과부를 갖는 전면패널을 복수개 갖고,

    상기 복수의 전면패널의 배치에 따른 형상이 되는 가요성(可橈性)의 프린트 기판에 상기 복수의 전면패널의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발광소자를 설치함과 아울러 그 발광소자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기배선을 형성하고,

    상기 프린트 기판을 상기 복수의 전면패널의 배치에 따라 그 전면패널 각각의 후방에 위치하는 곳이 그 전면패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발광소자와 함께 이동가능하도록 형성하고,

    그 프린트 기판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전면패널의 조작에 따라 조작되는 복수의 스위치 수단을 갖춘 것을 요지로 하고 있다.

    본 차량용 공조기의 조작장치에 의하면, 발광소자는 가요성의 프린트 기판에 설치되고 이 프린트 기판이 전면패널의 배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스위치 수단의 조작과 발광위치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발광 타이프의 스위치의 시인성과 조작성(조작감)을 모두 양호한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발광소자를, 프린트 기판의 표면상에 실장되는 팁LED(tip Light Emitting Diode)로 하고, 이 프린트 기판의 이면에 전면패널과 조합(組合)되는 보호부재(保護部材)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효과가 발휘되어 발광소자에 대한 리드선 등의 납땜이 불필요하게 되고 생산성이 우수하여 불량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 발광수단을 얇게 할 수 있으므로 발광수단과 스위치 수단을 층상(層狀)으로 배치하여도 장치 전체를 박형화(薄型化)하고 한정된 차량 공간에도 용이하게 탑재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기의 조작장치가 된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1은 실시예로서의 차량용 공조기의 조작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그 완성품의 정면도, 도3(A), (B), (C)는 상기 AA, BB, CC 단면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차량용 공조기의 조작장치(10)는, LCD패널(12A), 회전볼륨(12B), 다수의 실장 스위치(12C), 커넥터(12D), 발광소자(12E)(이하 LED라 한다) 등의 다수의 전자부품이 실장되는 프린트기판(12), 각 실장 스위치(12C)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바닥이 있는 상자형의 상자체(20), 각 실장 스위치(12C)에 대응하는 위치에 팁LED(30A)를 실장함과 아울러 프린트 기판(12)의 커넥터(12D)에 접속되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30), 이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30)을 상자체(20)과 함께 협지(挾持)하는 스위치 단추(40), 본체(50) 및 그 전면에 장착되는 LCD패널(12A)의 커버 패널(60)과 회전볼륨(12B)에 부착되는 로터리단추(70)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팁LED(30A)로서 롬사의 SML-210MT를 사용하였다. 이 팁LED는 표면실장형의 소형 LED로서 녹색의 발광색을 갖는다.

    스위치 단추(40)는, 본체(50) 이면의 소정의 장소에 부착되는 지지바(40A),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접속편(40B)을 통하여 지지바(40A)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조작패널(40C)로 구성되어 있다. 지지바(40A)는 본체(50)에 고정되어 있고 접속편(40B)는 가요성을 갖고 있으므로 조작패널(40C)을 누르면 접속편(40B)이 휘고 조작패널(40C)은 각각 움직인다. 또 이 조작패널(40C)의 대략 중앙부에는 스위치 기능표시가 되어 있다. 이 스위치 기능표시의 부분은 투광성을 갖는다. 또한 조작패널(40C)의 가장자리에는 대응하는 상자체(2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결합요철(20A)에 물리는 결합요철(40Ca)이 형성되어 있어 이들 결합요철(20A, 40Ca)을 결합시킴으로써 스위치 단추(40)의 내부에는 작은 중공공간(中空空間)(S)가 형성된다(도3 참조).

    상자체(20)의 이면 중앙부에는 그 후방에 위치하는 실장 스위치(12C)에 닿을 정도의 돌기(20B)가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도3 참조). 또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30)은, 상자체(20)와 스위치 단추(40)의 결합요철(20A, 40Ca)이 결합하는 대응위치가 미리 잘려져 있으므로 이 잘려진 부분을 우회하여 팁LED(30A)용의 전기배선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30)의 팁LED(30A)를 실장하는 각 부분은 각각 독립하여 움직인다.

    본체(50)는, 프린트 기판(12)의 LCD패널(12A), 회전볼륨(12B), LED(12E)의 부착위치, 상기 스위치 단추(40)의 지지바(40A)를 조정의 위치에 부착하는 때의 조작패널(40C)의 위치에 각각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부재를 조합하면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자체(20)과 조작패널(40C)로 형성되는 중공공간(S)에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30)이 수용되고 그 중공공간(S)마다에 팁LED(30A)가 배치된다. 또한 팁LED(30A)와 동축상(同軸上)에 위치하는 상자체(20)의 돌기(20B)는, 실장 스위치(12C)와 닿는다. 그리고 일체화된 스위치는 본체(50)로부터 약간 돌출하고 프린트 기판(12)에 실장되는 LCD패널(12A)이나 LED(12E)가 본체(50)의 개구부에서 보이는 형태가 된다. 이것은 일반적인 차량용 공조기의 조작장치의 조작면의 양상과 거의 같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차량용 공조기의 조작장치(10)는, 조작패널(40C)을 각각 개별의 팁LED(30A)로 조명하기 때문에 그 조명 색, 휘도 등을 독립하여 변경할 수 있다. 또 팁LED(30A)의 배치위치는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패널(40C)의 대략 중앙이므로 조작패널(40C)에서 이루어지는 표시기능의 라이트업(light-up) 기능을 충분히 발휘한다. 또한 이 조작패널(40C)을 조작한 경우에 지지바(40A)를 중심으로 하여 조작하는 조작패널(40C)과 대응하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30)의 일부 그리고 대응하는 상자체(20)가 움직이고 그 상자체(20)의 이면 중앙에 있는 돌기(20B)에 의하여 실장스위치(12C)가 늘려진다. 즉 각 조작패널(40C)의 후방 중앙에 실장 스위치(12C)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패널(40C)의 조작시에 패널 기울어짐 등이 발생하지 않고 위화감이 없는 스므스한 움직임 조작이 가능하다.

    또 조작패널(40C)의 조명으로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30)과 그 표면상에 실장되는 팁LED(30A)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다수의 조작패널(40C)의 이면에 배치하지 않으면 아니되는 발광소자를 한 장의 얇은 부품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차량용 공조기의 조작장치(10)는 그 생산성, 불량율에 있어서 우수하고 또한 얇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팁LED(30A)를 실장하는 부분의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30)은, 대응하는 조작패널(40C)과 상자체(20)에 의하여 형성되는 중공공간(S)의 내부에 있어서 외력(外)으로부터 확실히 보호되는 상태이므로 내구성이나 신뢰성이 우수하다.

    다음에 상기 실시예의 차량용 공조기의 조작장치(10)의 변형예인 제2실시예의 차량용 공조기의 조작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4는 차량용 공조기의 조작장치(100)의 분해 사시도, 도5는 그 차량용 공조기의 조작장치(100)를 조립한 후의 AA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프린트 기판(112),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130), 본체(150), 커버 패널(160), 로터리 단추(170)의 구성부품은 전술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그 상자체(120)와 스위치 단추(140)의 구성이 제1 실시예의 그것과 일부분에 있어서 다르다. 즉 제1실시예에서는 스위치 단추(40)측에 지지바(40A) 및 접속편(40B)을 형성하고 조작패널(40C)과 상자체(20)을 그 결합요철(40Ca, 20A)로 결합한 때에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었다. 본 실시예에서는 그 지지바와 접속편의 위치관계를 역으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상자체(120)는 그 가장자리에 결합요철(120A), 이면 중앙부에 돌기(120B)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제1실시예와 공통이나, 각 상자체(120)는, 얇게 형성되고 가요성을 나타내는 접속편(120E)를 통하여 지지바(120D)에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연결되어 설치되고, 이 지지바(120D)에 의하여 본체(150) 이면의 소정의 장소에 부착된다. 또 스위치 단추(140)는 마치 제1실시예의 광투과성이 있는 조작패널(40C)만으로 구성되는 형상이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2실시예의 차량용 공조기의 조작장치(100)도 제1실시예와 같은 우수한 효과를 모두 발휘한다. 또한 제2실시예의 차량용 공조기의 조작장치(100)은 스위치 단추(140)가 각각 분리할 수 있는 단품(單品)으로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스위치 단추(140)를 구성하는 부재의 재질, 착색(着色), 표면처리 등을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치 의장(意匠)의 자유도를 향상시키고 스위치 촉감이나 조작감을 개별로 설계할 수 있는 독자적인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한 몇 개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의 태양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도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인 차량용 공조기의 조작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2는 상기 차량용 공조기의 조작장치의 정면도,

    도3은 상기 장치의 AA, BB, CC 단면도,

    도4는 제2실시예인 차량용 공조기의 조작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5는 상기 장치의 AA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조작장치(操作裝置) 12 : 프린트 기판(print 基板)

    12A : LCD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2B : 회전볼륨(回轉 volume) 12C : 실장스위치(實裝 switch)

    12D : 커넥터(connector) 12E : LED(Light Emitting Diode)

    20 : 상자체(箱子體) 20A : 결합요철(結合凹凸)

    20B : 돌기(突起)

    30 :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flexible print 基板)

    40 : 스위치 단추(switch nob) 40A : 지지바(支持 bar)

    40B : 접속편(接續片) 40C : 조작패널(操作 panel)

    40Ca : 결합요철(結合凹凸) 50 : 본체(本體)

    60 : 커버 패널(cover panel) 70 : 로터리 단추(rotary nob)

    100 : 조작장치(操作裝置) 112 : 프린트 기판

    120 : 상자체 120A : 결합돌출

    120B : 돌기 120D : 지지바

    120E : 접속편 130 :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140 : 스위치 단추 150 : 본체

    160 : 커버 패널 170 : 로타리 단추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