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속 발광 버튼키 및 금속 발광 버튼키 제조방법

申请号 KR1020140139232 申请日 2014-10-15 公开(公告)号 KR1020150105176A 公开(公告)日 2015-09-16
申请人 김무용; 发明人 김무용;
摘要 본 발명은 금속 발광 버튼키 및 금속 발광 버튼키 제조방법으로서, 버튼키의 외부로 문자 또는 부호의 형상을 따라 빛이 투과하는 금속 발광 버튼키 및 금속 발광 버튼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금속 발광 버튼키 제조방법은, 금속판을 가공하여 버튼본체를 형성하는 형상 가공단계; 상기 버튼본체의 배면에 광투과성 재질의 제1 투과부를 형성하는 제1 투과부 형성단계; 상기 버튼본체에 문자 또는 부호의 형상을 따라 전방으로 빛이 투과하도록 투광홈을 형성하고, 상기 투광홈에 의해 상기 버튼본체가 내측부와 외측부로 분리되는 투광홈 가공단계; 및 상기 제1 투과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버튼본체의 배면 및 상기 투광홈에 광투과성 재질의 제2 투과부를 형성하는 제2 투과부 형성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투광홈 가공단계에서 서로 분리되는 상기 내측부와 외측부는 상기 제1 투과부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权利要求
  • 금속판을 가공하여 버튼본체를 형성하는 형상 가공단계;
    상기 버튼본체의 배면에 광투과성 재질의 제1 투과부를 형성하는 제1 투과부 형성단계;
    상기 버튼본체에 문자 또는 부호의 형상을 따라 전방으로 빛이 투과하도록 투광홈을 형성하고, 상기 투광홈에 의해 상기 버튼본체가 내측부와 외측부로 분리되는 투광홈 가공단계; 및
    상기 제1 투과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버튼본체의 배면 및 상기 투광홈에 광투과성 재질의 제2 투과부를 형성하는 제2 투과부 형성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투광홈 가공단계에서 서로 분리되는 상기 내측부와 외측부는 상기 제1 투과부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발광 버튼키 제조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투과부 형성단계에서 상기 제1 투과부는 상기 버튼본체의 배면에 열접착제 도포 후 인서트 사출방식으로 상기 버튼본체와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내측부는 상기 제1 투과부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발광 버튼키 제조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투과부 형성단계에서 상기 제1 투과부는 접착제 부착방식 또는 열융착방식으로 상기 버튼본체에 부착되고,
    상기 내측부는 상기 제1 투과부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발광 버튼키 제조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투과부에는 상기 제1 투과부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투광홈과 연통되는 관통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발광 버튼키 제조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광홈은 후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투광홈에 상기 제2 투과부가 충전되어 형성될 때, 상기 투광홈에 형성된 상기 제2 투과부는 언더컷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내측부의 전방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발광 버튼키 제조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투과부는, 상기 버튼본체의 배면에 형성되는 제1 배면부와, 상기 제1 배면부로부터 돌출되어 걸림홈을 형성하는 제1 결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투과부는 상기 걸림홈에 충전되어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발광 버튼키 제조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광홈은 제1 투광홈과 제2 투광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투광홈에는 상기 제2 투과부가 형성되며,
    상기 버튼본체의 배면에는 상기 제2 투과부 형성단계 이전에 상기 제2 투광홈이 형성되어 있는 위치에 광투과성 재질의 유색패드를 배치하고,
    상기 제1 투광홈과 제2 투광홈을 통과한 빛은 적어도 서로 다른 두 가지 색으로 빛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발광 버튼키 제조방법.
  • 금속판에 문자 또는 부호의 형상을 따라 투광홈을 가공하고, 상기 투광홈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상기 금속판의 내측부와 외측부를 연결하는 리브를 형성하는 투광홈 가공단계;
    상기 리브를 가압하여 상기 금속판의 후방으로 돌출시키는 리브 가압단계;
    상기 금속판을 가공하여 버튼본체를 형성하는 형상 가공단계;
    상기 버튼본체의 배면에 광투과성 재질의 제1 투과부를 형성하는 제1 투과부 형성단계;
    상기 리브를 덮고 있는 상기 제1 투과부 일부와 함께 상기 리브를 제거하는 리브 제거단계; 및
    상기 제1 투과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버튼본체의 배면에 광투과성 재질의 제2 투과부를 형성하는 제2 투과부 형성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발광 버튼키 제조방법.
  • 문자 또는 부호의 형상을 따라 빛이 투과하는 투광홈이 형성되고, 상기 투광홈에 의해 내측부와 외측부로 분리되는 금속재질의 버튼본체;
    상기 버튼본체의 배면에 형성되어 상기 내측부와 외측부가 각각 부착되는 광투과성 재질의 제1 투과부; 및
    상기 제1 투과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버튼본체의 배면에 형성되는 광투과성 재질의 제2 투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투과부는, 상기 버튼본체의 배면에 형성되는 제1 배면부와, 상기 제1 배면부로부터 돌출되어 걸림홈을 형성하는 제1 결합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투과부는, 상기 걸림홈에 충전되어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를 덮는 제2 배면부와, 상기 제2 배면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버튼본체의 후방으로 돌출되며 전자기기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발광 버튼키.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투과부에는 상기 제1 투과부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투광홈과 연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 투과부는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투광홈에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발광 버튼키.
  • 说明书全文

    금속 발광 버튼키 및 금속 발광 버튼키 제조방법{Metal lighting button key and mak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금속 발광 버튼키 및 금속 발광 버튼키 제조방법으로서, 버튼키의 외부로 문자 또는 부호의 형상을 따라 빛이 투과하는 금속 발광 버튼키 및 금속 발광 버튼키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버튼키는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나 기타 전자제품 또는 차량 등에 설치되는 전자기기에 사용된다. 이러한 버튼키는 제작방법에 따라 필름 인서트 타입(film insert type)과 몰드 타입(mold type)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필름 인서트 타입의 버튼키는, 플라스틱의 얇은 필름에 글자부와 백라이팅부를 인쇄한 후 상기 필름을 버튼 형상으로 포밍(forming)하고, 상기 필름을 사출 금형에 삽입하여 투명한 플라스틱과 함께 일체로 제작한다.

    몰드 타입의 버튼키는, 투명한 플라스틱 버튼을 사출 성형하고, 상기 버튼을 도색한 후 글자 표시부분을 레이저 마킹하여 투명하게 만들며, 상기 버튼의 표면을 UV코팅하여 제작한다.

    그러나 필름 인서트 타입의 버튼키는 장시간 사용시에 필름 부분이 박리되는 형상이 발생하고, 열충격 테스트시에 필름과 플라스틱 사출부가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하며, 특히 버튼키의 질감이 고급스럽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몰드 타입의 버튼키는 내마모 신뢰성이 떨어지고, 금속의 질감을 표현할 수 없기 때문에 질감의 표현에 한계가 있으며, 금속에 적용 가능한 후가공 기술을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47275호에는 금속으로 제작된 버튼키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버튼키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먼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두께의 금속시트(S)를 준비하고,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금속시트(S)를 프레스 또는 다이캐스팅 등의 기법으로 버튼 모양의 케이스(10)로 성형한다. 이때, 케이스(10)의 내부에는 공간부(13)가 형성된다. 그리고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 표면을 커팅하여 숫자나 문자 형상의 표시공(11)을 형성한다. 이러한 케이스(10)를 금형에 인서트한 후 액상의 투명한 열가소성수지를 케이스(10)의 공간부(13)에 투입하여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부(13) 및 표시공(11)에 투명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충진부(20)를 형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버튼키는 "0"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을 포함하는 표시공(11)을 형성할 경우 표시공(11)에 의해 케이스(10)가 안쪽 부분과 바깥쪽 부분으로 분리되기 때문에, 안쪽 부분이 분리되어 문자의 형상이 제대로 표시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서로 분리되는 안쪽 부분과 바깥쪽 부분을 연결하는 지지부(14)를 형성하였다.

    그러나 안쪽 부분과 바깥쪽 부분을 연결하기 위하여 표시공(11)에 지지부(14)를 형성함으로써, 지지부(14)가 버튼키의 외부로 노출되어 버튼키의 미관을 해치고, 표시공(11)을 통해 외부로 투과되는 빛이 지지부(14)에 의해 가려져 문자의 일부분이 표시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문자 또는 부호의 형상을 따라 버튼키의 외부로 투과되는 빛이 일부 가려지거나 단절됨 없이 문자 또는 부호의 형상을 완전하게 표현할 수 있는 금속 발광 버튼키 및 금속 발광 버튼키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금속 발광 버튼키 제조방법은, 금속판을 가공하여 버튼본체를 형성하는 형상 가공단계; 상기 버튼본체의 배면에 광투과성 재질의 제1 투과부를 형성하는 제1 투과부 형성단계; 상기 버튼본체에 문자 또는 부호의 형상을 따라 전방으로 빛이 투과하도록 투광홈을 형성하고, 상기 투광홈에 의해 상기 버튼본체가 내측부와 외측부로 분리되는 투광홈 가공단계; 및 상기 제1 투과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버튼본체의 배면 및 상기 투광홈에 광투과성 재질의 제2 투과부를 형성하는 제2 투과부 형성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투광홈 가공단계에서 서로 분리되는 상기 내측부와 외측부는 상기 제1 투과부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제1 투과부 형성단계에서 상기 제1 투과부는 상기 버튼본체의 배면에 열접착제 도포 후 인서트 사출방식으로 상기 버튼본체와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내측부는 상기 제1 투과부에 부착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1 투과부 형성단계에서 상기 제1 투과부는 접착제 부착방식 또는 열융착방식으로 상기 버튼본체에 부착되고, 상기 내측부는 상기 제1 투과부에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투과부에는 상기 제1 투과부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투광홈과 연통되는 관통공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투광홈은 후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투광홈에 상기 제2 투과부가 충전되어 형성될 때, 상기 투광홈에 형성된 상기 제2 투과부는 언더컷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내측부의 전방 이탈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1 투과부는, 상기 버튼본체의 배면에 형성되는 제1 배면부와, 상기 제1 배면부로부터 돌출되어 걸림홈을 형성하는 제1 결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투과부는 상기 걸림홈에 충전되어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투광홈은 제1 투광홈과 제2 투광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투광홈에는 상기 제2 투과부가 형성되며, 상기 버튼본체의 배면에는 상기 제2 투과부 형성단계 이전에 상기 제2 투광홈이 형성되어 있는 위치에 광투과성 재질의 유색패드를 배치하고, 상기 제1 투광홈과 제2 투광홈을 통과한 빛은 적어도 서로 다른 두 가지 색으로 빛난다.

    또한, 본 발명의 금속 발광 버튼키 제조방법은, 금속판에 문자 또는 부호의 형상을 따라 투광홈을 가공하고, 상기 투광홈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상기 금속판의 내측부와 외측부를 연결하는 리브를 형성하는 투광홈 가공단계; 상기 리브를 가압하여 상기 금속판의 후방으로 돌출시키는 리브 가압단계; 상기 금속판을 가공하여 버튼본체를 형성하는 형상 가공단계; 상기 버튼본체의 배면에 광투과성 재질의 제1 투과부를 형성하는 제1 투과부 형성단계; 상기 리브를 덮고 있는 상기 제1 투과부 일부와 함께 상기 리브를 제거하는 리브 제거단계; 및 상기 제1 투과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버튼본체의 배면에 광투과성 재질의 제2 투과부를 형성하는 제2 투과부 형성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금속 발광 버튼키는, 문자 또는 부호의 형상을 따라 빛이 투과하는 투광홈이 형성되고, 상기 투광홈에 의해 내측부와 외측부로 분리되는 금속재질의 버튼본체; 상기 버튼본체의 배면에 형성되어 상기 내측부와 외측부가 각각 부착되는 광투과성 재질의 제1 투과부; 및 상기 제1 투과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버튼본체의 배면에 형성되는 광투과성 재질의 제2 투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투과부는, 상기 버튼본체의 배면에 형성되는 제1 배면부와, 상기 제1 배면부로부터 돌출되어 걸림홈을 형성하는 제1 결합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투과부는, 상기 걸림홈에 충전되어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를 덮는 제2 배면부와, 상기 제2 배면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버튼본체의 후방으로 돌출되며 전자기기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 투과부에는 상기 제1 투과부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투광홈과 연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 투과부는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투광홈에 충전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금속 발광 버튼키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버튼본체의 배면에 제1 투과부를 형성하여, 문자 또는 부호의 형상을 따라 버튼본체의 외부로 투과되는 빛이 일부 가려지거나 단절됨 없이 문자 또는 부호의 형상을 완전하게 표현할 수 있으며, 버튼키의 시인성을 높이고 고급스러움과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버튼본체에 투광홈을 형성할 때 후방으로 갈수록 투광홈의 단면적이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함으로써, 투광홈에 형성되는 제2 투과부에 의해 내측부가 전방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투과부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제2 투과부에는 걸림홈에 충전되어 형성되는 걸림부가 형성됨으로써, 제1 투과부와 제2 투과부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버튼본체의 배면에 유색패드를 추가함으로써, 하나의 금속 발광 버튼키에서 다양한 색상의 빛이 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버튼키 제조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속 발광 버튼키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금속 발광 버튼키 제조방법의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형상 가공단계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투과부 형성단계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투광홈 형성단계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투과부 형성단계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금속 발광 버튼키 제조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금속 발광 버튼키 제조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금속 발광 버튼키 제조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투광홈 가공단계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리브 가압단계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형상 가공단계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제1 투과부 형성단계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리브 제거단계를 나타낸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제2 투과부 형성단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차량의 엔진 스타트/스탑 버튼으로서, 빛이 버튼키의 표면에 새겨져 있는 영문 문자를 투과함으로써 버튼키의 시인성을 높이고 심미감 및 고급스러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버튼키를 제조함에 있어서, 버튼키에 새겨져 있는 문자 중 "R", "O", "P"와 같은 문자는 버튼키의 표면을 가공하여 동일한 형상의 홈을 형성함에 따라 버튼키가 내측부와 외측부로 분리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문자 형상의 내측부가 분리되어 이탈하거나 정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고정하여 완전한 형상의 문자를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도 2에 표시되어 있지 않은 유사한 형태의 다른 문자나 부호 등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속 발광 버튼키는 전방 및 후방으로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며, 전방 및 정면은 문자 또는 부호 형상의 투광홈이 노출되는 방향이고, 후방 및 배면은 오목하게 형성되어 제2 투과부가 형성되는 방향이다. 도면에 따라 전방 및 후방이 향하는 방향은 달라질 수 있다.

    제1 실시예

    도 4(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형상 가공단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버튼본체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b)는 형상 가공단계에 따라 형성된 버튼본체의 정면사시도이며, 도 5(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투과부 형성단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버튼본체 및 제1 투과부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b)는 제1 투과부 형성단계에 따라 제1 투과부가 형성되어 있는 버튼본체의 배면도이며, 도 6(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투광홈 형성단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버튼본체 및 제1 투과부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b)는 투광홈 형성단계에 따라 투광홈이 형성되어 있는 버튼본체의 정면사시도이며, 도 7(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투과부 형성단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금속 발광 버튼키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b)는 금속 발광 버튼키의 정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금속 발광 버튼키 제조방법은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 가공단계, 제1 투과부 형성단계, 투광홈 가공단계 및 제2 투과부 형성단계로 이루어진다.

    형상 가공단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버튼본체(110)를 형성한다. 이때, 금속판은 알루미늄(Al)이나 SUS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금속판은 외관을 고급스럽게 표현하기 위하여 표면처리를 할 수 있으며, 표면처리는 도금, 산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제1 투과부 형성단계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본체(110)의 배면에 광투과성 재질(투명 재질 또는 그 외 빛이 투과할 수 있는 재질)의 제1 투과부(200)를 형성한다. 먼저, 버튼본체(110)의 배면에 열경화성 접착제를 도포한 후 가열 건조시켜 접착제층(미도시)을 형성하고, 인서트 사출방식으로 제1 투과부(200)를 버튼본체(110)와 일체로 형성한다. 접착제층은 버튼본체(110)의 배면에 제1 투과부(200)를 형성할 때 버튼본체(110)와 제1 투과부(200)의 접착력을 높인다. 또한, 접착제 부착방식 또는 열융착방식으로 버튼본체(110)의 배면에 제1 투과부(200)를 바로 부착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투과부(200)는 제1 배면부(210)와 제1 결합부(220)로 이루어진다. 제1 배면부(210)는 버튼본체(110)의 배면에 형성되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5(b)에서 A로 표시된 부분은 투광홈 가공단계에서 투광홈(111)이 형성될 부분이다. 이에 따라 제1 배면부(210)는 투광홈 가공단계를 통해 서로 분리되는 내측부(110a)와 외측부(110b)를 각각 지지하여 투광홈의 형상이 유지되도록 한다. 더욱 자세한 설명은 투광홈 가공단계를 참고한다. 제1 결합부(220)는 제1 배면부(210)로부터 돌출되어 걸림홈(221)을 형성한다. 제1 결합부(220)는 걸림홈(221)을 형성하여 제2 투과부(300a)와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제1 배면부(210)의 외곽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후방으로 절곡되고, 다시 내측으로 절곡되어 내측 중심부 방향으로 개방된 걸림홈(221)을 형성한다. 이러한 제1 결합부(220)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 이상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된 걸림홈(221)에 제2 투과부(300a)가 충전되어 형성됨으로써 제1 투과부(200)와 제2 투과부(300a)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만약, 본 발명의 금속 발광 버튼키를 제작함에 있어서 인서트 사출방식에 의해 형성되는 제1 투과부(200)와 제2 투과부(300a)의 결합력이 충분하다면, 제1 투과부(200)는 제1 결합부(220)를 형성하지 않고 제1 배면부(210)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제2 실시예 참고)

    투광홈 가공단계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본체(110)에 문자 또는 부호의 형상을 따라 전방으로 빛이 투과하도록 투광홈(111)을 형성한다. 투광홈(111)은 조각기, CNC, 레이저 등을 이용하여 버튼본체(110)에 형성된다. 이때, 투광홈(111)에 의해 버튼본체(110)가 내측부(110a)와 외측부(110b)로 분리될 수 있다. 즉 투광홈(111)이 "0", "ㅁ", "A" 등과 같은 숫자, 문자, 기호, 도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때, 투광홈(111)을 기준으로 내측부(110a)와 외측부(110b)로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측부(110b)로부터 분리된 내측부(110a)가 이탈하여 문자 또는 부호 등의 형상이 불완전하게 표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버튼본체(110)의 배면에 제1 투과부(200)를 형성하였다. 구체적으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광홈(111)을 형성함에 따라 외측부(110b)로부터 분리된 내측부(110a)는 제1 배면부(210)에 부착된 상태로 고정되고, 제1 배면부(210)는 외측부(110b)에 부착되어 있어서 투광홈(111)의 문자 형상이 완전하게 유지된다.

    이러한 투광홈(111)은 도 6(a)에서 별도로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과 같이 후방으로 갈수로 단면이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즉 투광홈(111)은 측면이 1°~5° 기울어진 빗면으로 형성되어 후방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진다. 이에 따라 투광홈(111)에 제2 투과부(300b)가 충전되어 형성될 때, 투광홈(300b)에 형성된 제2 투과부(300b)는 언더컷 구조로 형성되어 내측부(110a)가 전방으로 돌출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투과부 형성단계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투과부(200)가 형성되어 있는 버튼본체(110)의 배면 및 투광홈(111)에 광투과성 재질의 제2 투과부(300a,300b)를 형성한다. 제2 투과부(300a,300b)는 인서트 사출방식으로 버튼본체(110)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제2 투과부(300a,300b)는 제1 투과부(200)와 동일한 재질의 합성수지이며, 제1 투과부(200)와 제2 투과부(300a,300b)는 그 경계면에서 융화되면서 견고히 결합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본체(110)의 배면에 형성되는 제2 투과부(300a)는 제2 배면부(310)와 제2 결합부(320)로 이루어진다. 제2 배면부(310)는 제1 결합부(220)를 덮고, 걸림홈(221)에 충전되어 형성되는 걸림부(321)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걸림부(321)가 걸림홈(221)에 형성됨으로써, 제1 투과부(200)와 제2 투과부(300a)의 결합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제2 결합부(320)는 제2 배면부(310)로부터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버튼본체(110)의 후방으로 돌출되며 전자기기 등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엔진 스타트/스탑 버튼으로 차량에 결합되어 엔진제어시스템과 연결된다. 그리고 제2 결합부(320)는 광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버튼본체(110)의 후방으로 더 돌출됨으로써, 버튼본체(110)의 측면 둘레를 따라 빛이 투과하게 된다. 이에 따라 버튼키의 둘레를 따라 환형(環形)의 빛이 발산되어 버튼키의 시인성을 높이고 고급스러움과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투광홈(111)에 충전되어 형성되는 제2 투과부(300b)는 전술한 바와 같이 내측부(110a)의 이탈을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금속 발광 버튼키는, 투광홈(111)이 형성되어 있는 버튼본체(110)와, 버튼본체(110)의 배면에 형성되는 광투과성 재질의 제1 투과부(200)와, 제1 투과부(200)가 형성되어 있는 버튼본체(110)의 배면에 형성되는 광투과성 재질의 제2 투과부(300a,300b)로 이루어진다. 각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먼저 설명한 제조방법에 이미 기재되어 있으므로 생략한다.

    제2 실시예

    도 8(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투과부 형성단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서로 분리되어 있는 버튼본체와 제1 투과부를 나타낸 배면사시도이고, 도 8(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투과부 형성단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서로 결합되어 있는 버튼본체와 제1 투과부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8(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투광홈 가공단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서로 결합되어 있는 버튼본체와 제1 투과부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d)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2 투과부 형성단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금속 발광 버튼키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금속 발광 버튼키 제조방법은 제1 실시예와 같이, 형상 가공단계, 제1 투과부 형성단계, 투광홈 가공단계 및 제2 투과부 형성단계로 이루어진다.

    제2 실시예에 따른 형상 가공단계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며,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1 투과부 형성단계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제1 투과부 형성단계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0.3~1.5mm 두께의 제1 투과부(200)를 먼저 형성하고, 제1 투과부(200)에 제1 투과부(200)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다수의 관통공(230)을 형성한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투과부(200)는 대략 원판형상으로 형성되고, 투광홈(111)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투광홈(111)이 형성될 부분보다 넓게 형성된다. 제1 투과부(200)의 형상은 제2 실시예와 같이 원판형상으로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230)이 형성되어 있는 제1 투과부(200)를 접착제 부착방식 또는 열융착방식으로 버튼본체(110)의 배면에 부착시킨다.

    투광홈 가공단계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버튼본체(110)에 투광홈(111)을 형성한다. 이때,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광홈(111)은 관통공(230)과 연통되고, 내측부(110a)는 제1 투과부(200)에 부착되어 고정된다.

    제2 투과부 형성단계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제1 투과부(200)가 형성되어 있는 버튼본체(110)의 배면 및 투광홈(111)에 광투과성 재질의 제2 투과부(300a,300b)를 형성한다. 이때,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투과부(300b)는 관통공(230)을 통해 투광홈(111)으로 충전되어 투광홈(111)에 형성된다.

    제1 실시예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 투과부(200)는 제1 결합부(220)의 구성을 포함하지 않고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투과부(300a)에는 걸림부(321)를 형성할 필요가 없다.

    전술한 사항 이외에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금속 발광 버튼키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금속 발광 버튼키 제조방법은 제1 실시예와 같이, 형상 가공단계, 제1 투과부 형성단계, 투광홈 가공단계 및 제2 투과부 형성단계로 이루어진다.

    제3 실시예에 따른 형상 가공단계, 제1 투과부 형성단계, 투광홈 가공단계 및 제2 투과부 형성단계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제3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투광홈을 제1 투광홈(111a)과 제2 투광홈(111b)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제1 투광홈(111a)과 제2 투광홈(111b)은 버튼본체(110)에 형성된 다수의 투광홈 중 서로 다른 문자 또는 부호의 형상을 따라 형성된 각각의 투광홈이 될 수도 있고, 특정 문자 또는 부호의 형상을 따라 형성된 하나의 투광홈을 두 부분으로 구분하여 나타낼 수도 있다.

    제1 투광홈(111a)에는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와 같이 제2 투과부(300b)가 충전되어 형성된다. 제2 투광홈(111b)에는 유색패드(400)가 삽입된다. 구체적으로 버튼본체(110)의 배면에는 제2 투과부 형성단계 이전에,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투광홈(111b)이 형성되어 있는 버튼본체(110)의 배면에 광투과성 재질의 유색패드(400)를 배치한다. 유색패드(400)는 얇은 필름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제2 투과부 형성단계에 의해 버튼본체(110)의 배면에 제2 투과부(300a)를 형성함에 따라 제2 투과부(300a)에 의해 제2 투광홈(111b)으로 밀려들어가게 된다. 또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색패드(400)는 제2 투광홈(111b)의 형상에 맞게 형성하여 제2 투광홈(111b)에 삽입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2 투광홈(111b)에 유색패드(400)를 배치함에 따라 제1 투광홈(111a)과 제2 투광홈(111b)를 통과한 빛은 적어도 서로 다른 두 가지 색으로 빛나게 된다. 즉 버튼본체(110)의 배면에 유색패드(400)를 추가함으로써 하나의 버튼키에서 다양한 색의 빛이 투과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사항 이외에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4 실시예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금속 발광 버튼키 제조방법은 도 10 내지 도 16에 도시된바와 같이, 접착제 도포단계, 투광홈 가공단계, 리브 가압단계, 형상 가공단계, 제1 투과부 형성단계, 리브 제거단계 및 제2 투과부 형성단계로 이루어진다.

    접착제 도포단계는 금속판(100)의 일면에 열결화성 접착제를 도포한 후 가열 건조시켜 접착제층(120)을 형성한다.

    투광홈 가공단계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판(100)에 문자 또는 부호의 형상을 따라 투광홈(111)을 가공하고, 투광홈(111)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금속판(100)의 내측부(110a)와 외측부(110b)를 연결하는 리브(112)를 형성한다. 즉 금속판(100)에 투광홈(111)을 가공할 때, 투광홈(111)에 의해 내측부(110a)와 외측부(110b)가 완전히 분리되지 않도록 내측부(110a)와 외측부(110b)를 연결하는 리브(112)를 남겨둔다.

    리브 가압단계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112)를 후방으로 가압하여 접착제층이 형성되어 있는 금속판(100)의 후방으로 돌출시킨다.

    형상 가공단계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판(100)을 프레스 가공하여 전방으로 볼록한 형상의 버튼본체(110)를 형성한다. 이때, 접착제층(120)은 버튼본체(110)의 배면인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제1 투과부 형성단계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본체(110)의 배면에 광투과성 재질의 제1 투과부(200)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인서트 사출방식으로 제1 투과부(200)를 버튼본체(110)에 형성한다. 이때, 제1 투과부(200)는 접착제층(120)에 의해 버튼본체(110)와의 접착력이 높아지게 된다. 그리고 제1 투과부(200)는 투광홈(111)으로 충전되어 투광홈(111)에 형성된다.

    리브 제거단계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112)를 덮고 있는 제1 투과부(200) 일부와 함께 리브(112)를 제거한다. 이에 따라 리브(112)가 제거된 부분에는 제거홈(113)이 형성된다. 리브(112)가 제거됨에 따라 내측부(110a)와 외측부(110b)가 완전히 분리되지만 내측부(110a)와 외측부(110b)는 각각 제1 투과부(200)에 부착되어 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제2 투과부 형성단계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투과부(200)가 형성되어 있는 버튼본체(110)의 배면에 광투과성 재질의 제2 투과부(300a)를 형성한다. 이때, 제2 투과부(300a)는 제거홈(113)으로 충전되어 제거홈(113)에도 형성된다.

    제4 실시예에 따른 금속 발광 버튼키 제조방법은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리브 가압단계 및 리브 제거단계가 추가되고 각 단계의 순서가 다소 상이하지만, 형상 가공단계, 제1 투과부 형성단계 및 제2 투과부 형성단계의 기본적인 실시방법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제4 실시예에서 설명되지 않은 부분은 제1 실시예를 참고할 수 있다.

    본 발명인 금속 발광 버튼키 및 금속 발광 버튼키 제조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금속판, 110 : 버튼본체, 110a : 내측부, 110b : 외측부, 111 : 투광홈, 112 : 리브, 113 : 제거홈, 120 : 접착제층
    200 : 제1 투과부, 210 : 제1 배면부, 220 : 제1 결합부, 221 : 걸림홈, 230 : 관통공,
    300a,300b : 제2 투과부, 310 : 제2 배면부, 320 : 제2 결합부, 321 : 걸림부,
    400 : 유색패드,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