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보드

申请号 KR1019960027335 申请日 1996-07-06 公开(公告)号 KR100252746B1 公开(公告)日 2000-04-15
申请人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发明人 하스누마세이고;
摘要 본 발명은 키보드에 관하여, 특히 키톱을 얹어서 유지하는 힌지부를 하우징에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이 힌지부에 키톱을 끼워 맞추어 고정한 키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인접키톱간의 간격이 작고, 또한 키톱이 덜컹거리지 않는 키보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것이며, 그 구성에 있어서, 키톱을 압압조작해서 박막스위치를 구동하는 키보드에 있어서, 각각의 키톱(2)의 소망의 배열에 대응해서 하우징(20)에 배열형성된 수용구멍(21)내에 힌지부(22)를 하우징(20)과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그들 수용구멍(21)에 대응하는 개구(11h)가 형성된 톱패널(11)이 하우징(20)의 상부면에 접합되어, 그들 개구(11h)를 덮고, 또한 힌지부(22)의 전체길이를 덮도록 각각의 키톱(2)이 배치되고, 각각의 개구(11h)를 통해서 힌지부(22)의 자유단부에 결합고정되어 있고, 키톱(2)의 압� �, 해방에 의해 힌지부(22)의 자유단부의 하단부가 대응하는 박막스위치의 폐쇄, 개방을 조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权利要求
  • 배열된 키톱을 압압조작해서 박막스위치를 제어하는 키보드는, 각각 미리 결정한 위치에 배열된 키톱과, 상기 키톱에 의해 구동되는 스위치부가 배열된 박막스위치수단과, 상기 키톱의 배열에 각각 대응해서 결정된 영역내에 형성된 수용구멍의 일내벽면으로부터 상기 수용구멍내에서 대향내벽면을 향해서 뻗는 힌지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수용구멍에 각각 대응한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부면에 장착된 톱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박막스위치수단을 커버하고 있고, 각 상기 키톱은 대응하는 상기 힌지부의 전체길이를 각각 덮도록 배치되고, 상기 톱패널의 개구를 통해서 상기 힌지부에 고정해서 장착되고, 각 상기 힌지부의 자유단부의 하단부는 상기 박막스위치수단이 대응하는 스위치부를 압압과, 해방에 � �해 폐쇄, 개방조작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톱의 외형치수는 상기 키톱이 상기 톱패널의 개구전체를 덮는 형상치수로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 각 상기 힌지의 자유단부의 정상부와 상기 키톱의 하부면에 서로 끼워맞춤고정하는 끼워맞춤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 제1항에 있어서,
    각 상기 힌지부와 상기 하우징부와의 결합부근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면으로부터 반대 L자형상으로 돌출한 걸어맞춤편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어맞춤편은 상기 키톱의 하부면으로 부터 뻗은 걸어맞춤클릭과 상기 결합부근처에서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걸어맞춤하고, 그에 의해서 상기 키톱이 상기 톱패널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 제1항에 있어서,
    각 상기 힌지부는 상기 하우징의 수용구멍의 상기 일내벽면으로부터 같은 높이로 간격을 두고서 대향내벽면 방향으로, 또한 비스듬히 위쪽으로 뻗는 2개의 걸어맞춤아암과, 그 걸어맞춤아암의 자유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키톱은 상기 연결부의 상단부와 끼워맞춤하고, 상기 연결부의 하부면에서 상기 스위치부를 구동조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 제5항에 있어서,
    각 상기 키톱의 하부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한 1쌍의 끼워맞춤클릭이 배설되고, 상기 연결부에 형성된 안내홈을 삽통해서 상기 홈의 하단부단부와 걸어맞춤하므로써, 이탈방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그 길이방향으로 양단부로부터 돌출한 돌출핀결합부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돌출된 결합부를 배치하기 위해 상기 돌출된 결합부의 대응하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수용구멍의 상기 내벽면이 잘려져서 상기 톱패널의 뒤쪽에 오목한 부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된 결합부는 상기 오목한 부분내에 있어서 상기 톱패널의 뒤쪽으로 압압되고, 그에 의해서 상기 연결부는 위쪽으로 가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 제1항, 제5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의 상기 수용구멍의 내벽과의 결합위치는 상기 스위치부의 개폐를 위한 상기 힌지부의 자유단부의 상하이동의 중심과 거의 동일한 높이로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 제1항, 제3항, 제4항, 제5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스위치수단은 각각의 상기 힌지부의 아래에 위치한 엠보스부가 형성된 고무시트와, 상기 엠보스부아래에 각각 배치되고, 상하로 대향하여, 상기 엠보스부의 눌러내림에 의해 서로 접촉하는 스위치부를 형성한 박막스위치시트와, 상기 박막스위치시트, 상기 고무시트 및 상기 하우징을 유지하는 기판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 제1항,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의 근원에 인접해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면에 상기 힌지부의 길이방향과 직각방향으로 뻗고, 정상부가 상기 키톱의 하부면과 회동자재하게 접촉한 키톱지지점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 제1항,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의 근원의 근처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의 상부면에 상기 힌지부의 길이방향과 직각방향으로 뻗고, 정상부가 상기 키톱의 하부면과 회동자재하게 접촉한 키톱지지점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 제4항에 있어서,
    각 상기 힌지부는 상기 하우징의 수용구멍의 상기 일내벽면으로부터 같은 높이로 간격을 두고서 대향내벽면 방향으로, 또한 비스듬히 위쪽으로 뻗는 2개의 결합아암과, 그 결합아암의 자유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키톱은 상기 연결부의 상단부와 끼워맞춤하고, 상기 연결부의 하부면에서 상기 스위치부를 구동조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의 상기 수용구멍의 내벽과의 결합위치는 상기 스위치부의 개폐를 위한 상기 힌지부의 자유단부의 상하이동의 중심과 거의 동일한 높이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스위치수단은 각각의 상기 힌지부의 아래에 위치한 엠보스부가 형성된 고무시트와, 상기 엠보스부아래에 각각 배치되고, 상하로 대향하여, 상기 엠보스부의 눌러내림에 의해 서로 접촉하는 스위치부를 형성한 박막스위치시트와, 상기 박막스위치시트, 상기 고무시트 및 상기 하우징을 유지하는 기판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의 근원에 인접해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면에 상기 힌지부의 길이방향과 직각방향으로 뻗고, 정상부가 상기 키톱의 하부면과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접촉한 키톱지지점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의 근원의 근처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의 상부면에 상기 힌지부의 길이방향과 직각방향으로 뻗고, 정상부가 상기 키톱의 하부면과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접촉한 키톱지지점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 说明书全文

    키보드

    제1a도는 종래의 키보드의 일예를 표시한 평면도.

    제1b도는 제1a도에 있어서의 선1B-1B의 단면을 표시한 도면.

    제2a도는 종래의 다른 키보드의 예를 표시한 평면도.

    제2b도는 제2a도에 있어서의 선2B-2B의 단면을 표시한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키보드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1개의 키톱과 그에 대응하는 각부 및 그 근처를 표시한 분해사시도.

    제4도는 제3도에 표시한 키보드의 일부의 단면을 표시한 도면.

    제5도는 제4도에 있어서의 선5-5의 단면을 표시한 도면.

    제6도는 제4도에 있어서의 선6-6의 단면을 표시한 도면.

    제7도는 제3도 및 제4도의 구성에 있어서 키톱지지점부를 힌지부위에 형성한 경우의 힌지부와 그 주위를 표시한 평면도.

    제8도는 제7도에 있어서의 선8-8를 따른 힌지부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키톱(Keytop) (2) : 고무시트

    (8) : 기판 (11) : 톱패널

    (20) : 하우징 (21) : 수용구멍

    (22) : 힌지부 (23) : 지지벽

    (24) : 연결부 (25) : 걸어맞춤편

    (26) : 지지기둥 (40) : 박막스위치시트

    (41) : 가동접점부 (42) : 고정접점부

    본 발명은, 키보드(Key board)에 관한 것으로 특히 키보드를 얹어서 유지하는 힌지부를 하우징에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이 힌지부에 키톱을 끼워맞춰서 고정한 키보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예를 제1a도, 제1b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1a도는 키보드의 키톱(2)을 위로부터 본바를 표시한 도면이며, 제1b도는 제1a도에 있어서의 IB-IB를 따른 단면을 화살표방향으로 본 도면이다.

    (20)은 키보드의 하우징을 표시하고, 하우징(20)에는 직 4각형의 개공(21)이 규칙적으로 간격을 가지고 형성되어, 직 4각형의 키톱(2)이 끼워맞추어진다.

    키톱(2)의 하단부주위에는 플랜지부(2a)가 형성되어 있다. (3)은 탄력성이 있는 고무시트이다. (3a)는 이 고무시트(3)에 위로 볼록하게 엠보스가공된 엠보스부이며, 그 하부면에는 돌기(3b)가 형성되어 있다. (4A)는 위쪽도체패턴시트이며, 키톱(2)의 각각에 대응해서 가동접점부(41)가 형성되어 있다. (4B)는 아래쪽도체패턴시트이며, 위쪽도체패턴시트(4A)와의 사이에 합성수지시트로 이루어진 세퍼레이터(4c)를 끼우고, 기판(8)의 상부면에 접합되어 있다. 아래쪽도체패턴시트(4B)의 가동접점부(41)에 대향하는 곳에는 고정접점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양접점부(41), (42)에 의해 스위치부(4S)가 구성되어 있다. 세퍼레이터(4C)의 고무시트(3)의 엠보스부(3a)에 대응하는 부분을 펀칭해서 가동접점부(41)와 고정접점부(42)가 접촉, 해리(解離)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셀(4h)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위쪽과 아래쪽도체패턴시트(4A), (4B) 및 세퍼레이터(4C)에 의해 박막스위치시트(40)가 형성되어 있다. 고무시트(3)은, 박막스위치(40) 및 기판(8)은 하우징(20)에 의해 커버되어 있다.

    제1a도, 제1b도에 표시된 키보드에 있어서, 키톱(2)은 탄성을 가진 엠보스부(3a)에 의해 위쪽으로 압압되어 있으며, 플랜지부(2a)가 하우징(20)의 내벽면의 개공(21)근처에 가볍게 압압된 상태로 있다. 여기서, 키톱(2)가 눌러내리면, 고무시트(3)의 엠보스부(3a)가 아래쪽으로 탄성변형하고, 그 돌기(3b)를 개재해서 위쪽도체패턴시트(4A)의 셀(4h)과 대향하는 부분이 아래쪽으로 탄성변형해서, 가동접점부(41)가 아래쪽도체패턴시트(4B)의 고정접점부(42)에 접촉하고, 이 부분의 스위치부(45)는 폐쇄된다. 키톱(2)의 압압을 개방하면, 엠보스부(3a)는 복귀하고 스위치부(45)는 개방된다.

    제1a도, 제1b도에 표시된 종래예에 있어서는, 키톱(2)은 각각 분리한 부품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키톱(2)의 외주가장자리와 개구(開口)(21)의 내주가장자리와의 사이에 있어서, 키톱(2)의 둘레가장자리부에 형성된 플랜지부(2a)가 탄성을 가진 엠보스부(3a)에 의해 하우징(20)의 개공(21)의 대향 2변과 인접한 하부면에 압압되어 있으나, 그 압력은 약하고, 키톱(2)은 수평방향으로 덜컹거리고 있다. 더욱, 키톱(2)상호간의 간격은 플랜지부(2a)의 폭 2개분에 상당하는 적어도 3~4mm정도는 필요하게 되고, 이것은 박막스위치를 채용하는 소형의 키보드로서는 상당히 크다. 키톱(2)의 플랜지부(2a)의 폭을 이것보다 작게하는 것은, 개구(21)의 아래쪽 가장자리와의 확실한 걸어맞춤을 높은 신뢰성에 의해 실현하는데 있어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제2a도, 제2b도를 참조해서 다른 종래예를 설명한다. 제2a도는 키보드의 키톱을 위로부터 본 바를 표시한 도면이며, 제2b도는 제2a도에 있어서의 2B-2B선을 따른 단면을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면이다. 제1a도, 제1b도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이고 있다.

    제2a도, 제2b도에 있어서, 톱패널(11)에는 직4각형의 개공(11h)이 규칙적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직 4각형의 키톱(2)이 아래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키톱(2)의 하단부의 1변에는 플랜지부(2a)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우징(20)의 상부면에 접착된 톱패널(11)의 개구(11h)의 하부에지와 맞닿으므로써, 키톱(2)의 자유단부가 개구(11h)의 밖으로 나와버리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각 키톱(2)는 그플랜지부(2a)가 형성되는 하단부변과 대향하는 하단부변의 양단부근처로부터 연장한 결합아암(22 1 ), (22 2 )에 의해 하우징(20)에 결합되고,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다. 결합아암(22 1 ), (22 2 )은 탄성적으로 만곡하는 힌지부(22)를 구성하고 있다. 하우징(20)의 힌지부(22)와의 결합부로부터 아래쪽으로 뻗는 지지벽(23)은 고무시트(3)위에 얹어져 있다. 고무시트(3)에는 위로 볼록하게 엠보스가공된 엠보스부(3a)가 각 키톱(2)의 아래에 위치해서 형성되고, 그 하부면에는 돌기(3b)가 형성되어 있다.

    위쪽도체패턴시트(4A)의 하부면에는, 키톱(2)의 각각에 대응해서 가동접점부(41)가 형성되어 있다. 아래쪽도체패턴시트(4B)는 기판(8)의 상부면에 접합되어 있으며, 그 시트(4B)의 위쪽도체패턴시트(4A)의 가동접점부(41)와 대향하는 부분에는 고정접점부(42)가 형성되고, 양자에 의해 스위치부(4S)를 구성하고 있다. 합성수지시트로 이루어진 세퍼레이터(4C)는, 고무시트(3)의 엠보스부(3a)에 대응하는 곳을 펀칭해서 가동접점부(41)와 고정접점부(4a)가 대향하는 셀(4h)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위쪽도체패턴시트(4A)와, 아래쪽도체패턴시트(4B)와 세퍼레이터(4C)에 의해 박막스위치시트(40)가 구성되어 있다.

    제2a도, 제2b도에 표시된 키보드에 있어서, 키톱(2)과, 힌지부(22)와, 하우징(20)은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으며, 이 키톱(2)은 이 힌지부(22)의 탄성에 의해 위쪽으로 가압되고, 키톱(2)의 플랜지부(2a)가 톱패널(11)의 개공(11h)에 인접한 하부면에 압압된 상태로 있다. 여기서, 키톱(2)을 눌러내리면, 고무시트(3)의 엠보스부(3a)가 아래쪽으로 탄성변형하고, 그 돌기(3b)를 개재해서 위쪽도체패턴시트(4A)가 아래쪽으로 탄성변형해서 가동접점부(41)가 아래쪽도체패턴시트(4B)의 고정접점부(42)에 접촉하고 그 부분의 스위치부(4S)는 폐쇄된다. 키톱(2)의 압압을 개방하면, 엠보스부(3a)는 복귀해서 접점은 개방되고, 스위치(4S)는 열린다. 이와 같은 타입의 키보드는 예를들면 미국특허 제4,190,748호에 표시되어 있다.

    제2a도, 제2b도에 표시된 다른 종래예에 있어서는, 각 키톱(2)은 힌지부(22)를 개재해서 하우징(20)에 직접 일체적으로 성형된 구성을 채용하고 있으며, 키톱(2)의 수평방향의 덜컹거림은 없다. 그러나, 키톱(2)과 하우징(20)과의 사이의 힌지부(22)의 일부가 키톱(2)과 톱패널(11)의 개공(11h)내주가장자리와의 사이의 틈새를 통해서 바깥쪽으로부터 보인다. 그 때문에, 키톱(2)상부면의 외관은 고급감에 부족한 염가의 인상을 준다. 더욱, 힌지부(22)와 키톱(2)을 일체적으로 성형하기 때문에, 색채도 동일하게 되지 않을 수 없고, 키톱(2)의 배색의 자유도는 저하된다. 또, 키톱(2)과, 힌지부(22)와, 하우징(20)은 일체적으로 성형하기 때문에, 힌지부(22)는 지지벽(23)과 키톱(2)과의 사이의 가장 가까운 구간에 있어서 형성하지 않으면 안되고, 인접키톱간의 간격은, 힌지부(22)의 길이와 플랜지부(2a)의 폭과의 합계보다도 반드시 크게된다. 따라서, 인접키톱간의 간격을 작게하기 위해서는, 힌지부(22)의 길이를 너무 길게할 수 없다. 키톱(2)을 눌러내리면, 힌지부(22)와 하우징(20)과의 사이의 결합부근처에 최대의 응력이 가해지므로, 힌지부(22)가 너무 짧으면 키톱(2)에 비정상적으로 큰 힘이 부여됐을 경우, 그 결합부분에 탄성한계를 넘은 변형을 부여할 가능성이 있으며, 키톱(2)전체의 내구성을 손상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힌지부(22)의 허용변형한계를 어느정도 크게 할려면 힌지부(22)를 그만큼 길게하지 않으면 안되고, 길게하면 키톱(2)간의 간격이 크게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접키톱간의 간격이 작고, 또한 키톱이 덜컹거리지 않는 키보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열된 키톱을 압압조작해서 박막스위치를 제어하는 키보드는, 각각 미리 결정한 위치에 배열된 키톱과, 상기 키톱에 의해 구동되는 스위치부가 배열된 박막스위치수단과, 상기 키톱의 배열에 각각 대응해서 결정된 영역내에 형성된 수용구멍의 일내벽면으로부터 상기 수용구멍내에서 대향내 벽면을 향해서 뻗는 힌지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수용구멍에 각각 대응한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부면에 장착된 톱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박막스위치수단을 커버하고 있으며, 각 상기 키톱은 대응하는 상기 힌지부의 전체길이를 각각 덮도록 배치되고, 상기 톱패널의 개구를 통해서 상기 힌지부에 고정해서 장착되고, 각 상기 힌지부의 자유단부의 하단부는 상기 박막스위치수단이 대응하는 스위치� ��를 압압과 해방에 의해 폐쇄, 개방조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힌지부의 길이와 무관계로 인접키톱간의 간격을 작게 결정할 수 있고, 또, 힌지부에 키톱이 고정되므로 키톱의 덜컹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제3도 내지 제6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키보드의 일부분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힌지부(22)와 하우징(20)은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으나, 키톱(2)은 개별부품으로서 형성되고, 톱패널(11)의 위로부터 힌지부(22)의 전체길이를 덮도록 배치되고, 톱패널(11)에 형성된, 키톱(2)의 외주보다 작은 개구(11h)를 통해서 결합클릭(2F)에 의해 힌지부(22)의 자유단부연결부(22B)에 걸어맞추어서 장착된다. 이 구성으로 하므로써, 인접키톱(2)간의 간격을 작게해도 힌지부(22)의 길이를 키톱(2)의 길이 이내에서 길게할 수 있다.

    제3도에 있어서, 하우징(20)은 강탄성(剛彈性)을 표시한 합성수지를 판형상으로 성형하므로써 구성된다. 하우징(20)의 판형상부에는, 배열되는 키톱(2)의 각영역에 대응해서 형성된 대략 4각형의 개구가 힌지부(22)를 수용하는 수용구멍(21)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수용구멍(21)의 1변으로부터 그 대향변을 향해서 뻗는 2개의 판형상결합아암(22 1 ), (22 2 )이 힌지부(22)로서 하우징(20)과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다. 제3도~제6도에서는 1개의 키톱(2)과 힌지부(22)만을 표시하고 있다. 이 힌지부(22)를 구성하는 2개의 결합아암(22 1 ), (22 2 )의 일단부는 하우징(20)의 수용구멍(21)의 한쪽벽면과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자유단부는 연결부(24)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2개의 결합아암(22 1 ), (22 2 )은, 하우징(20)의 수용구멍(21)의 내벽면의 하우징(20)의 상부면보다 낮은 위치로부터 상향으로 경사져서 연장되어 있다. 연결부(22B)의 양단부에는, 그곳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고, 더욱 서로 바깥쪽으로 구부러져서 돌출한 L자형상의 결합부(22e)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결합부(22e)는 수용구멍(21)내의 양쪽벽의, 톱패널(11)의 배후에 위치한 부분을 절제해서 형성된 측벽의 오목한 부분에 침입하고 있으며, 톱패널(11)의 뒷면과 맞닿아서, 연결부(22B)가 소정의 높이이상으로 위쪽으로 돌출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따라서, 힌지부(22)의 탄성에 의해, 연결부(22B)는 탄성적으로 상향으로 바이어스되고, 키조작에 있어서 적당한 압압감을 얻을 수 있다.

    (25)는 결합편이며, 2개의 결합아암(22 1 ), (22 2 )의 중간에 있어서 하우징(20)의 판형상부로부터 톱패널(11)보다 위쪽으로 돌출하고, 더욱 그 상단부가 수용구멍(21)의 중심을 향해서 수평으로 돌출하도록 역 L자형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편(25)은 키톱(2)의 하부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뻗어서 형성된 결합클릭(2G)과 힌지부(22)의 고정부근처에서 걸어맞추어지고, 키톱(2)이 힌지부(22)로부터 위쪽으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연결부(22B)의, 결합편(25)과 대향하는 측면의 중간부에는 안내홈(22a)이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로 연통해서 형성되어 있다. 개구(11h)의 안쪽에 있어서, 그 1변과 결합아암(22 1 ), (22 2 )의 하우징(20)의 결합부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결합아암의 연장방향과 직각방향으로 뻗는 볼록한 가지가 하우징(20)의 상부면으로부터 결합편(25)의 정상면 및 톱패널(11)의 상부면보다 위로 돌출해서 키톱지지점부(24)로서 형성되어 있다. 키톱(2)은 지지점부(24)를 대략 중심으로해서 회전한다. 연결부(22B)의 하부면은 엠보스부(3a)의 정상면과 서로 접촉하고 있으며, 키톱(2)의 회전에 의해 엠보스부(3a)가 탄성적으로 변형, 복귀하고, 엠보스부의 돌기(3b)가 박막스위치시트(40)가 대응하는 스위치의 폐쇄, 개방을 구동한다.

    대략 4각형의 키톱(2)의 하부면에는, 그 외주변보다도 안쪽으로부터 1개의 결합클릭(2G)과 결합클릭(2F)이 아래방향으로 뻗어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더욱 키톱의 하부면에는 그 외주보다 안쪽에 있어서 1편과 인접해서 서로 다리가 대향하도록 U자형상의 볼록한 가지(2D)가 형성되고, 그에 의해서 U자 형상의 볼록한 가지에 의해 둘러싸인 끼워맞춤용오목한부분(2a)이 형성되어 있다. 키톱(2)의 서로 평행한 1쌍의 결합클릭(2F)은 연결부(22B)의 안내홈(22a)에 삽통되고, 그와함께 키톱(2)의 끼워맞춤용오목한부분(2a)에 연결부(22B)의 정상면에 형성된 끼워맞춤용볼록한부분(22c)이 그 측면에 형성된 작은돌기(22f)와 함께 압입되고, 그 상태로 결합클릭(2F)의 하단부의 훅이 안내홈(22a)의 양쪽벽에 형성된 단부(22d)(제6도)와 걸어맞추어져, 이탈이 방지된다.

    톱패널(11)은 금속의 박판, 또는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등의 필름수지에 의해 형성되고, 하우징(20)의 힌지부(22)와 대응해서 4각형의 개구(11h)가 뚫려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11h)는 키톱(2)의 외형보다 작고, 또한 하우징(20)의 수용구멍(21)과 거의 같으며, 치수는, 키보드가 완성된 시점에서, 키톱(2)이 개구(11h) 전체를 덮고, 경사진 쪽으로부터 보아도 개구(11h)근처가 거의 보이지 않도록 되어 있다. 하우징(20)은 지지기둥(26)을 가지고, 그 중심에는 기판(8)에의 장착을 위한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박막스위치시트(40)는, 위쪽도체패턴시트(4A)와, 아래쪽도체패턴시트(4B) 및 그들 시트간에 끼워진 세퍼레이터(4C)에 의해 구성된다. 위쪽도체패턴시트(4A)는 키톱(2)의 각각에 대응해서 가동접점부(41)가 형성되어 있다. 아래쪽도체패턴시트(4B)의 가동접점부(41)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고정접점부(42)가 형성되어 있다. 합성수지시트로 이루어진 세퍼레이터(6)의, 서로 대향하는 접점부(41), (42)를 둘러싼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이 펀칭되어서 셀(4h)이 형성되어 있다.

    고무시트(3)의 두께는 하우징(20)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지지기둥(26)의 높이에 거의 동등하다. 힌지부(22)의 연결부(22B)의 하부면과, 박막스위치시트(40)의 스위치부(4S)에 의해 상하로 끼워진 각 위치에 있어서, 고무시트(3)에는 위로 볼록한 엠보스부(3a)가 형성되고, 그 엠보스부(3a)의 정상부의 하부면에 아래쪽으로 돌출한 돌기(3b)가 형성되어 있다. 더욱, 힌지부(22)의 연결부(22B)의 상하이동거리를 충분히 취할 수 있도록, 연결부(22B)의 양단부의 결합부(22e)에 대향하는 부분의 고무시트(3)에 구멍(3d)이 개방되어 있다. 기판(8)의 상부면에는 박막스위치시트(40)가 접합되고, 그 위에 고무시트(3)가 접착되고, 또 그 위로부터 하우징(20)이 덮여져 있다. 기판(8)의 끝가장자리에 형성된 잘라세운 접편(8b)은 박막스위치시트(40)를 위치결정하고, 기판(8)은 구멍(8a)을 통해서 나사(8S)에 의해 하우징(20)의 지지기둥(26)에 고정된다. 또한, 제3도에서는, 4개의 스위치부(4S)와, 그중의 1개에 대응하는 엠보스부(3a), 힌지부(22), 개구(11h), 키톱(2)에 대해서만 표시하고 있다.

    이하에 있어서, 키보드의 조립방법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한다. 먼저, 하우징(20)에 톱패널(11)을 포개맞춘다. 이 때 하우징(20)의 힌지부(22)와 톱패널(11)의 개구(11h)를 각각 위치맞춤해서 포개맞추고, 이 상태에 있어서 하우징(20)과 톱패널(11)을 접합한다. 접합은 양자의 접합면에 접착제를 미리 적용해 두는 일, 기타의 수법에 의해 적당히 실시된다.

    다음에, 키톱(2)을, 톱패널(11)의 개구(11h)를 통해서, 힌지부(22)의 연결부(22B)에 장착한다. 이 경우, 키톱(2)의 결합클릭(2G)을 하우징(20)의 결합편(25)에 대응시키는 동시에, 2개의 결합클릭(2F)을 힌지부(22)의 안내홈(22a)에 삽통시킨다. 여기서, 키톱(2)과 힌지부(22)의 사이에 상대적으로 압압력을 가하므로써, 결합클릭(2G)의 클릭은 결합편(22)의 하단부가장자리에 걸어맞춤하고 2개의 결합클릭(2F)의 클릭은 안내홈(22a)의 하단부가장자리에 걸어맞춤하고, 키톱(2)은 하우징(20) 및 힌지부(22)로부터 위쪽으로 이탈할 수 없게된다. 이 결합상태에 있어서, 힌지부(22)전체는 상향으로 경사지고 탄성적으로 상향으로 바이어스되어 있으므로, 이것에 결합한 키톱(2)도 상향으로 바이어스되어 있다. 키톱(2)의 결합클릭(2G)에 인접한 1변의 하부면은 키톱지지점부(24)에 걸어맞춰서지지된 상태로 된다.

    여기서, 기판(8)에 박막스위치시트(40)를 겹쳐쌓고, 기판(8)의 개공(8a) 및 자라세운부분(8b)에 박막스위치시트(40)의 잘린부분(4a) 및 (4b)에 꼭맞추어서위치결정하고, 더욱 박막스위치시트(40)위에 고무시트(3)를 겹쳐쌓고 위치결정한다. 이 경우, 고무시트(3)의 엠보스부(3a)가 박막스위치시트(40)의 스위치부(4S)에 각각 대응하도록 위치결정하여 접합한다. 마지막으로, 키톱(2)이 하우징(20) 및 힌지부(22)로부터 위쪽으로 이탈하는 일없이 끼워맞추어서고정된 하우징(20)을 기판(8)에 장착한다. 이 경우, 하우징(20)의 지지기둥(26)을 기판(8)의 개공(8a)에 삽입하고, 기판(8)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한 지지기둥의 하단부를 가열압박해서 비대하게 하므로써 이탈방지하고, 기판(8)에 하우징(20)을 장착하여 키보드는 완성된다.

    제5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도, 힌지부(22)의 자유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22B)가 톱패널(11)로부터 소정의 높이이상 돌출하지 않도록 형성된 톱패널(11)과 걸어맞춤하는 결합부(22e)가 형성되어 있으나, 이와같은 연결부(22B)의 결합부(22e)도 포함시킨 힌지부(22)전체를 덮도록 키톱(2)의 사이즈를 결정할 수 있다. 반대로 말하면, 부여된 사이즈의 키톱(2)에 대해서, 그 밑에 전체가 숨을 수 있도록 힌지부(22)의 치수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키톱(2)의 간격을 작고 밀접하게 배열한 키보드를 구성할 수 있다. 또, 힌지부(22)와 키톱(2)은 별체의 부품으로서 제조되나, 힌지부(22)의 연결부(22B)에 형성한 끼워맞춤용볼록한부분(22C)은 그 측면에 형성한 작은돌기(22f)와 함께 키톱(2)의 하부면에 형성한 끼워맞춤용오목한부분(2a)에 압압되므로, 키톱(2)의 덜컹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

    힌지부(22)와 키톱(2)은 분할해서 별체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키톱의 배색을 독자적으로 자유로 설계할 수 있다. 또한, 힌지부(22)는 키톱(2)에 은폐되기 때문에, 힌지부(22)의 배색을 고려할 필요가 없고, 폴리프로필렌등 고내구성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키톱(2)을 힌지부(22)에 장착하기 위한 결합클릭(2G), 결합클릭(2F) 및 U자형상볼록한가지(2D)가 하부면의 외주면보다 안쪽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톱패널(11)의 개구(11h)를 키톱(2)의 외형보다 작게할 수 있다. 따라서, 키보드가 완성된 시점에서, 키톱(2)이 개구(11h)전체를 덮어서 경사진 쪽으로부터 보아도 개구(11h)근처가 거의 보이지 않고, 키톱(2)전체의 외관에 고급감을 부여할 수 있다. 키톱(2)을 압압하면 힌지부(22)의 회전에 의해 키톱(2)은 거의 키톱지지부(24)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연결부(22B)의 하부면이 엠보스부(3a)의 정상부를 아래쪽으로 눌러내려, 스위치(4S)를 도통시킨다. 더욱 키톱(2)의 압압을 진행하면, 키톱(2)의 선단부 하부면은 하우징(20)상부면의 톱패널(11)에 충돌해서 이 이상 압압을 진행할 수 없는 상태로 도달한다. 그 결과, 키톱(2)의 아래쪽에 위치한 힌지부(22)에는 이 이상의 응력은 가해지지 않는 상태를 실현할 수 있다.

    제4도에 있어서, 키톱(2)의 압압, 해방에 따르는 연결부(22B)와 엠보스부(3a)와의 접촉면의 상하방향의 최대변위의 중심의 높이가 힌지부(22)의 회전중심의 높이와 동등하게 되도록 구성하므로써, 키톱(2)의 눌러내림과 해방에 수반해서 엠보스부(3a)의 정상부에 부여하는 수평방향의 최대변위를 작게할 수 있다.

    제3도 및 제 4도에 표시한 구성에서는, 키톱지지점부(24)는 힌지부(22)의 근원에 인접해서 하우징(20)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있으나, 힌지부(22)위에 형성해서 키톱(2)의 회전과 함께 지지점부(24)도 변위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그 경우의 수용구멍(21)내의 힌지부(22)의 평면도를 제7도에 표시하고, 선8-8을 따른 힌지부(22)의 단면을 제8도에 표시한다.

    제7도 및 제8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키톱지지점부(24)는 힌지부(22)의 고정부근처에 있어서 힌지부(22)의 상부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키톱(2)의 압압에 의해, 힌지부(22)의 자유단부가 가장 크게 변위하나, 키톱지지점부(24)에도 키톱(2)으로부터의 압압력이 가해지기 때문에, 힌지부(22)의 근원에 가까운 부분도 아래쪽으로 약간 변위하고, 그 결과, 지지점부(24)자체도 아래쪽으로 변위한다. 따라서, 제7도 및 제8도의 변형실시예에 의하면, 키톱(2)은 압압, 해방조작에 의해 키톱(2)위의 고정된 일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은 아니고, 키톱(2)전체가 상하로 다소간 평행으로 변위하는 감촉을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키톱(2)은 힌지부(22)의 전체 길이를 덮도록 배치되고, 힌지부의 자유단부의 연결부에 끼워맞추어서 고정되어 있으므로 힌지부의 길이에 영향받는 일없이 인접키톱간의 간격을 작게할 수 있다. 또, 키톱(2)과 연결부(22B)는 각각에 형성된 서로 끼워맞춤하는 오목한부분과 볼록한부분을 압입끼워맞춤시켜서 고정하고 있으므로 키톱(2)의 덜컹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

    힌지부(22)와 키톱(2)은 개별부품으로서 구성되어 있으므로, 키톱의 색채 및 재질을 독자적으로 자유로 설계할 수 있다.

    키톱(2)이 개구(11h)전체를 덮어서 경사진쪽으로부터 보아도 개구(11h)가 거의 보이지 않으므로, 키톱(2)전체의 외관에 고급감을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키톱의 압압을 진행시켜도, 키톱하부면은 하우징상부면의 표면패널에 맞부딪혀서 이 이상 압압을 진행할 수 없으므로, 키톱의 아래쪽에 위치한 힌지부에는 이 이상의 응력은 가해지는 일없이, 이들을 손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을 채용하므로써, 높이가 5mm정도의 박형의 키톱을 10.9mm 정도의 좁은 피치로 배열하고, 키톱간격도 1mm이하로, 종래의 박형의 키보드와 비교해서 극히 작은 키보드를 구성할 수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