首页 / 国际专利分类库 / 电学 / 基本电气元件 / 电开关;继电器;选择器;紧急保护装置 / 致动器 / .可更换的 / 휴대형 통신 기기, 최종 사용자 교체 가능 부품을 포함한회전식 입력 장치, 및 회전식 입력 장치에 쓰이는 최종사용자 교체 가능 부품

휴대형 통신 기기, 최종 사용자 교체 가능 부품을 포함한회전식 입력 장치, 및 회전식 입력 장치에 쓰이는 최종사용자 교체 가능 부품

申请号 KR1020040038157 申请日 2004-05-28 公开(公告)号 KR100727543B1 公开(公告)日 2007-06-14
申请人 노키아 코포레이션; 发明人 발레헨리크; 크리스트잔센라스무스; 삭스크누드센크리스티안; 본넬릭케자코브; 로다흘제스페르;
摘要 휴대형 통신 기기(100)는 최종 사용자가 이 기기를 제어하는데 사용하기 적합한 회전식 입력 장치(200)를 포함한다. 회전식 입력 장치는 최종 사용자에 의해 교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부품(310, 320, 340-344)을 포함한다.
权利要求
  • 휴대형 통신 기기를 제어하도록 최종 사용자에 의해 사용하기 적합하도록 된 회전식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형 통신 기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 입력 장치는 상기 최종 사용자에 의해 교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부품과 적어도 하나의 교체할 수 없는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교체 가능한 부품은 상기 교체할 수 없는 부분에 탑재되며,
    휴대형 통신 기기의 통상적인 동작 중에 상기 최종 사용자를 마주보는 앞면을 가진 하우징을 더 구비하고, 상기 회전식 입력 장치는 상기 통상적인 동작 중에 상기 최종 사용자가 상기 교체 가능한 부품을 이용할 수 있도록 상기 앞면에 있는 홈 안에 놓여지고,
    하우징은 교체 가능한 하우징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교체 가능한 부품은 상기 교체 가능한 하우징 부분이 상기 휴대형 통신 기기로부터 제거되었을 때에만 상기 회전식 입력 장치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교체 가능한 부품은 상기 앞면과 실질적으로 나란한 평면에서 회전하는 탑 링과 상기 탑 링 안쪽에 놓이는 센터 키를 포함하고,
    상기 센터 키를 상기 탑 링에 고정되게 하고, 또한 상기 최종 사용자가 상기 센터 키를 교환할 수 있게 상기 센터 키를 상기 탑 링으로부터 분리되게 할 수 있는 착탈 기구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통신 기기.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키는 상기 착탈 기구에 의해 상기 탑 링에 고정되고, 그에 따라 상기 센터 키는 상기 탑 링이 상기 휴대형 통신 기기에서 제거되었을 때에만 분리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통신 기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 기구는 스냅(짤깍) 잠금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통신 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질적으로 교체될 수 없는 부분은 상기 탑 링의 회전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 모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통신 기기.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모듈은 대응되는 상기 탑 링의 결합 수단과 맞물리기 위한 결합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수단은 상기 탑 링이 상기 최종 사용자에 의해 상기 베어링 모듈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통신 기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탑 링의 결합 수단은 상기 탑 링의 표면에 위치한 복수개의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 모듈의 상기 결합 수단은 상기 복수개의 돌기와 맞물리도록 된 복수개의 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통신 기기.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돌기는 상기 탑 링의 내주면에 등간격으로 놓여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통신 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교체 가능한 부품은 상기 탑 링의 외주면에 인접하게 놓인 한 세트의 추가 키들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통신 기기.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세트의 추가 키들은 상기 최종 사용자에 의해 상기 휴대형 통신 기기에서 분리될 수 있는 일체형 키 프레임 멤버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통신 기기.
  • 제1항, 제8항, 제9항, 제1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통신 기기는 통신 시스템을 위한 이동 단말기로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통신 기기.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시스템은 GSM, UMTS, D-AMPS, 및 CDAM2000으로 이뤄진 그룹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통신 기기.
  • 휴대형 통신 기기의 회전식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통신 기기의 최종 사용자에 의해 교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부품과 상기 교체 가능한 부품이 위에 탑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실질적으로 교체할 수 없는 부분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교체 가능한 부품은 상기 휴대형 통신 기기의 앞면과 실질적으로 나란한 평면에서 회전하는 탑 링과 상기 탑 링 안쪽에 놓여진 센터 키를 구비하고,
    상기 센터 키를 탑 링에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최종 사용자가 상기 센터 키를 교체할 수 있도록 상기 센터 키를 상기 탑 링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하는 착탈 기구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입력 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키는 상기 착탈 기구에 의해 상기 탑 링에 고정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센터 키는 상기 탑 링이 상기 휴대형 통신 기기로부터 제거되었을 때에만 상기 탑 링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입력 장치.
  •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 기구는 스냅 잠금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입력 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질적으로 교체할 수 없는 부분은 상기 탑 링의 회전을 지지하는 베어링 모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입력 장치.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모듈은 대응하는 상기 탑 링의 결합 수단과 맞물려지는 결합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수단은 상기 최종 사용자에 의해 상기 베어링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입력 장치.
  •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탑 링의 결합 수단은, 상기 탑 링의 표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 모듈의 결합 수단은 상기 복수개의 돌기와 맞물리기 적합하게 된 복수 개의 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입력 장치.
  •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돌기는 상기 탑 링의 내주면에 등간격으로 놓여짐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입력 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탑 링의 외주면에 인접하도록 놓여진 한 세트의 추가 키들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입력 장치.
  •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한 세트의 추가 키들은, 상기 최종 사용자에 의해 상기 휴대형 통신 기기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일체형 키 프레임 멤버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입력 장치.
  • 상기 청구항 제18항, 제23항, 제24항, 제26항 내지 제30항들 중 어느 한 청구항에 따른 회전식 입력 장치에 쓰이는 교체 가능한 부품.
  • 说明书全文

    휴대형 통신 기기, 최종 사용자 교체 가능 부품을 포함한 회전식 입력 장치, 및 회전식 입력 장치에 쓰이는 최종 사용자 교체 가능 부품{A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a rotary input device having an end-user-exchangeable element, and an end-user-exchangeable element for a rotary input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체 가능한 부품을 가진 회전식 입력 장치를 구비한 휴대형 통신 기기의 개략적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회전식 입력 장치를 보다 자세히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의 회전식 입력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4는 한 세트의 추가 키들 중 한 키와, 그 키가 회전식 입력 장치의 키 매트에 분리 및 이동 가능하게 부착된 방식을 도시한 도 2의 회전식 입력 장치의 부분적 단면도이다.

    도 5는 회전식 입력 장치의 탑 링 및 베어링 모듈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탑 링이 베어링 모듈에 분리 및 이동 가능하게 부착된 방식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최종 사용자가 휴대형 통신 기기를 제어하는데 사용하기 적합하도록 된 회전식 입력 장치를 가진 휴대형 통신 기기에 관한 것이다.

    GSM, UMTS, D-AMPS 또는 CDMA2000 등의 통신 시스템에 대한 이동 (셀룰라) 전화기 형태로 된 이동 단말기가 상술한 바에 따른 휴대형 통신 기기의 익숙한 예가 된다.

    WO02/39712에서는 텔리비젼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상에 있는 메뉴를 제어하기 위한 이미지 제어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메뉴는 동시에 표시되는 복수개의 메뉴 항목들을 구비한다. 선택기는 그 메뉴로부터 한 항목을 선택하도록 정해진다. 사용자 입력 장치는 그 메뉴와 관련해 선택기를 이동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또, 회전식 제어가 개시되고 있는데, 제어의 순환은 상응하는 메뉴의 순환을 일으킨다. 이와 다른 선택으로서, 메뉴 스크린 상에 커서가 보여져서, 사용자가 제어기를 동작시키면 커서가 메뉴 아이템들을 따라간다.

    WO02/39712는 또 다른 이동 전화 메뉴들의 응용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전화 핸드셋의 스크린에 있는 메뉴가 이차원의 원으로서 보여진다. 회전식 다이얼이 그 핸드셋의 앞면 위에 제공된다. 핸드셋은 앞면에 놓인 회전식 다이얼에 더하여, 이동 전화의 일반적인 사양을 포함한다. 이동 전화 핸드셋의 메뉴가 활성화될 때, 다이얼은 텔리비젼 시스템을 참조해 위에서 설명된 제어기와 같이 동작한다. 물론, 텔리비젼 시스템에서와 같은 원격 제어 신호 전송은 없다. 대신, 그 신호는 핸드셋 내 디스플레이와 연관된다. 메뉴로부터 한 항목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자는, 커서가 원하는 메뉴 항목과 관련된 것으로 이동할 때까지, 혹은 원하는 항목이 이동 전화 핸드셋의 스크린 상의 선택 영역과 나란히 정렬된 상태로 되도록 메뉴가 순환할 때까지, 다이얼을 돌린다.

    WO02/39712에서 기술한 회전식 다이얼과 같은 회전식 입력 장치를 이용하는 것은 사용자로 하여금 편리하게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일반적인 PIN 또는 전화 형태의 키패드에서 보다 더 적은 키들을 가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허용하기 때문에, 이동 단말기에 있어 이득이 된다. 일반적으로, 그러한 회전식 입력 장치는 빈번하게 사용될 것이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있어 - 별로 중요한 것이 아니라면 - 매우 중심적인 입력 수단을 나타낼 것이다. 한편, WO02/39712에서 기술한 종래 기술의 단계와 관련되는 문제점들 또는 결함들이 존재한다. 한 가지 문제는 회전식 입력 장치의 잦은 이용이 마모를 일으켜 마침내는 고장나게 하거나 최소한 덜 멋진 외관을 갖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회전식 입력 장치의 교체는, 중앙 수리점에서 이동 단말의 분해, 교체 및 조립을 해야 할 뿐 아니라, 그런 중앙 수리점으로/부터 그 결함을 가진 단말을 이송해야 한다는 면에서도 많은 실질적인 수고를 필요로 한다. 또 다른 문제는, 서로 다른 사용자들 마다 최적의 방식으로 단말을 동작시키기 위해 회전식 입력 장치의 서로 다른 모양 및/또는 서로 다른 외양적 특성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는 데 있다; 즉 한 사용자는 회전식 입력 장치가 부드러운 외양을 가진 것을 선호하는 반면에, 두번째 사용자는 거친 외양을, 세번째 사용자는 빛이 부족한 상황에 도움이 되도록 회전식 입력 장치의 백라이트를 필요로 할 수 있고, 네번째 사용자는 그와는 반대로 그러한 백라이트를 불편해 할 수도 있을 것이다.

    EP-A-1 028 574는 앞면 하우징 부분과 뒷면 하우징 부분을 포함하는, 교환가능한 하우징을 가진 무선 전화기를 개시한다. 이 무선 전화기는, 기존의 것들에 대한 교체품으로서 교체용 앞뒷면 하우징 부분을 구매함으로써 최종 사용자에 의해 맞춤화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EP-A-1 028 574에 따르면 전체적으로 그 하우징 부분들만이 교체될 수 있다.

    노키아 3310과 같은 몇 몇 최신 이동 전화 모델들은 하나의 단일 유닛으로서 키패드의 교체를 가능하게 한다; 키들의 전체 세트가 한 키 매트에 포함되고, 전화기로부터 앞면 하우징을 분리해 그 키 매트를 제거함으로써 키 매트 교체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동 단말기의 입력 장치 및 그에 속하는 부품들을 개별적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한 휴대형 통신 기기, 그 회전식 입력 장치 및 그에 포함된 부품들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는 첨부된 독립 특허 청구항들에 따른, 휴대형 통신 기기, 회전식 입력 장치 및 교체 가능한 부품에 의해 달성될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양상은 휴대형 통신 기기를 제어하는 최종 사용자에 의해 사용하기 적합하도록 된 회전식 입력 장치가 구비된 휴대형 통신 기기에 대한 것으로, 상기 회전식 입력 장치는 상기 최종 사용자에 의해 교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부품을 구비한다.

    일실시예에서, 회전식 입력 장치는 또한 상기 교체 가능한 부품이 탑재된, 적어도 하나의 교체할 수 없는 부품을 구비한다.

    휴대형 통신 기기는, 일반적인 동작 중에 최종 사용자를 대면하는 앞면이 있는 하우징 설비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식 입력 장치는 상기 앞면의 홈(opening)에 놓여져 상기 정상 동작 중에 상기 최종 사용자가 그 교체 가능한 부품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하우징 설비는 교체 가능한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그 교체 가능한 부품은 상기 교체가능한 하우징 부분이 상기 휴대형 통신 기기로부터 제거되었을 때에만 상기 회전식 입력 장치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된다.

    적어도 하나의 교체 가능한 부품은 상기 앞면에 실질적으로 나란한 평면에서 회전하는 탑 링(top ring)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교체 가능한 부품은 상기 탑 링 안에 위치한 센터 키를 더 구비한다. 착탈(releasable fastening) 기구가 제공되어, 상기 탑 링에 상기 센터 키가 고정되게 하고 상기 최종 사용자에 의해 상기 센터 키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상기 센터 키를 상기 탑 링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센터 키는 상기 탑 링이 상기 휴대형 통신 기기로부터 제거된 경우에만 상기 탑 링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착탈 기구는 스냅(snap) 잠금기를 구비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질적으로 교체 불가능한 부분은 상기 탑 링의 회전을 지지하는 베어링 모듈을 포함할 것이다. 베어링 모듈은 대응되는 상기 탑 링의 결합 수단과 맞물리도록 된 결합 수단을 구비하는데, 상기 결합 수단은 상기 탑 링이 상기 최종 사용자에 의해 상기 베어링 모듈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상기 탑 링의 결합 수단은 상기 탑 링의 한 면에 배치된 복수개의 돌기들을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 모듈의 결합 수단은 상기 복수개의 돌기들과 맞물려지도록 된 복수개의 홈들(recesses)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돌기들은 상기 탑 링의 안 쪽 주변에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교체가능한 부품은 상기 탑 링의 외주면에 인접하여 놓여지는 한 세트의 추가 키들을 포함한다. 이 한 세트의 추가 키들은 최종 사용자에 의해 휴대형 통신 기기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일체형 키 프레임 멤버를 형성한다.

    휴대형 통신 기기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베어링 모듈 및/또는 상기 탑 링과 연관된 엔코더가 베어링 모듈/탑 링의 위치를 검출하여 그 검출된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제어기로 제공하도록 된다. 엔코더는 상기 위치의 광학적 검출에 적합한 것일 수 있다.

    휴대형 통신 기기는 통신 시스템에 대한 이동 단말기로서 구현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은 GSM, UMTS, D-AMPS 및 CDMA2000으로 이뤄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양상은 휴대형 통신 기기를 위한 회전식 입력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상기 회전식 입력 장치는 상기 휴대형 통신 기기의 최종 사용자에 의해 교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부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의 양상은 제2양상에 따른 회전식 입력 장치를 위한 교체 가능 한 부품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비해 여러 잇점을 제공한다:

    교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부품을 가진 회전식 입력 장치가 제공됨으로써, 최종 사용자는 그 입력 장치를, 가령 선호하는 컬러나 패턴의 면에서 회전식 입력 장치의 시각적 외관과 관련해 자신의 선호도에 맞게 맞춤화시킬 수 있다. 또, 가령 탑 링 등과 같은 상기 부품의 교체 기능 덕분에, 최종 사용자는 자신의 요구에 더 잘 맞는 다른 외관 구조로 바꿀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사용자는 매끄러운 외관을 선호할 수 있는 반면 다른 사용자는 거친 외관을 더 좋아할 수 있다(그러한 거친 외관은 회전식 입력 장치를 동작시킬 때 손가락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때문이라는 이유 등으로). 외관 구조에 있어서의 그러한 차별화는 교체 가능한 부품(의 외관)을 위한 상이한 재료를 이용하고/거나 그것을 가령 그루브(groove), 패임(dimples), 점(dots), 골(ridges) 등의 형태로 된 물리적 패턴으로 제공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최종 사용자로 하여금 교체가능한 부품의 투명도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즉, 그 부품이 휴대형 통신 기기로부터의 백라이트를 통과시키느냐(그래서 어둠 속에서도 "환하게" 보여지도록), 시키지 못하느냐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데, 이것은 기존의 교체 가능한 부품을 투명도 또는 불투명도와 관련해 원하는 광학적 특성을 가진 물질 중 하나와 교체함으로써 이뤄진다.

    또, 본 발명은 휴대형 통신 기기의 제조자나 공급자에게도 혜택을 제공한다. 먼저, 회전식 입력 장치가 최종 사용자에 의해 맞춤화될 수 있기 때문에, 모두에게 맞는 외관 모양을 가진 회전식 입력 장치를 디자인하는데 드는 노력이 줄어 들고; 대신 그 외관 모양은 다소 기본적인 디폴트 디자인으로 주어져서 경우에 따라 개인별 사용자들이 교체할 수 있도록 한다. 두번째, 여러가지 교체 가능한 부품들을 회전식 입력 장치에 대한 악세서리로서 디자인하고 만들고 파는 일이 또 다른 사업의 기회를 제공한다. 세번째, -정상 동작 중에 최종 사용자와 접촉되는 부분이 되고 그에 따라 마모 및 손상을 경험하게 되는- 교체 가능한 부품을 가진 회전식 입력 장치는 그 부품이 고장나거나 지나치게 마모된 경우 휴대형 통신 기기에 대한 보다 간단한 수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잇점들이 이하의 설명과, 첨부된 종속 청구항들 및 도면들로부터 보여질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구항들에 사용된 모든 용어들은, 여기서 달리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다면, 이 기술 분야에서 쓰이는 통상적인 의미에 따라 해석되어져야 한다. "[소자, 장치, 부품, 수단, 단계, 등]"에 대한 모든 언급은 달리 명확하게 기술되지 않는다면 상기 소자, 장치, 부품, 수단, 단계 등의 적어도 한 예에 대해 공공연하게 언급하는 것이라고 해석되어져야 한다. 여기 기술된 어떤 방법에 대한 단계들은, 명백히 말해지지 않았다면, 기술된 바로 그 순서로 반드시 수행되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통신 기기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휴대형 통신 기기는 GSM, UMTS, D-AMPS 또는 CDMA2000과 같은 상용하는 임의의 이동 통신 시스템을 위한 이동(셀룰라) 전화기일 수 있다. 휴대형 통신 기기는 이와 달리 휴대형 디지털 보조기기(PDA) 또는 통신기와 같은 다른 유형의 이동 기기일 수 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휴대형 통신 기기는 하우징 설비(110)를 구비한 이동 전화기(100)이다. 이동 전화기(100)의 앞면(120)은 스피커 홈(130)과 디스플레이(140)를 포함한다. 앞면(120)은 일반 동작 중에 이동 전화기(100)의 최종 사용자와 마주보게 될 것이며, 이것은 이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다.

    이동 전화기(100)는 또한 상기 앞면(120)에서 최종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고 일실시예에 따른 교체 가능한 부품을 포함하는 회전식 입력 장치(200)를 또한 포함한다. 회전식 입력 장치(200)는 나머지 도면에 더 상세히 도시되고 있으며 최종 사용자가 수동 입력을 통해 이동 전화기를 제어할 수 있게 하는 메인 또는 유일한 입력 장치를 구성한다. 당연히, 이동 전화기(100)는 하우징 설비(110) 안에 포함되고/거나 도 1에는 도시되지 않는, 마이크, 내장 혹은 외장형 안테나, 무선 트랜시버, 음성 인코더/디코더, 채널 인코더/디코더, 제어기 또는 처리 장치(CPU), 전자적 메모리, 메모리에 저장되어 제어기에 의해 실행되어 이동 전화기(100)의 여러 기능 및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도록 된 운영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코드로 된 여러 세그먼트들과 같은, 여러 다른 구성 요소들을 포함한다.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무선 트랜시버는 전력 증폭기, 필터, 로컬 오실레이터 및 믹서와 같은 다양한 아날로그 및 디지털 전자 구성요소들을 구비하며, 이들은 다 함께, 나가는 오디오 신호를 반송파 상에 변조시켜 이동 전화기(100)의 안테나로부터 전파되는 전자기파로서 방출되게 할 뿐 아니라 들어오는 무선 신호들을 수신하여 그들을 들어오는 오디오 신호로 복조한다.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식 입력 장치(200)는 상위면에서 베어링 모듈(330)에 탑재된 탑 링(310)을 구비한 회전기를 포함하여, 최종 사용자로 하여금 그의 손가락으로 회전기를 동작시켜서 이동 전화기(100)의 제어기, 운영 시스템 및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해 제어 입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회전기는 운영 시스템 및/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서로 다른 메뉴 또는 메뉴 옵션들 사이를 스크롤하는데 이용되어, 디스플레이(140) 상에서 커서 위치를 제어하고, 한벌의 문자, 디지트, 글자, 컬러, 셋팅 값들 등의 서로 다른 요소들을 선택한다. 이를 위해, 회전기는 베어링 모듈/탑 링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제어기로 제공하도록 된 엔코더를 포함한다. 엔코더는 베어링 모듈(330)이나 탑 링(310)과 일체형일 수도 있고, 혹은 자신의 회전에 대한 검출이 이뤄질 수 있도록 베어링 모듈/탑 링과 관련은 되지만 개별적으로 된 유닛이 될 수도 있다. 엔코더는 가령 광학적으로, 자기적으로, 혹은 전자기적으로 동작할 수 있고 기존의 임의의 엔코더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도 2 및 3에 더 도시된 것과 같이, 회전식 입력 장치(200)은 탑 링(310)의 중앙 홈(312)에 놓인 센터 키(320)를 포함한다. 센터 키(320)는 이 실시예에서 센터 키(320)가 다섯 가지 키(네비게이션 키로도 알려짐)로서 동작하도록 지원하는 베이스(322)를 포함하며, 상기 키는 4 주변 위치에서 "동" "서" "남" "북" 방향을 나타내고, 중앙 위치에서 "아래로"/"선택"/"확인"/"엔터"를 나타낸다.

    추가적으로, 회전식 입력 장치(200)는 탑 링(310)의 바깥 주위에 인접하여 같은 간격으로 배치되는 한 세트의 추가 키들(342)을 구비한다. 한 세트의 추가 키들(342)은 둥근 프레임 멤버(344)에 부착되어 일체형 키 프레임(340)을 형성하도록 된다. 키 프레임(340)은 키 매트(350)에 부착되는데, 키 매트(350)는 키 프레임(340)을 지지하도록 동작하고 또한 조명의 목적으로 아래의 PCB(인쇄 회로 보드) 유닛(360)과 회전식 입력 장치(200)의 상단 사이에 광을 운반하는 광 가이드로서도 동작한다.

    PCB 유닛(360)은 복수개의 조립형 돔(362)들과, 다섯 가지 센터 키(320)의 다섯 접촉점들 각각 뿐 아니라 키 프레임(340)의 네가지 추가 키들(342) 각각에 대한 밑에 있는 개별 전기 접촉부들을 포함한다. 돔(362)들은 개개의 전기적 접촉부들과 연계되고 인쇄 회로 보드의 윗면에 놓이는 개별 옴 박편으로서 제공된다. PCB 유닛(360)은 발광 다이오드들과 같이, 회전식 입력 장치(200)를 비추기 위한 광원을 구비한다. PCB 유닛은 또한 전기 접촉점들 및 회전기의 엔코더와 연결되어 임의의 키(320, 342)나 회전기에 대한 입력을 검출하고 그에 반응하여 이동 전화기(100)의 제어기로 제어 신호를 제공하도록 된 전자회로를 포함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회전식 입력 장치(200)의 부품들의 교체 기능은 탑 링(310), 센터 키(320) 및 키 프레임(340) (추가 키들(342)) 각각이 개별적으로 교체 가능하도록 설계함으로써 주어진다.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 링(310)의 교체 기능은 탑 링의 안쪽 둘레를 따라 탑 링의 내주면에 등간격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돌출부들에 의해 얻어진다. 이 실시예에서, 3~6 개의 돌기들이 제공되며, 이들은 반구 모양으로 되어 있다. 탑 링이 베어링 모듈(330)의 윗면에서 눌려질 때, 반구형 돌기들(316)은 베어 링 모듈(330)의 외주 가장자리면에 있는 복수개의 홈들(334)과 맞물려질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베어링 모듈(330)의 가장자리 주변에 복수개의 아귀들(teeth)(332)이 구비되어, 그들 사이 사이에 반구형 돌기(316)들을 수취하는 상기 복수개의 홈들(334)을 형성한다. 도 6에 더 도시된 것과 같이, 베어링 모듈(330)의 주변 가장자리는 아래쪽 부분에 아래가 도려진 언더컷(334b)을 포함한다. 기울어진 위쪽 부분(334a)과 함께, 언더컷(334b) 내 돌기(316)를 감싸서 일반 사용 중에 탑 링(310)이 베어링 모듈(330)로부터 빠져나오지 못하게 하는 골(336)이 형성된다. 그러나, 탑 링(310)에 대해 보다 강하게 당기는 힘을 제공함으로써, 최종 사용자는 베어링 모듈(330)로부터 탑 링(310)을 빼낼 수 있고 원하면 그것을 새 탑 링으로 교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아귀(332)들은 날카로운 상단을 가지는데 이것은 새 탑 링(310)이 베어링 모듈(330)에 대해 눌러질 때 최종 사용자를 도와 돌출부들(316)을 바른 위치로 이끌도록 함으로써, 탑 링의 쉽고 빠른 교체를 도모할 수 있다.

    도 4는 추가 키들(342)의 세트를 가진 키 프레임(340)의 교체 기능을 도시한다. 키 프레임(340)은, 키 매트(350) 위에 형성된 스냅(352)과 그에 대응하는 각 키(342)의 홈(344)이 맞물려 짐으로써 키 매트(350)에 조여진다. 도 3에는 도 4에 도시된 스냅(352)이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냅이 도 3의 키 매트(350)에 형성될 수 있다. 화살표(400)가 가리키는 것과 같은 결합은 키 프레임(340)을 키 매트(350) 상에서 고정되게 하는 한편 키(342)에 대해 어느 정도의 자유를 허용함으로써, 키가 눌려질 때 그 움직임에 의해 PCB 유닛(360) 위의 돔(362)을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키 프레임(340)을 충분한 정도로 구부림으로써, 스냅들(352)이 홈들(344)에서의 맞물림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되고, 최종 사용자는 그에 따라 그 키 프레임(340)을 빼내어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센터 키(320)의 교체 기능은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스냅(짤깍) 잠금을 통해) 센터 키(320)의 바깥 쪽 가장자리와 탑 링(310)의 내주면 (즉, 홈(312)의 외주) 사이를 맞물리는 것에 의해 수행된다. 이 실시예에서, 센터 키(320)는 탑 링(310)이 일단 제거된 후에만 회전식 입력 장치(20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것이 수행된 후, 최종 사용자는 탑 링(310)과 센터 키(320)를 구부려 떨어지게 한 후 그들 중 어떤 것을 교체할 수 있다.

    탑 링(310), 센터 키(320) 또는 추가 키들(324)/키 프레임(340)을 회전식 입력 장치(200)로부터 제거하는 것과 관련해 다른 제한 사항이 적용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하우징 설비(110)는 이동 전화기(10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만들어지는데, 이러한 예는 이 명세서의 종래 기술 영역에 기술된 EP-A-1 028 574에서의 방식에서 찾을 수 있다. 탑 링(310), 센터 키(320), 및 추가 키들(342)의 상위 면들은 분리 가능한 하우징 설비(110)의 앞면(120)에 있는 홈들을 통해 밖으로 돌출되며, 그에 따라 일반적인 동작 중에 최종 사용자가 그들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그 홈들은 하우징 설비(110)가 이동 전화기(100)에 부착될 때 탑 링(310), 센터 키(320), 및 추가 키들(342)의 분리를 방지하는 크기로 설계된다; 하우징 설비(110)가 분리되었을 때에만 이들 탑 링(310), 센터 키(320), 및 추가 키들(342)은 교체를 위해 이동 전화기(100)에서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주로 일실시예를 참조해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 분야의 당업자라면 상술한 것과 다른 실시예들이라도 첨부된 특허 청구항들에서 정의한 것과 같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실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교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부품을 가진 회전식 입력 장치 및 그를 구비한 휴대형 통신 기기가 제공됨으로써, 최종 사용자는 그 입력 장치를, 선호도에 맞게 맞춤화시킬 수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