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치장치

申请号 KR1020057003923 申请日 2003-09-04 公开(公告)号 KR1020050057254A 公开(公告)日 2005-06-16
申请人 아이뎃쿠 가부시키가이샤; 发明人 이시이타카시; 후지모토마사시; 후지타니시게토시; 사카이타카유키; 마츠모토아츠시; 후쿠이타카오;
摘要 When an operator applies a removing force which turns in the direction (C2) to a switch portion (b), a projection (a4) abuts against the slope (b71) of a guide (b7), so that the removing force is applied as a reaction from the projection (a4) to the slope (b71). This removing force is divided into two components, one extending along the slope (b71) and the other (F) having the same direction as the center axis (X); thus, it follows that the removing force is converted into the force (F) having the same direction as the center axis (X). This force (F) having the same direction as the center axis (X) moves a pushbutton support (b6) downward, and at the same time, a movable contact (b9) is pulled apart from a fixed contact (b12) through a contact axis (b5).
权利要求
  • 외부로부터 조작되는 조작부와, 서로 접리가능한 제 1 접점 및 제 2 접점을 갖는 스위치부가 서로 착탈이 자유롭도록 구성된 스위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와 상기 스위치부를 서로 분리하기 위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떼어놓는 힘이 상기 제 1 접점과 상기 제 2 접점을 떼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제 1 접점과 상기 제 2 접점사이의 개폐를 행하기 위한 조작력을 외부로부터 받으면 이동하여 이 조작력을 상기 스위치부에 전달하여 상기 개폐를 행하도록 하는 푸쉬 버튼부를 구비하고,
    상기 떼어내는 힘은 상기 푸쉬 버튼부의 이동방향을 중심으로 상기 조작부 및 상기 스위치부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회동시킴으로써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점 및 상기 제 2 접점 중 어느 한쪽이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스위치부에 설치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제 1 접점과 상기 제 2 접점사이의 개폐를 행하기 위한 조작력을 외부로부터 받으면 이동하여 이 조작력을 상기 제 1 접점 및 상기 제 2 접점중 이동가능한 한쪽으로 전달하여 상기 개폐를 행하도록 하는 푸쉬 버튼부를 구비하고,
    상기 떼어내는 힘은 상기 푸쉬 버튼부의 이동 방향을 중심으로 상기 조작부 및 상기 스위치부중 어느 한쪽을 회동시킴으로써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떼어내는 힘을 상기 조작력과 같은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으로 변환하여 상기 스위치부에 전달하는 변환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떼어내는 힘을 상기 조작력과 같은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 1 접점 및 상기 제 2 접점 중 이동가능한 한쪽으로 전달하는 변환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수단은 상기 푸쉬 버튼부와 서로 나선모양으로 결합함으로써 회동에 의한 상기 떼어내는 힘을 상기 조작력과 같은 방향으로 변환하여 상기 스위치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수단은, 상기 푸쉬 버튼부와 서로 나선모양으로 결합함으로써 회동에 의한 상기 떼어내는 힘을 상기 조작력과 같은 방향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 1 접점 및 상기 제 2 접점 중 이동가능한 한쪽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버튼부는, 상기 조작력과 같은 방향을 중심축으로 하는 대략 원기둥형상을 이루고, 상기 변환수단은, 상기푸쉬 버튼부와 동일 형상으로 다소 크게 천설되며, 상기 푸쉬 버튼부가 삽입되는 푸쉬 버튼부 받이와, 상기 푸쉬 버튼부의 둘레면과 상기 푸쉬 버튼부 받이의 둘레면과의 한쪽에 형성된 돌기와, 다른 쪽에 상기 중심축에 대해 경사지게 천성된 나선모양의 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돌기가 상기 가이드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떼어내는 힘을 상기 조작력과 같은 방향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버튼부는, 상기 조작력과 같은 방향을 중심축으로 하는 대략 원기둥형상을 이루고,
    상기 변환수단은, 상기 푸쉬 버튼부와 동일 형상으로 다소 크게 천설되며, 상기 푸쉬 버튼부가 삽입되는 푸쉬 버튼부 받이와, 상기 제 1 접점 및 상기 제 2 접점 중 이동가능한 한쪽과 상기 푸쉬 버튼부 받이를 연결하는 축과, 상기 푸쉬 버튼부의 둘레면과 상기 푸쉬 버튼부 받이의 둘레면의 한쪽에 형성된 돌기와, 다른쪽에 상기 중심축에 대해 경사지게 천설된 나선모양의 가이드를 구비하며,
    상기 돌기가 상기 가이드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떼어내는 힘을 상기 조작력과 같은 방향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 说明书全文

    스위치장치{SWITCH DEVICE}

    본 발명은 조작부와 스위치부가 서로 착탈이 자유로운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작부를 스위치부(그 외 접점부나 콘텍트부라고도 한다)에 자유로이 착탈가능한 스위치장치가 종래부터 있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01-241723호공보의 도8참조). 또한 이와같은 스위치장치에 있어서, 조작부를 스위치부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는 스위치 부내의 한쌍 이상의 접점이 서로 벗어난 상태(개방)로 이루어지는 푸쉬 버튼 스위치가 있다. 이 종류의 스위치는 예를들면 비상정지용 푸쉬 버튼 스위치등에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과전류등에 의해 한쌍 이상의 접점이 서로 용착했을 경우에는, 조작부를 스위치부에서 분리해도, 접점이 서로 접촉한 상태가 유지된다는 문제점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상정지용 푸쉬 버튼 스위치에 적용되고 있을 경우, 조작부가 스위치부에서 분리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쌍의 접점이 서로 접촉하고 있으면, 조작대상의 공작기계등이 동작가능한 상태가 되므로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행해진 것으로 한쌍의 접점이 서로 용착되고 있어도, 조작부와 스위치부를 서로 분리할 때에 확실하게 떼어낼 수 있는 스위치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스위치장치의 내부구성을 도시하는 부분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스위치장치의 내부구성을 도시하는 부분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스위치장치의 내부구성을 도시하는 부분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스위치장치의 내부구성을 도시하는 부분단면도이다.

    도5는 조작부의 윗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6은 도5의 YY선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스위치장치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외부로부터 조작되는 조작부와, 서로 접리가능한 제 1 접점 및 제 2 접점을 갖는 스위치부가 서로 자유로이 착탈가능하도록 구성된 스위치장치에 있어서, 상기조작부와 상기 스위치부를 서로 분리하기 위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떼어내는 힘이 상기 제 1 접점과 상기 제 2 접점을 떼어내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발명에 의하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떼어내는 힘이 제 1 접점과 제 2 접점을 떼어내기 위해 조작부와 스위치부가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는 제 1 접점과 제 2 접점을 확실하게 떼어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제 1 접점과 상기 제 2 접점사이의 개폐를 행하기 위한 조작력을 외부로부터 받으면 이동하여 이 조작력을 상기 스위치부에 전달하여 상기 개폐를 행하도록 하는 푸쉬 버튼부를 구비하고, 상기 떼어내는 힘은 상기 푸쉬 버튼부의 이동방향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조작부 및 상기 스위치부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회전시킴으로써 가해지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발명에 의하면, 떼어내는 힘은 푸쉬 버튼부의 이동 방향을 중심으로 조작부 및 스위치부중 어느 한쪽을 회동시킴으로써 가해지므로 구성을 간소화,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접점 및 상기 제 2 접점 중 어느 한쪽이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스위치부에 설치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제 1 접점과 상기 제 2 접점사이의 개폐를 행하기 위한 조작력을 외부로부터 받으면 이동하여 해당 조작력을 상기 제 1 접점 및 상기 제 2 접점 중 이동가능한 한쪽으로 전달하여 상기 개폐를 행하도록 하는 푸쉬 버튼부를 구비하고, 상기 떼어내는 힘은 상기 푸쉬 버튼부의 이동방향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조작부 및 상기 스위치부 중 어느 한쪽을 회전시킴으로써 가해지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발명에 의하면, 떼어내는 힘은 푸쉬 버튼부의 이동 방향을 중심으로 하여 조작부 및 스위치부 중 어느 한쪽을 회동시킴으로써 가해지므로 구성을 간소화,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떼어내는 힘을 상기 조작력과 같은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으로 변환하여 상기 스위치부에 전달하는 변환수단을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발명에 의하면, 떼어내는 힘은 조작력과 같은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으로 변환되어 스위치부에 전달되므로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떼어내는 힘을 상기 조작력과 같은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 1 접점 및 상기 제 2 접점중 이동가능한 한쪽으로 전달하는 변환 수단을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발명에 의하면, 떼어내는 힘은 조작력과 같은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으로 변환되어 제 1 접점 및 제 2 접점중 이동가능한 한쪽으로 전달되므로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환수단은, 상기 푸쉬 버튼부와 서로 나선모양으로 결합함으로써 회동에 의한 상기 떼어내는 힘을 상기 조작력과 같은 방향으로 변환하여 상기 스위치부에 전달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발명에 의하면, 변환수단은, 푸쉬 버튼부와 서로 나선모양으로 결합하고 있기 때문에 구성을 더욱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환수단은, 상기 푸쉬 버튼부와 서로 나선모양으로 결합함으로써 회동에 의한 상기 떼어내는 힘을 상기 조작력과 같은 방향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 1 접점 및 상기 제 2 접점중 이동가능한 한쪽으로 전달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발명에 의하면, 변환수단은, 푸쉬 버튼부와 서로 나선모양으로 결합하고 있기 때문에, 구성을 더욱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푸쉬 버튼부는, 상기 조작력과 같은 방향을 중심축으로 하는 대략원기둥형상을 이루고, 상기변환수단은, 상기 푸쉬 버튼부와 동일형상으로 다소 크게 천설되며, 상기 푸쉬 버튼부가 삽입되는 푸쉬 버튼부 받이와, 상기 푸쉬 버튼부의 둘레면과 상기 푸쉬 버튼부 받이의 둘레면의 한쪽에 형성된 돌기와, 다른쪽에 상기 중심축에 대하여 경사지게 천설된 나선모양의 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돌기가 상기 가이드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떼어내는 힘을 상기 조작력과 같은 방향으로 변환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발명에 의하면, 돌기가 가이드에 결합함으로써 회동하는 떼어내는 힘이 조작력과 같은 방향으로 변환되므로 나선모양의 간소한 구성으로 회동하는 떼어내는 힘을 조작력과 같은 방향으로 확실히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푸쉬 버튼부는, 상기 조작력과 같은 방향을 중심축으로 하는 대략원기둥형상을 이루고, 상기 변환수단은, 상기 푸쉬 버튼부와 동일 형상으로 다소 크게 천설되며, 상기 푸쉬 버튼부가 삽입되는 푸쉬 버튼부 받이와, 상기 제 1 접점 및 상기 제 2 접점중 이동가능한 한쪽과 상기 푸쉬 버튼부 받이를 연결하는 축과, 상기 푸쉬 버튼부의 둘레면과 상기 푸쉬 버튼부 받이의 둘레면의 한쪽에 형성된 돌기와, 다른 쪽에 상기 중심축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천설된 나선모양의 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돌기가 상기 가이드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떼어내는 힘을 상기 조작력과 같은 방향으로 변환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발명에 의하면, 돌기가 가이드에 결합함으로써 회동하는 떼어내는 힘이 조작력과 같은 방향으로 변환되므로 나선모양의 간소한 구성으로 회동하는 떼어내는 힘을 조작력과 같은 방향으로 확실하게 변환 할 수 있다.

    도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스위치장치의 내부구성을 도시하는 부분단면도이다. 도시하는 스위치장치는 비상정지용 푸쉬 버튼 스위치이다.

    이 스위치장치는 서로 착탈이 자유로운 조작부(a)와 스위치부(b)로 구성된다. 조작부(a)는 외부(예를들면 조작자)로부터 조작력을 받아서 스위치부(b)로 전달하는 부분이다. 스위치부(b)라 함은 조작부(a)로부터의 조작력을 받아 이 조작력을 기초로 다수의 접점의 사이의 개폐를 행하는 부분이다. 스위치부는 접점부나 콘텍트부라고도 칭해지고 있다.

    우선 조작부(a)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조작부(a)는 조작부 본체(al)와 푸쉬 버튼부(a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푸쉬 버튼부(a3)는 형상이 예를 들면 대략 원기둥으로, 푸쉬 버튼부(a3)의 일단측의 윗면은 외부로부터의 조작력을 받고, 푸쉬 버튼부(a3)의 타단측에는 푸쉬 버튼부(a3)의 측면(둘레면)으로부터 돌출한 원기둥형상의 돌기(a4)가 설치되고 있다. 또한 조작부 본체(al) 측면의 하측에는, 조작부 본체(al)를 스위치부(b)에 회동하여 끼워넣기 위한 L자형의 2개의 가이드홈(a2)이 설치되고 있다

    또한 조작부(a)에 대해 도5 및 도6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5는 조작부(a)의 윗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5의 YY절단선에 있어서의 단면도를 도6에 도시한다. 도 5와 같이 푸쉬 버튼부(a3)의 윗면측에는 부채형의 볼록부(a9)가 설치되고, 볼록부(a9)는 조작부 본체(al)의 부채형의 오목부(a8)에 수용하여 설치되고 있다. 이에 따라 중심축Ⅹ을 중심으로 하여 조작부 본체(al)가 회동되면 이에 따라 푸쉬 버튼부(a3)도 회동하도록 유지되고 있다.

    또한 도6과 같이 스프링(a5)의 가압력에 의해 조작부 본체(al)의 내벽으로부터 돌출하는 계지부(a6)가 설치되고, 조작부 본체(al)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계지부(a7)가 설치되고 있다. 이에 따라 조작자가 위쪽으로부터 중심축Ⅹ을 따라 푸쉬 버튼부(a3)의 윗면을 소정 이상의 조작력으로 누르면, 푸쉬 버튼부(a3)는 이 조작력을 받아 계지부(a6)(a7)(제6도참조)가 빠져서 중심축Ⅹ을 따라 아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유지되고 있다.

    다음에 스위치부(b)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위치부(b)는 스위치부 본체(bl), 접점축(b5), 코일스프링(blO), 단자편(b11)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스위치부 본체(bl)에는, 스위치부 본체(b1)의 내부공간을 수평방향으로 구획하는 구획지지부(b3)가 일체로 성형되고 있다. 구획지지부(b3)의 중앙부에는, 중심축Ⅹ을 따라 관통하는 사각형상의 관통구멍(b4)이 설치되고 있다. 스위치부 본체(bl) 내벽의 구획지지부(b3)보다 상측에는 조작부(a)의 가이드홈(a2)에 결합하는 2개의 결합돌기(b2)가 일체로 성형되고 있다.

    접점축(b5)은 관통구멍(b4)에 삽입가능한 사각형상으로, 사각형상의 관통구멍(b4)을 거쳐 마련된다. 이에 따라 접점축(b5)은 중심축Ⅹ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중심축Ⅹ을 중심으로 회동하지 않도록 스위치부 본체(bl)내에 유지된다. 접점축(b5)의 상단에는 푸쉬 버튼부 받이(b6)가 설치되고 있다.

    푸쉬 버튼부 받이(b6)는 푸쉬 버튼부(a3)와 동일형상으로 다소 큰 통형상이며, 위쪽으로부터 푸쉬 버튼부(a3)의 선단부가 삽입된다. 푸쉬 버튼부 받이(b6)의 측면(둘레면)에는, 돌기(a4)가 결합하기 위한 가이드(b7)가 설치되고 있다. 이 가이드(b7)는 중심축Ⅹ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된 경사부(b71)를 갖고 있다. 즉 경사부(b71)는 도시와 같은 중심축Ⅹ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면서 조작부(a)측으로부터 스위치부(b)측을 향하는 형상(나선모양)으로 되어있다.

    접점축(b5)의 하단에는 교락편(b8)의 중앙부가 부착되고 있다. 교락편(b8)은예를 들어 동 등의 도전성의 재질이며, 양단에는 가동접점(b9)이 부착되고 있다. 교락편(b8)과 구획지지부(b3) 사이의 접점축(b5)에는 이들 사이를 떼어놓는 방향의 가압력이 작용하는 코일스프링(blO)이 부착되고 있다.

    2개의 단자편(b11)의 일단은, 스위치부 본체(bl)의 외부로 노출되고 단자편(bll)의 타단에는 고정접점(b12)이 부착되고 있다. 또한 단자편(b11)은 고정접점(b12)이 가동접점(b9)에 대향하도록 설치되고 있다. 가동접점(b9) 및 고정접점(b12)은 접촉저항을 억제하기 위해 예를들면 금 등의 금속이다. 이러한 금속은 과전류등에 의해 용착하기 쉽다. 또한 여기서는, 조작부(a)가 패널 (도시하지 않음)에 부착되고 있다. 이와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가동접점(b9) 및 고정접점(b12)의 한쪽이 본 발명의 「 제 1 접점」에 상당하고, 다른 쪽이 본 발명의 「제 2 접점」에 상당한다. 또 가동접점(b9)이 본 발명의 「제 1 접점 및 제 2 접점 중 이동가능한 한쪽」에 상당한다. 또한 접점축(b5)이 본 발명의 「제 1 접점 및 제 2 접점 중 이동가능한 한쪽과 푸쉬 버튼부 받이를 연결하는 축」에 상당한다.

    다음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1의 스위치부(b)가 조작부(a)로부터 벗어난 상태에 있어서도 코일스프링(blO)에 의해 교락편(b8)과 구획지지부(b3)와의 사이가 떨어져 접점축(b5)은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가동접점(b9)과 고정접점(b12)이 떨어진 상태(개방)가 되고 있다. 이 상태로부터 조작자는 가이드홈(a2)의 입구에 결합돌기(b2)를 삽입하고, 가이드(b7)의 입구에 돌기(a4)를 삽입하도록 스위치부(b)를 아래쪽에서 조작부(a)로 끼워넣는다.(도2).

    다음에 조작자는 중심축Ⅹ을 중심으로 하여 스위치부 본체(bl)를 방향(Cl)으로 돌린다. 상술한 바와 같이 푸쉬 버튼부(a3)는 조작부 본체(al)에 대하여 중심축Ⅹ을 중심으로 회동하지 않도록 구성되고 있으며, 스위치부 본체(b1)를 방향(Cl)으로 돌리면, 돌기(a4)는 나선모양의 가이드(b7)내를 상대적으로 움직인다. 이에 따라 돌기(a4)는 푸쉬 버튼부 받이(b6)를 위쪽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가동 접점(b9)도 위쪽으로 이동한다(도3). 조작자가 스위치부 본체(bl)를 끝까지 돌리면, 가동접점(b9)이 고정접점(b12)에 접촉한 상태(폐쇄)가 된다(도4). 이상과 같이 하여 스위치부(b)가 조작부(a)에 부착된다.

    스위치부(b)를 조작부(a)로부터 분리하는 경우는 부착할 경우의 역동작이다. 즉 도4의 스위치부(b)가 조작부(a)에 부착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조작자는 중심축Ⅹ을 중심으로 하여 스위치부(b)를 역방향(C2)으로 돌리는 떼어내는 힘을 가한다.

    스위치부 본체(bl)가 회동하면, 돌기(a4)는 나선모양의 가이드(b7)내를 상대적으로 움직여 푸쉬 버튼부 받이(b6)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가동접점(b9)도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고정접점(b12)으로부터 떨어진 상태(개방)가 된다.(도3). 즉, 조작자가 스위치부(b)에 방향(C2)으로 회동하는 떼어내는 힘을 가하면 돌기(a4)가 가이드(b7)의 경사부(b71)에 접촉하고, 돌기(a4)로부터 경사부(b71)에 떼어내는 힘이 반작용으로서 가해진다. 이 떼어내는 힘은 경사부(b71)를 따르는 성분과 중심축Ⅹ과 같은 방향의 성분F으로 나누어 지며, 이로써 떼어내는 힘이 중심축Ⅹ과 같은 방향의 힘F으로 변환되게 된다. 이 중심축Ⅹ과 같은 방향의 힘F에 의해, 푸쉬 버튼부 받이(b6)가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접점축(b5)을 통해 가동접점(b9)이 고정접점(b12)으로부터 떼어지게 된다.

    조작자가 스위치부 본체(bl)를 끝까지 돌면, 결합돌기(b2) 및 돌기(a4)가 각각 가이드홈(a2) 및 가이드(b7)의 입구에 도달하고(도2), 조작부(a)를 스위치부(b)로부터 위쪽으로 떼어놓는다(도 1). 이 상태에서, 코일스프링(blO)은 가동접점(b9)과 고정접점(b12)과의 사이를 항상 떼어내는 가압력을 주는 것으로 개방상태를 유지한다.

    이상과 같이, 스위치부(b)를 조작부(a)에 부착하는 부착력이나 분리하는 떼어내는 힘은, 푸쉬 버튼부(a3)의 이동 방향(중심축Ⅹ)을 중심으로 하여 스위치부(b)의 스위치부 본체(b1)를 회동시키는 힘을 조작자가 가함으로써 부여된다.

    또한 스위치부(b)가 조작부(a)에 부착된 상태에서, 이 스위치장치는 주지한 비상정지용 푸쉬 버튼 스위치와 동일한 기능을 한다. 즉, 도4의 상태에서 조작자가 위쪽으로부터 중심축Ⅹ을 따라 푸쉬 버튼부(a3)의 윗면을 소정 이상의 조작력으로 누르면 푸쉬 버튼부(a3)는 이 조작력을 받아 계지부(a6)(a7)(제6도참조)가 빠 져 푸쉬 버튼부(a3)가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이 조작력을 스위치부(b)에 전달한다. 스위치부(b)는 조작부(a)로부터의 조작력을 푸쉬 버튼부 받이(b6)로 받고, 이 조작력이 교락편(b8)을 아래쪽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가동접점(b9)과 고정접점(b12)사이를 떼어내어 개방상태가 된다. 이 상태로부터 원래 상태로 되돌리기 위해서는, 조작자가 푸쉬 버튼부(a3)를 위쪽으로 끌어올림으로써 도4의 상태로 되 돌아오고, 가동접점(b9)과 고정접점(b12) 사이가 폐쇄상태가 된다.

    이상과 같이, 푸쉬 버튼부(a3)의 이동 방향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부여된다. 스위치부(b)를 조작부(a)에 부착하거나 분리하거나 하는 힘은 돌기(a4)의 가이드(b7)에 대한 나선모양의 결합에 의해 푸쉬 버튼부(a3)의 이동방향으로 변환되어 가동 접점(b9)을 상하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푸쉬 버튼부 받이(b6)와, 접점축(b5)과, 돌기(a4)와, 가이드(b7)가 본 발명의 「변환수단」에 상당한다.

    이상의 본 실시예에 의하면, 조작부(a)와 스위치부(b)가 서로 착탈이 자유로운 스위치장치에 있어서, 스위치부(b)를 조작부(a)로부터 분리하는 떼어내는 힘을 이용하여 이 힘이 가동접점(b9)과 고정접점(b12)의 사이를 떼어내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가동접점(b9)과 고정접점(b12)이 서로 용착하고 있어도, 상기 떼어내는 힘을 적절하게 하는 것으로 가동접점(b9)과 고정접점(b12)사이를 확실하게 떼어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예를들면 비상 정지용 푸쉬 버튼 스위치에 적용되고 있는 경우, 가동접점(b9)과 고정접점(b12)이 서로 용착하고 있어도, 스위치부(b)가 조작부(a)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가동접점(b9)과 고정접점(b12) 사이가 떨어져 있기 때문에 조작대상인 공작기계등이 동작불가능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한 구성에서는, 스위치부(b)를 조작부(a)로부터 분리할 때 푸쉬 버튼부(a3)를 이용하여 가동접점(b9)과 고정접점(b12)을 떼어내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예로서 푸쉬 버튼부(a3)이외의 다른 부재를 이용하여 가동접점(b9)과 고정접점(b12)을 분리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위치부(b)를 중심축Ⅹ(푸쉬 버튼부a3의 이동방향)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조작부(a)로부터 분리하는 구성이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조작부(a)나 스위치(b)의 구성을 간소화,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중심축Ⅹ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힘에 의해 주어지는 떼어내는 힘을 푸쉬 버튼부(a3)에 의해 조작력과 같은 방향으로 변환하는 것으로 푸쉬 버튼부(a3)는 조작력을 스위치부(b)에 전달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떼어내는 힘을 스위치부(b)에 전달 할 수 있어 구성이 간단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푸쉬 버튼부(a3)의 돌기(a4)가 스위치(b)의 푸쉬 버튼부 받이(b6)의 가이드(b7)에 나선모양으로 결합하는 것으로 나사와 동일한 작용에 의해, 매우 간단한 구성으로 중심축Ⅹ을 중심으로 하는 회동에 의해 부여되는 떼어내는 힘을 조작력과 같은 방향으로 변환하여 가동접점(b9)과 고정접점(b12)을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도1 및 도 4와 같이 조작부(a)를 스위치부(b)에 부착하거나 분리하거나 하면 가동접점(b9)과 고정접점(b12) 사이의 개폐상태가 변화되므로, 단자편(1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있는 외부의 시스템(도시하지 않음)이 조작부(a)가 스위치부(b)에 착탈되었는 지 여부를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상술한 것 이외에 여러 가지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술과 같이 조작부(a)를 스위치부(b)로부터 분리하는 떼어내는 힘을 푸쉬 버튼부(a3)이외의 다른 부재를 이용하여, 가동접점(b9)과 고정접점(b12)을 떼어내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도면에서는 b접점(브레이크 접점)의 스위치장치를 도시했지만, a접점(메이크접점)의 스위치장치에 적용해도 된다. 또한 비상 정지용 푸쉬 버튼 스위치이외의 스위치에 적용해도 된다.

    또한, 조작부(a)와 스위치부(b)는 서로 떨어져 있으면 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작부(a)가 패널(도시하지 않음)에 부착되고 있어 스위치부(b)를 회동시킴으로써 스위치부(b)를 조작부(a)로부터 분리해도 좋으며, 스위치부(b)가 패널(도시하지 않음)에 부착되고 있어 조작부(a)를 회동시킴으로써 조작부(a)를 스위치부(b)로부터 분리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조작되는 조작부와, 서로 접리가능한 제 1 접점 및 제 2 접점을 갖는 스위치부가 서로 착탈이 자유롭도록 구성된 스위치장치, 예를 들면 비상용 푸쉬 버튼 스위치등 여러가지 스위치장치에 적용가능하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