릴레이

申请号 KR1019980708801 申请日 1997-04-24 公开(公告)号 KR1020000065174A 公开(公告)日 2000-11-06
申请人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发明人 미스미슈이치; 가와이미츠히로; 야마다다카아키;
摘要 본발명의릴레이는한쌍의관통구멍(32, 33)의각각의주위에형성한나선형평 코일(36a∼36d)을갖는코일플레이트(30)와, 이코일플레이트(30)의관통구멍(32, 33)을통해접촉분리가능하게대향하는고정접점(23a, 24a) 및가동접점으로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고정접점(23a, 24a)을절연상태로나란하게설치한한쌍의판형심체(21, 22)의한 면에각각설치한다. 한편, 상기가동접점을가동접점플레이트(40)의지지체(44)로부터연장되는힌지부(42)를통해판 두께방향으로구동이자유롭게지지된 1장의가동접점편(43)에설치하였다. 이때문에, 접촉신뢰성, 생산성이높고, 동작특성에편차가없는소형의릴레이가얻어진다.
权利要求
  • 한쌍의 관통 구멍의 각각의 주위에 형성한 나선형의 평 코일을 적어도 한층씩 갖는 코일 플레이트와,
    상기 코일 플레이트의 관통 구멍을 통해 접촉 분리 가능하게 대향하는 고정 접점 및 가동 접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 접점은절연 상태로 나란하게 설치한 한쌍의 판형 심체의 한 면에 각각 마련하고, 상기 가동 접점은가동 접점 플레이트의 지지체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부를 통해 판 두께 방향으로 구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1장의 가동 접점편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접점은, 상기 판형 심체의 한 면에 돌출되게 형성하고, 상기 코일 플레이트의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 가능한 돌출부인 철심의 선단부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점은, 상기 가동 접점편의 한 면에 돌출되게 형성하고, 상기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 가능한 돌출부의 선단부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 심체는, 상자형 베이스의 바닥면으로부터 노출되는 접점 단자의 접속 단부에 전기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점 플레이트는 도전성 자성재로 이루어진 박판에 평면이 대략 C자형인 슬릿을 마련하여 힌지부를 형성하고, 환형 지지체와 가동 접점편을 구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점 플레이트는 상기 상자형 베이스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형성한 환형 단부에 끼워맞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플레이트의 하면에 형성한 절연막에는 상기 판형 심체를 밀착 고정하고, 상기 코일 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한 절연막에는 상기 가동 접점 플레이트의 지지체를 밀착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리드 프레임으로부터 시작된 한쌍의 접점 단자의 접속 단부에 각각 전기 접속한 한쌍의 판형 심체를 베이스에 일체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리드 프레임로부터 시작된 한쌍의 접점 단자의 접속 단부에 각각 전기 접속한 한쌍의 판형 심체와, 리드 프레임으로부터 시작된 한쌍의 코일 단자의 접속 단부에 전기 접속한 코일 플레이트를 베이스에 일체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 한쌍의 관통 구멍의 각각의 주위에 형성한 나선형 평 코일을 적어도 한층씩 갖는 코일 플레이트와,
    상기 코일 플레이트의 관통 구멍을 통해 접촉 분리 가능하게 대향하는 고정 접점 및 가동 접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 접점을 1장의 판형 심체의 한 면에 각각 마련하는 한편, 상기 가동 접점을 가동 접점 플레이트의 지지체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부를 통해 판 두께 방향으로 구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1장의 가동 접점편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점 플레이트는 도전성 자성재로 이루어진 박판에 평면이 대략 C자형인 슬릿을 마련하여 힌지부를 형성하고, 환형 지지체와 가동 접점편을 구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점 플레이트의 지지체와 상기 코일 플레이트로 베이스를 협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점 플레이트의 지지체는 가동 접점편 및 힌지부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를 두께가 얇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에 관통 구멍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 제1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의 양단부는 가늘고 긴 힌지부를 형성하도록 가동 접점편 내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 제10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일 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한 절연막에는 철심을 갖는 판형 심체를 밀착 고정하고, 코일 플레이트의 하면에 형성한 절연막에는 가동 접점 플레이트의 지지체를 밀착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 제10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일 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한 절연막에는 철심을 갖는 판형 심체를 밀착 고정하고, 코일 플레이트의 하면에 형성한 절연막에는 스페이서를 개재하여 가동 접점 플레이트의 지지체를 밀착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 제10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자형 베이스의 상면 가장자리부에 코일 플레이트의 하면 가장자리부를 접합하여 일체화하고, 이 코일 플레이트의 관통 구멍을 철심을 구비한 판형 심체로 밀봉하여 형성한 밀봉 스페이서 내에 가동 접점 플레이트를 수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 제10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판형 심체의 하면 중에서 코일 플레이트와의 접합면에 절연막을 형성하고, 이 절연막과 동일한 재질로 코일 플레이트 및 상자형 베이스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 제10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닥면 코너부로부터 가동 접점 단자가 노출되고, 상면 가장자리부로부터 코일 단자 및 고정 접점 단자의 상단부가 노출되는 상자형 베이스와,
    상기 상자형 베이스 내에 수납되고, 상기 가동 접점 단자에 전기 접속된 가동 접점 플레이트와,
    상기 상자형 베이스의 상면 가장자리부에 밀착 고정되고, 상기 코일 단자의 상단부에 평 코일이 전기 접속된 코일 플레이트와,
    상기 코일 플레이트의 상면에 밀착 고정되고 하면에 돌출되게 설치된 철심이 상기 코일 플레이트의 관통 구멍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고정 접점 단자의 상단부에 전기 접속된 판형 심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 제21항에 있어서, 상자형 베이스의 상면 가장자리부로부터 돌출되는 코일 단자 및 고정 접점 단자의 상단부는 코일 플레이트 및 판형 심체에 형성한 대응하는 단자 구멍 또는 노치부에 각각 걸어맞추어 전기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 제21항에 있어서, 상자형 베이스의 상면 가장자리부로부터 면이 일치하게 노출되는 코일 단자 및 고정 접점 단자의 상단부 중에서 코일 단자의 상단부에는 코일 플레이트를 겹쳐 포개어 전기 접속하고, 이 코일 플레이트에 설치한 중계 도체를 통해 상기 고정 접점 단자의 상단부를 판형 심체에 전기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 제21항에 있어서, 상자형 베이스의 상면 가장자리부로부터 면이 일치하게 노출되는 코일 단자 및 고정 접점 단자의 상단부 중에서 코일 단자의 상단부에는 코일 플레이트를 겹쳐 포개어 전기 접속하며, 상기 고정 접점 단자의 상단부에 판형 심체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되게 설치한 접속 단부를 직접 접합하여 전기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점 플레이트의 가동 접점편에 박판형 연자성체를 접합하여 일체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판형 연자성체의 평면 형상을 상기 가동 접점 플레이트의 주변 가장자리부를 제외한 평면 형상과 대략 동일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 제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 심체의 적어도 한 변 가장자리부에 자기 회로 구성용 리브를 돌출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회로 구성용 리브의 단부가 상기 박판형 연자성체의 주변 가장자리부에 접촉 가능하게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 说明书全文

    릴레이

    종래, 대략 판형의 부품이 겹쳐 포개어져 구성되는 소형 릴레이로서는, 예컨대, 일본국 특허 공개 공보 평1-292725호에 기재된 릴레이가 있다.

    즉, 2개의 끼워맞춤 구멍을 가지고, 또한, 이 끼워맞춤 구멍을 중심으로 하여 대략 나선형으로 인쇄하여 형성된 적어도 2개의 프린트 코일부를 갖는 기판과, 단면이 대략 コ형상을 이루고, 또한, 양단부를 상기 끼워맞춤 구멍에 각각 끼워맞추어 돌출시킨 철심과, 일단부를 상기 돌출하는 철심의 한 쪽 단부에 고착하고, 또한, 중간부를 상기 돌출하는 철심의 다른 쪽 단부에 접촉 분리 가능하게 배치함과 함께, 자유 단부에 마련한 가동 접점이 상기 기판에 마련한 고정 접점에 접촉 분리 가능하게 대향하는 가동 접촉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이다.

    그렇지만, 전술한 릴레이에서는, 기판에 철심 및 가동 접촉편을 각각 다른 방향에서 조립하지 않으면 안되어, 위치 결정, 조립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조립 정밀도에 편차가 생기기 쉽다. 이 때문에, 생산성이 낮고, 동작 특성에 편차가 생기기 쉽다.

    또한, 전기 전도부와 자기 전도부가 따로따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장치의 소형화가 곤란하다.

    더욱이, 단일 접점이기 때문에, 접촉 신뢰성이 낮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릴레이는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접촉 신뢰성, 생산성이 높고, 동작 특성에 편차가 없는 소형의 릴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릴레이, 특히 대략 판형의 부품이 겹쳐 포개어져 구성되는 초소형 릴레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릴레이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릴레이의 단면도.

    도 3은 베이스에 삽입 성형되는 리드 프레임의 사시도.

    도 4는 리드 프레임을 삽입 성형한 상태를 나타내는 베이스의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한 베이스의 다른 각도로부터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베이스에 크림 땜납을 도포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파탄 사시도.

    도 7A는 고정 접점 유닛을 구성하는 판형 심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B는 조립 전의 단면도, 도 7C는 조립 후의 단면도.

    도 8A는 도 1의 코일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8B는 그 단면도.

    도 9A, 9B, 9C는 가동 접점 플레이트의 응용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A, 10B는 가동 접점 플레이트의 응용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릴레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릴레이의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릴레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한 릴레이의 단면도.

    도 15는 도 13에 도시한 베이스의 판형 심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6은 리드 프레임에 한쌍의 판형 심체를 위치 결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7은 리드 프레임을 삽입 성형한 상태를 나타내는 베이스의 사시도.

    도 18은 도 13에 도시한 베이스의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릴레이의 베이스에 리드 프레임을 삽입 성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0은 리드 프레임에 베이스를 일체로 성형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1은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릴레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2는 도 21에 도시한 릴레이의 단면도.

    도 23은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릴레이의 분해 사시도.

    도 24는 도 23에 도시한 릴레이의 단면도.

    도 25는 도 23에 도시한 베이스의 성형 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6은 도 23에 도시한 베이스의 성형 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7은 제7 실시 형태에 관한 릴레이의 분해 사시도.

    도 28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릴레이의 분해 사시도.

    도 29A, 도 29B는 도 28에 도시한 릴레이의 단면도.

    도 30A, 도 30B는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릴레이의 조립 도중을 도시한 평면도.

    도 31A, 도 31B는 전술한 제9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릴레이의 조립 도중을 도시한 평면도.

    도 32는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릴레이의 조립 완료 후의 단면도.

    도 33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에 관한 릴레이의 분해 사시도.

    도 34는 제10 실시 형태에 관한 릴레이의 실장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5A는 가동 접점 플레이트의 평면도, 도 35B는 가동 접점 플레이트에 스페이서를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5C는 가동 접점 플레이트에 스페이서를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6A, 도 36B는 가동 접점 플레이트의 다른 응용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7A, 도 37B는 가동 접점 플레이트의 별도의 응용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8A, 도 38B는 코일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평면도, 단면도.

    도 39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 형태에 관한 릴레이의 분해 사시도.

    도 40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에 관한 릴레이의 분해 사시도.

    도 41은 본 발명의 제13 실시 형태에 관한 릴레이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

    도 42A는 본 발명의 제13 실시 형태에 관한 릴레이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 도 42B는 그 개략 평면도.

    도 43은 본 발명의 제14 실시 형태에 관한 릴레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4는 본 발명의 제15 실시 형태에 관한 릴레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5A는 본 발명의 제16 실시 형태에 관한 릴레이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5B는 정면 단면도, 도 45C는 측면 단면도.

    도 46은 제16 실시 형태의 베이스를 나타내는 평면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위해서,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한쌍의 관통 구멍의 각각의 주위에 형성한 나선형 평(flat) 코일을 적어도 한층씩 갖는 코일 플레이트와, 이 코일 플레이트의 관통 구멍을 통해 접촉 분리 가능하게 대향하는 고정 접점 및 가동 접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 접점을 절연 상태로 나란하게 설치한 한쌍의 판형 심체(芯體)의 한 면에 각각 마련하는 한편, 상기 가동 접점을 가동 접점 플레이트의 지지체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부를 통해 판 두께 방향으로 구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1장의 가동 접점편에 설치한 릴레이에 있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의하면, 2개의 고정 접점에 가동 접점편이 접촉하기 때문에, 소위 더블 브레이크가 되어, 접촉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판형 심체, 코일 플레이트 및 가동 접점 플레이트가 순차로 겹쳐 포개어져 조립되는 층 구조이기 때문에, 조립이 용이하고, 조립 정밀도가 높다. 이 때문에 생산성이 높고, 동작 특성에 편차가 없는 박형의 소형 릴레이가 얻어진다.

    특히, 자기 전도부를 전기 전도부로 공용하고 있기 때문에, 부품수, 조립 공정수가 적어, 생산성이 보다 한층 높다.

    그리고, 한쌍의 판형 심체가 절연 상태로 나란하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소위 더블 브레이크 접점을 구성하게 된다. 이 때문에, 접점 사이의 거리가 실질적으로 길어져 절연 특성이 뛰어난 릴레이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상기 고정 접점을 상기 판형 심체의 한 면에 돌출되게 형성하고, 또한, 상기 코일 플레이트의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 가능한 돌출부인 철심의 선단부에 배치한 것이다. 또한, 제3 특징은, 상기 가동 접점을 상기 가동 접점편의 한 면에 돌출되게 형성하고, 또한, 상기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 가능한 돌출부의 선단부에 배치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제3 특징에 의하면, 가동 접점, 고정 접점 모두가 돌출부의 선단부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자속이 집중하여 자기 효율이 높은 릴레이가 얻어진다.

    제4 특징은, 상기 판형 심체를 상자형 베이스의 저면으로부터 노출되는 접점 단자의 접속 단부에 전기 접속한 것이다.

    제4 특징에 의하면, 상자형 베이스의 저면으로부터 노출되는 접점 단자의 접속 단부에 판형 심체를 전기 접속하기 때문에, 조립 작업에 손이 많이 가지 않아, 생산성이 높다.

    제5 특징은, 상기 가동 접점 플레이트가 도전성 자성재로 이루어지는 박판에 평면이 대략 C자형의 슬릿을 형성하여 힌지부를 형성함과 함께, 환형 지지체와 가동 접점편을 칸막이한 것이다.

    제5 특징에 의하면, 가동 접점 플레이트가 1장의 도전성 자성재로 이루어지는 박판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부품 단가가 싸고, 부품 정밀도, 조립 정밀도가 높은 릴레이가 얻어진다.

    제6 특징은, 상기 가동 접점 플레이트를 상기 상자형 베이스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형성한 환형 단부에 끼워 맞춘 것이다.

    제6 특징에 의하면, 베이스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형성한 환형 단부에 가동 접점 플레이트를 끼워 맞추어 조립하기 때문에, 가동 접점 플레이트의 조립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제7 특징은, 상기 코일 플레이트의 하면에 형성한 절연막에 상기 판형 심체를 밀착 고정시키는 한편, 상기 코일 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한 절연막에 상기 가동 접점 플레이트의 지지체를 밀착 고정시킨 것이다.

    제7 특징에 의하면, 코일 플레이트에 판형 심체 및 가동 접점 플레이트가 밀착되기 때문에, 보다 한층더 박형인 릴레이가 얻어진다.

    제8 특징은, 리드 프레임으로부터 시작된 한쌍의 접점 단자의 접속 단부에 각각 전기 접속한 한쌍의 판형 심체를 베이스에 일체로 성형한 것이다. 또한, 제9 특징은, 리드 프레임으로부터 시작된 한쌍의 접점 단자의 접속 단부에 각각 전기 접속한 한쌍의 판형 심체와, 리드 프레임으로부터 시작된 한쌍의 코일 단자의 접속 단부에 전기 접속한 코일 플레이트를 베이스에 일체로 성형한 것이다.

    제8, 제9 특징에 의하면, 리드 프레임을 통해 접속한 판형 심체, 코일 플레이트를 베이스에 일체로 성형할 수 있기 때문에, 연속 생산이 가능하게 되어, 생산성이 현저히 향상된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제10 특징은, 한쌍의 관통 구멍의 각각의 주위에 형성한 나선형 평 코일을 적어도 1층씩 갖는 코일 플레이트와, 이 코일 플레이트의 관통 구멍을 통해 접촉 분리 가능하게 대향하는 고정 접점 및 가동 접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 접점을 1장의 판형 심체의 한 면에 각각 마련하는 한편, 상기 가동 접점을 가동 접점 플레이트의 지지체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부를 통해 판 두께 방향으로 구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1장의 가동 접점편에 마련한 것이다.

    제10 특징에 의하면, 2개의 고정 접점에 가동 접점편이 접촉하기 때문에, 소위 트윈 접점 방식이 되어, 접촉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하 방향으로 가동 접점 플레이트, 코일 플레이트 및 철심이 순차로 맞붙여져 조립되는 층 구조이기 때문에, 조립이 용이하고, 조립 정밀도가 높다. 이 때문에, 동작 특성에 편차가 없고, 박형의 릴레이가 얻어진다.

    더욱이, 철심을 고정 접점으로 겸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지체와 가동 접점편이 힌지부를 통해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수, 조립 공정수가 적어, 생산성이 높다.

    제11 특징은, 상기 가동 접점 플레이트가 도전성 자성재로 이루어지는 박판에 평면이 대략 C자형의 슬릿을 형성하여 힌지부를 형성함과 함께, 환형 지지체와 가동 접점편을 칸막이한 것이다.

    제11 특징에 의하면, 가동 접점 플레이트가 1장의 도전성 자성재로 이루어지는 박판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부품 단가가 싸고, 부품 정밀도, 조립 정밀도가 높은 릴레이를 얻을 수 있다.

    제12 특징은, 상기 가동 접점 플레이트의 지지체와 상기 코일 플레이트로 스페이서를 협지한 것이다.

    제12 특징에 의하면, 스페이서를 마련함으로써, 가동 접점편의 회전 운동 공간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가동 접점편에 굽힘 가공을 실시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부품 정밀도가 높아지고, 가공 공정수가 감소한다.

    제13 특징은, 상기 가동 접점 플레이트의 지지체가 가동 접점편 및 힌지부보다도 두꺼운 것이다.

    제13 특징에 의하면, 별체의 스페이서를 마련할 필요가 없어, 부품수, 조립 공정수가 적은 릴레이가 얻어진다.

    제14 특징은, 상기 힌지부의 두께를 얇게 한 것이다. 제15 특징은, 상기 힌지부에 관통 구멍을 마련한 것이다. 제16 특징은, 상기 슬릿의 양단부가 가늘고 긴 힌지부를 형성하도록 가동 접점편 내로 연장시킨 것이다.

    제14, 15, 16 특징에 의하면, 작은 외력으로 가동 접점편을 회전 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고감도의 릴레이가 얻어진다.

    제17 특징은, 코일 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한 절연막에 철심을 갖는 판형 심체를 밀착 고정시키는 한편, 코일 플레이트의 하면에 형성한 절연막에 가동 접점 플레이트의 지지체를 밀착 고정시킨 것이다.

    제18 특징은, 코일 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한 절연막에 철심을 갖는 판형 심체를 밀착 고정시키는 한편, 코일 플레이트의 하면에 형성한 절연막에 스페이서를 개재하여 가동 접점 플레이트의 지지체를 밀착 고정시킨 것이다.

    제17, 18 특징에 의하면, 특수한 절연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확실하게 절연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코일 플레이트의 두께 치수를 관리하는 것만으로, 철심과 지지체 또는 스페이서와의 위치 관계가 결정되기 때문에, 동작 특성이 안정된다.

    제19 특징은, 상자형 베이스의 상면 가장자리부에 코일 플레이트의 하면 가장자리부를 접합하여 일체화함과 함께, 이 코일 플레이트의 관통 구멍을 철심을 구비한 판형 심체로 밀봉하여 막아 형성한 밀봉 공간 내에 가동 접점 플레이트를 수납한 것이다.

    제20 특징은, 판형 심체의 하면 중, 코일 플레이트와의 접합면에 절연막을 형성함과 함께, 이 절연막과 동일한 재질로 코일 플레이트 및 상자형 베이스를 형성한 것이다.

    제19, 20 특징에 의하면, 밀폐 구조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부식 가스나 이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밀폐 공간 내를 고진공으로 하거나, 절연성이 높은 가스나 액체를 충전하여 절연성을 높일 수 있다.

    제21 특징은, 저면 코너부로부터 가동 접점 단자가 노출됨과 함께, 상면 가장자리부로부터 코일 단자 및 고정 접점 단자의 상단부가 노출되는 상자형 베이스와, 이 상자형 베이스 내에 수납되고, 상기 가동 접점 단자에 전기 접속된 가동 접점 플레이트와, 상기 상자형 베이스의 상면 가장자리부에 밀착 고정되고, 상기 코일 단자의 상단부에 평 코일이 전기 접속된 코일 플레이트와, 이 코일 플레이트의 상면에 밀착 고정되고, 하면에 돌출되게 설치한 철심을 상기 코일 플레이트의 관통 구멍으로부터 돌출시킴과 함께, 상기 고정 접점 단자의 상단부에 전기 접속된 판형 심체로 이루어지는 릴레이에 있다.

    제21 특징에 의하면, 구성 부품을 동일 방향으로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성, 특히, 자동 조립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가동 접점편이 상자형 베이스의 저면에 위치하고, 코일 플레이트가 상자형 베이스의 상면 가장자리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평 코일과 가동 접점편과의 절연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제22 특징은, 상자형 베이스의 상면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는 코일 단자 및 고정 접점 단자의 상단부를 코일 플레이트 및 판형 심체에 마련한 대응하는 단자 구멍 또는 노치부에 각각 걸어맞추어 전기 접속한 것이다.

    제22 특징에 의하면, 상자형 베이스의 상면 가장자리부로부터 코일 단자 및 고정 접점 단자의 상단부가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을 코일 플레이트 및 판형 심체에 마련한 단자 구멍 또는 노치부에 각각 걸어맞추어 위치 결정할 수 있어, 조립 작업이 보다 한층더 용이하게 된다.

    제23 특징은, 상자형 베이스의 상면 가장자리부로부터 면이 일치하게 노출되는 코일 단자 및 고정 접점 단자의 상단부 중, 코일 단자의 상단부에 코일 플레이트를 겹쳐 포개어 전기 접속함과 함께, 이 코일 플레이트에 마련한 중계 도체를 통해 상기 고정 접점 단자의 상단부를 판형 심체에 전기 접속한 것이다.

    제23 특징에 의하면, 베이스의 제조가 용이하게 될 뿐만 아니라, 평 코일과 동일 공정으로 중계 도체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이 상승하지 않게 된다.

    제24 특징은, 상자형 베이스의 상면 가장자리부로부터 면이 일치하게 노출되는 코일 단자 및 고정 접점 단자의 상단부 중, 코일 단자의 상단부에 코일 플레이트를 겹쳐 포개어 전기 접속함과 함께, 상기 고정 접점 단자의 상단부에 판형 심체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되게 설치한 접속 단부를 직접 접합하여 전기 접속한 것이다.

    제24 특징에 의하면, 중계 도체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전기 접속의 신뢰성이 향상된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제25 특징은, 상기 가동 접점 플레이트의 가동 접점편에 박판형 연자성체를 접합하여 일체화한 것이다.

    제25 특징에 의하면, 가동 접점편에 박판형 연자성체를 접합하여 일체화하고 있기 때문에, 자기 포화가 쉽게 발생하지 않게 되어, 원하는 흡인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가동 접점편보다도 크게 형성함으로써, 판형 심체와의 대향 면적이 증대하기 때문에, 자속의 누설이 적게 되고, 자기 효율이 향상되어,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더욱이, 가동 접점편을 지지하는 힌지부를 형성하기 위한 슬릿을 폭이 넓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프레스 가공이 용이하게 되어 생산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가동 접점 플레이트와 연자성체를 별개의 재료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설계의 자유도가 커진다.

    제26 특징은, 상기 박판형 연자성체의 평면 형상을 상기 가동 접점 플레이트의 주변 가장자리부를 제외한 평면 형상과 대략 동일하게 한 것이다.

    제26 특징에 의하면, 박판형 연자성체가 취할 수 있는 최대 면적이 되어, 자기 효율이 최대가 된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제27 특징은, 상기 판형 심체의 적어도 한변 가장자리부에 자기 회로 구성용 리브를 돌출되게 형성한 것이다.

    제27 특징에 의하면, 판형 심체의 리브가 가동 접점 플레이트나 박판형 연자성체의 근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 때문에, 원하는 흡인력을 얻기 쉽고, 자속의 누설이 적어져, 자기 효율이 향상된다.

    제28 특징은, 상기 자기 회로 구성용 리브의 단부가 상기 박판형 연자성체의 주변 가장자리부에 접촉 가능하게 대향하는 것이다.

    제28 특징에 의하면, 박판형 연자성체의 주변 가장자리부에 판형 심체의 리브를 접촉시킬 수 있다. 특히, 박판형 연자성체를 취할 수 있는 최대 면적으로 하면, 자기 포화를 방지하면서, 최대의 자기 효율을 구비한 릴레이를 얻을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이어서, 본 발명에 관한 릴레이의 실시 형태를 도 1 내지 도 46의 첨부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릴레이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베이스(10), 고정 접점 유닛(20), 코일 플레이트(30), 가동 접점 플레이트(40) 및, 절연 커버(50)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베이스(10)는 평면이 대략 직사각형인 상자형 베이스 본체(11)에 코일 단자(14, 15) 및 접점 단자(16, 17)를 삽입 성형한 것이다. 상기 베이스 본체(11)의 저면(12)의 코너부에는 접점 단자(16, 17)의 접속 단부(16a, 17a)가 저면(12)과 면이 일치하게 노출되어 있음과 함께, 코일 단자(14, 15)의 접속 단부(14a, 15a)가 한층 높은 위치로부터 각각 노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본체(11)의 저면(12)의 중앙부에 절연용 돌출 바(12a)를 돌출되게 형성하여 둠과 함께, 베이스 본체(11)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환형 단부(段部)(13)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 성형 방법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리드 프레임(60)에 프레스 가공을 실시하여 코일 단자(14, 15) 및 접점 단자(16, 17)를 형성함과 함께, 이 접점 단자(16, 17)를 구부린다. 이 때문에, 접점 단자(16, 17)의 접속 단부(16a, 17a)는 코일 단자(14, 15)의 접속 단부(14a, 15a)보다도 한층 낮게 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은 금형으로 리드 프레임(60)을 협지하여 상자형 베이스 본체(11)를 성형한다(도 4). 이어서, 상기 코일 단자(14, 15) 및 접점 단자(16, 17)를 리드 프레임(60)으로부터 분리하고, 그 선단부를 베이스 본체(11)의 저면으로 굴곡시킴으로써, 베이스(10)가 완성된다(도 5). 이어서, 노출되는 상기 접속 단부(14a, 15a, 16a, 17a)에 전기 접속을 위해, 저온으로 용융하는 소위 크림 땜납(61)을 미리 도포해 둔다(도 6).

    고정 접점 유닛(20)은 도 1,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전성 자성재로 이루어지는 한쌍의 판형 심체(21, 22)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판형 심체(21, 22)는 그 각()부에 노치부(21a, 22a)를 각각 형성함으로써, 상기 베이스(11)의 저면(12)의 한 쪽 절반에 각각 집어넣을 수 있는 평면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판형 심체(21, 22)는 윗쪽으로 돌출되게 형성한 돌출부인 철심(23, 24)의 선단부를 고정 접점(23a, 24a)으로 하고 있다.

    또, 필요에 따라, 고정 접점(23a, 24a) 중, 후술하는 가동 접점편(43)에 접촉하는 부분에 도전성이 뛰어난 금, 백금 등의 접점 재료를 도금, 증착, 압접(壓接:pressure welding), 용접, 코킹 등에 의해 마련해 두어도 좋다.

    또한, 고정 접점(23a, 24a)은 판형 심체(21, 22)와 반드시 일체일 필요는 없고, 도 7A, 7B,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별체로 이루어지는 고정 접점(23a 24a)을 압입, 코킹, 납땜으로 판형 심체(21, 22)에 고정하여도 좋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0)의 저면(12)의 한 쪽 절반에 판형 심체(21, 22)를 각각 끼워맞춤으로써, 상기 절연용 돌출 바(12a)의 양측에 판형 심체(21, 22)가 절연 상태로 나란하게 설치된다.

    코일 플레이트(30)는 도 8A,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본체(11)의 저면(12)에 집어넣을 수 있는 평면 형상을 가지는 절연성 기판(31)으로 이루어지고, 그 중앙에 한쌍의 관통 구멍(32, 33)을 형성하는 한편, 이웃하는 각부의 하면에 접속 도체(34, 3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접속 도체(34)로부터 연장된 평 코일(36a)이 상기 관통 구멍(32)을 중심으로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평 코일(36a)의 선단부가 관통 구멍(37a)을 통해 절연성 기판(31)의 표면에 형성된 나선형의 평 코일(36b)에 전기 접속되어 있다. 더욱이, 평 코일(36b)의 선단부가 프린트된 리드선(37b)을 통해 기판(31)의 표면에 형성된 나선형의 평 코일(36c)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어서, 평 코일(36c)의 선단부가 관통 구멍(37c)을 통해 이면에 형성된 나선형의 평 코일(36d)에 전기 접속되어 있다. 더욱이, 평 코일(36d)은 접속 도체(35)에 접속되어 있다. 단, 상기 평 코일(36a) 및 평 코일(36d)은 서로 역방향의 자계가 발생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평 코일(36b) 및 평 코일(36c)도 같다.

    더욱이, 코일 플레이트(30)의 표면과 이면은 접속 도체(34, 35) 부분을 제외하고, 절연막(38)으로 피복되어 있다. 또, 접속 도체(34, 35), 평 코일(36a∼36d), 리드선(37b)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인쇄, 증착, 용사(溶射: thermal spraying), 에칭 등의 기존의 방법에서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 코일의 권수(卷數)는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고, 도면중에서 도시한 권수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코일 플레이트(30)를 상기 베이스(10)의 저면(12)에 끼우맞추고, 그 접속 도체(34, 35)를 코일 단자(14, 15)의 접속 단부(14a, 15a)에 각각 접촉하도록 위치 결정한다. 더욱이, 판형 심체(21, 22)의 철심(23, 24)에 코일 플레이트(30)의 관통 구멍(32, 33)을 끼워맞춤으로써, 고정 접점(23a, 24a)이 코일 플레이트(30)의 상면으로부터 약간 돌출된다(도 2).

    이어서, 판형 심체(21, 22) 및 코일 플레이트(30)를 조립한 베이스(10)를 가열로에 넣어 가열하여 미리 도포한 크림 땜납(61)을 용융시킴으로써, 코일 단자(14, 15)와 코일 플레이트(30)가 전기 접속됨과 함께, 접점 단자(16, 17)와 판형 심체(21, 22)가 각각 전기 접속된다.

    또, 전술한 코일 플레이트(30)에서는 절연성 기판(31)의 표면과 이면에 평 코일을 형성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한 면에만 평 코일을 형성하여도 좋고, 또는, 한 면에 평 코일을 형성한 2장의 절연성 기판을 맞붙여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동일 평면 위에 평 코일 및 절연막을 번갈아 적층하여 복수층으로 하여도 좋다.

    가동 접점 플레이트(40)는 상기 베이스 본체(11)의 환형 단부(13)에 끼워맞춤 가능한 평면 형상을 갖는 도전성 자성재로 이루어지는 박판이다. 그리고, 평면이 C자형의 슬릿(41)을 프레스 가공, 에칭 등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힌지부(42)를 형성함과 함께, 가동 접점편(43)과 환형 지지체(44)를 칸막이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가동 접점편(43)이 힌지부(42)를 지점으로 하여 판 두께 방향으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 필요에 따라서, 가동 접점편(43)의 상면 중, 적어도 상기 고정 접점(23a, 24a)과 접촉하는 부분에 도전성이 뛰어난 금, 백금 등의 접점 재료를 도금, 증착, 압접, 용접, 코킹, 납땜 등에 의해 형성해 두어도 좋고, 또한, 관통 구멍(32, 33)에 삽입 관통 가능한 돌출부를 돌출되게 형성해 두어도 좋다.

    그리고, 가동 접점 플레이트(40)는 상기 베이스(10)의 환형 단부(13)에 끼워 넣음으로써, 가동 접점편(43)이 고정 접점 유닛(20)의 고정 접점(23a, 24a)에 소정의 접점 갭을 유지하면서 접촉 분리 가능하게 대향한다.

    또, 상기 가동 접점 플레이트(40)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상기 힌지부(42)의 두께를 얇게 함으로써(도 9A), 작은 외력으로 가동 접점편(43)을 회전 운동 가능하게 하여, 고감도의 릴레이를 얻을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마찬가지로, 가동 접점 플레이트(40)는, 예컨대, 도 9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부(42)에 가늘고 긴 관통 구멍(42a)를 형성하여도 좋고, 또는, 도 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부(42) 자체를 가늘고 길게 하여도 좋다.

    더욱이, 가동 접점편(43)은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란하게 설치한 2개의 힌지부(42)를 형성함으로써, 가동 접점편(43)이 회전 운동하도록 지지하여도 좋다. 이 실시 형태에 의하면, 힌지부(42)가 1개인 경우와 같이, 가동 접점편(43)이 힌지부(42)를 중심으로 하여 비틀리지 않는다. 이 때문에, 소위 채터링(chattering)을 방지할 수 있어, 한쪽에만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불연속적인 2라인의 대략 コ형의 슬릿(41, 41)을 형성하고, 환형의 지지체(44)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크랭크형의 힌지부(42, 42)를 형성한다. 그리고, 이 힌지부(42, 42)에 의해 가동 접점편(43)을 지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실시 형태에 의하면, 가동 접점편(43)이 판 두께 방향으로 평행 이동하여, 고정 접점(23a, 24a)에 한쪽만 닿게 되지 않는다. 또한, 힌지부(42)가 길기 때문에, 단위 길이당 변형량이 작아져, 피로 파괴가 쉽게 생기지 않는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밀봉한 내부 기체의 저항에 의해, 가동 접점편(43)이 소망의 동작 스피드로 회전 운동할 수 없는 경우에는, 예컨대, 가동 접점편(43)에 1개 또는 복수개의 공기 배출용 관통 구멍(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해 두어도 좋다.

    또한, 지지체(44)는 가동 접점편(43)의 구동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 힌지부(42) 및 가동 접점편(43)보다도 두꺼운 것이라도 좋다. 이것에 의하면, 가동 접점 플레이트(40)를 코일 플레이트(30)에 직접 얹어 놓고 위치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 정밀도가 높다.

    그리고, 1조의 힌지부를 동일 직선상에 배치하거나, 또는, 2조의 힌지부를 열십자형으로 배치함으로써, 가동 접점편(43)을 양단에서 지지하여 판 두께 방향으로 변위시켜도 좋다. 이 실시 형태에 의하면, 외부 진동 등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어, 신뢰성이 높은 릴레이를 얻을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절연성 커버(5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접점 유닛(20), 코일 플레이트(30), 가동 접점 플레이트(40)를 조립한 상기 베이스(10)를 피복할 수 있는 평면 형상의 수지 성형품이다. 그러나, 반드시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에폭시 수지 등의 주입이나 저압 성형에 의해 일체로 성형하여도 좋다.

    또, 베이스(10) 및 절연 커버(50)를 폴리에테르설폰 등의 수지로 형성하고, 가열 압접. 초음파 용접, 용제 접착 등의 방법으로 접합 일체화함으로써, 밀폐 구조로 하여도 좋다.

    또한, 베이스 본체(11)와 절연 커버(50)를 세라믹, 유리로 형성하면, 양극(陽極) 접합에 의해 강고한 밀폐 구조가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밀폐 구조로 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부식 가스나 이물 등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밀폐 공간 내를 고진공으로 하거나, 절연성이 높은 가스(예컨대, 6불화유황가스)나 액체를 충전하여 밀봉하는 것에 의해, 절연성을 향상시켜도 좋다.

    이어서,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릴레이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코일 단자(14, 15)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아, 코일 플레이트(30)의 평 코일(36a∼36d)이 여자되어 있지 않는 경우, 가동 접점편(43)과 고정 접점(23a, 24a)이 소정의 접점 갭을 유지하면서 대향하고, 접점 단자(16, 17)는 개방(break) 상태이다.

    그리고, 코일 단자(14, 15)에 전압을 인가하여 평 코일(36a∼36d)을 여자하면, 판형 심체(21, 22)의 철심(23, 24)의 축심을 따라 서로 역방향의 자속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철심(23), 가동 접점편(43), 철심(24)에 의해 형성되는 닫힌 자기 회로에 자속이 흐른다. 그 결과, 가동 접점 플레이트(40)의 힌지부(42)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가동 접점편(43)이 판형 심체(21, 22)의 철심(23, 24)에 흡인되고, 고정 접점(23a, 24a)에 접촉하여 전기 회로를 닫도록 한다.

    따라서, 전기 회로는 접점 단자(16), 접속 단부(16a), 판형 심체(21), 고정 접점(23a), 가동 접점편(43), 고정 접점(24a), 판형 심체(22), 접속 단부(17a) 및, 접점 단자(17)에 의해 형성되게 된다.

    이어서, 상기 평 코일(36a∼36d)의 여자를 해제하면, 상기 자속이 소실되고, 힌지부(42)의 스프링력에 의해 가동 접점편(43)이 원래의 상태로 복귀한다. 이 때문에, 가동 접점편(43)이 고정 접점(23a, 24a)으로부터 분리되어 전기 회로가 개방 상태가 된다.

    제2 실시 형태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거의 동일하다. 다른 점은 접점 단자(16, 17)와 판형 심체(21, 22)의 접속 구조, 코일 단자(14, 15)와 코일 플레이트(30)의 접속 구조이다.

    즉, 접점 단자(16, 17)의 접속 단부(16a, 17a)가 베이스(10)의 저면(12)과 면이 일치하게 노출되어 있다. 또한, 코일 단자(14, 15)의 접속 단부(14a, 15a)가 상기 접점 단자(16, 17)의 접속 단부(16a, 17a)보다도 한층 높은 위치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한편, 판형 심체(21, 22)에는 이웃하는 각부에 접속용 노치부(21a, 21b, 22a, 22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코일 플레이트는 이웃하는 각부에 마련한 노치부(31a, 31b)에 접속 도체(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베이스(10)의 저면(12)에 한쌍의 판형 심체(21, 22)를 조립한 뒤, 접점 단자(16, 17)의 접속 단부(16a, 17a)에 판형 심체(21, 22)의 노치부(21b, 22b)를 땜납으로 전기 접속한다. 이어서, 베이스(10)에 코일 플레이트(30)를 조립하고, 코일 단자(14, 15)의 접속 단부(14a, 15a)에 코일 플레이트(30)의 접속 도체를 땜납으로 전기 접속한다. 그 외는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제3 실시 형태는 도 13 내지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실시 형태가 베이스(10)에 판형 심체(21, 22)를 후부착(後付着)하는 경우인 데 대하여, 베이스(10)에 판형 심체(21, 22)를 미리 일체로 성형하는 경우이다.

    베이스(10)와 판형 심체(21, 22)를 일체로 성형하기위해서는, 예컨대,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리드 프레임(60)에 프레스 가공을 실시하여 코일 단자(14, 15) 및 접점 단자(16, 17)를 형성한다. 이 때, 접점 단자(16, 17)의 접속 단부(16a, 17a)는 코일 단자(14, 15)의 접속 단부(14a, 15a)와 동일 평면 위에 위치하고 있다.

    이어서, 나란하게 설치한 한쌍의 판형 심체(21, 22)를 상기 리드 프레임(60)에 위치 결정하고(도 16), 판형 심체(21, 22)를 접점 단자(16, 17)의 접속 단부(16a, 17a)에 각각 용착하여 일체화한다. 이어서,도시하지 않은 금형으로 리드 프레임(60)을 협지하여 상자형 베이스 본체(11)를 일체로 성형한다(도 17). 그리고, 상기 코일 단자(14, 15) 및 접점 단자(16, 17)를 리드 프레임(60)으로부터 분리하고, 그 선단부를 베이스 본체(11)의 저면으로 굴곡시킴으로써, 베이스(10)가 완성된다. 그 외는 전술한 실시 형태와 거의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베이스(10)에 일체로 성형한 판형 심체(21, 22)는 고정 접점(23a, 24a) 부분을 제외하고, 합성 수지 피막(18)으로 피복되어 있다. 이어서, 노출하는 상기 접속 단부(14a, 15a)에 전기 접속하기위해서, 저온에서 용융하는 크림 땜납(도시하지 않음)을 미리 도포해 둔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조립 라인에서의 부품수가 적어지고, 조립 공정수가 감소되어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나란하게 설치한 판형 심체(21, 22)가 합성 수지 피막(18)으로 피복되기 때문에, 절연 특성이 향상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제4 실시 형태는, 도 19 및 도 20에 의하면, 전술한 제3 실시 형태는 모든 단자가 리드 프레임(60)으로부터 시작하는 경우인 데 대하여, 접점 단자(16, 17)를 판형 심체(21, 22)로부터 각각 연장시켜 구부리는 경우이다.

    즉, 리드 프레임(60)에 프레스 가공을 실시하여 코일 단자(14, 15)를 형성한다. 그리고, 구부려진 접점 단자(16, 17)가 연장된 판형 심체(21, 22)를 절연 상태로 나란하게 설치하여 상기 리드 프레임(60)에 위치 결정한다(도 19). 이어서, 도시하지 않은 금형으로 리드 프레임(60)를 협지하여 상자형 베이스 본체(11)를 일체로 성형한다(도 20). 더욱이, 상기 코일 단자(14, 15)를 리드 프레임(60)으로부터 분리하고, 그 선단부를 베이스 본체(11)의 저면으로 구부림으로써, 베이스(10)가 완성된다. 베이스(10)에 일체로 성형한 판형 심체(21, 22)는 고정 접점(23a, 24a) 부분을 제외하고, 합성 수지 피막(18)으로 피복되어 있다. 그 외는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제5 실시 형태는 도 21 및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철심(23, 24)의 기초부에 단부(段部)(23b, 24b)가 노출되도록 일체로 성형한 경우이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단부(23b, 24b)를 기준면으로 하여 일체로 성형할 수 있기 때문에, 판형 심체(21, 22)끼리의 두께 방향의 위치 결정 정밀도가 높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제6 실시 형태는 도 23 및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실시 형태가 별체의 코일 플레이트(30)를 베이스(10)에 후부착(後付着)하는 경우인 데 대하여, 베이스(10)에 코일 플레이트(30)를 일체로 성형하는 경우이다.

    삽입 성형 방법은 도 25 및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리드 프레임(60)에 프레스 가공을 실시하여 코일 단자(14, 15) 및 접점 단자(16, 17)를 형성함과 함께, 이 코일 단자(14, 15)의 선단부를 구부린다. 이 때문에, 코일 단자(14, 15)의 접속 단부(14a, 15a)는 접점 단자(16, 17)의 접속 단부(16a, 17a)보다도 한층 낮게 되어 있다.

    그리고, 나란하게 설치한 판형 심체(21, 22)를 리드 프레임(60)에 위치 결정하고(도 25), 접속 단부(16a, 17a)를 판형 심체(21, 22)에 웰딩(welding)하여 전기 접속한다. 이어서, 코일 플레이트(30)의 관통 구멍(32, 33)에 판형 심체(21, 22)의 철심(23, 24)을 끼워맞추고(도 26), 코일 플레이트(30)의 접속 도체(도시하지 않음)를 코일 단자(14, 15)의 접속 단부(14a, 15a)에 전기 접속한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은 금형으로 리드 프레임(60)을 협지하여 상자형 베이스 본체(11)를 성형한다. 더욱이, 상기 코일 단자(14, 15) 및 접점 단자(16, 17)를 리드 프레임(60)으로부터 분리하고, 그 선단부를 베이스 본체(11)의 저면으로 구부림으로써, 베이스(10)가 완성된다. 이어서, 베이스(10)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마련한 환형 단부(13)에 접점 플레이트(40)를 조립한다. 그 외는 전술한 실시 형태와 같이 처리함으로써, 조립 작업이 완료한다.

    제7 실시 형태는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제6 실시 형태가 베이스(10)의 환형 단부(13)에 가동 접점 플레이트(40)를 끼워맞추는 경우인 데 대하여, 가동 접점 플레이트(40)의 양측 가장자리부를 구부려 세워 형성한 리브(45, 45)를 베이스(10)의 절연 피막(18) 위에 직접 얹어서 조립하는 경우이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베이스(10)의 성형이 용이하게 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제8 실시 형태는 도 28 내지 도 2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3가지 다른 점을 제외하고, 전술한 제2 실시 형태와 같다.

    3가지 다른 점이란 판형 심체(21, 22)의 외측 가장자리부에 리브(25, 26)를 각각 형성한 점, 가동 접점 플레이트(40)의 가동 접점편(43)을 한쌍의 크랭크형 힌지부(42, 42)로 지지한 점, 및, 상기 가동 접점편(43)의 하면에 연자성체(46)를 일체화한 점이다.

    즉, 판형 심체(21, 22)의 리브(25, 26)는 연자성체(46)의 양단 가장자리부를 흡인하여 흡착시키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판형 심체(21, 22)사이의 갭에서의 자속의 누설이 적어져, 자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단, 연자성체(46)를 가동 접점 플레이트(40)에 조립하지 않고, 상기 리브(25, 26)가 가동 접점 플레이트(40)를 직접 흡인할 수 있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가동 접점 플레이트(40)의 가동 접점편(43)은 한쌍의 크랭크형의 힌지부(42, 42)로 지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가동 접점(43)이 기울지 않아 고정 접점(23a, 24a)에 한쪽만 닿지 않게 되어 접촉 신뢰성이 향상된다.

    더욱이, 상기 연자성체(46)는 자기 포화를 방지하여, 원하는 흡인력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연자성체(46)로서는, 예컨대, 비결정성 외에, 도전성을 갖는 순철. 퍼멀로이(permalloy), 자성 스테인레스, 퍼멘쥬루(permendur) 등을 들 수 있지만, 도전층을 도금 등으로 형성한 것이어도 좋다. 그리고, 상기 연자성체(46)는 적어도 가동 접점편(43)과 동등한 면적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가동 접점 플레이트(40) 전체의 면적보다도 약간 작은 것이라도 좋다. 또, 가동 접점 플레이트(40)로서는, 예컨대, 동계(銅系) 스프링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가동 접점 플레이트(40)와 연자성체(46)는 저항 용접, 레이저 용접, 납땜, 도금층을 개재한 초음파 압착 등의 기존의 방법으로 접합하여 일체화할 수 있다. 또, 연자성체(46)는 고정 접점(23a, 24a)과 대향하는 면에 접합하여 일체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릴레이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코일 플레이트(30)에 전압이 인가되어 있지 않아, 여자되어 있지 않은 경우, 가동 접점편(43)에 일체화시킨 연자성체(46)와 고정 접점(23a, 24a)이 소정의 접점 갭을 유지하면서 대향하고(도 29A), 접점 단자(16, 17)는 개방 상태이다.

    그리고, 코일 플레이트(30)에 전압을 인가하여 여자하면, 철심(23, 24)의 축심을 따라 서로 역방향의 자속이 각각 발생한다. 이 때문에, 도 2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철심(23), 연자성체(46), 철심(24)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 회로에 자속이 흐른다. 그 결과, 가동 접점 플레이트(40)의 크랭크형 힌지부(42, 42)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연자성체(46)가 판형 심체(21, 22)의 철심(23, 24)에 흡인되어 고정 접점(23a, 24a)에 접촉하여 전기 회로를 닫는다. 이것과 동시에, 연자성체(46)의 양단부가 판형 심체(21, 22)의 리브(25, 26)에 흡인되어, 자기 회로를 닫는다.

    또, 전기 회로는 접점 단자(16), 판형 심체(21), 고정 접점(23a), 연자성체(46), 고정 접점(24a), 판형 심체(22), 및, 접점 단자(17)에 의해 형성된다.

    이어서, 상기 코일 플레이트(30)에 대한 전압의 인가를 정지하여 여자를 해제하면, 상기 자속이 소실되어, 힌지부(42, 42)의 스프링력에 의해 연자성체(46)가 원래의 상태로 복귀한다. 이 때문에, 연자성체(46)가 고정 접점(23a, 24a)으로부터 분리되고, 전기 회로, 자기 회로가 개방 상태가 된다.

    제8 실시 형태에 의하면, 판형 심체(21, 22)에 리브(25, 26)가 각각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판형 심체(21, 22) 사이의 갭에 있어서의 자속의 누설이 적어져, 자기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가동 접점편(43)의 하면에 연자성체(46)를 접합하여 일체화하고 있기 때문에, 자기 포화가 쉽게 발생하지 않게 되어, 흡인력의 확보가 용이하게 된다.

    더욱이, 판형 심체(21, 22)를 연자성체(46)를 통해 넓은 면적으로 피복할 수 있기 때문에, 자속의 누설이 보다 한층 적어져, 자기 효율이 더욱 향상된다.

    그리고, 크기가 한정된 가동 접점 플레이트(40)로부터 큰 가동 접점편(43)을 잘라 내기위해서 슬릿(41, 41)을 가늘게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가동 접점 플레이트(40)의 제조가 용이하게 된다.

    이어서, 가동 접점 플레이트(40)의 힌지부(42)에 적합한 스프링재와, 연자성체(46)에 적합한 재료를 따로따로 선택할 수 있어, 선택의 자유도가 넓어지기 때문에, 설계가 용이하게 된다.

    더욱이, 가동 접점 플레이트(40)의 면적을 넓게 할 수 있어, 원하는 자기 회로를 형성하기 쉽게 된다. 이 때문에, 여러가지 형상을 갖는 요크(yoke)와의 접속이 용이하게 되어, 설계의 자유도가 보다 한층 커진다.

    또,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코일 플레이트(30)의 관통 구멍(32, 33)으로부터 돌출되는 고정 접점(23a, 24a)에 가동 접점편(43)을 접촉 분리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가동 접점편(43)에 돌출 가공, 플레어 아우트(flare out) 가공을 실시하거나, 또는, 별도의 부재의 가동 접점을 마련함으로써, 상기 관통 구멍(32, 33)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지 않는 고정 접점(23a, 24a)에 가동 접점편(43)의 상기 가동 접점을 접촉 분리시켜도 좋다.

    제9 실시 형태는 도 30A 내지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8 실시 형태와 거의 같고, 다른 점은 판형 심체(21, 22)의 대향하는 가장자리부에 한쌍의 리브(25, 25, 26, 26)를 각각 형성한 점이다(도 30B)

    즉, 상자형 베이스(10)의 절연용 돌출 바(12a)로 구획된 저면(12)의 한 쪽 절반에 판형 심체(21, 22)를 각각 집어넣고, 고정 접점 단자(16, 17)의 접속 단부(16a, 17a)에 각각 전기 접속한다.

    이어서, 판형 심체(21, 22)의 철심(23, 24)에 코일 플레이트(30)의 관통 구멍(32, 33)을 끼워맞추어 위치 결정함으로써, 고정 접점(23a, 24a)이 돌출된다(도 31A).

    한편, 가동 접점 플레이트(40)의 가동 접점편(43)의 하면에 연자성체(46)를 일체화한다. 그리고, 이 가동 접점 플레이트(40)를 상기 상자형 베이스(10)의 개구 돌기부에 형성한 평행 단부(13, 13)에 위치 결정하여 조립한다. 이것에 의해, 연자성체(46)의 중앙부가 상기 고정 접점(23a, 24a)에 접촉 분리 가능하게 대향함과 함께, 그 양측 가장자리부가 판형 심체(21, 22)의 리브(25, 26)에 접촉 분리 가능하게 각각 대향한다(도 31B).

    더욱이, 상기 상자형 베이스(10)의 상면 가장자리부에 커버(50)를 일체화하는 것에 의해, 조립 작업이 완료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릴레이는 코일 플레이트(30)의 여자, 소자에 의해, 연자성체(46)가 두께 방향으로 상하 이동한다. 이 때문에, 연자성체(46)의 중앙부가 고정 접점(23a, 24a)에 접촉 분리함과 함께, 그 가장자리부가 판형 심체(21, 22)의 한쌍의 리브(25, 26)에 각각 접촉 분리된다. 그 외는 전술한 제8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제9 실시 형태에 의하면, 연자성체(46)가 접촉 분리되는 판형 심체(21, 22)의 리브(25, 26)가 각각 한쌍이기 때문에, 제8 실시 형태보다도 자속의 누설이 적어져, 자기 효율이 보다 한층더 향상된다.

    또한, 코일 단자(14, 15) 및 고정 접점 단자(16, 17)의 접속 단부(14a, 15a, 16a, 17a)의 평면이 대략 삼각형이다. 이 때문에, 평면이 사각형인 경우보다도 성형 금형의 제조가 용이해져,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이어서, 제10 실시 형태에 관한 릴레이는 도 33 및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베이스(110), 가동 접점 플레이트(120), 스페이서(130), 코일 플레이트(140), 판형 심체(150) 및, 절연 커버(160)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베이스(110)는 평면이 대략 직사각형인 상자형 베이스 본체(111)에 한쌍의 코일 단자(113, 114), 가동 접점 단자(115) 및 고정 접점 단자(116)를 삽입 성형한 것이다. 그리고, 각각의 접속 단부(113a, 114a, 116a)가 베이스 본체(111)의 상면 가장자리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더욱이, 베이스 본체(111)의 상면에 형성한 오목부(112)의 저면 코너부로부터 환형의 접속 단부(115a)가 노출되어 있다.

    가동 접점 플레이트(120)는 도 35A, 도 35B 및 도 3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본체(111)의 오목부(112)에 끼워맞춤 가능한 평면 형상을 갖는 도전성 자성재로 이루어지는 박판이다. 그리고, 평면이 C자형의 슬릿(121)을 프레스 가공, 에칭 등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힌지부(122)를 형성함과 함께, 가동 접점편(123)과 환형 지지체(124)를 칸막이하고 있다. 특히, 상기 힌지부(122)는 두께가 얇게 되어 있어, 작은 외력으로 가동 접점편(123)을 회전 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고감도의 릴레이를 얻을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 필요에 따라서, 가동 접점편(123)의 상면 중, 적어도 후술하는 고정 접점(152a, 152b)과 접촉하는 부분에 도전성이 뛰어난 금, 백금 등의 접점 재료를 도금, 증착, 압접, 용접, 코킹, 납땜 등에 의해 설치해 두어도 좋다.

    그리고, 가동 접점 플레이트(120)는 상기 베이스(110)의 오목부(112)에 끼워넣어지고, 환형 지지체(124)를 상기 가동 접점 단자(115)의 접속 단부(115a)에 압접, 용접, 납땜 등의 방법으로 전기적 접속함으로써, 가동 접점편(123)이 힌지부(122)를 지점으로 하여 판 두께 방향으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 가동 접점 플레이트(120)는 전술한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도 3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부(122)를 가늘고 길게 하여도 좋다. 또한, 도 3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늘고 길게 한 힌지부(122)에 가늘고 긴 관통 구멍(125)을 형성하여도 좋다. 이러한 힌지부(122)를 형성함으로써, 보다 작은 외력으로 가동 접점편(123)이 판 두께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여, 보다 한층 고감도인 릴레이를 얻을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가동 접점 플레이트(120)는 예컨대, 도 3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힌지부(122)를 나란하게 설치하여 가동 접점편(123)을 지지하여도 좋다. 이 응용예에 의하면, 힌지부(122)를 하나만 마련한 경우와 같이, 가동 접점편(123)이 힌지부(122)를 중심으로 하여 누설되지 않기 때문에, 소위 채터링(chattering)을 방지할 수 있어, 한쪽만 닿는 현상이 없어진다.

    더욱이, 도 3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불연속적인 2라인의 슬릿(121)을 형성하고, 환형의 지지체(124)로부터 안쪽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크랭크형의 힌지부(122, 122)를 형성하며, 이 힌지부(122, 122)로 가동 접점편(123)을 지지하여도 좋다. 이 응용예에 의하면, 가동 접점편(123)이 판 두께 방향으로 평행 이동하기 때문에, 고정 접점(152a, 152b)에 한쪽만 닿거나 하지 않는다. 또한, 힌지부(122)가 길기 때문에, 단위 길이당 변형량이 작아져, 피로 파괴가 쉽게 생기지 않게 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밀봉한 내부 기체의 저항에 의해, 가동 접점편(123)이 원하는 동작 스피드로 회전 운동할 수 없는 경우에는, 예컨대, 가동 접점편(123)에 1개 또는 복수개의 공기 배출용 관통 구멍(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해 두어도 좋다.

    스페이서(130)는 상기 가동 접점편(123)의 회전 운동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베이스 본체(111)의 오목부(112)에 끼워맞춤 가능한 외주 형상을 갖는 환형의 절연재로 이루어지는 박판이다.

    그리고, 스페이서(130)가 상기 베이스(110)의 오목부(112)에 끼워넣어지고, 상기 가동 접점 플레이트(120)에 겹쳐 포개어짐으로써, 그 상면과, 베이스 본체(111)의 상면이 면이 대략 일치하게 된다(도 34). 또한, 스페이서(130)의 내주 가장자리부와 지지체(124)의 내주 가장자리부가 일치하고 있다(도 35C).

    또, 스페이서(130)는 반드시 환형일 필요는 없고, 예컨대, 평면이 대략 C자형의 불연속적인 것이어도 좋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가동 접점 플레이트(120)와 스페이서(130)가 별체로 이루어지는 것이었지만, 반드시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가동 접점 플레이트(120)의 상면에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스페이서(130)를 일체로 성형한 것이어도 좋다. 이러한 일체 성형으로 함으로써, 부품수, 조립 공정수가 감소되어, 조립 정밀도, 생산성이 향상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스페이서(130)는 반드시 필요하지 않고, 스페이서(130)를 마련하지 않는 경우에는, 가동 접점편(123)의 회전 운동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베이스(111)에 2단 낮은 오목부(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하고, 힌지부를 아래쪽으로 구부림으로써, 그 오목부의 저면 근방에 가동 접점편(123)을 위치 결정해 두어도 좋다.

    코일 플레이트(140)는 도 38A 및 도 3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본체(111)의 상면을 거의 피복할 수 있는 평면 형상을 갖는 절연성 기판(141)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코일 플레이트(140)는 그 중앙에 관통 구멍(142a, 142b)을 형성하는 한편, 이웃하는 각부의 상하면에 접속 도체(143, 144)가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베이스(110)의 코일 단자(113, 114) 및 고정 접점 단자(116)와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단자 구멍(145, 146, 14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접속 도체(144)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평 코일(148a)이 상기 관통 구멍(142a)을 중심으로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평 코일(148a)의 선단부가 관통 구멍(141a)을 통해 절연성 기판(141)의 이면에 형성된 나선형의 평 코일(148b)에 전기 접속되어 있다. 더욱이, 평 코일(148b)의 선단부가 프린트된 리드선(141b)을 통해 기판(141)의 이면에 형성된 나선형의 평 코일(148c)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어서, 평 코일(148c)은 관통 구멍(141c)을 통해 표면에 형성된 나선형의 평 코일(148d)에 전기 접속되어 있다. 더욱이, 표면의 평 코일(148b)은 프린트된 리드선(141d)을 통해 접속 도체(143)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코일 플레이트(140)의 표면과 이면은 절연막(149)으로 피복되어 있다. 또, 평 코일(148a∼148d)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예컨대, 인쇄, 증착, 용사(溶射), 에칭 등의 기존 방법에서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코일 플레이트(140)는 그 단자 구멍(145, 146, 147)을 코일 단자(113, 114)의 접속 단부(113a, 114a) 및 고정 접점 단자(116)의 접속 단부(116a)에 각각 끼워맞추어 조립한 후, 코일 단자(113, 114)의 접속 단부(113a, 114a)가 접속 도체(143, 144)에 압접, 용접, 납땜 등으로 각각 전기 접속된다.

    또, 전술한 코일 플레이트(140)에서는, 절연성 기판(141)의 표면과 이면에 평 코일(148a∼148d)을 형성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한 면에만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절연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면에 평 코일을 형성한 2장의 절연성 기판을 맞붙여 형성하여도 좋다. 더욱이, 평 코일 및 절연막을 번갈아 적층하여 복수층으로 하여도 좋다.

    판형 심체(150)는 상기 코일 플레이트(140)를 거의 피복할 수 있는 평면 형상을 갖는 도전성 자성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아래쪽으로 돌출되게 형성한 한쌍의 돌출부인 철심(151a, 151b)의 선단부를 고정 접점(152a, 152b)으로 하고 있다. 더욱이, 절연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치부(153, 154), 상기 베이스(110)의 고정 접점 단자(116)의 접속 단부(116a)에 전기 접속하기 위한 노치부(155)가 이웃하는 각부에 순차로 형성되어 있다.

    또, 필요에 따라서, 고정 접점(152a, 152b)중, 적어도 전술한 가동 접점편(123)에 접촉하는 부분에 도전성이 뛰어난 금, 백금 등의 접점 재료를 도금, 증착, 압접, 용접, 코킹 등에 의해 마련해 두어도 좋다.

    또한, 고정 접점(152a, 152b)은 판형 심체(150)와 반드시 일체일 필요는 없고, 별체로 이루어지는 고정 접점(152a, 152b)을 압입, 코킹, 납땜으로 판형 심체(150)에 고정하여도 무방하다. 예컨대, 판형 심체(150)에 별체의 고정 접점(152a, 152b)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의 관통 구멍을 형성해 두고, 조립의 최종 공정에서 접점 갭을 측정하면서, 소정의 위치까지 압입하여 고정해도 좋다.

    그리고, 상기 평 코일(140)의 관통 구멍(142a, 142b)에 판형 심체(150)의 철심(151a, 151b)을 각각 끼워맞추어 밀착 고정한다. 더욱이, 판형 심체(150)의 노치부(155)에 가동 접점 단자(116)의 접속 단부(116a)를 압접, 용접, 납땜, 코킹 등으로 전기 접속한다. 이것에 의해, 고정 접점(152a, 152b)이 코일 플레이트(140)의 하면으로부터 약간 아래쪽으로 돌출하고, 소정의 접점 갭을 유지하면서 가동 접점편(123)에 접촉 분리 가능하게 대향한다(도 34).

    또, 철심(151a, 151b)의 고정 접점(152a, 152b)을 제외한 판형 심체(150)의 하면에 폴리에테르설폰 등의 수지막을 형성한다. 한편, 베이스(110) 및 코일 플레이트(140)를 같은 수지로 형성하거나, 또는, 이들의 접합면에 같은 수지막을 형성한다. 그리고, 가열 압접, 초음파 용접, 용제 접착 등의 방법으로 접합 일체화함으로써, 밀폐 구조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본체(111)나 코일 플레이트(140)가 세라믹, 유리로 형성되어 있으면, 양극(陽極) 접합에 의한 것보다 강고한 밀폐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이러한 밀폐 구조로 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부식 가스나 이물 등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밀폐 공간 내를 고진공으로 하거나, 절연성이 높은 가스(예컨대, 6플루오르화유황가스)나 액체를 충전하여 밀봉하는 것에 의해, 절연성을 향상시켜도 좋다.

    절연성 커버(160)는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10)에 조립된 코일 플레이트(140), 판형 심체(150)를 피복하는 평면 형상의 수지 성형품이더라도 좋고, 또는, 에폭시 수지 등의 주입이나 저압 성형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그리고,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릴레이는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린트 기판(170)에 땝납(171)에 의해 표면에 실장된다.

    또, 전술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판형 심체(150), 스페이서(130)를 코일 플레이트(140)와 별체의 부품으로 구성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코일 플레이트(140)의 하면에 아웃 서드 성형 등으로 스페이서(130)를 일체로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반대로, 판형 심체(140)의 하면에 적어도 1층의 평 코일을 도금, 증착으로 일체로 형성하여도 좋다.

    이어서,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릴레이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코일 단자(113, 114)에 전압이 인가되어 있지 않아, 코일 플레이트(140)의 평 코일(148a, 148b)이 여자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가동 접점편(123)과 고정 접점(152a, 152b)이 소정의 접점 갭으로 대향하고, 가동 접점 단자(115)와 고정 접점 단자(116)는 개방 상태에 있다.

    그리고, 코일 단자(113, 114)에 전압을 인가하여 평 코일(148a∼148d)을 여자하면, 철심(151a, 151b)의 축심을 따라 서로 역방향의 자속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철심(151a), 가동 접점편(123), 철심(151b), 판형 심체(150)에 의해 형성되는 닫힌 자기 회로에 자속이 흐른다. 그 결과, 가동 접점 플레이트(120)의 힌지부(122)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가동 접점편(123)이 판형 심체(150)의 철심(151a, 151b)에 흡인되고, 고정 접점(152a, 152b)에 접촉되어, 전기 회로, 자기 회로를 닫는다.

    이어서, 상기 평 코일(148a∼148d)의 여자를 해제하면, 상기 자속이 소실되고, 힌지부(122)의 스프링력에 의해 가동 접점편(123)이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며, 가동 접점편(123)이 고정 접점(152a, 152b)으로부터 분리되어, 전기 회로, 자기 회로가 개방 상태가 된다.

    제11 실시 형태는 도 3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 단자(113, 114) 및 고정 접점 단자(116)의 접속 단부(113a, 114a, 116a)를 베이스 본체(111)의 상면 가장자리부와 면이 일치하게 되도록 매설한 경우이다.

    그리고, 전기 접속하기위해서 코일 플레이트(140)의 이웃하는 각부의 표면과 이면에 접속 도체(143, 144) 및 중계 도체(147a)를 마련한다. 더욱이, 이들을 상하로 도통시키기위해서 관통 구멍(143a, 144a, 147b)을 각각 마련해 둔다, 또한, 판형 심체(150)는 절연성을 확보하기위해서, 이웃하는 각부에 노치부(153, 154)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 접점 플레이트(120) 및 스페이서(130)를 조립한 베이스(110)에 코일 플레이트(140)를 얹는다. 그리고, 매설한 코일 단자(113, 114) 및 고정 접점 단자(116)의 접속 단부(113, 114a, 116a)에 코일 플레이트(140)의 접속 도체(143, 144) 및 중계 도체(147a)를 각각 전기 접속한다. 더욱이, 제10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코일 플레이트(140)에 밀착 고정한 판형 심체(150)가 상기 중계 도체(147a)를 통해 고정 접점 단자(116)에 전기 접속된다. 그 외는 전술한 제10 실시 형태와 거의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베이스 본체(111)를 세라믹 패키지로 구성한 경우이더라도, 코일 단자(113, 114) 등을 돌출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을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제12 실시 형태는 도 4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형 심체(150)의 각부에 돌출 가공을 실시하여 접속 단부(156)가 아래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이 접속 단부(156)와 고정 접점 단자(116) 사이에 위치하는 코일 플레이트(140)의 각부를 노칭하여 노치부(147c)를 형성한다. 그리고, 베이스(110)의 고정 접점 단자(116)의 접속 단부(116a)에 판형 심체(150)의 접속 단부(156)를 직접 접합하여 일체화함으로써 전기 접속한다. 그 외는 전술한 제10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코일 플레이트(140)의 중계 도체가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가공이 간단하게 됨과 함께, 조립 정밀도 및 접촉 신뢰성이 향상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제13 실시 형태는 도 41 내지 도 4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접점 단자(115) 및 고정 접점 단자(116)를 상자형 베이스 본체(111)에 삽입 성형하여 베이스(110)를 형성한다. 그리고, 이 베이스(110)의 저면에 고정 접점 플레이트(150)를 위치 결정하여 고정 접점 단자(116)에 전기 접속한다. 더욱이, 코일 플레이트(140)를 조립하고, 이어서, 상기 베이스 본체(111)의 상면 가장자리부에 가동 접점 플레이트(120)의 주변 가장자리부가 위치 결정되어 있다.

    가동 접점 플레이트(120)는 고투자율 비결정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 4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행하게 배치한 한쌍의 직선형 지지체(124, 124)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크랭크형의 힌지부(122, 122)로 가동 접점편(123)을 판 두께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베이스 본체(111)의 상면 가장자리부에 조립한 바닥이 얕은 상자형 절연 커버(160)로 밀봉되어 있다.

    따라서, 무(無) 여자인 경우에는, 힌지부(122, 122)에 매달려진 가동 접점편(123)이 고정 접점(152a, 152b)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그리고, 코일 플레이트(140)의 평 코일(148a, 148b)에 전압을 인가하여 여자하면, 도 42A의 점선으로 도시한 화살표 방향으로 자속이 생긴다. 이 때문에, 철심(151a, 151b)이 가동 접점편(123)을 흡인하고, 가동 접점편(123)이 힌지부(122, 122)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판 두께 방향으로 하강하여, 고정 접점(152a, 152b)에 접촉하여 전기 회로를 닫는다.

    더욱이, 평 코일(148a, 148b)에 대한 전압의 인가를 해제하여 여자를 해제하면, 힌지부(122, 122)의 스프링력에 의해, 가동 접점편(123)이 원래의 상태로 복귀한다. 그 외는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가동 접점편(123)이 판 두께 방향으로 평행하게 왕복 이동하기 때문에, 한쪽만 닿거나 하는 현상이 생기지 않는다. 또한, 힌지부(122, 122)의 단위 길이당 변위량이 작기 때문에, 피로 파괴가 쉽게 생기지 않는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코일 플레이트(140)의 관통 구멍(142a, 142b)으로부터 돌출되는 고정 접점(152a, 152b)에 가동 접점편(123)을 접촉 분리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가동 접점편(123)에 돌출 가공, 플레어 아우트 가공을 실시하거나, 또는, 별도의 부재의 가동 접점을 마련함으로써, 상기 관통 구멍(142a, 142b)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지 않는 고정 접점(152a, 152b)에 가동 접점편(123)의 상기 가동 접점을 접촉 분리시켜도 좋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가동 접점 플레이트(120)와 코일 플레이트(140) 사이에 보조 요크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효율적인 자기 회로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접점간 절연이 용이하게 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제14 실시 형태는 도 4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제10 실시 형태와 거의 같고, 다른 점은 크랭크형의 힌지부(122, 122)로 지지한 가동 접점편(123)의 상면에 연자성체(125)를 접합하여 일체화한 점이다.

    또, 상기 연자성체(125)는 전술한 제8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제15 실시 형태는 도 4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제14 실시 형태와 거의 같고, 다른 점은 연자성체(125)의 면적이 제14 실시 형태의 연자성체(125)보다도 큰 점이다. 단, 이 연자성체(125)는 스페이서(130)의 내측 가장자리부보다도 작은 외형 치수이면 좋다.

    제16 실시 형태는 도 45A 내지 도 4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이 얕은 상자형 베이스(110)의 오목부(112)에 각부를 잘라낸 판형 심체(150)를 집어넣고, 이어서, 고정 접점 단자(116)의 접속 단부(116a)에 전기 접속한 것이다(도 46). 상기 판형 심체(150)는 그 대향하는 양측 가장자리부에 리브(157, 157)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판형 심체(150)의 철심(151a, 151b)에 코일 플레이트(140)의 관통 구멍(142a, 142b)를 끼워맞추어 코일 단자(113, 114)의 접속 단부(113a, 114a)에 전기 접속한다. 이어서, 상기 상자형 베이스(110)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마련한 한쌍의 평행 단부(117, 117)에 하면에 연자성체(125)를 접합하여 일체화한 가동 접점 플레이트(120)를 위치 결정한 후, 이것을 가동 접점 단자(115)의 접속 단부(115a)에 전기 접속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상자형 베이스(10)의 상면에 커버(160)를 조립하여 밀폐한다.

    따라서, 상기 코일 플레이트(140)에 전압을 인가하면, 판형 심체(150)의 철심(151a, 151b)에 생긴 자속이 연자성체(125)를 흡인한다. 이 때문에, 연자성체(125)의 중앙부가 가동 접점 플레이트(120)의 힌지부(122, 122)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고정 접점(152a, 152b)에 흡착한다. 더욱이, 연자성체(125)의 양측 가장자리부가 판형 심체(150)의 리브(157, 157)에 흡인되어 자기 회로를 닫는다.

    이 때문에, 고정 접점 단자(116)의 접속 단부(116a), 판형 심체(150), 연자성체(125), 가동 접점 플레이트(120) 및 가동 접점 단자(115)의 접속 단부(115a)를 통해 전기 회로가 닫힌다. 더욱이, 판형 심체(150)의 철심(151b), 연자성체(125) 및, 철심(151a)을 통해 자기 회로가 닫힌다.

    이어서, 전술한 전압의 인가를 정지하면, 힌지부(122)의 스프링력에 의해, 연자성체(125)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고, 전술한 자기 회로 및 전기 회로가 개방 상태가 된다.

    본 발명에 관한 릴레이는 전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릴레이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