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치 장치

申请号 KR1019920013738 申请日 1992-07-31 公开(公告)号 KR1019970000115B1 公开(公告)日 1997-01-04
申请人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发明人 고우노히로시; 우에지마토시미; 우메다테쯔야;
摘要 내용 없음.
权利要求
  • 케이싱 ; 상기 케이싱 내측에 제공되는 스위칭 소자 ; 상기 케이싱의 외부 표면에 제공되어 상기 스위칭 소자를 작동시키는 노브 ; 그리고 상시 케이싱의 외부 표면과 상기 노브의 배후 표면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노브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노브 복귀 기구를 포함하는 스위치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 복귀 기구는 상기 노브에 접촉하는 플런저와 이 플런저를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는 상기 케이싱 내에 제공되는 가동편을 통해 상기 스위칭 소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는 회전 가능하고, 상기 스위칭 소자는 선형 왕복 운동하는 상기 가동편에 의해 턴온 및 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의 배후 표면에 형성되는 한쌍의 노브 멈춤쇠 ; 그리고 상기 한쌍의 노브 멈췸쇠에 의해 클램핑 되는 상단부와 상기 가동편에 접속되는 하단부를 갖는 구동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편의 상단부는 상기 한쌍의 노브 멈춤쇠와 접촉하는 2개의 굴곡진 대향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편의 선형 왕복 운동과 관련해 상기 구동편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케이싱의 상부 표면에 곧게 형성되는 안내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의 배후 표면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을 향한 V자 홈을 가지는 평판 접촉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 복귀 기구는 상기 평판 접촉 부재의 V자 홈과 맞물리는 플런저와, 이 플런저를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 케이싱 ; 상기 케이싱 내에 제공되는 회로기판 ; 상기 회로기판에 장착되고, 고정 단자를 갖는 스위칭 소자 ; 상기 케이싱의 외부 표면에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회로기판의 윗면에 상기 고정 단자를 납땜함으로서 상기 회로기판의 밑면에 고정되는 상기 스위칭 소자를 동작시키는 작동 노브 ; 그리고 상기 작동 노브에 의해 작동되며, 회로기판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회로기판의 윗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스위칭 소자의 구동부를 포함하는 스위치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외부 표면과 상기 작동 노브의 배후 표면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작동 노브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노브 복귀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 케이싱 ; 상기 케이싱 내측에 제공되는 스위칭 소자 ; 상기 케이싱의 외부 표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스위칭 소자를 작동시키는 작동 노브 ; 그리고 수직 방향으로 상기 케이싱의 외부 표면의 중간부에 대해 대칭인 위치에 있는 상기 케이싱의 외부 표면에 장착되며, 둘중 하나상에서 상기 작동 노브가 요동하는 한쌍의 요동 지지핀을 포함하는 스위치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외부 표면과 상기 작동 노브의 배후 표면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작동 노브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노브 복귀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 说明书全文

    스위치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의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스위칭 장치의 종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스위칭 소자의 주요부의 확대 종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스위치 장치의 수직 단면도.

    제5도는 제1도의 스위치 장치의 주요부의 사시도.

    제6도는 제1도의 스위치 장치의 주요부의 사시도.

    제7도는 통상의 스위치 장치의 종단면도.

    제8도는 스위치 노브의 회전에 의해 턴온 및 오프되는 스위치 기구를 포함하는 통상의 스위치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파워 시이트용 스위치 장치의 평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라인 II-II에 따른 단면도.

    제11도는 제9도의 라인 III-III에 따른 단면도.

    제12도는 제9도의 라인 IV-IV에 따른 단면도.

    제13도는 제9도의 노브 복귀 기구를 세부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

    제14도는 제9도의 안내홈을 통해 도출된 구동편을 보여주는 사시도.

    제15도는 스위치 노브가 선형으로 왕복 운동될 때 구동편이 어떻게 작동하는가(a)와, 스위치 노브가 회전될 때 구동편이 어떻게 작동하는가(b)를 나타내는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 : 시이트 스위치 1 : 케이싱

    2,3 : 작동 노브 7 : 회전기판

    8 : 스위칭 소자 10 : 고정 단자

    11 : 구동부 14 : 원통형 지지핀

    18 : 코일 스프링 19 : 플런저

    22 : 작동핀 24 : 평판 접촉 부재

    본 발명은 스위칭 소자가 작동 노브로 작동되고, 스위치 장치가 좀더 자유롭게 장착되게 한 자동차 등의 스위치 장치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타입의 스위치 장치는 케이싱 내부에 작동 노브로 작동되는 스위칭 소자를 가지고, 작동 노브가 작동되지 않을 경우 상기 스위칭 소자는 작동 노브가 그것의 원위치로 복귀되는 동안 복귀된다. 스위칭 소자의 복귀와 작동 노브의 복귀는 탄성 복귀 기구에 의해 실행된다.

    작동 노브용 복귀 기구는 통상 스위칭 소자용 작동 부재의 하단부에 설치된다. 이 작동부재는 복귀 기구가 작동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방식으로 작동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한다. 예컨대, 코일 스프링이 작동부재의 하단부에 삽입되고, 플런저가 상기 코일 스프링에 의해 부세되도록 제공된다. 상기 플런저의 하단부는 가동편을 통해 스위칭 소자를 작동시키고, 가동편의 안내 작용에 의해 자신의 탄성력으로 복귀된다.

    제7도에는 통상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부호 101은 하부 케이싱을 나타낸다. 회로기판(102)은 하부 케이싱(101)에 장착되고, 상부 케이싱(103)으로 덮여지는 바, 상부 케이싱(103)상에서는 소위 베젤(bezel)이라고 하는 장식 커버(104)가 위치된다.

    회로기판(102)에는 다수의 스위칭 소자(107)가 제공된다. 좀더 상세하게, 상기 스위칭 소자(107)는 관통구멍을 통해 회로기판(102)의 배면측으로 도출하는 고정단자(130)를 납땜하여 회로기판(102)에 고정된다. 상부 케이싱(103)은 상기 언급된 스위칭 소자(107)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스위치 작동 노브(110)용 장착구멍(111)과 축지부(112)를 갖는다. 각각의 스위치 작동 노브(110)는 하방으로 연장하는 작동 단부(125)를 갖는다. 이 작동 단부(125)는 상기 장착구멍(11)으로 삽입되고, 축지부(112)에 의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스위치 작동 노브(110)가 이렇게 장착될 경우, 작동 단부(125)의 하단부는 스위칭 소자(107)의 구동부(126)와 맞물린다.

    장식커버(104)는 스위치 작동 노브(11)를 노출시키기 위한 윈도우(128)를 가진다. 즉, 상기 장식커버(104)는 상부 케이싱(103)위에서 스위치 작동 노브(110)들이 각각 윈도우(128)에 위치되는 식으로 배치된다.

    그렁게 구성된 스위치 장치에서 스위치 작동 노브(110)가 작동된 때, 그것의 작동 단부(125)는 스위치 소자의 구동부(126)를 이동시켜 스위치 소자(107)를 작동시키게 된다.

    상술한 통상의 스위치 장치에서, 스위치 소자(107)는 회로기판(102)의 배면으로 도출하는 고정 단자(130)을 납땜함으로써 회로기판(102)에 고정된다. 즉, 고정 단자가 회로기판(102)의 배면으로부터 돌출하기 때문에 고정단자의 돌출 길이와 동일한 두께로 회로기판(102)의 배면에 클리어런스(clearance)(C)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한 바, 스위치 장치의 두께는 그만큼 증가하게 된다. 자동차 등의 스위치 장치의 경우에, 스위치 장치의 설치 공간은 제한되게 된다. 따라서, 스위치 장치는 소형, 특히 두께가 매우 얇은 것이 요구되고 있다.

    자동차에 장착되는 파워 시이트(power seat)용 스위치 장치에서, 시이트 전체를 앞뒤로 미끄러지게 하거나, 시이트 쿠숀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를 수직으로 움직이기 위해 하나의 스위치 노브가 평행으로 미끄러지거나 축둘레로 회전하게 된다.

    제8도는 스위치 노브(61)로 턴온 및 오프되는 스위치 기구(63)를 포함하는 다른 통상의 스위치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다. 스위치 노브(61)가 화살표 I와 J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스위치 노브(61)에 고정적으로 연결된 구동편(62)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스위치 기구(63)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것을 위해, 몸체 케이싱(64)에서 사실상 원형인 구멍(64a)이 형성되 있어 구동편(62)이 회전되게 하며, 구동편(62)의 기부의 하부 표면에 홈(62a)이 형성되어 있어 구동편(62)의 움직임이 스위치 기구(63)의 가동편(63a)에 전달되게 한다. 상기 홈(62a)은 가동편(63a)이 화살표 K와 L의 방향으로 선형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소위 릴리프(relief)를 갖는다.

    구동편(62)을 안내하고 스위치 노브(61)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 플런저(62c)가 스프링(62b)에 의해 구동편의 기부의 상부 표면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U자 홈(64b)이 구동편(62)쪽으로 기울어지는 방식으로 몸체 케이싱(64)의 후표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V자 홈(64b)은 플런저(62c)를 안내한다. 구동편(62)이 회전하는 경우,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플런저(62c)에 의해 최초의 중립 위치로 복귀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통상의 스위치 장치에서, 구동편(62) 복귀용 V자 홈(64b)은 몸체 케이싱의 후표면에 형성되어 경사져 있으며, 스프링(62b)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플런저(62c)는 V자 홈(64b) 아래에 제공된다. 따라서, 이 스위치 장치는 몸체 케이싱(64)의 두께가 어쩔 수 없이 커지게 되어 설치 장소에 제한을 받게 된다는 어려움이 있게 된다.

    또한, 자동차에서, 운전자 시이트용 스위치 장치는 예컨대 시이트의 우측에 장착되고, 승객 시이트용 스위치 장치는 시이트의 좌측에 장착된다. 이러한 2개의 시이트 스위치는 그들의 케이싱 구조에 있어서 어쩔 수 없이 서로 다르게 되는 바, 이것은 시이트 스위치를 비록 그들의 몸체가 동일하다 할지라도, 시이트의 오른쪽에 설치하는 방식과 시이트의 왼쪽에 설치하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이다. 즉, 시이트 스위치의 외부 형태를 결정하는 2개의 상이한 타입의 케이싱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로 된다. 따라서, 결국 제조 비용이 증가되게 된다.

    상기 언급된 케이스에서, 복귀 기구는 작동 부재의 하단부에 제공되고, 케이싱의 내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케이싱의 두께는 복귀 부재의 높이만큼 증가된다. 이것은 스위치 장치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

    상기 언급된 스위치 장치에서, 복귀 기구를 형성하는 플런저는 스위치 작동단부로서도 이용된다. 따라서, 이 스위치 장치는 구성이 복잡해지고 조립이 어려운 한편, 스위칭 소자의 작동이 불안정해지게 된다. 게다가, 종래의 스위치 장치는 설치 장소에 제한을 받게 된다.

    이러한 점에 비추어,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것에 비해 두께가 감소되고, 쉽게 조립될 수 있으며, 그리고 스위칭 소자의 동작이 안정한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위칭 소자가 케이싱의 내측에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싱의 외측 표면에 제공된 작동 노브로 작동되는 스위치 장치에 의해 성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귀 기구는 작동 노브의 내측, 후표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케이싱의 외부 표면에 제공된다. 이 복귀 기구는 탄성 지지부재를 가지고, 이 탄성 지지부재에 의해 복귀 기구가 상기 노브의 대항해 접촉되어 있어 노브로 하여금 복귀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위칭 소자가 케이싱내의 회로기판상에 장착되어 있으며, 케이싱의 외부표면에 제공되는 작동 노브로 작동되는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위칭 소자는 그것의 고정 단자를 회로기판의 표면측에 납땜함으로써 회로기판의 배면에 고정되고, 그리고 작동 노브로 작동되는 스위칭 소자의 구동부는 회로기판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회로기판의 표면측으로 도출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몸체 케이싱의 두께가 크게 감소되고, 설치시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요동 가능한 스위치 노브의 움직임이 스위치 몸체에 제공되는 스위치 기구의 가동편에 전달되고, 그리고 상기 스위치 기구가 가동편의 선형 왕복 운동에 의해 턴온 및 오프되는 스위치 장치에 의해 성취된다. 이 스위치 장치는 구동편을 클램핑하는 방식으로 스위치 노브의 후표면에 형성된 한쌍의 노브 멈춤쇠(knob pawl)를 포함한다. 이 구동편은 한쌍의 노브 멈춤쇠에 의해 클램핑 되는 상단부와, 스위치 기구의 가동편에 접속되는 하단부를 가지고, 그리고 상단부상에 상기 한쌍의 노브 멈춤쇠가 접촉하고 있는 2개의 굴곡진 대향벽을 갖는다. 안내홈은 스위치 몸체의 상부 표면에 곧게 형성되어 구동편이 가동편의 선형 왕복 운동과 관련해 이동하게 한다. 편평한 접촉 부재는 스위치 노브의 후표면에 형성되고, 스위치 몸체를 향한 그것의 표면에 V자 홈을 갖는다. 노브 복귀 기구는 스위치 몸체의 상부 표면에 제공되어 스위치 노브로 하여금 편평한 접촉 부재의 V자 홈과 맞물려지는 압축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플런저의 단부에 의해 중립 위치로 복귀되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좌우 양측에 설치될 수 있고, 게다가 동일한 케이싱을 이용할 수 있어서 제조 비용이 낮아질 수 있는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스위칭 소자가 케이싱의 내측에 제공되어 있으며, 케이싱의 외부표면에 요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작동 노브로 작동되는 스위칭에 의해 성취되는바, 이 스위치 장치에서, 본 발명에 따르면, 한쌍의 요동 지지핀이 수직 방향에서 케이싱의 외부 표면의 중간부에 대해 대칭인 위치에 있는 케이싱의 외부 표면에 장착되고, 작동 노브는 상기 한쌍의 요동 지지판중 하나상에서 선택적으로 요동한다.

    이제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고로 좀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장치를 시이트 스위치(S)의 정면도이고, 제2도는 시이트 스위치(S)의 종단면도이다.

    시이트 스위치(S)는 자동차의 시이트 옆에 설치된다(제1도에 도시된 시이트 스위치는 시이트의 좌측에 설치될 것이다). 시이트 스위치(S)는 케이싱(1)과, 이 케이싱의 외부 표면의 전 및 후부에 각각 제공되는 소작동 노브(2)와 가늘고 긴 대작동 노브(3)를 포함한다. 작동 노브(2)는 하부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어 회전되게 된다. 작동 노브(2)의 상단부가 전후방으로 회전될 때 시이트 백(시이트 등받이)은 전후방으로 기울어진다. 반면, 작동 노브(2)가 전후로 움직이면, 시이트가 전후로 움직이게 된다. 그리고 작동 노브(3)의 전단부와 후단부는 시이트의 전단부 및 후단부가 상하방으로 회전되도록 상하방으로 회전된다.

    제2도에서, 부호 4는 상부 케이싱을, 부호 5는 하부 케이싱을 나타낸다. 상부 케이싱(4)과 하부 케이싱(5)은 케이싱(1)을 형성한다. 회로기판(7)의 케이싱(1)의 상부 케이싱(4)의 내부 표면에 근접되어 제공된다. 스위치 소자(8)는 회로기판(7)의 내부(하부) 표면에 장착되고, 여기서 하나의 스위칭 소자(8)는 작동 노브(2)를 위해 제공되고, 3개의 스위칭 소자(8)는 작동 노브(3)를 위해 제공된다.

    스위칭 소자(8)는 제3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회로기판(7)에 고정된다. 즉, 스위칭 소자(8)의 양측면으로부터 연장하는 고정 단자(10)는 회로기판(7)쪽으로 구부러지고, 그 다음 관통구멍을 통해 회로기판(7)의 외측으로 도출된다. 고정 단자(10)는 상기와 같이 도출되고 부호 50으로 표시된 바와같이 회로기판(7)의 표면측에 납땜된다. 고정 단자(10)가 도출되어 있는 회로기판의 표면상의 공간은 스위칭 소자(8)의 구동부(11)가 돌출되는 공간으로 이용된다. 하부 케이싱(5)은 스위칭 소자(8)의 바닥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따라서, 시이트 스위치는 케이싱의 두께가 종래의 것보다 작아진다.

    회로기판(7)은 스위칭 소자의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개구부(13)를 가지므로, 스위칭 소자의 구동부가 개구부(13)를 통해 회로기판(7)의 표면으로 돌출되게 된다. 상부 케이싱(4)은 회로기판(7)의 상기 개구부(13)의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개구부(12)를 가진다.

    이제 작동 노브(2)를 갖는 한쪽 스위치 장치를 설명하겠다. 제4도는 작동 노브(2)의 수직 단면도이다.

    제5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작동 노브(2)가 제공되는 상부 케이싱(4)상에는 2개의 원통형 지지핀(14)이 제공되는 바, 이 핀(14)들중 하나는 제4도에서 다른 것 위에 위치된다. 2개의 가늘고 긴 개구부(12)가 상기 2개의 핀(14) 사이에 형성된다. 고정링(17)이 각 핀(14)의 외부 표면에 형성된다. 상부 지지핀(14)에서, 플런저(19)는 코일 스프링(18)에 지지된다. 작동 노브(2)는 그것의 내측에 원통형 맞물림 리세스(20)를 갖는다. 그리고 작동 노브(2)는 상기 맞물림 리세스(20)에 삽입되는 하부 지지핀(14)과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스위칭 소자(8)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핀(22)은 작동 노브(2)의 내측 표면에 삽입되는 바, 작동 노브의 지지측으로부터 더 먼곳에 위치되는 개구부(12)를 통해 연장되며 스위칭 소자(8)의 구동부(11)와 맞물린다.

    평판형 접촉 부재(24)(제6도)는 작동 노브(2)의 내부 표면에 제공되어, 플런저(19)가 접촉 부재(24)를 통해 작동 노브(2)와 접촉되게 한다. 나일론 수지등으로 만들어지는 상기 접촉 부재(24)는 쉽게 미끄러진다. 이 접촉 부재(24)는 수평으로 연장하는 홈(25)을 가지고, 여기서 플런저(19)의 상단부가 맞물려진다. 홈(25)의 바닥은 굴곡져 있으며, 가운데가 제일 깊다. 따라서, 작동 노브(2)에 힘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는 플런저(19)의 상단부가 코일 스프링(18)의 탄성력에 의해 가늘고 긴 홈(25)의 중간부로 복귀된다. 결국, 작동 노브(2)는 초기 위치로 복귀되는 것이다. 즉, 작동 노브(2)를 복귀시키기 위한 기구는 작동 노브와 무관하게 작동 노브(2) 내측에 그리고 케이싱(1) 외측에 제공되며, 코일 스프링(18)과 플런저(19)는 지지핀(14)에 유지된다. 이것은 케이싱의 두께를 종래의 것에 비해 더 얇게 해준다.

    2개의 지지핀(14)들중 하나의 케이싱(4)의 상부에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지지수단으로 이용되고, 지지수단으로 이용되지 않는 다른 핀(14)은 전술한 작동 노브 복귀 기구로 형성한다. 상부 케이싱(4)은 전술한 바와같이 2개의 개구부(12)를 가지고, 스위칭 소자(8)도 상기 2개의 개구부(12)에 상응하여 2개의 구동핀을 가지므로, 지지핀(14)들중 어느 것이 작동 노브(2)를 지지할지라도 스위칭 소자(8)는 작동되게 된다. 시이트 스위치(S)는 시이트의 양측면에 제공되어야만 한다. 즉, 2개의 형태의 시이트 스위치(S)가 제공될 필요가 있는데, 하나의 시이트의 우측에, 그리고 하나는 시이트의 좌측에 설치된다. 이 경우에, 2개의 지지핀(14)이 전술한 바와같이 하나가 다른 하나위에 위치되는 식으로 제공되고, 2개의 지지핀(14)간의 거리의 중간점은 수직방향으로 상부 케이싱(4)의 중간부와 일치하게 된다. 상부 케이싱(4)의 나머지 부분은 그것의 상하부 절반이 대칭이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그렇게 형성된 상부 케이싱(4)은 2형태의 시이트 스위치(S)로서 이용될 수 있다.

    이제 뒷쪽 스위치 장치를 설명하겠다.

    이 뒷쪽 스위치 장치는 3개의 작동핀(22)을 갖는 바, 이들은 종방향으로 배열되어 작동 노브(3) 내측으로 돌출한다. 2개의 원통형 돌기(40)가 상부 케이싱(2)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돌출해 있다. 상기 원통형 돌기(40)의 각각에 있어서, 코일 스프링(18)과 플런저(19)가 장착되는 바, 상기 언급된 앞쪽 스위치 장치에서와 유사하게 플런저(19)의 외측 단부가 작동 노브(3)의 내측 표면에 제공되는 접촉 부재(24)와 접촉된다. 따라서, 플런저(19)는 작동 노브(3)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각각의 접촉 부재(24)에 탄성적으로 접촉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에서, 작동 노브 복귀 기구는 케이싱 내측에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케이싱의 외부 표면에 제공되어 작동 노브의 내부 표면측에 위치되게 한다. 따라서, 케이싱의 두께가 그만큼 감소된다. 결국, 스위치 장치는 전체적으로 종래의 것보다 더 작아진다.

    게다가, 작동 노브 복귀 기구는 스위칭 소자의 작동 부재와 무관하게 제공되기 때문에 스위칭 장치는 조립이 간단하며 작동에 있어서 안정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스위치 장치에서, 작동 노브의 수직 방향으로 케이싱의 외부 표면과 관련해 대칭인 위치에 있는 케이싱의 외부 표면에 장착되는 한쌍의 요동 지지핀중 하나상에서 선택적으로 요동한다. 따라서, 우측에 설치될 스위치 장치와 좌측에 설치된 스위치 장치는 동일한 케이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장치에서, 스위치 소자는 회로기판의 표면측에 그것의 고정 단자를 납땜함으로서 회로기판의 배면에 고정되고, 작동 노브로 작동되는 스위칭 소자의 구동부는 회로기판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그것의 표면측으로 도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에서, 스위칭 소자의 고정 단자가 삽입될 회로기판의 표면상에 제공된 간격은 스위칭 소자의 구동부의 돌출을 위해 이용된다. 이것은,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에서, 종래의 것과 달리, 고정 단자가 회로기판의 배면측으로 도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는 회로기판으로부터의 고정 단자의 돌출량 만큼 종래의 것에 비해 그 두께가 작아지게 된다.

    이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스위치 장치의 예를 설명하겠다. 이 실시예는 상기한 것과는 다른 복귀 기구를 제공하나, 이 기구도 여전히 작동 노브의 내부 표면에 위치된다.

    제9도는 자동차 파워 시이트용 스위치 장치의 평면도이다. 2개의 복귀 스위치 노브(202,203)가 스위치 몸체(201)의 상부 표면에 장착되고, 구동편(204 내지 207)를 안내하기 위한 가늘고 긴 안내홈(214 내지 217)이 스위치 몸체(201)의 상부 표면에 형성되므로, 스위치(202,203)의 회전이 선형 왕복 운동으로서 스위치 몸체(201)에 제공되는 마이크로스위치(이후, 적용시 스위치 기구로 불리워진다)에 전달된다.

    스위치 노브(202)는 전체 시이트를 앞뒤로 미끄러지게 작동시키도록 각각의 스위치 기구(후술됨)를 구성키 위해 화살표 A 및 B의 방향으로 선형적으로 왕복 운동된다. 스위치 노브(202)는 시이트 쿠숀이 전단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각각의 스위치 기구를 구성키 위해 화살표 C 및 D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목적으로, 각각 구동편(204,205,206)을 유지하는 노브 멈춤쇠의 쌍(204a 및 204b, 205a 및 205b, 206a 및 206b)이 스위치 노브(202)와 일체적으로 스위치 노브(202)의 배면에 형성된다(제10도). 이들 구동편(204,205,206)은 스위치 노브(202)의 상기 언급된 움직임을 스위치 기구의 가동편(후술됨)에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스위치 노브(203)는 안락한 상태를 만들도록, 즉 시이트백의 경사각을 조절하도록 각각의 스위치 기구를 구성키 위해, 스위치 몸체(201)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샤프트(208) 둘레를 화살표 G 및 H의 방형으로 회전한다. 이것을 위해, 각각의 스위치 기구의 가동편(후술됨)에 스위치 노브(203)의 움직임을 전달하기에 적합한 구동편(207)을 유지하는 한쌍의 노브 멈춤쇠(207a,107b)와, 돌출된 샤프트(208)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실린더(209)가 스위치 노브(203)의 배면에 일체로 형성된다(제12도).

    제9도에서, 점선은 스위치 노브(2,3)의 움직임을 나타낸다.

    제10,11 및 12도는 각각 제9도의 라인 II-II, III-III, 및 IV-IV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스위치 몸체(201)에서 상기 언급된 스위치 기구(224,225,226)는 스위치 노브(202) 아래에 제공되고, 스위치 기구(227)는 스위치 노브(203) 아래에 제공된다. 전술한 가동편(224a 내지 227a)은 각각 스위치 기구(224 내지 227)로부터 돌출하고, 각각 전술한 구동편(204 내지 207)에 접속된다. 가동편(224a 내지 227a)은 각각 스위치 기구(224 내지 227)를 작동시키기 위해 선형적으로 왕복 운동된다. 스위치 노브(202)를 복귀시키기 위한 노브 복귀 기구(221,222)와 스위치 노브(203)를 복귀시키기 위한 노브 복귀 기구(223)는 스위치 몸체 케이싱(201)의 상부 표면에 제공된다. 노브 복귀 기구(221,222,223)는 각각 플런저(221c,222c,223c)와 스위칭 몸체 케이싱과 일체된 실린더(221a,222a,223a)를 가진다. 상기 플런저(221c,222c,223c)는 각각 실린더(221a,222a,223a) 위로 돌출되는 식으로 각각 압축 스프링(221b,222b,223b)에 의해 실린더(221a,222a,223a)내에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상기 언급된 노브 멈춤쇠(205a,205b…)에 부가하여, 평판 접촉 부재(211,212,213)가 각각 스위치 노브(202,203)의 배면측에서 노브 복귀 기구(221,222,223)위로 제공된다. 이 평판 접촉 부재(211,212,213)는 스위치 노브(202,203)의 움직임으로 플런저의 외단부를 밀도록 V자 홈을 갖는다.

    평판 접촉 부재(211)의 V자 홈의 모양은 스위치 노브(202)가 화살표 A의 방향으로 움직여 제9도에서의 화살표 C 및 D의 방향으로 회전될 때 스위치 노브가 제1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중립 위치로 복귀되도록 형성된다. 평판 접촉 부재(212)의 V자 홈의 모양은 스위치 노브(202)가 화살표 E 및 F의 방향으로 회전되어 화살표 B의 방향으로 움직여질 때 중립 위치로 복귀되도록 형성된다(제10 및 제11도).

    평판 접촉 부재(213)의 V자 홈의 모양은 스위치 노브(202)가 화살표 G 및 H의 방향으로 회전될 때 중립 위치로 복귀되도록 형성된다(제10도). 먼지나 물기가 스위치 몸체(201)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위치 몸체(201)의 상부 표면은 노브 복귀 기구(221,222,223)과 안내홈(214,215,216,217)의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윈도우를 갖는 밀봉 고무 시이트(231)로 덮여진다.

    제13도는 노브 복귀 기구의 구조를 좀더 상세하게 나타낸다. 플런저(221c)는 압축 스프링(221b)에 의해 실린더(221a)내에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플런저(221c)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유지 멈춤쇠(221d)가 플런저(221c)의 측벽에 형성된다. 유지 멈춤쇠(221d)의 하부 표면은 유지 멈춤쇠(221d)의 하방 이동을 허여키 위해 경사져 있다. 유지 멈춤쇠(221d)를 고정시키기 위해, 고정홈(221e)이 실린더(221a)의 내부벽에 형성된다. 나머지 노브 복귀 기구(222,223)는 전술한 노브 복귀 기구와 구조가 동일하다.

    상기 언급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본 실시예의 스위치 장치에서 제9도 내지 제13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스위치 노브(202,203)를 복귀시키기 위한 평판 접촉 부재(211,212,213)와, 압축 스프링(221b,222b,223b)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플런저(221c,222c 및 223c)는 스위치 몸체(201)의 상부 표면과 스위치 노브(202,203)의 배후 표면간의 공간에 제공된다. 따라서, 스위치 노브(202,203)의 배후 표면밑에 공간이 효과적으로 이용된다. 평판 접촉 부재와 플런저를 스위치 몸체(201)의 내측에 제공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스위치 몸체의 두께가 그만큼 감소될 수 있다.

    제14도는 안내홈(214)을 통해 도출하는 구동편(204)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안내홈(214)의 측벽과 접촉하고 있는 구동편(204)의 2 대향 측면은 편평하고, 스위치 노브(202)의 배후 표면상에서 노브 멈춤쇠(204a,204b)와 접촉하고 있는 구동편(204)의 나머지 2 대향 측면은 굴곡진 벽(204c,204d)으로 형성된다(제9도).

    구동편 멈춤쇠(204e,204f)는 구동편을 수직 방향으로 위치시키기 위해 각각 굴곡진 벽(204c,204d)상에 형성된다. 굴곡진 벽(204c,204d)과 접촉하는 접촉 노브의 배후 표면상의 노브 멈춤쇠(204a,204b)는 노브홈(204g)을 가지고, 이 노브홈(204g)은 구동편 멈춤쇠(204e,204f)와 맞물린다(제10도). 유사하게, 나머지 구동편(205,206,207)도 굴곡진 벽과, 노브 멈춤쇠 홈과 맞물리는 구동편 멈춤쇠를 갖는다.

    이제 얻어진 스위치 장치에서의 스위치 노브(202)의 동작을 제15(a),(b)도를 참고로 설명하겠다.

    제15(a)도는 스위치 노브(2020가 화살표 A 및 B의 방향으로 선형으로 왕복 운동할 때 구동편(205)이 어떻게 작동하는가를 나타내고, 제5(b)도는 스위치 노브(202)가 화살표 C 및 D의 방향으로 회전할 때 구동편(204)이 어떻게 작동하는가를 나타낸다. 나머지 구동편(206,207)에 대한 세부적인 구조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동일하고 이하와 같이 처리될 것이다.

    제15도로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구동편(204 내지 207)은 각각 노브 멈춤쇠(204a 및 204b 내지 207a 및 207b)와 접촉하고 있는 굴곡진 벽(204c 및 204d 내지 207c 및 207d)를 갖기 때문에, 굴곡진 벽(204a 및 204d 내지 207c 및 207d)은 각각 한 지점에서 각각 노브 멈춤쇠(204a 및 204b 내지 207a 및 207b)와 접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에서, 스위치 노브(202)가 어떠한 회전각을 갖을지라도 유지력(holding force)은 일정하다.

    전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스위치 장치에서 스위치 노브 복귀용 V자 홈과 압축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플런저는 스위치 몸체의 상부 표면과 스위치 노브의 배후 표면 사이의 공간에 제공된다. 즉, V자 홈과 플런저는 스위치 몸체 내측에 제공되지 않는다. 따라서, 스위치 몸체의 두께가 그만큼 감소된다.

    게다가, 구동편의 각각의 외단부의 2 대향벽은 굴곡져 있으므로, 그 굴곡진 벽이 각각 힌지점에서 각각 노브 멈춤쇠와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스위치 노브가 어떠한 회전각을 가질지라도, 유지력은 불변이다.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내에서의 기타의 디자인은 상기 설명이 있는 후에는 당업자에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음의 청구범위로만 한정된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