首页 / 国际专利分类库 / 电学 / 基本电气元件 / 电开关;继电器;选择器;紧急保护装置 / 触觉反馈 / .声音 / ..共振空间 / 음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음향 부재를 포함하는 온수 주전자

음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음향 부재를 포함하는 온수 주전자

申请号 KR1020097008188 申请日 2007-09-19 公开(公告)号 KR1020090060448A 公开(公告)日 2009-06-12
申请人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发明人 브레이센,페트루스제이.,엔.,비.;
摘要 A hot water kettle has an on/off switch, which is adapted to automatically switch from a closed position to an opened position when water which is present inside the kettle has been boiling for a while. The on/off switch is operable through a button element (6), a position of which is determined by the position of the switch. Inside a space (61) of the button element (6), a vibratory member (20) comprising a flexible bar (21) is arranged. When the on/off switch is in the closed position, a free end (25) of the bar (21) is retained by an actuator (10). As soon as the on/off switch switches to the opened position, this end (25) of the bar (21) is eventually released, as a result of which the bar (21) starts to vibrate and the button element (6) starts to resonate. In this way, an acoustic signal is generated.
权利要求
  • 유체를 가열하고 유체 가열 과정의 유체가 끓는 단계를 나타내기 위한 장치(1)와 같은, 과정을 수행하고 과정의 특정 단계에 도달한 것을 나타내기 위한 장치(1)로서,
    음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음향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음향 부재는 공명 상자(4, 6)와, 음향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공명 상자(4, 6)를 공명시키는 진동 부재(20)를 포함하는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부재(20)는 상기 공명 상자(4, 6) 내측에 배열되는 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명 상자는 상기 음향 부재의 부분과 다른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가지는 장치의 부품(4, 6)에 의해 형성되는 장치.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명 상자는 주로 장치(1)의 온/오프 스위치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소용되는 버튼 요소(6)로 구성되는 장치.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명 상자는 적어도 장 치(1)의 손잡이(4)의 부분이며, 상기 손잡이(4)는 장치(1)의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데 적합한 장치.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부재(20)에 대해 제 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진동 부재(20)를 유지하고,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진동 부재(20)에 대해 제 2 위치로 움직일 때 상기 진동 부재(20)를 방면하는데 적합한 액추에이터(6, 10)를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10)는, 상기 액추에이터(10)가 상기 진동 부재(20)에 대해 상기 제 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진동 부재(20)의 일부분(25)을 결합하기 위한 훅 형상 부분(11)을 포함하는 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진동 부재(20)를 보유하고 방면하는 것과 다른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가지는 장치(1)의 부품(6)으로 구성되는 장치.
  • 제 6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주로 장치(1)의 온/오프 스위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소용되는 버튼 요소(6)로 구성되는 장치.
  •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부재(20)는 주로 장치(1)의 온/오프 스위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소용되는 버튼 요소(6)에 연결되는 장치.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자석을 가지는 액추에이터를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 说明书全文

    음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음향 부재를 포함하는 온수 주전자{HOT WATER KETTLE COMPRISING AN ACOUSTIC MEMBER FOR GENERATING AN ACOUSTIC SIGNAL}

    본 발명은 음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음향 부재를 포함하는, 유체를 가열하고 유체 가열 과정의 유체를 특정 단계에 도달한 것을 나타내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서두에서 언급된 바와 같은 장치는 실제 널리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장치는 물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 용기 내측에 존재하는 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 요소, 및 전기 회로를 포함하는 전기 온수 주전자일 수 있으며, 가열 요소는 전기 회로에 의해 전력이 공급된다. 또한, 온수 주전자는, 전기 회로에 배열되고 가열 요소가 작동될 필요가 있을 때 전기 회로를 폐쇄하고 열의 공급이 필요없을 때 전기 회로를 차단하기 위한 온/오프 스위치를 포함한다. 온/오프 스위치는 버튼 요소에 의해 수동으로 작동 가능하며, 안전 스위치, 즉 측정 지점에서의 온도가 특정 임계치를 초과할 때 전기 회로를 차단하기 위해 개방 위치로 자동으로 전환하는 스위치로서 기능하는데 적합하다.

    사용자가 물을 끓일 목적을 위해 온수 주전자를 사용하기를 결정할 때, 다음의 행위들이 발생한다:

    - 사용자는 주전자에서의 물의 수위를 검사하고 필요하면 물을 추가하며;

    - 사용자는 전기 회로를 폐쇄하기 위해 온/오프 스위치를 폐쇄 위치로 하고, 그 결과, 가열 요소가 작동되고 용기 내측에 존재하는 물은 비등점까지 가열되며;

    - 온/오프 스위치는 물이 일정 시간 동안 끓었을 때 전기 회로를 차단하기 위해 개방 위치로 다시 자동으로 전환하고, 그 결과, 가열 요소는 작동을 멈추고 가열 과정이 종료된다.

    물이 준비되고 온수 주전자가 다시 비작동 상태에 있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목적을 위하여, 주전자는 온/오프 스위치가 다시 개방 위치로 전환할 때 작동되는 음향 부재를 포함한다. 공지된 선택에 따라서, 음향 부재는 심벌즈(cymbal), 즉 금속 접시, 및 심볼을 때리는 요소를 포함한다.

    가전 제품의 분야에서, 비교적 작은 주전자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주전자는 심벌즈와 심벌즈를 때리는 요소, 또는 음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음향 부재의 공지된 실시예를 통합하는 것이 매우 어려울 정도로 작을 수 있다. 종래의 기술 상태에 따라서, 주전자의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기에 적합하고 음향 부재를 수용하기 위해 충분히 넓은 주전자의 손잡이를 만드는 것에서 그 해법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교적 작은 주전자에서 음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음향 부재를 가지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음향 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을 생성하기 위하여 주전자의 손잡이 또는 다른 부품을 확장하는 것이 요구되지 않는 해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공명 상자와, 음향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공명 상자가 공명하도록 하는 진동 부재를 포함하고, 이 경우에, 공명 상자가 결국 장치에 존재하는 장치의 부품에 의해 구성될 수 있는 음향 부재를 구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예를 들어, 공명 상자는 주로 장치의 온/오프 스위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소용되는 버튼 요소에 의해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장치의 손잡의 부분일 수 있다.

    대체로, 공명 상자는 음향 진동을 증폭시키는 공명으로서 공지된 효과를 사용하는 중공 챔버이며, 음향 진동은 또한 소리로서 지칭되는 것을 유념하여야 한다. 챔버는 음파를 반사시키기 위한 내부면을 가진다. 이러한 음파가 챔버로 들어갈 때, 낮은 손실과 함께 챔버 내에서 전후로 반사하며, 그 결과, 정상파(standing wave)가 얻어진다. 보다 많은 음파 에너지가 챔버로 들어감으로써, 음파는 정상파와 결합하여 정상파를 보강하고, 그 세기(볼륨)를 증가시킨다. 그러므로, 한 마디로, 공명은 공명하는 진동에 의해 만들어진 소리의 증대(intensification) 및 전파로서 기술될 수 있다. 진동 부재와 공명 상자의 조합은 본래 공지된 것이며, 그러므로, 이러한 조합의 기능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지 않는다는 것을 유념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주전자 등에서 음향 신호를 발생시키는 한편 단지 최소의 공간을 요구하는 음향 부재를 통합하는 것을 허용한다. 심벌즈와 심벌즈를 때리는 요소를 가지는 공지된 주전자와 비교하여, 심벌즈는 생략되고, 주전자의 존재하는 부품이 공명 상자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부품은 심지어 부품의 디자인을 변경할 필요가 없도록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전자의 손잡이의 다른 쓸모없는 공간이 공명 상자로서 소용될 수 있다.

    공간 절약의 상기된 이점은 공명 상자가 음향 부재의 부분과 다른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가지는 주전자의 부품에 의해 형성될 때 얻어진다. 심벌즈와 심벌즈를 때리기 위한 요소의 조합 이상의 공명 상자와 진동 부재의 조합을 적용하는 포괄적인 이점은 보다 소리가 크고 보다 긴 영속적인 음향 신호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진동 부재는 공명 상자 내측에 배열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진동 부재는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는 가요성 바를 포함한다.

    유익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진동 부재에 대한 제 1 위치에 있을 때 진동 부재를 보유하고 제 1 위치로부터 진동 부재에 대한 제 2 위치로 움직일 때 진동 부재를 방면하는데 적합한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며, 이에 의해, 진동 부재는 진동을 유발한다. 액추에이터와 진동 부재 사이의 결합은, 액추에이터가 진동 부재에 대해 제 1 위치에 있을 때 진동 부재의 일부분을 결합하기 위한 훅 형상 부분을 진동 부재가 포함할 때 용이하게 확립 또는 해제된다.

    액추에이터가 장치의 온/오프 스위치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주로 소용되는 버튼 요소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액추에이터는 반드시 별도의 요소일 필요가 없다. 이러한 경우에, 온/오프 스위치의 위치가 변할 때, 액추에이터와 진동 부재 사이의 결합 상태가 마찬가지로 변하는 것이 보장된다. 그러므로, 온/오프 스위치가 폐쇄 위치에 놓일 때 액추에이터와 진동 부재 사이의 결합이 확립되고, 온/오프 스위치가 개방 위치로 전환할 때 이러한 결합이 해제되고, 진동 부재의 진동과 공명 상자의 공명이 얻어지는 배열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진동 부재는 주로 장치의 온/오프 스위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소용되는 버튼 요소에 연결된다. 이 경우에, 온/오프 스위치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전환할 때마다 진동 부재의 진동과 공명 상자의 공명을 방면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존재하는 또 다른 선택에 따라서, 진동 부재를 보유 및 방면하기 위한 액추에이터는 전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액추에이터를 적용하는 중요한 이점은 매우 작은 공간이 액추에이터를 위해 요구된다는 것이다.

    진동 부재가 가요성 바를 포함하는 경우에, 예를 들어, 진동 부재가 한쪽 단부에서 고정적으로 연결되면 유익하고, 또 다른 단부는 액추에이터와 같은 부품에 대한 결합 및 이 부품으로터 해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온수 주전자일 수 있지만, 또한 유체 또는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해 소용되는 커피 메이커, 프라이팬 등 및 아이스 메이커와 같은 주방 가전을 포함하는, 특정 과정을 수행하고 과정의 특정 단계에 도달되었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임의의 다른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양태들은 온수 주전자 및 주전자에 의해 끓여지는 물의 준비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음향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에 수반되는 주전자의 부품들의 2개의 실시예의 다음의 설명을 참조로부터 자명하게 되고 설명된다.

    본 발명은 동일한 도면 부호에 의해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들이 지시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지금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온수 주전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온수 주전자의 온/오프 스위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버튼 요소의 개략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각각 제 1 수동 위치와 제 2 수동 위치에 있는, 주전자에 의해 끓여지는 물의 준비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음향 신호를 발생시키는데 수반되는 주전자의 부품들의 제 1 유익한 실시예의 개략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각각 제 1 수동 위치와 제 2 수동 위치에 있는, 주전자에 의해 끓여지는 물의 준비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음향 신호를 발생시키는데 수반되는 주전자의 부품들의 제 2 유익한 실시예의 개략 단면도.

    도 1은 물을 끓이기 위해 사용되는데 적합한 전기 온수 주전자(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온수 주전자(1)는 힌지식으로 배열된 뚜껑(3)에 의해 폐쇄 가능하며 물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2), 주전자(1)의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데 적합한 손잡이(4), 및 물 배출 포트(5)를 포함한다. 또한, 온수 주전자(1)는 주전자(1)의 온/오프 스위치(도시되지 않음)를 사용자가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버튼 요소(6)와, 용기(2) 내에 존재하는 물에 열을 공급하기 위한 전기 가열 요소(7)를 포함한다. 도시된 예에서, 가열 요소(7)는 용기(2)의 바닥 영역(8)에 배열된다. 온/오프 스위치가 본래 공지된 방식으로 안전 스위치로서 기능하는데 적합하여서, 온수 주전자(1)의 작동 동안, 온/오프 스위치는 측정 지점에서의 온도가 특정 임계치 를 초과할 때 개방 위치로 전환하는 것을 유념하여야 한다. 버튼 요소(6)는 가동적으로 배열되고, 버튼 요소(6)의 위치와 온/오프 스위치의 위치는 직접적으로 관련된다.

    도시된 바와 같은 온수 주전자(1)는 주전자(1)의 전기 회로(도시되지 않음)를 본체에 연결하기 위한 전기 코드와 플러그를 포함한다. 그러나, 온수 주전자(1)가 소위 무선 주전자(1)인 것이 가능하고, 베이스 요소(도시되지 않음)는 주전자(1)를 지지하기 위해 제공되며, 베이스 요소는 전기 코드와 플러그를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에, 주전자(1)와 베이스 요소는 모두 주전자(1)가 베이스 요소 상에 놓여질 때 전기 접속을 만들기 위한 연결 수단을 포함한다. 별도의 베이스 요소의 적용의 중요한 이점은 전기 코드의 어떠한 방해 없이, 주전자(1)의 사용자가 주전자(1)를 취하고 주전자(1)를 운반하는 것이 자유롭다는 것이다.

    다음에, 온수 주전자(1)가 작동되는 방식이 기술된다. 제 1 위치에서, 주전자(1)의 사용자는 용기(2) 내의 수위를 체크하고, 필요하면, 뚜껑(3)을 개방 위치로 취하고 용기(2) 내로 물을 붓고 뚜껑(3)을 다시 폐쇄 위치로 놓는 것에 의해 물을 추가한다. 이어서, 사용자는 주전자(1)의 온/오프 스위치를 폐쇄하기 위한 위치로 버튼 요소(6)를 취하고, 가열 요소(7)는 용기(2) 내에 존재하는 물에 열을 공급하는 것과 같이 작동된다. 특정 시점에, 물은 끓기 시작하고, 짧은 시간 기간 후에, 온/오프 스위치는 개방 위치로 전환하며, 그 결과, 주전자(1)의 전기 회로는 차단되며, 가열 요소(7)는 작동이 멈추게 된다. 이 과정에서, 버튼 요소(6)의 위치는 버튼 요소(6)가 온/오프 스위치와 직접적으로 관련된다는 사실로 인하여 마찬가 지로 변하게 된다.

    고온 주전자(1)에서, 온/오프 스위치가 다시 개방 위치로 전환할 때 음향 신호가 방사되는 것을 실현하는 조치들이 취해져서, 사용자는 끓는 과정이 발생하고 물이 추가의 사용을 위해 준비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조치들 중 2개의 변형들이 도 2 내지 도 6에 기초하여 지금 설명되며, 도 2 내지 도 4는 제 1 변형을 도시하도록 소용되며, 도 5 및 도 6은 제 2 변형을 도시하도록 소용된다.

    도 2에서, 버튼 요소(6)의 사시도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버튼 요소(6)는 도 3 및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측이 개방되고, 버튼 요소(6)는 중공이며 공간(61)을 포함한다.

    도 3 및 도 4에서, 온수 주전자(1)의 고정적으로 배열된 부품들은 비교적 두꺼운 선들로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이러한 부품들 중 하나는 훅 형상 단부 부분(11)을 가지는 액추에이터(10)이며, 그 기능은 추후에 기술된다.

    버튼 요소(6) 내에는 가요성 바(21)를 포함하는 진동 요소(20)가 배열되며, 바(21)의 한 쪽 단부(22)는 연결 요소(23, 24)들을 통해 버튼 요소(6)의 외벽(62)에 고정 연결되고, 바(21)의 또 다른 단부(25)는 자유 단부이다. 바(21)는 버튼 요소(6)의 외벽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배열된다.

    다음에, 이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온수 주전자(1)의 온/오프 스위치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전환할 때, 이 경우, 용기(2) 내의 물이 짧은 시간 동안 끓었을 때, 음향 신호가 어떻게 발생하는지가 기술된다.

    도 3은 온/오프 스위치의 폐쇄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버튼 요소(6)를 도시하고, 도 4는 온/오프 스위치의 개방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버튼 요소(6)를 도시한다. 도 4는 온/오프 스위치의 개방 위치에서, 즉 온수 주전자(1)가 꺼진 상태에서, 액추에이터(10)와 진동 요소(20) 사이에는 아무런 접촉도 없다. 그러나, 온수 주전자(1)의 사용자는 온/오프 스위치를 폐쇄하고 주전자(1)의 가열 요소(7)를 작동시키기 위한 위치에 버튼 요소(6)를 놓을 때, 진동 요소(20)의 가요성 바(21)의 자유 단부(25)는 액추에이터(10)의 훅 형상 단부 부분(11) 너머로 이동되고, 바(21)의 단부(25)가 액추에이터(10)에 의해 유지되는 상태가 실현된다. 이러한 상태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온/오프 스위치가 개방 위치로 다시 전환할 때, 버튼 요소(6)의 위치는 마찬가지로 변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바(21)의 자유 단부는 잠깐 동안 훅으로 보유되어서, 연결 요소(23, 24)를 지나서 연장하는 바(21)의 자유 단부는 단부(25)가 궁극적으로 방면될 때까지 약간 굽혀진다. 이 순간에, 바(21)의 자유 단부는 버튼 요소(6)의 외벽(62)을 향하여 요동하고, 바의 자연적인 공명 진동수로 바(21)의 진동이 개시된다. 바(21)의 진동은 버튼 요소(6)가 공명하도록 하며, 버튼 요소(6)의 공간(61)은 공명 상자로서 기능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음향 신호가 얻어지며, 음향 신호는 버튼 요소(6)가 주전자(1)의 외측에 배열됨으로써, 온수 주전자(1)의 사용자에 의해 인식되기에 충분히 소리가 크고, 공명 효과에 기초하여 발생됨으로써, 비교적 길게 영속한다. 소리가 주전자(1)에 의해 발생되는 순간이 온/오프 스위치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전환하는 순간임에 따라서, 소리는 물이 끓어 주전자(1)가 다시 꺼진 상태인 것을 알리는 알람으로서 취해지는데 적합하다.

    상기된 배열의 대안은 버튼 요소(6)와 진동 요소(20)가 배열되는 온수 주전자(1)의 손잡이(4)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 5 및 도 6에 기초하여 기술된다. 이 경우에, 진동 요소(20)는 버튼 요소(6) 내에 배열되지 않지만, 진동 요소(20)는 손잡이(4)의 외벽(41)에 연결된다. 또한, 이 경우에, 별도의 액추에이터(10)가 없다. 대신에, 버튼 요소(6)는 버튼 요소(6)의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온/오프 스위치가 일치하여 변할 때 음향 신호가 발생되는 방식의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자명한 바와 같이, 버튼 요소(6)는 액추에이터로서 사용된다.

    도 5는 온/오프 스위치의 폐쇄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버튼 요소(6)를 도시하고, 도 6은 온/오프 스위치의 개방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버튼 요소(6)를 도시한다. 도 6은 온/오프 스위치의 개방 위치에서, 즉 온수 주전자(1)가 꺼진 상태에서, 버튼 요소(6)와 진동 요소(20) 사이에는 아무런 접촉이 없다. 그러나, 온수 주전자(1)의 사용자가 온/오프 스위치를 폐쇄하기 위한 위치에 버튼 요소(6)를 위치시켜 주전자(1)의 가열 요소(7)를 작동시킬 때, 버튼 요소(6)의 림(63)은 진동 요소(20)의 가요성 바(21)의 자유 단부(25) 너머로 움직여서, 림(63)은 손잡이(4)의 외벽(41)과 바(21)의 자유 단부(25) 사이에 위치된다. 이러한 상태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온/오프 스위치가 개방 위치로 다시 전환하고 버튼 요소(6)의 위치가 마찬가지로 변할 때, 바(21)의 자유 단부(25)는 손잡이(4)의 외벽(41)으로부터 다소 멀리 가압되어서, 연결 요소(23, 24) 너머로 연장하는 바(21)의 자유 부분은 버튼 요소(6)의 림(63)이 궁극적으로 바(21)의 자유 단부(25) 너머로 움직일 때까지 약간 굽혀진다. 이 순간에, 바(21)의 자유 단부(25)는 바(21)의 자연적인 공명 진동수로 손잡이(4)의 외벽(41)을 향하여 요동한다. 바(21)의 진동은 손잡이(4), 또는 적어도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부분을 공명시키고, 손잡이(4)는 공명 상자로서 기능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음향 신호가 얻어진다.

    이전의 기술로부터 이어, 본 발명에 따라서, 특정 기능을 가지는 온수 주전자(1)는 공명 상자로서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음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추가의 공명기에 대한 필요성이 없어서, 공간은 절약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특히 본 발명이 비교적 작은 물 주전자의 분야에 적용될 때 중요한 이점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이점은 음향 신호가 공명 효과에 기초하여 발생되고, 그 결과, 신호가 비교적 소리가 크고 긴 영속성일 수 있다는 것으로부터 따른다. 이러한 것은 특히 공명 상자로서 사용되는 주전자(1)의 부품이 주전자(1)의 외측에 위치될 때 확실하다.

    물이 준비되어 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하여 음향 신호를 발생시키는 목적을 위하여, 필요한 모든 것은 진동 요소(20)를 준비하고, 진동 요소(20)의 진동이 주전자(1)의 온/오프 스위치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전환할 때 유발되도록 이러한 진동 요소(20)를 배열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이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진동 요소(20)는 온/오프 스위치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버튼 요소(6)에 의해, 또는 진동 요소(20)가 버튼 요소(6)에 연결될 때 적절한 액추에이터(10)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어느 경우에서도, 온/오프 스위치의 위치가 전환될 때 버튼 요소(6)의 위치가 변한다는 사실로 사용된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가 상기된 예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실시예 및 변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한정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이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서 예시되고 기술되었지만, 이러한 예시 및 설명은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적이고 예로서 고려된다.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진동 요소(20)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실현 가능하고, 진동 요소(20)는 통상 공지된 소리굽쇠(tune fork)처럼 형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유체 또는 음식물의 준비 상태, 또는 필요한 임의의 다른 상황을 나타내기 위한 음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를 가질 필요가 없는 유체 또는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임의의 형태의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유념하여야 한다. 장치가 본 발명의 개시된 실시예들에 대해 기술된 바와 같은 온/오프 스위치와 버튼 요소(6)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 유사한 스위칭 장치가 진동 요소(20)를 작동시키는 목적을 위해 장치에 통합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 대한 변경은 도면,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연구로부터 청구된 발명을 실시하는데 있어서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으며 실행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용어 "포함하는"은 다른 단계 또는 요소들을 배제하지 않으며, 단수는 다수를 배제하지 않는다. 특정의 조치들이 상호 다른 종속항에서 인용된다는 단순한 사실은 이러한 조치의 조합이 유익하도록 사용될 수 없는 것을 나타내지 않는다. 청구항들에서의 임의의 참조 부호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앞에서, 온/오프 스위치를 가지는 전기 온수 주전자(1)가 기술되었다. 온/오 프 스위치는 주전자(1)의 전기 회로를 폐쇄하기 위한 위치로부터 주전자(1)의 용기(2) 내에 존재하는 물이 잠깐 동안 끓었을 때 전기 회로를 차단하기 위한 위치로 자동으로 전환하는데 적합하다. 온/오프 스위치는 가동 가능하게 배열된 버튼 요소(6)를 통하여 본래 공지된 방식으로 스위치의 위치에 의해 결정되는 위치를 수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온수 주전자(1)의 제 1 실시예에서, 버튼 요소(6)의 공간(61) 내에는 가요성 바(21)를 포함하는 진동 요소(20)가 배열된다. 온/오프 스위치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바(21)의 자유 단부(25)는 고정적으로 배열된 액추에이터(10)의 훅 형상 단부 부분(11)에 의해 유지된다. 온/오프 스위치가 개방 위치로 전환되자마자, 바의 자유 단부(25)는 궁극적으로 액추에이터(10)에 의해 방면되고, 바(21)의 자유 부분은 버튼 요소(6)의 외벽(62)을 향해 요동하고, 그 결과, 진동 요소(20)는 진동하기 시작하고 버튼 요소(6)는 공명하기 시작하여서, 소리가 발생된다.

    온수 주전자(1)의 제 2 실시예에서, 진동 요소(20)는 주전자(1)의 손잡이(4)의 외벽(41)에 연결되며, 버튼 요소(6)의 림(63)은 이러한 요소(20)의 진동을 유발하는 것과 같이 진동 요소(20)를 작동시키도록 사용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공인 손잡이(4)의 공간은 공명 상자로서 기능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자기력이 진동 요소(20)를 보유하고 방면하기 위해 적용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예를 들어, 에너지가 인가될 때 진동 부재(20)의 정상적인 방면 위치로부터 벗어난 위치에서 진동 부재(20)를 보유하고 에너지 인가가 해제될 때 진동 부재(20)를 방면하는데 적합한 전자석을 가지는 액추에이터가 제공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진동 부재(20)를 여기하고 액추에이터의 여기 작용에 의해 유발되는 진동 요소(20)의 지동을 방해하지 않는 것과 같이 신속하게 후퇴시키는데 적합한 임의의 액추에이터가 적용될 수 있다. 대체로, 액추에이터(11)가 본 발명에 따른 장치(1)에 적용되는 경우에, 액추에이터(11)는 기계적으로, 자기적으로, 또는 그 밖의 방식으로 진동 부재(20) 상에 작용하는 것과 같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유익하게, 액추에이터(11)가 주로 다른 목적을 제공하는 장치(1)의 부품에 의해 구성될 수 있어서, 장치(1)에서의 추가의 부품이 필요없다. 이러한 부품의 예는 장치(1)의 온/오프 스위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버튼 요소(6)이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