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쉬버튼스위치

申请号 KR1020010068099 申请日 2001-11-02 公开(公告)号 KR1020020037677A 公开(公告)日 2002-05-22
申请人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发明人 아사다마코토;
摘要 PURPOSE: To provide a push button switch having reduced probability of contact failure. CONSTITUTION: For the push button switch comprising a lower electrode mounted on a base board, and a dome-shaped upper electrode covering the upside of the lower electrode, the lower electrode has a hole or a concave part, and the upper electrode has a convex part which is convex downward, and by impressing a pressing force to the upper electrode, the convex part touches with the peripheral electrode of the hole or the concave part, and by releasing the pressing force, the upper electrode disjoins from the lower electrode by an elastic force.
权利要求
  • 기판상에 형성된 하부전극과, 상기 하부전극의 위쪽을 덮는 돔형상의 상부전극을 구비해서 이루어진 푸쉬버튼스위치로서,
    상기 하부전극이 구멍 또는 오목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전극이 밑으로 볼록한 볼록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전극에 압압력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볼록부분이 상기 구멍 또는 오목한 부분의 둘레부분 전극에 접촉하고, 상기 압압력을 해제함으로써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상부전극이 상기 하부전극에서부터 떨어져나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푸쉬버튼스위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전극이 회로패턴의 일부이며, 상기 회로패턴이 부분적으로 형성되어있지 않는부분을 상기 구멍 또는 오목부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푸쉬버튼스위치.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분이, 복수의 돌기를 구비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푸쉬버튼스위치.
  • 제 1항∼제 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분의 직경이 상기 구멍 또는 오목부분의 직경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하는 푸쉬버튼스위치.
  • 说明书全文

    푸쉬버튼스위치{PUSH BUTTON SWITCH}

    본 발명은 기판상에 제작된 회로패턴에 있어서의 스위치로서 기능하는 푸쉬버튼스위치에 관한것이다.

    종래, 도 6에 표시한 바와같은 푸쉬버튼스위치(10)이 제안되어 있었다. 푸쉬버튼스위치(10)은, 기판(2)위에 형성된 하부전극(3)과, 하부전극(3)의 위쪽을 덮도록 형성된 탄성변형자유 자재한 돔형상의 상부전극(4)를 구비해서 이루어진다. 상부전극(4)는 고정용테이프(7)에 의해서 기판(2) 위에 고정되고, 그 둘레 가장자리에서 상기 하부전극(3)과 이간된 배선패턴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있다. 상부전극(4)에 압압력을 인가해서 탄성변형 시킴으로써 상부전극(4)와 하부전극(3)이 접촉하고, 압압력을 해제함으로써 복원력에 의해 상부전극(4)가 하부전극(3)에서부터 떨어져나가서, 스위치의 ON·OFF의 절환이 행하여진다.

    또, 기판(2)등에서 발생한 기판부스러기나, 고정용테이프(7)에서 발생한 접착제의 찌꺼기등의 이물(9)가 상부전극(4)와 하부전극(3)의 사이에 끼어서, 양자의 사이에 접촉불량이 발생하는것을 막기위하여, 하부전극(3)중의, 상부전극의 꼭대기에 대향하는 위치에 구멍 또는 오목한 부분을 형성해서, 접점부근에서부터 이물(9)를 제거하는것을 목적으로한 푸쉬버튼스위치도 제안되어있다.

    그러나, 이물이 반드시 구멍 또는 오목한부분에 들어간다고는 할수없고, 이물이 구멍 또는 오목한부분의 주위에 멈추는것도 생각할수있다. 상부전극에 압압력을 인가해서 하부전극과 접촉시키게 했을경우, 상부전극의 곡율반경이 크기때문에, 상부전극과 하부전극과의 접촉면적이 커지게 되며, 이물이 구멍 또는 오목한부분의 주위에 존재하고있었던 경우라도, 상부전극과 하부전극 사이에 이물이 존재하고, 그들사이의 접촉이 이물에 의해서 방해되는 가능성이 있었다.

    또, 상부전극의 꼭대기와 구멍 또는 오목한 부분의 중심이 어긋나서 설치되었을경우는, 하부전극에 있어서의 구멍 또는 오목한 부분의 위치가 아니라, 그 주위의 평탄한 위치와 상부전극이 접촉하게되나, 상술한바와 마찬가지로 상부전극과 하부전극과의 접촉면적이 크기때문에, 그들사이에 이물이 끼워져서 전기적인 접속이 달성되지 않는 가능성이 높아진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에 비추어서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접촉불량의 확율을 저감시킨 푸쉬버튼스위치를 제공하는데있다.

    도 1은, 푸쉬버튼스위치의 사시도.

    도 2는, 푸쉬버튼스위치의 단면도.

    도 3은, 푸쉬버튼스위치에 압압력을 인가한 상태를 표시한 단면도.

    도 4는, 다른실시형태의 푸쉬버튼스위치를 표시한 도면.

    도 5는, 다른실시형태의 푸쉬버튼스위치를 표시한 도면.

    도 6은, 종래의 푸쉬버튼스위치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푸쉬버튼스위치2: 기판

    3: 하부전극4: 상부전극(금속플레이트)

    5: 구멍 또는 오목한부분6: 볼록부분

    7: 고정용테이프8: 회로패턴

    9: 이물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관한 푸쉬버튼스위치의 제 1의 특징구성은, 특허청구의 범위의 난의 청구항 1에 기재한 바와같이, 기판상에 형성된 하부전극과, 상기 하부전극의 위쪽을 덮는 돔형상의 상부전극을 구비해서 이루어진 푸쉬버튼스위치로서,

    상기 하부전극이 구멍 또는 오목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 전극이 밑으로 볼록한 볼록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전극에 압압력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볼록부분이 상기 구멍 또는 오목한 부분의 둘레부분 전극에 접촉하고, 상기 압압력을 해제함으로써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상부전극이 상기 하부전극에서부터 떨어져나가는점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관한 푸쉬버튼스위치의 제 2의 특징구성은, 특허청구의 범위의 난의 청구항 2에 기재한 바와같이 상기 하부전극이 회로패턴의 일부이며, 상기 회로패턴이 부분적으로 형성되어있지 않는 부분을 상기 구멍 또는 오목부분으로 하는 점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관한 푸쉬버튼스위치의 제 3의 특징구성은, 특허청구의 범위의 난의 청구항 3에 기재한 바와같이, 상기 제 1 또는 제 2의 특징구성에 부가해서, 상기 볼록부분이, 복수의 돌기를 구비해서 구성되는 점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관한 푸쉬버튼스위치의 제 4의 특징구성은, 특허청구의 범위의 난의 청구항 4에 기재한 바와같이, 상기 제 1∼제 3의 어느 한 항의 특징구성에 부가해서, 상기 볼록부분의 직경이 상기 구멍 또는 오목부분의 직경보다도 큰점에 있다.

    (발명의 실시의 형태)

    이하에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에 관한 푸쉬버튼스위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표시한 본 발명에 관한 푸쉬버튼스위치(1)은, 기판(2)위에 형성된 하부전극(3)과, 하부전극(3)의 위쪽을 덮는 돔형상의 상부전극(4)를 구비해서 이루어지고, 하부전극(3)이 구멍 또는 오목부분(5)를 형성하고, 상부전극(4)가 밑으로 볼록한 볼록부분(6)을 형성하고, 상부전극(4)에 압압력을 인가함으로써 상부전극(4)의 볼록부분(6)이 하부전극(3)의 구멍 또 오목한 부분(5)의 둘레부분전극에 접촉하고, 압압력을 해제함으로써 탄성력에 의해서 상부전극(4)가 하부전극(3)에서부터 떨어져나간다.

    더 구체적으로는, 도 1 및 도 2에 표시한 본 발명에 관한 푸쉬버튼스위치(1)은, 기판(2)에 하부전극(3)을 형성하고, 하부전극(3) 및 기판(2)의 일부에 구멍 또는 오목부분(5)을 형성하고, 밑으로 볼록한 볼록부분(6)을 형성한 돔형상의 금속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상부전극(4)를, 볼록부분(6)과 구멍 또는 오목부분(5)가 대응하도록 기판(2)를 덮어서 설치하고, 상부전극(4)를 고정용테이프(7)을 사용해서 기판(2)위에 고정해서 제작된다. 회로패턴(8)이 푸쉬버튼스위치와는 반대의 기판면상에 제작되어있는 경우는, 구멍 또는 오목부분(5)을 관통구멍으로서 이용하고, 하부전극(3)과 회로패턴(8)과의 전기적접속을 행한다. 고정용테이프(7)의 위에서부터 푸쉬버튼스위치(1)을 기구 또는 손가락등에 의해 누름으로써 상부전극(4)가 하부전극(3)과 접촉하고, 또 누른기구 또는 손가락을 떼므로서 상부전극고유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전극(4)가 하부전극(3)에서부터 떨어져나가고, 그것에 의해 푸쉬버튼스위치(1)을 사용한 ON·OFF조작이 행하여진다.

    도 3(a)에 표시한 바와같이, 상부전극(4)가 볼록부분(6)을 형성함으로써, 볼록부분(6)은 하부전극(3)에 대해서 수직방향에 가까운 각도를 가지고 접촉하기때문에, 접촉점의 주위에 있어서 상부전극(4)와 하부전극(3)을 크게 이간시킬수있다. 즉, 볼록부분(6)이 높이를 가지고있기때문에, 볼록부분(6)주변에는 천정이 높은 공간이 형성되어있다. 따라서, 상부전극(4)와 하부전극(3)의 사이에 이물이 존재했을 경우라도, 공간의 천정높이쪽이 이물의 높이보다도 높기때문에, 상부전극(4)와 하부전극(3)과의 전기적인 도통이 방해되는일은없다.

    또, 도 1에 표시한 바와같이 볼록부분(6) 및 구멍 또는 오목부분(5)가 다같이 원형인 경우에는, 상부전극(4)와 하부전극(3)과의 접촉상태는 원둘레를 따른 선접촉으로 할수있다. 또는, 구멍 또는 오목부분(5)를 4각형등의 다각형으로 형성했을 경우에는, 볼록부분(6)과 구멍 또는 오목부분(5)는 다수점 접촉하게 할수있다. 따라서, 상부전극(4)와 하부전극(3)의 사이에 부분적으로 이물이 끼워졌다고 하더라도, 다른접촉점부분에서 접촉상태가 확보된다.

    도 3(a)에서는, 구멍 또는 오목부분(5)의 중심과 볼록부분(6)의 중심을 일치시켜서 표시했으나, 실제로 제작할 경우에는 상부전극(4)의 중심과 하부전극(3)의 중심이 좌우로 어긋나서 장착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어긋나서 장착된 상태에서 압압력이 인가되더라도, 도 3(b)에 표시한 바와같이, 어느 선의 접촉부분이 강하게 압압되고, 다른부분이 거의 압압되지 않는 상태로 될뿐이며, 다수점에서 접촉하고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것에 변함이 없다.

    이하에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볼록부분이 단일의 돌기로 이루어지고, 그 직경이 구멍 또는 오목부분보다도 큰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으나, 볼록부분이 복수의 돌기를 구비해서 이루어진 경우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도 5(a) 및 도 5(b)에 표시한 바와같이 볼록부분(6)은 3개의 돌기를 구비해서 구성되어있고, 상부전극(4)에 압압력이 인가된 경우에는 각각의 돌기가 하부전극(3)과 접촉한다. 여기서, 볼록한 부분(6)의 크기는 도면중에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복수의 돌기가 형성된 범위에서 규정되고, 그 직경은 하부전극(3)의 구멍 또는 오목부분(5)의 직경보다도 크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부전극(4)와 하부전극(3)이 다수점에서 접촉하고, 이물에 의해서 어느점에 있어서의 접촉이불량하게 되었을 경우라도 다른점에 있어서의 접촉이 확보된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볼록부분(6)을 구성하는 돌기와 하부전극과의 사이에 이물이 존재한 경우라도, 그 돌기가 뾰족하게 되어있음으로써 이물을 밀어내고 하부전극(3)과 접촉시킬수있다.

    또, 상부전극(4)의 중심(또는, 볼록부분(6)의 중심)과 하부전극(3)의 중심(또는, 구멍 또는 오목부분(5)의 중심)이 어긋나서 배치된 경우라도, 마찬가지로, 어느 돌기가 하부전극(3)과 접촉할수 있기때문에, 상부전극(4)와 하부전극(3)과의 접촉이 방해되는 일은없다.

    또,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회로패턴(8)이 푸쉬버튼스위치(1)과는 반대의 기판면 위에 제작된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으나, 회로패턴(8)은 푸쉬버튼스위치(1)과 같은 기판면 위에 제작되어도 된다. 이하에 도 4를 참조해서 회로패턴(8)과 푸쉬버튼스위치(1)이 같은 기판면위에 제작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회로패턴(8)이 푸쉬버튼스위치와 같은 기판면위에 제작된 경우, 회로패턴(8)의 일부가 하부전극(3)이 된다. 즉, 회로패턴(8)을 부분적으로 제거하거나, 또는 제작하지않음으로써 구멍 또는 오목한 부분(5)가 형성된다. 회로패턴(8)이 부분적으로 형성되어있지 않는 구멍 또는 오목부분(5)의 위쪽을 덮도록 상부전극(4)가 형성되고, 상부전극(4)와 회로패턴(8)(하부전극(3))이 접촉함으로써 양자의 전기적도통이 달성된다.

    본 발명에 관한 푸쉬버튼스위치의 제 1의 특징구성에 의하면, 상부전극 및하부전극이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되기때문에, 상부전극과 하부전극을 1점으로 접촉시키는것이 아니라, 예를들면, 볼록부분이 원형이고 구멍 또는 오목부분이 4각형등의 경우에는 상부전극의 볼록부분의 둘레부분과 하부전극의 구멍 또는 오목부분의 둘레부분에 있어서의 다수점 접촉, 특히 구멍 또는 오목부분이 원형의 경우에는 각각의 둘레부분 끼리에 있어서의 선접촉을 시킬수있다. 상부전극과 하부전극과의 접촉은 면접촉이 아니고 다수점접촉이기 때문에, 어느 접촉점에 이물이 존재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다른 점에서 접촉이 행하여짐으로써 상부전극과 하부전극과의 전기적접촉을 확실하게 할수있다.

    또, 상부전극의 중심과 하부전극의 중심이 어긋나서 배치된 경우는 상부전극의 볼록부분과 하부전극의 평탄한 부분이 접촉하게되는 경우도 있으나, 이런경우에 있어서도, 상부전극의 볼록부분이 뾰족하게 되어있기때문에, 볼록부분의 높이로서 이물을 회피할수있고, 그 위에 이물을 밀어내어서 하부전극과 접촉할수도있다.

    같은 제 2의 특징구성에 의하면, 특정한 부분에 회로패턴을 제작하지 않음으로서, 그 부분을 구멍 또는 오목부분으로서 이용할수있다. 또, 푸쉬버튼스위치와 회로패턴이 동일한 기판면위에 형성되기때문에, 기판의 양면에 회로패턴을 형성하는 경우에 비교해서, 회로패턴의 제작을 간략화할수있다.

    같은 제 3의 특징구성에 의하면, 상부전극과 하부전극과의 사이의 독립된 접점수를 증대시킬수 있음으로써, 이물의 존재에 의해 어딘가의 접점의 접촉불량이 된 경우라 해도, 다른접점에 있어서 상부전극과 하부전극과의 사이의 전기적인 접촉을 확보할수있다.

    같은 제 4의 특징구성에 의하면, 도 3(a)에 예시한 바와같이, 볼록부를 형성하고 있지않는 경우에 비해서 상부전극의 볼록부분이 하부전극에 대해서 수직방향에 가까운 각도를 가지고 접촉하기 때문에, 접촉점의 주위에 있어서 상부전극과 하부전극을 크게 이간시킬수있다. 이간거리가 작은 경우는, 거기에 이물이 틈새에 끼게됨으로써 접촉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나, 이간거리가 크기 때문에 이물에 의한 영향을 받을 가능성을 배재할수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