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 재생 장치

申请号 KR1019820004841 申请日 1982-10-27 公开(公告)号 KR1019870000568B1 公开(公告)日 1987-03-19
申请人 닛폰 비구타 가부시키가이샤; 发明人 긴죠우히사오;
摘要 The magnetic drum recording cassette has a recording element that is produced between an outer sleeve and an inner element that has a projecting stud. The motor has a rotor within a housing with a field magnet and a commutator. The motor shaft is supported in bearing races at either end. The shaft is coupled to a gear reduction that has a magnetci clutch coupling. A toothed belt transmission connects with a leadscrew that has a carriage. A magnetic pickup coupled to a head provides recording of data onto the magnetic surface of the drum.
权利要求
  • 두 종단을 갖는 절두원추형 및 자기표면을 가지며 상기 두 종단중 한 종단이 개방된 중공부를 구비하여, 기록재생장치 내에 사용자가 교환 가능하게 로딩가능한 기록매체에서 정보신호를 기록재생하는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회전축과, 상기 기록매체를 상기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상기 회전축상에 제공된 자기결합수단을 포함하는 회전식 모터와, 상기 기록매체가 상기 자기결합수단을 포함한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식으로 구동되는 동안 상기 자기표면에서 정보신호를 기록재생하는 자기헤드를 구비한 자기헤드장치와, 상기 자기표면을 따라 상기 자기헤드장치를 이송하는 이송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모터는 상기 기록매체가 상기 기록재생장치내에 로드될 때 상기 중공부에 의해 둘러싸여지도록 장착되며, 상기 자기결합수단은 상� � 기록매체가 상기 회전축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두 종단중 상단 표면부를 지지하여 회전축에 자기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를 내포하고 있는 수납케이스를 안내 및 로드하는 수납케이스 홀더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자기헤드장치의 이송범위 한계를 제한하는 제한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케이스 홀더는 상기 수납케이스가 로드될 때 상기 수납케이스의 슬롯이 상기 자기헤드와 맞닿도록 상기 수납케이스를 안내하는 안내홈을 구비하며, 상기 자기헤드가 상기 슬롯내로 들어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회전축의 팁단부는 상기 상단표면부상에 제공된 결합부내에 끼워져 상기 기록매체의 위치를 설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결합수단은 회전판과,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제공된 영구자석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판은 상기 영구자석에 의해 흡인되는 상기 기록매체와 분리식으로 접촉함에 의해 상기 기록매체를 회전시키도록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또한 상기 모터의 회전축을 동축식으로 구비한 돌기부를 포함하여 상기 기록매체의 상기 상단 표면부상에 제공된 결합부내에 끼워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 제1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기록매체의 표식부와 함께 동작하여 상기 기록매체의 회전위상을 검출하는 회전위상검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 기록매체상에서 정보신호를 기록 및 재생하는 자기헤드장치로서, 자기헤드, 팁단에서 상기 자기헤드를 갖춘 캔틸레버, 상기 캔틸레버를 변위시키며 상기 자기헤드가 상기 기록매체의 자기표면상의 트랙에 걸쳐 주사하도록 트랙킹 제어를 행하는 트랙킹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헤드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헤드는 갭이 형성되어지는 만곡된 오목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헤드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캔틸레버의 실질 종방향은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행해지는 상기 자기헤드의 이송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제공되며, 트랙킹 제어장치는 상기 캔틸레버를 상기 종방향으로 변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헤드장치.
  • 물체의 영상픽업을 실행하여 기록되어질 정보신호로서 물체의 비데오 신호를 얻는 영상픽업장치 및 매 다른 필드마다 상기 비데오 신호의 기수 및 우수필드 중 한 필드를 얻는 스위칭회로, 상기 비데오 신호가 얻어지지 않는 필드기간 동안 트랙킹 신호를 얻는 트랙킹 신호발생기, 상기 비데오신호 및 상기 트랙킹 신호를 기록되어질 시간 순차신호 및 상기 정보신호로서 자기헤드장치에 공급하도록 혼합하는 혼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또한 여러 종류의 기록재생동작모드를 제어하는 제어회로와, 재생회로 및 재생동작패널을 갖는 어댑터에 연결된 코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자기헤드장치에 의해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재생된 신호는 상기 코넥터를 통하여 상기 어댑터에 공급되며, 상기 어댑터의 재생동작패널에서 조작된 명령신호는 상기 코넥터를 통하여 상기 여러 종류의 기록재생모드를 제어하는 상기 제어회로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기록매체의 회전축에 대하여 각 θ만큼 기울어진 상태로 자기헤드장치를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헤드장치는 상기 기록매체를 포함하는 카트릿지상에 제공된 슬롯을 통해 들어감으로써 상기 자기표면을 주사하는 자기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자기헤드는 또한 상기 슬롯에서 상기 자기헤드를 이탈시키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 说明书全文

    기록 재생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픽업 기록재생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대하여 사용된 기록매체의 제1실시예에 대한 자기드럼을 부분적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한 자기드럼을 수납 케이스내에 수납하는 자기드럼 카트릿지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에 도시한 자기드럼 카트릿지를 부분적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하단부의 사시도.

    제5도는 제1도에 도시한 장치내에 있는 구동 어셈블리를 부분적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사시도.

    제6도는 자기드럼 카트릿지의 수납 케이스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7도는 제3 및 4도에 도시한 자기드럼 카트릿지가 제5도에 도시한 구동 어셈블리내에 로드된 상태를 도시한 수직측단면도.

    제8도는 제1도에 도시한 장치내에 있는 자기헤드장치의 실시예를 부분적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사시도.

    제9도는 제1도에 도시한 장치의 신호 시스템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계통블록선도.

    제10a 내지 10f도는 제9도에 도시한 블럭시스템의 각 부분에서 신호파형을 제각기 도시한 도표.

    제11a내지 11e도는 제9도에 도시한 블럭 시스템의 다른 부분에서 신호파형을 각각 도시한 도표.

    제12도는 기록된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도.

    제13도는 기록매체상의 기록패턴의 일예를 도시한 부분확대도.

    제14a 내지 14f도는 제9도에 도시한 블럭 시스템내에서 재생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들을 도시한 도표.

    제15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재생장치에 대하여 사용된 기록매체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16도는 기록매체의 제3실시예를 부분적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사시도.

    제17도는 제16도의 선 ⅩⅤⅡ-ⅩⅤⅡ를 따라 절취한 수직측단면도.

    제18도는 제16 및 17도에 도시한 기록매체를 주형하기 위한 주형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수직단면도.

    제19도는 제16 및 17도에 도시한 기록매체가 구동 어셈블리내로 로드된 상태를 도시한 수직단면도.

    제20도는 수납 케이스내에 자기드럼을 수납한 자기드럼 카트릿지의 제2실시예를 부분적으로 절단한 사시도.

    제21도는 제20도의 선ⅩⅩⅠ-ⅩⅩⅠ를 따라 절취한 수직단면도.

    제22도는 제20도 및 21도에 도시한 자기드럼 카트릿지로서 로드된 구동 어셈블리를 부분적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사시도.

    제23도는 제20 및 21도에 도시한 자기드럼 카트릿지가 제22도에 도시한 구동 어셈블리내로 로드된 상태를 도시한 수직단면도.

    제24도는 다른 변형의 회전위상검출수단을 갖는 자기드럼과 구동 어셈블리의 로딩 상태를 도시한 수직단면도.

    제25도는 모터의 회전축에 고정된 회전판과 자기드럼의 상부종단면부분 사이의 접속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수직단면도.

    제26도는 자기헤드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27도는 자기헤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28도는 자기드럼 카트릿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수직단면도.

    제29a 및 29b도는 비작동 상태와 작동상태로 자기드럼 카트릿지 수납 케이스의 또다른 실시예를 제각기 도시한 수직단면도.

    제30도는 자기드럼 카트릿지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수직단면도.

    제31도는 자기드럼 카트릿지가 구동 어셈블리내에 로드된 상태에서 구동 어셈블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수직단면도.

    제32도는 기록매체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수직단면도.

    제33도는 기록매체의 제5실시예를 도시한 수직단면도.

    제34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재생장치의 제2실시예와 상기 기록재생장치와 함께 상호 동작하는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제35a도는 제34도에서 도시된 기록재생장치의 회로를 도시한 계통블럭선도.

    제35b도는 제34도에서 도시된 장치내에 있는 어댑터 회로를 도시한 계통블럭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320 : 기록재생장치 14 : 영상픽업장치

    24, 171 : 모터 25, 27, 214 : 이송수단

    28 : 자기헤드장치 30, 151, 193, 301, 311 : 드럼본체

    30a, 151a, 193a, 304, 305 : 중공부 31, 152, 302, 312 : 자기표면

    32, 155, 306, 316 : 구멍형상의 돌기부

    36, 50, 192, 260, 270, 280 : 수납케이스

    37, 51, 200 : 슬롯 43a, 43b, 212 : 안내홈

    38a, 38b, 52, 201, 202 : 안내돌기부 46 : 자기헤드

    83a, 83b : 제한스위치 85 : 전자석

    91, 92, 94 : 트랙킹 제어장치 103 : 캔틸레버

    117 : 스위칭 회로 119 : 혼합기

    120, 355 : 트랙킹 신호발생기 156 : 결합부재

    180, 181, 221 : 회전위상검출수단 245, 252 : 갭

    248, 254 : 만곡된 오목면 321 : 코넥터

    330 : 어댑터 333 : 재생동작패널

    354 : 제어회로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속이 비고 사실상 원통형인 기록매체에 대하여 기록재생을 행하기 위한 기록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록재생이 영상 픽업에 의해서 얻어진 비데오신호에 대하여 적당히 행하여질 수 있도록 소위 전자식카메라(camera)의 형태로 구성된 기록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들어서는, 비데오신호 자기기록 재생장치(소위 비데오테이프 레코드-이하 간단히 VTR로 일컫는다)의 크기를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 이외에도 전하결합장치(CCD)와 같은 고상 픽업소자를 직접회로(IC) 기술을 이용하여 조합하므로써 픽업 카메라의 크기를 감소시키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즉, VTR 및 카메라를 일원적으로 포함하는 전자식 8㎜ 장치로서 일컬어지는 소형이고 경량의 장치가 제안되어 왔다.

    상기 전자식 8㎜ 장치는 픽업되어 기록된 정보가 기록 직후 텔레비젼 수상기상에서 재생될 수 있다는 점에서 광학 8㎜ 필름을 사용한 소위 종래의 8㎜ 무비(movie) 카메라에 비해 장점을 갖는다. 그밖에, 상기 전자식 8㎜ 장치는 새로운 자성층 형성기술에 의해 형성된 금속입자형 자성체를 사용한 자기테이프 및 금속형 헤드를 사용하여 종래의 VTR의 기록밀도에 비해 보다 큰 기록밀도를 갖게 하므로, 전체 장치의 총 크기는 감소된다. 이 전자식 8㎜ 장치는 필수적으로 자기테이프 및 회전헤드를 사용한 나선 주사형 VTR의 기록 및 재생원리를 사용한다. 따라서, 비록 전자식 8㎜장치가 8㎜ 무비카메라의 지속시간보다 더 긴 지속시간 동안 화상을 이동시키는 기록을 행할 수는 있지만, 전자식 8㎜ 장치는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갖는다.

    1) 움직이는 화상은 정상적으로 기록할 수 있지만, 필드 또는 프레임의 단위로 소위 정지-화상-프레임 기록은 행할 수는 없다.

    2) 상기 1)항과 관계하여, 두가지 서로 다른 기록 내용간의 연결 부분이 불연속적이 아닌 화상 프레임 견지에서의 기록이나 램덤 억세스(random access) 재생은 행해질 수 없다.

    3) 비데오 헤드가 구비된 회전드럼, 테이프 카셋트로부터 테이프를 끄집어내어 소정의 테이프 경로상에 테이프를 로딩하기 위한 테이프 로딩기구, 테이프가 기정의 테이프 경로를 통하여 주행하게 하는 테이프 주행 구동기구 등이 전자식 8㎜ 장치에 반드시 필요하며, 기구 부품의 크기와 무게를 크게 감소시키는 것이 곤란하다.

    4) 고밀도 기록시 트랙피치의 한계는 테이프가 테이프 경로상에서 주행할 동안 위 아래로 약간 이탈하기 때문에 실용적인 관점에서 보다 약 20㎛ 정도가 되며, 트랙피치가 더욱 감소된 경우에는 양호한 기록 및 재생이 행해질 수 없다는 사실에 기인하여, 전자식 8㎜ 장치의 크기를 크게 감소시키는 데는 제한이 있다.

    5) 트랙피치가 상술된 바와 같이 협소하기 때문에 회전헤드를 스윙하여 트랙킹을 행하는 것은 곤란하다. 한편, 연성 자기디스크상에 비데오 신호를 기록하는 소위 전자식 카메라로 광학 35㎜ 필름을 사용한 정지 카메라를 대치할 것을 제안해 왔다. 이 전자식 카메라에서는, 예를들어 35㎜ 정도의 직경을 가지는 자기디스크가 표준 35㎜ 크기인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reflex camera)를 갖는 주카메라 본체내에서 3600rpm의 회전속도로 회전된다. CCD와 같은 고상 픽업소자로 영상을 픽업하므로써 얻어진 비데오 신호는 자기헤드에 의해 자기디스크상에 자기적으로 기록된다. 자기헤드는 자기디스크의 1회전 동안 1필드로서 기록을 행하며, 자기디스크의 방사상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동된다. 그러나, 이러한 전자식 카메라도 역시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갖는다.

    a) 자기디스크가 기록매체로서 사용되고 1화상 프레임의 화상이 자기디스크의 1회전동안 기록되기 때문에, 자기디스크가 동일한 각 속도로 회전된다. 그러므로, 자기헤드와 자기디스크 사이의 상대 직선속도는 자기디스크의 내부 주변을 향하여 더 작아진다. 따라서, 정상적인 형태로 기록하여 행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방사상 위치보다 자기디스크의 내부주변을 향하는 부분이 더 많이 사용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기록범위도 제한된다. 한편으로 카메라 본체의 크기가 제한되기 때문에 자기디스크의 직경에도 제한이 생긴다. 그러므로, 자기디스크의 유효기록범위가 커질 수 없으며 따라서 기록능력도 커질 수 없게 된다.

    b) 상기 a)항에 관계하여, 기록된 화상의 질은 디스크의 내부 주변부에서 불량해지며 거기에서 자기헤드와 자기디스크 사이의 상대 직선속도는 작게 된다.

    c) 자기디스크가 플로피 디스크와 같은 연성 자기시트를 포함하기 때문에 회전하는 자기디스크의 가장 바깥의 주변 연부에서 정재파가 생기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정재파에 기인하여 자기디스크에 플러터(flutter) 현상이 생기게 되며, 자기헤드는 자기디스크와 안정한 접촉을 이룰 수 없다. 결과로써, 자기헤드와 자기디스크간의 상대 선형속도가 커지게 되는 필수적인 디스크의 최외곽 주변부가 사용될 수 없다.

    한편, 원통형 회전 자기드럼을 자기기록매체로서 사용하는 기록재생장치를 구성하는 개념은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다. 자기드럼을 사용한 이 장치에서는 자기헤드와 자기드럼간의 상대선형 속도가 자기헤드의 위치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그러나, 자기드럼의 기록능력이 자기테이프만큼 크지 못하기 때문에 기록 및 재생장치의 크기는 커지게 되며, 자기드럼의 체적도 커진다. 그밖에, 자기드럼의 전체 원통표면이 자기적이므로 자기드럼의 조작이 곤란하다. 더우기, 양호하게 균일한 자기표면을 포함하는 자기드럼을 제조하는 것이 어렵다. 그러므로, 자기드럼을 사용한 자기기록 및 재생장치는 상기에서 설명한 이유때문에 실제 용도가 감소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반적인 목적은 상기에서 설명한 단점이 해소되는 기록 및 재생장치용의 새롭고 유용한 기록 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별한 목적은 소위 전자식 카메라형 픽업 기록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는 한 종단에서 속이 비고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구멍을 가지며, 픽업 기록재생장치의 구동모터는 상대적으로 기록매체의 중공부안으로 들어간다. 그러므로, 기록매체는 종래의 35㎜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의 범위인 크기를 가지는 장치 본체내에 수월하게 로딩되어 사용된다. 그밖에 기록 및 재생 소자간의 상대 선형속도가 기록매체에 대한 기록 및 재생소자의 위치에 관계없이 실질적으로 일정하다. 따라서, 동일한 화상질의 재생화상은 기록매체의 전체 기록면을 통하여 얻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의 기록능력은 기록매체의 크기 및 형상을 고려한다면, 자기디스크에 비해 더 크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카트릿지형인 기록매체가 로딩될 때 자기드럼에 대해 기록재생을 행하는 영상 픽업 기록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한 종단에서 구멍을 가지는 속이 비고 사실상 원통형인 자기드럼이 한 종단에서 구멍을 가지는 속이 비고 사실상 원통형인 수납 케이스내에 수납된다. 본 발명의 기록매체에 따르면, 기록매체의 자기면이 수납 케이스에 의해 보호되고, 기록매체의 조작은 조작시 특별한 주의가 필요치 않다는 점에서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속이 빈 원형의 절두원추형상을 갖는 기록매체상에 영상픽업신호를 기록하고 기록매체로부터 재생된 신호를 어댑터를 통해 텔레비젼 수상기에 공급하여 기록매체로부터의 신호를 재생된 화상으로서 재생할 수 있는 영상픽업 기록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 및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 가면서 상세히 설명한 것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픽업기록 및 재생장치의 실시예에 대하여 일반적인 기술이 주어질 것이다. 기록재생장치(10)는 35㎜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와 일반적으로 유사한 형상을 갖는 외부프레임(11)을 구비하고 있다. 비록 외부프레임(11)이 그 내부구성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투명한 프레임과 같이 투시도로 도시되었지만, 실제 외부프레임(11)은 불투명하다. 픽업되어 기록되어질 영상(도시 안됨)으로부터의 광은 렌즈시스템(12)을 통과하고 반거울(13)을 통해 전달되어 예로서 CCD를 구비하는 영상픽업장치(14)에 투사되며, 영상픽업장치(14)에 투사되는 광은 비데오 신호로 변환된다. 렌즈시스템(12)을 통과한 광의 일부는 반거울(13)에서 반사되고 거울(15)에서 다시 반사되어 뷰파인더(16)에 도달한다. 밧데리(17)는 영상픽업장치(14)를 구비한 인쇄회로장치(18), 이하 기술될 모터(24) 등과 같은 것에대한 전력원이다. 표준 카메라에서와 같이, 셔터버튼(19), 릴리이스버튼(20), 및 작동스위치(21)는 외부프레임(11)의 상부면상에 제공된다.

    자기드럼 카트릿지(22)는 뚜껑(23)을 개방하는 것에 의해 기록재생장치(10) 내의 구동 어셈블리(40)에 로딩 및 언로딩된다. 자기드럼 카트릿지(22)는 속이 비어 있으며, 모터(24)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로딩된 상태로 자기드럼 카트릿지(22) 내에 삽입된다. 이송수단인 이송나사(25)는 벨트(26)를 통해 모터에 의해서 회전된다. 이송수단인 이송너트(27)는 이송수단인 이송나사(25)와 나선식으로 정합되며, 자기헤드장치(28)는 이송수단인 이송너트(27)에 장착된다. 자기헤드장치(28)는 이송수단인 이송나사(25)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이동된다.

    자기드럼 카트릿지(22)는 예로서 제3 및 4도에서 도시된 형상을 갖는다. 자기드럼 카트릿지(22) 내의 드럼본체(30)의 제1실시예는 제2도에서 도시된 형상을 갖는다. 드럼본체(30)는 개방 하부단을 가진 중공부(30a)를 포함하는 중공의 원통형상을 이룬다. 자기층은 드럼본체(30)의 외측주변면을 덮어 자기표면(31)을 형성한다. 드럼본체(30)의 중앙 상부면에는 구멍형상의 결합부(32)가 제공되어 있다. 결합부(3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 방지수단인 링형상 돌기부(33)는 드럼본체(30)의 상부면에 형성된다. 자기표면(31)의 외경보다 약간 작은 직경을 가진 방지수단인 소직경부(34)는 드럼본체(30)의 하단부에 있는 외측면상에 제공되어 계단부를 제공한다. 또한, 테이퍼된 면(25)은 드럼본체(30)의 하부단에 있는 내측면상에 형성된다.

    제3 및 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본체(30)는 수납케이스(36)에 수납되어 자기드럼 카트릿지(22)를 구성한다. 드럼본체(30)는 수납케이스(36) 내에 수납된 상태로 기록재생장치(10)에 대해 로딩 및 언로딩된다. 따라서 조작자의 손과 자기표면(31)간의 직접적인 접촉이 없게 되므로, 먼저 입자등이 자기표면(31)상에 묻지 않게 된다. 슬롯(37)은 수납케이스(36)의 세로방향, 즉, 축상 코어와 평행한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안내돌기부(38a), (38b)는 수납케이스(36)의 세로방향을 따라 외측면상에 형성된다. 방지수단인 보유 캡(39)은 수납케이스(36)의 상부단에서 내측 외주면상에 제공된다. 내측외주면 방향쪽으로 굽혀진 방지수단인 플랜지부(36a)는 수납케이스(36)의 하부단부상에 형성된다. 자기드럼 카트릿지(22)의 어셈블리시에, 드럼본체(30)는 방지수단에 보유 캡(39)이 제거된 상태로 위로부터 수납케이스(36) 내에 삽입되어, 드럼본체(30)가 자기드럼 카트릿지(22)에 수납되며 방지수단인 보유 캡(39)이 이후 장착되어 진다. 드럼본체(30)는 방지수단인 보유 캡(39)에 의해서 자기드럼 카트릿지(22)의 상향 바깥쪽으로 미끄러지지 않게 되며, 수납케이스(36)의 방지수단인 플랜지부(36a) 및 소직경부(34)로 형성된 계단부와의 정합에 의해서 자기드럼 카트릿지(22)의 하향 바깥쪽으로 미끄러지지 않게 된다.

    자기드럼 카트릿지(22)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구동 어셈블리(40)내에 로드된 상태로 동작할 때, 수납케이스(36)는 고정상태를 유지하고 드럼본체(30)만이 회전한다. 이렇게 하여, 드럼본체(30)의 길이 및 외경은 수납케이스(36)의 직경보다 작게 설정된다. 방사방향 및 로딩시의 삽입방향에 따라 자기드럼의 위치설정으로 생기는 오차를 고려해 볼 때, 드럼본체(30)와 수납케이스(36)간에 틈이 존재한다. 그러나 자기드럼 카트릿지(22)의 운송시에 드럼본체(30)의 자기표면(31)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드럼본체(30)와 수납케이스(36)간의 상기 틈은 자기표면(31)과 수납케이스(36)의 내측 외주면이 접촉되지 않게끔 선정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자는 (1). 캠형상의 핑거와 드럼본체(30)의 정합 또는 드럼본체(30)에 대해 푸싱 스프링을 제공함에 의해 드럼본체(30)내에서의 회전 또는 틈을 방지하는 수단과, (2). 수납케이스(36)의 내측면에 적당한 쿠숀부재를 제공하는 수단과, (3). 수납케이스(36)와 자기표면(31)이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게끔 드럼본체(30)를 형성화하는 수단과, 자기드럼 카트릿지(22)가 구동 어셈블리(40)에 로드되지 않은 상태의 동종의 수단을 고안하였다. (3)의 수단이 제조가 용이하고 값싸며, 기타 등등의 이유를 고려해 볼 때 상술한 실시예에서 활용된다. 즉, 드럼본체(30)의 방사방향 이동은 방지수단인 소직경부(34)와 플랜지부(36a)와의 접촉 및 방지수단인 링형돌기부(33)와 보유캡(39)간의 접촉에 의해 제한된다. 따라서 드럼본체(30)의 자기표면(31)은 상술한 접촉으로 인해 수납케이스(36)의 내측 외주면에서 분리된다. 따라서, 자기표면(31)은 수납케이스(36)와 미끄럼 접촉을 하지 않는다. 또한, 드럼본체(30)의 삽입방향에 따른 틈은 자기드럼을 상하향 방향으로 수납케이스(36)의 밖으로 미끄러져 나가지 않게 하는 상기 구성에 의해 제한된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10)의 구동 어셈블리(40)는 일반적으로 모터(24), 드럼홀더(41) 및 중공의 원통형상 수납케이스 홀더(42)를 구비한다. 자기드럼 카트릿지(22)를 구동 어셈블리(40)에 로딩할 시에, 드럼홀더(41)는 드럼본체(30)의 중공부(30a)내로 삽입된다. 게다가, 수납케이스(36)는 수납케이스 홀더(42)의 중공부에 수납케이스(36)가 삽입되고 상기 구동 어셈블리(40)의 위로부터 구동 어셈블리내로 자기드럼 카트릿지(22)가 삽입되도록, 수납케이스(36)상의 안내돌기부(38a), (38b)가 수납케이스 홀더(42)의 안내홈(43a), (43b)과 정합되는 상태로 수납케이스 홀더(42)내에 삽입된다. 드럼본체(30)의 결합부(32)에 끼워지는 고정나사(44)는 드럼홀더(41)의 중앙 상부면으로부터 돌기한다. 테이퍼된 면(45)은 드럼홀더(41)의 하부단상에 형성된다.

    수납케이스 홀더(42)의 일부는 세로방향(축의 코어와 평행한 방향)을 따라 절결되어 절결부(47)를 형성하며, 자기헤드장치(28)의 자기헤드(46)는 절결부(47)에 대향하여 위치 설정된다. 수납케이스(36)는 안내돌기부(38a), (38b) 및 안내홈(43a), (43b)의 위치 설정에 의해서, 슬롯(37)이 절결부(47)를 통해 자기헤드(46)와 대향하게끔 하는 방향으로 삽입된다. 두쌍의 이들 안내돌기부 및 안내홈을 제공하는 것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한쌍의 안내돌기부 및 안내홈만을 제공해도 충분하다. 상술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두쌍의 안내돌기부 및 안내홈을 제공할 때에 수납케이스(36)의 역방향 삽입이 방지되게끔 직경 위치로부터 이탈된 위치에서 안내돌기부 및 안내홈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내돌기부 및 안내홈의 관계는 반대로 될 수 있다. 즉 안내돌기부는 수납케이스 홀더(42)상에 제공되고, 안내홈은 수납케이스(36)에 제공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구동 어셈블리(40)에 로드된 자기드럼 카트릿지(22)의 드럼본체(30)는 모터(24)에 의해 드럼홀더(41)와 함께 회전한다. 자기헤드장치(28)의 자기헤드(46)는 이송수단인 이송나사(25) 및 이송너트(27)에 의해 연속 또는 간헐적으로 이송된다. 이 결과, 비데오신호와 같은 정보신호는 나선 또는 동심 트랙상에서 자기헤드(46)에 의해 자기표면(31)에 대해 기록되고 재생된다.

    지금부터 드럼본체(30)의 규격 및 회전속도를 나타내는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에서 도시된 기록재생장치(10)의 외부프레임의 규격이 기존의 35㎜ 광학 카메라의 범위에 있다는 사실을 고려해 볼 때, 드럼본체(30)의 규격이 기존의 35㎜ 필름의 페트로네트(길이 47㎜ 및 직경 25㎜)의 범위에 있거나, 상기 페트로네트(길이 53㎜, 케이스 직경 31㎜, 캡 직경 34㎜)를 수납하는 페트로네트 케이스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 전 세계적으로 현재 가장 인기있는 가정용인 휴대용 VTR에 있어서, 두개의 회전헤드를 갖추고 있는 드럼의 직경은 62㎜, 회전속도는 30rps로 선정되어 있다. 따라서, 자기 테이프와 헤드간의 상대 선형속도는 5.8m/sec로 선정되어 있다. 비데오신호의 정밀기록 및 재생은 자기기록매체와 헤드간의 상대 선형속도를 상기 값으로 선정하는 것에 의해 실현된다.

    적합한 실시예와 같이, 만일 드럼본체(30)의 자기표면(31)과 자기헤드(46)간의 상대 선형속도가 5.8m/sec로 선정되면, 드럼본체(30)의 직경 및 회전속도는 31㎜ 및 60rps로 제각기 설명된다. 또한, 드럼본체(30)의 길이가 50㎜ 범위로 선정되면, 전체적인 규격은 35㎜ 필름의 페트로네트 케이스의 규격과 실제적으로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지금부터 드럼본체(30)의 특징에 대해 종래의 전자식 카메라에 사용된 자기디스크와 비교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드럼본체(30)의 직경 및 회전속도가 31㎜ 및 60rps(3600rpm)로 제각기 선정된다면, 상대 선형속도는 드럼본체(30)와 자기헤드(46)간에서 얻어진다. 따라서, 픽업된 텔레비젼 비데오신호의 1필드가 드럼본체(30)의 1회전 동안 기록될 수 있다. 게다가, 드럼본체(30)의 직경이 자기표면(31)의 전체 길이에 걸쳐 실제적으로 동일(상기 예에서 50㎜)하기 때문에, 상대 선형속도가 동일하며, 기록 및 재생이 자기표면(31)의 전체 길이에 걸쳐 동일한 특성을 효율적으로 행해진다. 만일 전자 트랙킹 기법이 자기헤드(46)에 대해 적용되면, 기록 및 재생은 예를들어 트랙폭이 3㎛이며, 가드대역이 1.5㎛(트랙피치 4.5㎛)인 좁은 트랙상에서 행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만일 50㎜의 길이를 가진 자기표면(31)에 대해 자기헤드(46)의 이동범위가 예로서 48.6㎜로 선정되면, 48.6㎜/4.5㎛=10800트랙이 드럼본체(30)상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정지화상의 기록 및 재생시는 보다 많은 정지화상의 10,000 화상프레임이 기록되고 재생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이동하는 화상을 연속적으로 기록 및 재생하여 정상기록 및 재생을 행할시에는 10,800/60×60=3 즉, 3분의 전체 필드 정상기록 및 재생이 행해질 수 있다. 만일 2필드마다 기록이 행해지는 소위 필드 스킵기록이 행해지면 6분의 기록 및 재생이 본 경우에 있어 1초당 30개의 화상 프레임의 존재때문에 행해질 수 있다.

    종래의 8㎜ 필름 카메라에 있어서, 1초당 16개의 화상 프레임이 존재하며, 한통의 필름에 대한 픽업시간, 또는 픽업 지속기간은 3분이다. 본 발명의 기록매체에 따라, 8㎜ 필름의 정보량의 두배인 정보량은 필드 스킵기록이 행해지더라도 소정의 기간동안 기록될 수 있다. 게다가, 기록기간은 8㎜ 필름의 기록기간의 두배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는 종래의 35㎜ 정지 카메라 대신으로 사용될 수 있을뿐 아니라 종래의 8㎜ 필름 카메라대신 대체될 수 있다.

    다른 한편, 만일 본 발명의 자기드럼의 성능과 동등한 성능이 종래의 전자 카메라의 자기디스크에서 요구될 때, 자기디스크의 최내곽 외주변 위치의 직경은 자기디스크와 자기헤드간의 상대 선형속도가 5.8㎜/sec가 되도록 31㎜로 된다. 따라서, 자기디스크상의 최내곽의 외주면 위치로부터의 기록 개시에 의해 상기 기록용량을 얻기 위해서는, 자기디스크의 방사방향에 따라 50㎜의 기록범위가 최내곽의 외주변 위치에서부터 요구되며, 최외곽 외주변 위치에 있어서의 직경은 결과적으로 131㎜로 된다. 그러나, 35㎜ 카메라 범위의 규격을 가진 프레임체에 이러한 큰 직경을 가진 자기디스크를 수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역으로, 만일에, 자기디스크의 규격이 자기디스크가 35㎜ 카메라 범위의 규격을 가진 프레임체에 수납될 수 있게 선정되면, 자기디스크와 자기헤드간의 상대 선형속도가 감소되고, 본 발명의 자기드럼과 비교하여 기록용량에 있어 커다란 감소를 초래된다. 상기의 기술로부터 자기드럼 35㎜ 카메라 범위의 규격을 가진 프레임체에 수납되는 상태로 기록 및 재생이 행해질 때에 본 발명의 자기드럼이 상당히 우수하다는 것을 명백히 알 수 있다.

    드럼본체(30)가 회전될 수 있는 한 자기드럼 카트릿지의 수납케이스는 굳이 원통형상을 이룰 필요없이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제로 평행 6면체의 수납케이스(50)를 이룰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슬롯(37)과 유사한 슬롯(51)이 수납케이스(50)내에 제공되며, 안내돌기부(52)가 위치 설정용으로 수납케이스(50)의 한 모서리부에 제공된다. 상기 구성을 가진 자기드럼 카트릿지(53)와 함께 로드된 구동 어셈블리의 수납케이스 홀더는 중공의 평행 6면체로 형성되어, 이 속에는 수납케이스(50)가 삽입될 수 있다.

    제7도는 구동 어셈블리(40)에 자기드럼 카트릿지(22)가 로드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 확대도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자기드럼 카트릿지(22)가 구동 어셈블리(40)에 로드된 상태에서, 수납케이스(36)는 수납케이스 홀더(42)상에 놓여져 수납케이스 홀더(42)의 계단부(42a)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드럼본체(30)의 하부단에서 테이퍼된 면(35)은 드럼홀더(41)의 테이퍼된 면(45)에 놓여진다. 고정나사(44)는 드럼본체(30)의 결합부(32)를 관통하며, 드럼본체(30)는 너트(60)에 의해 드럼홀더(41)상에 정착된다. 이 상태에서 드럼본체(30)는 수납케이스(36)와 접촉하지 않고 즉 수납케이스(36)의 내측 외주면으로부터 분리되며, 드럼홀더(41)와 함께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드럼본체(30)가 기계적 강조에 대해 소정의 두께를 갖는다해도, 드럼본체(30)의 중공부(30a)의 내경은 자기표면(31)의 직경이 31㎜로 설정될 때 20㎜로 설정될 수 있으며 중공부(30a)의 길이는 45㎜의 범위내에 설정될 수 있다.

    모터(24)는 드럼홀더(41)내에 제공된다. 내측의 회전모터, 외측의 회전모터, 컵모터, 홀 소자모터 프린트모터, 및 무브러시 모터와 같은 D, C모터가 모터(24)로서 사용될 수 있다. 모터(24)는 모터케이싱(61)내에 수납된 회전자(62), 계자석(63), 정류자(64), 브러시(65) 및 회전자(62)와 함께 장착된 회전축(66)을 구비한다. 회전축(66)은 모터케이싱(61)에 장착된 베이링(67), (68)에 의해 축상 지지되며, 회전축(66)의 상부단은 드럼홀더(41)에 끼움식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드럼홀더(41)는 회전축(66)과 함께 회전된다.

    기어(69)는 회전축(66)의 하부단에 고정된다. 회전축(66)은 기어(69), (70), 축(71) 및 기어(72), (73)를 통해 축(74)를 회전시킨다. 상기 기어(69), (70), (72) 및 (73)은 감속기구(83)를 구성한다. 축(74)은 전자기클러치(75)를 통해 출력축(76)을 회전시킨다. 벨트는 이송수단인 이송나사(25)의 하부단에 제공된 풀리(77)와 출력축(76)간에 걸려 있다.

    주파수 발생기의 픽업헤드(78)는 기어(69)와 대향한 위치에 제공되며, 기어(69)의 회전에 의해 발생된 출력신호는 단자(79)를 통해 얻어진다. 이같은 출력신호는 회전 제어용으로 사용된다. 단자(80)로부터의 구동전압은 모터(24)의 브러시(65)에 공급되며, 단자(81)로부터의 구동전압은 전자기 클러치(75)에 공급된다. 또한, 기록신호는 단자(82)로부터 자기헤드(46)에 공급되며, 재생된 신호는 자기헤드(46)로부터 얻어진다.

    단자(80)로부터의 구동전압이 모터(24)의 브러시(65)에 공급될 때, 회전축(66)은 회전하고 자기드럼은 60rps(3600rpm)의 회전속도로 드럼홀더와 함께 회전한다. 자기표면(31)에 대한 기록 및 재생은 자기헤드(46)에 의해 행해진다. 또한 전자기 클러치(75)가 단자(81)로부터의 구동전압의 공급에 의해 접속상태에 놓여질 때, 회전축(66)의 회전속도는 상기 감속기구에 의해 원속도의 1000분의 1로 감소되며, 이송수단인 이송나사(25)는 벨트(26)에 의해 회전된다. 따라서 자기헤드장치(28)는 이송수단인 이송나사(25)의 회전으로 인해 이송수단인 이송너트(27)와 함께 상, 하향으로 이동된다. 감속기구(83)의 감속비와, 풀리(77)에 대한 회전 전달비와 이송수단인 이송나사(25)의 나사피치 등은 자기헤드(46)가 드럼본체(30)의 1회전 동안 1피치트랙만큼 이송되도록 설정된다.

    이동화상을 연속하여 기록 및 재생할 때, 이송수단인 이송나사(25)는 전자기 클러치(75)가 연속 작동하면 연속하여 회전하며 따라서 자기헤드(46)도 연속하여 이동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관점에서, 비데오신호는 연속적으로 드럼본체(30)의 자기표면(31)상의 나선형 트랙에 기록 및 재생된다. 더우기 정지-화상-프레임 기록 및 재생을 행할 때 상기 전자기 클러치(75)는 일시적으로 작동된다. 전자기 클러치(75)의 비작동 상태인 동안에 기록이 행해지는 구성이면 자기표면(31)상에는 동심트랙이 형성되며, 전자기 클러치(75)의 작동 상태동안 기록이 행해지는 구성이면 나선형 트랙이 자기표면(31)상에는 나선형 트랙이 형성된다.

    계자석(63)을 갖는 제7도에서 도시된 모터를 모터(24)로서 사용하여 계자석(63)에서 드럼본체(30)로 누설자계가 존해할 가능성이 있다면, 자계를 차단하기 위해 모터케이싱(61) 및 드럼홀더(41)로써 연철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자에 의하여 얻어진 실험적 결과에 의하면, 비자기 알루미늄이 모터케이싱(61) 및 드럼홀더(41)로써 사용된다 하더라도 실질적인 관점에서 아무 문제도 유발하지 않는다.

    드럼본체(30)의 제조방법의 한 실시예로서, 알루미늄이나 플라스틱으로 주형되며 중공부분의 중심축선은 자기드럼 베이스를 형성하기 위하여 고정밀도로 외부 주위면을 연마제로 처리할 회전 중심선으로 가정한다. 금속, 합금 산화물, 니켈과 철의 합금 비결정 등의 얇은 자기층이 진공증착에 의하여 자기드럼 베이스의 외부 주위면상에 증착되며, 자기표면(31)은 이온도금, 스퍼터링, 전기도금 혹은 비전기도금에 의하여 형성된다.

    한 단부(하부단부)상에 원통형 구멍을 가지는 드럼본체(30)가 구동 어셈블리(40)내에 로드될 때, 구조는 모터(24), 드럼홀더(41) 등을 포함하는 드럼구동기가 드럼본체(30)의 중공부(30a)내로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전체적인 장치의 크기는 매우 소형화될 수 있다.

    다음에는 제8도를 참조하여 자기헤드장치(28)의 실시예에 대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프레임부재(90)는 자기 물질을 실제 U자형으로 굽히므로 형성된다. 트랙킹 제어장치인 영구자석(91) 및 (92)사이에 프레임부재(90)의 암부분의 내측 측면에 고정되어 있고, U자형 요크(93)는 트랙킹 제어장치인 영구자석(91)과 (92)사이에 프레임부재(90)의 베이스 부분상에 고정된다. 트랙킹 제어장치인 가동본체(94)는 직사각형에 감겨진 한쌍의 코일(95) 및 (96)을 포함한다. 코일(95) 및 (96)은 각각 단단한 지지판(97)에 인접하여 고정된다. 예를 들면 인동으로 만들어진 판스프링(98)은 판스프링(98)의 양단부가 각각 고무베어링(99) 및 (100)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에서 프레임부재(90)의 암부분의 팁단부 사이에 걸쳐 제공된다. 각각 한 단부를 갖는 피보트 지지체(101) 및 (102)는 판스프링(98)에 주어진 한쌍의 구멍을 관통하여 지지판(97)에 고정된다.

    자기헤드(46)는 캔틸레버(cantilever)(103)의 팁단부에 제공된다. 캔틸레버(103)는 V자형으로 팁단부에 고정된 길고 두개의 좁은 막대(104) 및 (105)를 포함한다. 단단한 재료로 만들어진 원추형 피보트(104a) 및 (105a), 막대(104) 및 (105)의 각 베이스 부분에 공급된다. 평행 6면체형의 고무블럭(106)은 한 표면이 지지판(97)에 부착되어 있고 다른 표면이 판스프링(98)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지지판(97)의 중심부분에 제공된다.

    바늘 압력 인가용 부재(107)는 절단한 원추형을 갖는 고무로 제조되며 판스프링(98)의 중심위치에 고정된다. 판형 고무로 제조된 접속력 인가용 부재(108)는 바늘 압력 인가용 부재(107)의 팁단부에 고정된다. 막대(104) 및 (105)는 부재(108)의 각 단부를 관통하여 이들 관통점에서 부재(108)에 고정된다. 또한 부재(108)는 실제로 V자형으로 강압적으로 굽혀진다. 그래서 캔틸레버(103)는 굽음부재(108)에 의해 발휘된 탄성 회복력에 의하여 트랙킹 제어장치인 가동본체(94)를 향한 변위를 재촉하는 힘을 받는다. 더우기 피보트(104a) 및 (105a)는 각 V자형 홈(101a) 및 (102a)와 접촉되어 압착된다. 더구나 소정의 접촉 압력은 부재(108) 및 캔틸레버(103)를 통하여 얻는 부재(107)의 탄성 회복력에 의해 자기헤드(46)로부터 드럼본체(30)에 인가된다.

    제어신호전류에 기인한 트랙킹 제어장치인 가동본체(94)의 변위는 피보트 지지체(101) 및 (102)의 피보트(104a) 및 (105a)를 통하여 실제 캔틸레버(103)에 옮겨진다. 따라서 자기헤드(46)는 화살표 X방향으로 변위되어 트랙킹 제어 동작이 정확하게 수행된다. 더우기 자기헤드(46)는 자기드럼의 로딩 및 언로딩에 따라서 화살표 Z방향으로 즉 상부쪽으로 또는 하부쪽으로 변위된다. 상기 부재(107) 및 (108)는 독립된 부재일 필요는 없고, 이들 부재(107) 및 (108)은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자기헤드장치(28)는 이송수단인 이송너트(27)상에 장착되어 자기헤드장치(28)의 이송방향은 실제로 캔틸레버(103)의 종방향 즉 화살표 X의 방향과 일치한다. 자기헤드(46)는 캔틸레버(103)의 종방향에 따른 기계적 강도가 크기 때문에 적절히 이송될 수 있다.

    금속편(109)은 상기 부재(108)상에 고정된다. 제8도에 분리되어 도시되어 있지만, 코어(86) 둘레에 감겨진 코일(87)을 포함하는 전자석(85)은 금속편(109)에 인접되어 제공된다. 코일(87)은 스위치(88)를 통하여 밧데리(17)에 접속된다. 스위치(88)는 장치(10)의 뚜껑(23)에 인접하여 제공되고 뚜껑(23)이 닫혀있을 동안에 개방되고 뚜껑(23)이 열려 있을 때는 단락된다. 그래서 뚜껑(2)이 장치(10)로부터 또는 장치(10)내에 자기드럼 카트릿지(22)를 언로드하거나 로드하기 위하여 열리면, 스위치(88)는 단락되고 전자석(85)은 자화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금속편(109)은 전자석(85)에 끌리고 자기헤드(46)는 화살표 Z방향을 따라 상부쪽으로 상승하여 드럼본체(30)에서 분리되어져 자기드럼 카트릿지(22)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그러므로 자기드럼 카트릿지(22)의 로딩 또는 언로딩을 자기헤드(46)와 접촉함이 없이 수행할 수 있다.

    다음에는 제9도에 도시된 블록시스템을 참조하므로써 장치(10)의 전기 시스템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9도에서는, 제7도의 대응부분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 참조 번호로 표시된다.

    영상 픽업장치(14)에 의하여 픽업되고 프린트회로(18)를 포함하는 회로에서 발생된 제10a 및 11a도에서 도시한 칼라 비데오신호는 출력단자(110)로부터 기록신호 발생회로(112)와 색도신호 처리회로(113)에 공급된다. 동일하게 상기 회로에서 발생된 동기신호는 출력단자(111)를 통하여 제어회로(114)에 공급된다. 제어패널(115)은 동작모드 셋트용 동작스위치(21)를 포함하는 동작패널이다. 제어패널(115)의 한 출력은 제어회로(114)에 공급된다. 제어회로(114)는 드럼본체(30)를 구동하는 모터(24)를 드럼서보회로(116)를 통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속도 3600rpm으로 동기회전을 하도록 하게 한다. 또한 제어회로(114)는 단자(81)를 통하여 감속기구(83)에 의해 3.6rpm의 감속회전을 얻는 전자기 클러치(75)에 동작모드에 따른 제어신호를 공급하여 전자기 클러치(75)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픽업된 상기 칼라비데오 신호내의 반송파 색도신호는 색도신호 처리회로(113)에서 부반송파 주파수 fsc(예를들면 629KHz)를 갖는 저역 변환된 반송파 색도신호로 주파수 변환된다. 결과적으로 나타난 저역 변화된 반송파 색도신호는 기록신호발생회로(112)에 공급된다. 기록신호발생회로(112)는 상기 칼라비데오 신호내의 휘도신호와 분리하여 분리된 휘도신호를 주파수 변조한다. 주파수 변조된 휘도신호는 색도신호처리회로(113)로부터 저역변환된 반송파 색도신호와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되어 기록정보신호를 발생한다. 이러한 기록정보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은 제12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12도에서 대역 Ⅰ은 주파수 변조된 휘도신호를 가르키고 대역 Ⅱ는 주파수 변환된 반송파 색도신호를 가르킨다. 물론 오디오 신호를 기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제1도에 도시한 장치(10)의 마이크로폰(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픽업된 음향의 오디오 신호는 주파수 변조되어 제12도에 도시된 대역 Ⅲ을 점유한다(오디오 신호의 반송파 주파수는 f A 이다).

    상기 기록정보신호는 스위칭회로(117)에 공급된다. 기록정보신호는 단지 우수필드 주기동안만 스위칭회로(17)를 통과하고 기수필드 주기동안 차단된다. 즉 예를들면 기록정보신호는 입력단자(18)로부터 얻어진 1필드주기를 갖는 제10c도에서 도시된 스위칭 펄스에 의하여 기수 및 우수필드주기 사이에서 한 필드주기 동안만 통하여 통과한다. 결과적으로, 단지 우수필드주기의 기록정보신호만이 2필드마다(즉 소위 필드 스킵이 실행됨) 스위칭회로(117)로부터 주어져 혼합기(119)에 공급된다. 입력칼라 비데오신호에서 분리되어진 제10b도에 도시된 수직동기펄스에 의하여 트리거된 플립플롭(도시되지 않음)의 출력은 상기 스위칭 펄스로서 사용될 수 있다.

    트랙킹 신호발생기(120)는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역변환된 반송파 색도신호의 대역 Ⅱ내에 존재하며 상호 다른 주파수를 갖는 제1 및 제2트랙킹 제어기준신호(이하에서는 간단히 트랙킹 신호로 일컫는다) f p1 및 f p2 를 발생한다. 제10d도 및 10e도에서 각각 도시된 게이트 펄스는 상기 스위칭 펄스의 두배인 30Hz의 반복 주파수를 가지며, 이 스위칭 펄스에는 정극성 주기가 상기 스위칭 펄스의 부극성 주기와 위상 동기인 1필드 주기이며 각 위상은 시간상 2필드 주기만큼 상호 다르며, 상기 게이트 펄스는 트랙킹 신호발생기(120)내의 회로에 의하여 발생된다. 결과적으로 제1트랙킹 신호 f p1 은 제10d도에서 도시된 게이트 펄스의 정극성 주기동안 혼합기(119)에 공급된다. 제2트랙킹 신호 f p2 는 제10e도에서 도시된 게이트 펄스의 정극성 주기동안 혼합기(119)에 공급된다.

    본 실시예에서 트랙킹 신호 f p1 및 f p2 는 자기기록 및 재생전달 시스템에서 기록정보신호에 대하여 비트간섭을 방지한다. 그래서 적절한 레벨에서 기록을 수행하고 높은 신호대 잡음(S/N)비를 가진 트랙킹 신호 f p1 및 f p2 를 기록 및 재생하기 위하여, 트랙킹 신호 f p1 및 f p2 는 제11a도에서 도시한 입력 칼라 비데오신호의 칼라 버스트(burst) 주기 및 비데오 주기를 피하는 수평 귀선 소거 주기와 상응하는 기간내에서만 발생되며 트랙킹 신호 f p1 및 f p2 는 제11c도 및 11e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버스트 방법으로 제11b 및 11d도에 도시된 스위치 펄스에 의해 발생된다. 더우기 제11a 내지 11e도에서 명확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트랙킹 신호 f p1 및 f p2 는 2H 주기로 1H 컬러마다 발생되며 (H는 수평주사주기를 가르킴), 이에 대한 이유는 이하에서 기술될 것이다. 또한 이후에 기술하는 바와 같이, 두 종류의 트랙킹 신호 f p1 및 f p2 는 다른 방법으로 1H 시프트되는 기록 트랙패턴상에 하나의 정보신호 기록트랙을 갖는 인접 트랙상에 기록된다.

    따라서, 단지 제1트랙킹 신호 f p1 은 어느 일정한 필드(예를들면, 기수필드) 주기동안 버스트 방법으로 혼합기(119)로부터 발생되며 후속필드(우수필드) 주기의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스된 기록신호 FM(Fe1)이 제10f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후속필드 주기동안 발생된다. 또한 후속된 기수필드 주기동안은 단지 제2트랙킹 신호 f p2 가 버스트 방법으로 발생하며, 후속 우수필드의 주기동안은 그 후속 우수필드의 기록된 신호 FM(Fe2)이 방생한다. 따라서, 시간-순차 멀티플렉스된 신호는 상술된 신호발생을 동일하게 반복함으로써 시간 순차 멀티플렉스된 신호는 기록증폭기(121)에서 적당한 레벨로까지 증폭된다. 기록증폭기(121)에서 증폭된 신호는 기록모드단자(123)로부터의 기록모드신호에 의하여 단자 R에 접속되는 스위칭 회로(122)를 통과하여 단자(82)로부터 자기헤드(46)에 공급된다. 따라서 자기헤드(46)내에 공급된 신호는 드럼본체(30)의 자기표면(31)상에 형성된 나선형이나 동심의 트랙상에 기록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트랙킹 신호 f p1 및 f p2 는 저역 변환된 반송파 색도신호의 대역 Ⅱ내에 존재한다. 그러나, 이들 트랙킹 신호 f p1 및 f p2 는 저역 반송파 색도신호의 전달 주기와는 다른 주기내에서 시간 순차로 전달된다. 또한, 트랙킹 신호 f p1 및 f p2 가 제11a 내지 11e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칼라버스트 신호 주기를 피하는 수평귀선소거 주기내에서 전달되기 때문에, 기록 및 재생은 그들 사이에서의 비트 간섭없이 높은 S/N비로 수행된다.

    다음에, 드럼본체(30)상에 기록패턴에 대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자기헤드(46)의 갭의 트랙킹 폭이 3.5㎛로 설정되고 트랙피치가 2㎛로 설정된다면, 제10f도에서 도시된 시간-순차 멀티플렉스된 신호는 제13도에 도시된 트랙킹 패턴으로 드럼본체(30)상에 기록된다. 드럼본체(30)가 서보하에서 3600rpm으로 동기 회전하도록 구동하기 때문에, 만약 위치 SP가 수직동기펄스의 기록위치에 있다고 가정하면, 수직동기펄스 및 수평동기펄스는 자기이송방향(화살표 A방향)을 따라서 배열된 상태로 기록된다.

    각 트랙 t 1 , t 2 , t 4 , … , t 7 , … 은 드럼본체(30)의 매 1회전동안 자기헤드(46)에 의하여 형성된다. 드럼본체(30)의 제1회전동안 트랙 t 1 이 형성된다. 이 트랙 t 1 에서, 제1트랙킹 신호 f p1 이 수직 동기 펄스 후에 제2수평귀선소거주기의 위치로부터 2필드 주기로 기록된다. 정보신호기록트랙 t 2 는 드럼본체(30)의 다음 1회전동안 형성된다. 상기 스위칭회로(117)에서 얻어진 우수필드 주기의 정보신호는 이 트랙 t 2 에 기록된다. 또한, 트랙 t 3 은 드럼본체(30)의 다음 1회전동안 형성되며, 이 트랙 t 3 에는 제2트랙킹 신호 f p2 가 수직동기펄스 후에 제1수평귀선소거 주기의 위치로부터 2필드주기로 기록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3도에서 TW로 표시된 트랙폭은 상술한 대로 TP로 표시된 트랙 피치의 값보다 크게 선택된다. 이러한 이유로, 트랙폭과 트랙 피치간의 차(본 경우에는 1.5㎛)와 상응하는 길이로 어떤 트랙과 이 어떤 트랙 다음에 기록 및 형성되는 후속 트랙간에서는 오버 랩 기록이 실행된다. 다른 연속하는 트랙의 오버 랩 기록에 따르는 트랙의 일부는 오버 랩핑 기록부분에서 비자화된다. 이하 동일하게 수직동기펄스의 기록위치 SP는 드럼본체(30)의 매 1회전동안 기록의 개시점과 종결점으로 가정하며 트랙킹 신호 f p1 또는 f p2 및 정보신호는 교대로 기록된다. 따라서, 제13도에 도시된 경사선으로 표시된 정보신호기록트랙 t 2 , t 4 , t 6 , … 의 양측면상에 형성된 트랙상에서, 제1트랙킹 신호 f p1 이 한 트랙상에 굵은 선으로 표시된 위치에서 기록되며, 제2트랙킹 신호 f p2 는 다른 트랙상에 점선으로 표시된 위치에서 기록된다. 따라서 트랙 패턴은 트랙킹 신호 f p1 및 f p2 가 트랙폭 TW와 트랙피치 TP간의 차와 일치하는 길이에 의해 정보신호 기록트랙을 통하여 오버 랩핑 기록된다. 또한 제1트랙킹 신호 f p1 및 제2트랙킹 신호 f p2 의 기록위치는 제13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1H만큼 시프트된다.

    제1 및 제2트래킹 신호 f p1 및 f p2 를 사용하므로서 수행되는 트랙킹 제어의 원리는 비록 기록매체가 본 특허에서는 디스크이기는 하지만 미합중국 특허 제4, 331, 976호에서 기재되어 있는 것과 동일하다.

    재생 시스템은 제9도를 참조하여 지금부터 기술한다. 재생하는 동안 스위칭 회로(122)는 단자(123)에서 재생모드신호에 의하여 단자 P에 접속된다. 자기헤드(46)는 드럼본체(30)상에서 정보신호기록트랙 t 2 , t 4 , t 6 을 재생한다.

    트랙피치(TP)가 트랙폭(TW)보다 협소하므로, 세가지 유형의 신호, 즉 정보신호와 재생트랙의 양 측면상의 트랙으로부터의 제1 및 제2트랙킹 신호 f p1 및 f p2 는 동시에 재생된다. 재생된 신호는 스위칭회로(122)를 통해 전치증폭기(124)에서 적당한 레벨로 증폭된다. 이 증폭된 신호는 H/2-지연회로(125), 색도신호처리회로(128)와 자동이득제어(AGC) 회로(132)에 공급된다. 색도신호처리회로(128)는 저역 변환된 반송파 색도신호를 재생신호 범위내에서 그로부터 분리 및 여파하며, 저역의 변환 반송파 색도신호를 다시 그의 초기대역으로 주파수 변환시켜 재생 반송파 색도신호를 발생케 한다. 이렇게 재생된 반송파 색도신호는 H/2-지연회로(129)를 경유하여 복조회로(127)에 공급된다.

    복조회로(127)는 각각 주파수 변조된 휘도신호와 지연회로(125)로부터의 재생신호내에서부터 주파수 변조된 오디오 신호를 주파수 복조시킨다. 복조 휘도신호는 지연회로(129)로부터 재생된 반송파 색도신호와 멀티플렉스되며, 복조된 오디오 신호도 또한 주파수 변조된 후 그것과 함께 멀티플렉스된다. 결과적으로, 표준 텔레비젼 시스템에 다른 칼라텔레비젼 신호가 얻어진다. 복조회로(127)의 출력신호는 출력단자(131)를 통하여 얻어져서 동기신호분리회로(137) 및 제어회로(114)에 공급된다. 동기신호분리회로(137)에서 분리된 수직동기펄스는 스위칭 펄스발생기(138)에 공급되고 스위칭 펄스를 발생할 때 기준으로서 사용된다. 동기신호분리회로(137)에서 분리된 수직동기신호는 스위칭 펄스발생기(138)에 공급되며 스위칭 펄스 발생시 기준펄스로 사용된다.

    지연회로(125) 및 (129)는 단자(126 및 130)로부터의 각 제어신호에 따라 입력 신호가 어느 필드동안 H/2만큼 지연되고 그 다음 필드동안은 지연되지 않는 동작을 반복한다. 기록 및 재생되는 비데오 신호가 매 2필드마다의 비데오 신호 즉 기수 또는 우수필드중 한 필드의 비데오 신호이므로 매 2필드마다의 H/2의 상기 지연이 2대 1의 비월주사(interlace)를 달성하는데 필요하다.

    트랙 시프트 이외에도 다른 일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전치증폭기(124)로부터 신호에서의 레벨편차는 AGC회로(132)에 의하여 일정하게 되도록 제어된다. AGC회로(132)의 출력은 재생된 신호범위 내의 제1 및 제2트랙킹 신호 f p1 및 f p2 가 각각 분리되는 대역통과필터(133) 및 (134)에 공급된다. 상기 대역통과필터(133) 및 (134)의 출력은 스위칭회로(135)에 공급된다. 스위칭회로(135)는 스위칭발생기(138)로부터 나오는 스위칭펄스에 의하여 스위치되고, 교대로 제1 및 제2트랙킹 신호 f p1 및 f p2 신호를 트랙킹 서보회로(136)의 입력단자(136a) 및 (136b)에 공급된다. 스위칭회로(135)는 고속재생모드동안은 스위칭 작동되지 않으며, 드럼본체(30)의 매 1마다 회전 정상 재생동안만 스위칭 작동을 수행한다. 트랙킹 서보회로(136)는 트랙킹 신호 f p1 및 f p2 의 엔벨로프(envelopes)를 검출하고 자동 증폭기를 통해 트랙킹 오차신호를 발생시킨다. 트랙킹 오차신호는 소정의 구동전압으로 변환되어 자기헤드장치(28)에 공급된다. 따라서, 자기헤드(46)는 기록트랙의 트랙폭 방향을 따라 변위되고, 트랙킹 제어는 트랙킹 신호 f p1 및 f p2 가 항시 일정하고 동일한 재생레벨로 재생되도록 즉 재생정보신호 내에 FM 신호의 레벨이 항시 최대가 되도록 수행된다.

    만일 정지화상재생이 동일트랙을 반복적으로 재생시킴으로 수행되면, 예를들어 스위칭 펄스는 스위칭펄스발생기(138)에 의하여 발생되지 않으며(또는 스위칭 펄스의 극성이 일정한 레벨로 유지됨), 트랙킹 극성은 동일 극성을 유지한다. 예를들면, 제13도에 도시된 트랙 t 4 을 재생할 때, 자기헤드(46)의 트랙주사궤적(locus)은 제1트랙킹 신호 f p1 의 레벨이 제2트랙킹 신호 f p2 의 레벨보다 더 클 경우 트랙 t 6 으로 향하여 시프트된다. 한편 자기헤드(46)의 트랙 주사 궤적은 제1트랙킹 신호 f p1 의 레벨이 제2트랙킹 신호 f p2 의 레벨보다 낮은 경우 트랙 t 2 로 향하여 시프트된다. 이로써 자기헤드(46)는 전자의 경우에는 트랙 t 2 로, 후자의 경우에는 트랙 t 6 으로 향하여 매우 적은 정도로 편이되고, 트랙제어는 자기헤드(46)가 트랙 t 4 의 중심선에 대하여 일정하게 주사되도록 수행된다.

    그러나 트랙 t 5 의 재생이 트랙 t 4 의 재생의 종단위치에 있는 제13도에 표시된 위치 SP로부터 시작될 때, 트랙 t 5 로부터 제1트랙킹 신호 f p1 은 최대 레벨로 재생된다. 따라서 자기헤드(46)는 트랙 t 2 를 향하여 신속하고도 순간적으로 변위되는데, 이는 정지화상재생에 의한 트랙킹 극성이 트랙 t 4 의 주사에 의해 트랙킹 극성으로 유지되지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자기헤드(46)는 수직동기펄스의 기록위치 SP가 시프트되는 불연속 트랙부분에서조차도 트랙 t 4 를 일정하게 재생시키도록 회수되어 트랙킹 신호 f p1 및 f p2 의 재생레벨이 균형을 이루도록 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경우에 필드라는 관점에서 정지재생화상은 트랙 t 4 만을 반복하여 재생시키므로 얻어질 수 있다.

    그다음 정상적인 재생동안 자기헤드장치(28)는 기록에 의한 속도와 동일한 소정속도로 드럼본체(30)의 축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송된다. 드럼본체(30)상의 각 트랙은 두번씩 주사 및 재생되어져야 되는데, 이는 소위 필드 스킵 기록이 실행되고 이신호가 상기와 같이 매 2필드마다 드럼본체(30)에 기록되지 때문이다. 이 경우 자기헤드(46)가 제13도에 트랙 t 2 에 대하여 두번 주사된 후, 예를 들어 자기헤드(46)는 수직동기신호의 기록위치 SP 바로 앞의 트랙 t 2 의 위치로부터 트랙 t 4 의 위치 SP 바로 다음의 위치까지 빠르게 이동되어야 한다. 이 경우, 스위칭 펄스발생기(138)의 출력 스위칭 펄스극성은 반전되어 위치 SP로부터 트랙킹 극성을 반전시킨다. 따라서 역으로 트랙 t 2 의 주사에 으해 자기헤드(46)는 트랙킹 신호 f p1 의 검출된 엔벨로프가 트랙킹 신호 f p2 의 엔벨로프보다 더 큰 경우 트랙 t 2 을 향하고, 트랙킹 신호 f p1 의 검출된 엔벨로프가 트랙킹 신호 f p2 의 엔벨로프보다 더 작은 경우 트랙 t 6 를 향해 트랙폭 방향을 따라 변위된다. 따라서 트랙킹 제어는 자기헤드(46)가 트랙 t 4 를 주사하여 재생시키도록 수행된다.

    이하, 수직동기펄스와 위상동기를 이루고 4-필드의 주기를 가진 대칭구형파는 스위칭발생기(138)에 의하여 발생되어 스위칭회로(135)에 공급된다. 따라서, 자기헤드(46)는 각각의 정보신호기록트랙을 두번씩 반복 재생시켜 정상적인 재생화상을 얻게된다.

    제14a도는 상기 정상적인 재생작동동안 전치증폭기(124)에 대한 입력재생신호파형을 나타낸다. 필드 Fe1', Fe2', 및 Fe3'에서의 신호파형은 필드 Fe1, Fe2, 및 Fe3에서의 신호가 제2의 시간동안 재생될 때 얻어진 신호파형을 개별적으로 나타낸다. 더구나, 이러한 정상적인 재생작동동안, 제14b도에 도시된 트랙킹 신호 f p1 는 대역 통과필터(133)에서의 재생신호에 의하여 발생되며, 제14c도에 도시된 트랙킹 신호 f p2 는 대역통과필터(134)에서의 재생신호에 의하여 발생된다. 제14d도는 정상 재생작동동안 스위칭 펄스발생기(138)의 출력 스위칭펄스를 나타낸다. 또한 제14e도와 제14f도는 트랙킹 서보회로(136)의 입력단자(136a) 및 (136b)에 대한 입력 트랙킹신호를 개별적으로 나타낸다.

    상기 실시예에서, 전자식 트랙킹 제어는 트랙킹 신호 f p1 및 f p2 의 사용으로 자기헤드(46)에 대하여 수행된다. 그러나 트랙간의 가드 대역은 상기 실시예에서 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전자식 트랙킹 제어회로를 장치하지 않게 한다. 이 경우 장치(10)의 구성은 간단해지며, 기록용량이 감소될지언정 이 장치에 대한 비용이 감소된다.

    자기드럼 카트릿지(22)의 수납케이스(36)에 형성시킨 슬롯(37)은 자기드럼 카트릿지(22)가 이 장치(10)의 구동 어셈블리(40)내로 로드되지 않는 상태에서 폐쇄되고 자기드럼 카트릿지(22)가 이 장치(10)내로 로드될 때는 개방되도록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수납케이스(36)는 자기드럼 카트릿지(2)가 구동 어셈블리(40)내에 로드되는 경우일지라도 드럼본체(30)와 함께 구동 어셈블리(40)내에 로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상기 구조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이 구조는 드럼본체를 수납케이스 내에 수납하되 자기드럼 카트릿지가 구동 어셈블리내에 로드되지 않은 상태로 한 것이며, 이 수납케이스는 자기드럼 카트릿지가 구동 어셈블리내로 로드된 후에 드럼본체에서 벗어나 구동 어셈블리내에 드럼본체와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드럼본체가 장치(10)로부터 회수될 때 수납케이스는 구동 어셈블리내로 삽입되어 드럼본체와 연결되며 이에 의하여 수납케이스와 드럼본체는 하나로 자기드럼 카트릿지로서 구성된다.

    더구나 본 발명은 자기드럼 카트릿지(22)의 로딩 및 언로딩에 의해 자기헤드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자기헤드는 자기드럼 카트릿지 로딩기구에 대하여 고정될 수 있고(적당한 탄성부재에 의하여 장착될 수 있음), 자기드럼 카트릿지는 기울어진 상태로 로딩되고 언로딩될 수 있다.

    상기 드럼본체(30)의 자기표면(31)을 완전한 원통형으로 형성시키기 위하여 드럼본체(30)의 본체의 외주 표면은 완전한 원통형으로 연삭되며, 그 표면은 매우 정밀하게 연마될 수 있다. 자기표면(31)은 상기와 같이 연마에 의해 형성된 표면상에 자기층을 도장함으로써 형성된다.

    자기층의 형성에 의하여 상기 자기표면(31)을 형성시키는 대신에 자기표면(141)은 제1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본체(140)상에 형성될 수 있다. 자기표면(141)은 나선식으로 드럼본체의 본체 둘레를 폭이 넓은 자기테이프(142)로 권취함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실시예에서 생략되어 있지만, 자기층이 도장된 유연성 있는 플라스틱 막(예를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막)은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어 플라스틱막의 양단부를 접착함으로써 드럼본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원통형 표면을 고정밀도의 연마처리에 의하여 완전한 원통형 자기표면을 갖는 드럼본체의 경우에 드럼본체와 자기헤드 사이에 상대적인 선형속도는 자기표면의 직경이 전반적인 기록 및 재생동안 동일하기 때문에 아주 일정하다. 그러나, 예를들어 플라스틱 주형에 의하여 드럼본체의 본체를 완전한 원통형으로 형성하더라도 주조편이 주형으로부터 빠지지 못하기 때문에 플라스틱 주형에 의하여 자기드럼의 본체를 제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드럼본체의 본체 표면은 매우 정밀하게 연삭되어야 하며, 그의 표면은 연마 처리되어야 한다. 이는 본체가 대량 생산이 될 수 없기 때문에 드럼본체의 제조비용을 높인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연마에 의하여 형성된 상기의 드럼본체는 기록 및 재생특성에 대한 엄격한 요구를 필요로 하는 사업용으로 적절하나 저렴해야 할 가정용으로 부적합하다.

    자기테이프 또는 자기막을 사용하는 드럼본체는 저렴한 값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러한 드럼본체의 대량생산도 가능하다. 그러나, 자기헤드가 함께 접착된 자기테이프 또는 자기막의 경계부에 대하여 주사될 때 기록 및 재생신호에서의 드롭아웃(dropout : 신호누락)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이 해소된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의 제3실시예에는 제16 및 17도에 도시된다. 드럼본체(151)는 거울형상의 끝부분에 만들어진 외부 주변 표면을 갖는 플라스틱으로 주형된 드럼본체(151)와, 드럼본체(151)의 외부 주변 표면상에 도장되어 형성된 자기층(152)으로 이루어진다. 드럼본체(151)는 외부형태가 그의 하부표면에 대하여 평행한 평면을 따라 직립원추를 절단하므로 형성시킨 갭립원형의 절두원추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드럼본체(151)는 중공부(151a)를 포함한 중공의 박막 플라스틱 주조 편재이다. 드럼본체(151)의 하단부에 개방단(153)이 제공되어 있으며 결합부(155)는 상단 표면부(154)의 중심에 제공되어 있다. 연철과 같은 강자성체로 만들어진 결합부재(156)는 상단 표면부(154)의 하단 표면에 노출되게 상단 표면부(154)에 깊숙히 제공되어 있다. 드럼본체(151)의 하단부에 구멍형상의 표식부(157)가 제공된다. 이 표식부(157)는 드럼본체(151)의 상단부에 인접한 위치에서 제공될 수 있다.

    만약 직립원추형 드럼본체(151)의 가상적인 정점각을 2θ라 가정하면, 이 각도 2θ는 사실상 1°내지 4°정도이다. 그러나, 도면에서 이 각도 2θ는 큰 각도처럼 확대 도시되어 있다. 드럼본체(151)는 드럼본체(151)가 후술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으로 주형될 때 주형으로부터 성형된 드럼본체가 잘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직립원추형으로 되어 있다.

    예를 들어 드럼본체를 플라스틱으로 주형할 때는 제18도에서 도시된 주형장치(160)가 사용된다. 이 주장치(160)는 블룩한 주형다이(161)와 주입구멍(163)이 있는 오목한 주형다이(162)를 구비하고 있다. 다이(161)의 외주면과 다이(162)의 내주면은 각각 가상 정점각이 2θ인 직립원추형을 이루고 있다. 우선, 다이(162)가 다이(161)로부터 제거되는 상태에서 결합부재(156)의 중심구멍은 다이(161)의 중앙 돌기부(164)위로 끼워진다. 그 다음, 다이(162) 및 다이(161)는 제18도에 도시된 상태로 어셈블된 후 용융된 합성수지가 주입구멍(163)으로부터 다이(161) 및 (162) 사이의 갭(165)내로 제18도에 도시된 상태로 주입된다. 그후, 이들 다이(161) 및 (162)는 이들이 제거되기 전에 냉각되며, 결합부재(156)가 일체로 감싸져 고정된 플라스틱주형 드럼본체(151)가 얻어진다. 다이(161) 및 (162)로부터 주형된 드럼본체(151)를 빼낼 때, 드럼본체(151)는 2θ의 정점각이 있으므로 쉽게 빠지게 된다.

    상기의 정점각 2θ가 너무 크면 자기표면의 직경은 자기헤드가 이송되는 직경과는 다르게 된다. 따라서, 자기드럼과 자기헤드간의 상대적인 선형속도는 변하게 되며 이를 피하기 위해서는 정점각 2θ는 작은 각도로 되는게 바람직하며 플라스틱 주형이 가능한 범위내에서 최소치로 선택되어야 한다.

    드럼본체(151)의 표면을 연마처리하지 않고도 드럼본체(151)의 외주면상에 자기층을 형성하기 위해, 드럼본체(151)의 외주면은 미리 거울형으로 처리되어야 한다. 이 때문에 다이(162)의 내주면은 거울형으로 연마되어 있어야 한다. 예를들면, 비결정 물질(예를들면, 석영유리와 같은)의 표면을 광학 폴리쉬 처리하여, 표면 거칠기가 0.01㎛ 정도가 되는 정도로 비결정 물질을 다이(162)의 내주면에 사용하여야 한다.

    상기 주형에 대한 합성수지 물질로서는, 내열성, 내충격성, 강직성 및 표면강도가 우수하고, 주형 처리에 적합한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니트릴, 부타딘, 스티렌 중합수지(ABS) 및 아크릴계 수지 등이 사용된다.

    주형된 드럼본체(151)의 외주면 거칠기는 0.01㎛ 정도이며 이 외주면에 증착, 스퍼터링, 무전해도금 등으로 자기층을 형성 부착시킨다. 드럼본체(151)의 소정위치에 구멍이 뚫린 표식부(157)를 설치하여 자기드럼(150)이 완성된다. 자기층을 형성 및 부착시키는 방법의 실시예로서는 대략 0.1 내지 0.2㎛ 정도의 두께를 가진 코발트, 니켈 또는 인합금을 무전해 도금 방식으로 드럼본체(151)의 외주면에 부착시키거나 또는 0.1㎛ 두께의 SiO 2 의 보호층을 부착시키는 방법이 있다.

    드럼본체(151)의 구체적인 규격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단표면부(154)의 직경은 25㎜, 하단표면부의 직경은 27㎜, 모선의 길이는 54㎜, 정점각 2θ는 2°이며 측벽두께는 1.5㎜이다. 이 실시예의 드럼본체(151)의 치수로서는 하단부 및 상단부간의 원주길이 차는 대략 7%이다. 따라서, 드럼본체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서의 자기헤드 및 자기표면(152)간의 상대적인 선형 속도차는 대략 7%가 된다. 그러나, 상대적인 선형 속도차가 이 정도일 경우, 실행상, 자기기록 및 재생 특성에는 하등의 문제가 없다.

    제19도에는 자기드럼(150)이 구동 어셈블리(170)내로 로드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구동 어셈블리(170)에는 모터(171)가 베이스(172)에 설치되어 있는 지지체(173)상에서 지지되어 있다. 모터(171)는 코일(175)이 고정된 자석(174)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회전축(77)은 베어링(176a) 및 (176b)에 의해 지지되며, 코일(175)과 함께 회전된다. 자기결합수단인 회전판(178)은 자기결합수단인 회전축(177)의 상단부에 고착되어 있다. 또한, 자기결합수단인 회전판(178)의 상면에는 자기결합수단인 링형의 영구자석(179)이 설치되어 있다.

    자기드럼(150)이 구동 어셈블리(170)내로 상기와 같이 로드되면 모터(171)는 상대적으로 자기드럼(150)의 중공부(151a)내로 들어가게 된다. 또한, 자기결합수단인 회전축(177)의 상단부는 결합부(155)내로 끼워진다. 자기드럼(150)의 상단표면부(154)가 자기결합수단인 회전판(178)상에 위치되면, 이 상단표면부(154)에 감싸여 일체로 형성된 결합부재(156)가 자기결합수단인 회전판(178)의 자기결합수단인 영구자석(179)쪽으로 끌려와서 결합부재(156) 및 자기결합수단인 영구자석(179)이 일체로 결합된다. 따라서, 모터(171)가 리드와이어(182)를 통해 전압 공급됨에 의해 회전되면, 자기드럼(150)은 자기결합수단인 회전판(178)과 함께 회전한다.

    베이스(172)와 지지체(173) 위에는 각각 회전위상 검출수단인 발광소자(180) 및 수광소자(181)가 자기드럼(150)의 표식부(157)와 대향하는 높이의 위치로 제공된다. 자기드럼(150)이 회전하면, 표식부(157)가 회전위상검출 수단인 수광소자(181) 및 발광소자(180)간에 광이 통과할 때마다 회전위상검출수단 수광소자(181)는 회전위상검출수단 발광소자(180)로부터의 광을 수광하며, 자기드럼(150)의 회전위상을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기록재생장치는 상기 회전위상신호를 사용하는데 의해 일정한 위상관계로 기록 및 재생을 실행할 수가 있으며, 자기드럼(150)이 구동 어셈블리(170)내로 로드되는 자기헤드에 대한 자기드럼(150)의 위상관계와는 무관하게 된다. 따라서, 기록 및 재생이 실행될 수 있으므로 각 필드에 대한 수직동기신호의 위치는 자기드럼(150)의 모선상에 정렬된다.

    제20도 및 제21도에는 자기드럼이 수납케이스 내에 수납된 자기드럼 카트릿지의 제2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자기드럼 카트릿지(190)는 자기드럼(191) 및 수납케이스(192)를 구비하고 있다. 자기드럼(191)은 드럼본체(193)와 드럼본체(193)의 외주면상에 형성 부착되어 있는 자기표면(152)을 구비하고 있다. 자기드럼(150)의 경우에서와 같이, 드럼본체(193)의 상단면에는 구멍형상의 결합부(155)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단부에는 결합부재(156)가 쌓여져 형성되어 있다. 방지수단인 한개 또는 복수의 링형돌기부(194)는 드럼본체(193)의 하단에서 외주연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수납케이스(192)는 하단이 개방되어 있는 중공원형통의 외벽부(195)의 외벽부(195)의 하단과 결합되는 내벽부(196)를 구비하고 있으며, 드럼본체(193)의 중공부(193a)내로 삽입되는 상태로 장착된다. 자기드럼(191)의 하단부는 내벽부(196) 및 외벽부(195)간의 갭내에 있게 되며, 이들 내벽부 및 외벽부와는 분리되어 있다. 어셈블리시에 자기드럼(191)의 상단면은 수납케이스(192)의 외벽부(195)내로 삽입되며 그 팁단부가 위로 돌기된다. 또한, 내벽부(196)는 중공부(193a)내로 삽입된 후 속박부(197)에서 내벽부(196)를 외벽부(195)에 속박시킨다. 방지수단인 한개 또는 복수의 링형돌기부(204)가 수납케이스(192)의 외벽부(195) 내주면상에 형성되어 있다. 자기드럼(191)은 방지수단인 링형돌기부(194) 및 (204)에 의해 외벽부(195) 내에서의 이동이 제한되며, 자기표면을 외벽부(195)의 내주면간의 접촉으로 인한 손상으로부터 방지할 수가 있다. 내벽부(196) 및 외벽부(195)는 예를 들면 플라스틱으로 사출성형할 수도 있다. 외벽부(195) 및 내벽부(196)의 하단부에는 각각 광전송구멍(198) 및 (199)이 설치되어 있어서, 자기드럼(191)의 하단부에 설치된 표식부(157)와 마주보는 위치에 있다.

    슬롯(200)은 수납케이스의 외벽부(195)의 수납케이스의 모선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이 슬롯(200)의 외주부에는 안내돌기부(201)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돌기부(201)는 자기드럼 카트릿지(190)가 기록재생장치의 구동 어셈블리내로 로드되면 구동 어셈블리에 설치된 홈(도시되지 않음)내로 끼워지고, 수납케이스의 상반 방향을 소정의 방향으로 제한하게 된다. 따라서, 수납케이스(192)내의 슬롯(200)은 항상 로드된 상태로 자기헤드와 면하게 된다. 안내돌기부(202)는 구멍(203)을 구비하고 있으며, 내벽부(196)의 내주면상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다.

    제22도에는 상기 자기드럼 카트릿지(190)가 로드된 구동 어셈블리를 도시하고 있다. 제22도에 있어서, 제7도 및 제19도와 대응하는 부분은 같은 부호를 사용하였고 그 설명 역시 생략한다.

    카트릿지 홀더(211)의 내부에는 제19도에 도시된 모터(171)와 같은 모터가 들어 있으며, 이 자기드럼 카트릿지는 베이스에 고착된다. 자기드럼 카트릿지(190)는 구동 어셈블리(210)내로 로드되므로, 카트릿지 홀더(211)는 상대적으로 자기드럼 카트릿지(190)의 하단 구멍으로부터 자기드럼 카트릿지(190)내로 들어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안내돌기부(201)는 구동 어셈블리내의 홈과 결합하여 또한, 안내돌기부(202)는 카트릿지 홀더(211)의 안내홈(212)과 결합하여 이에 의해 안내되어 수납케이스(192)의 로딩 방향을 제한시키게 된다. 자기드럼 카트릿지(190)가 최종 위치에 로딩되면, 안내홈(212)에 설치된 돌기부(213)는 내벽부(196)의 안내돌기부(202)내의 구멍(203)과 결합하고 따라서, 자기드럼 카트릿지(190)가 정위치된다. 상기 돌기부(213) 대신 예를들면 스프링 추진력이 있는 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송수단인 이송나사(25)는 자기드럼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171)에 부가하여 독립적으로 설치된 모터(214)에 의해 회전한다. 이송수단인 이송너트(27)는 안내봉(215)에 의해 안내되어 회전되지 않으며 이송수단인 이송나사(25)의 회전에 따라 선형 이동된다. 이송수단인 이송나사(25) 및 안내봉(215)은 모터(171)의 회전축(177)에 대해 경사지게 설치되어 회전축(177)과의 경사각 θ가 형성되므로, 이송수단인 이송나사(25) 및 안내봉(215)은 자기드럼의 자기표면에 평행하게 된다.

    제23도는 제20도 및 21도에 도시된 자기드럼 카트릿지(190)가 제22도에 도시된 구동 어셈블리(210)내로 로드된 상태의 수직단면도이다. 상기 안내돌기부(201)와 홈에 의한 위치 및 안내에 따라 안내돌기부(202)와 안내홈(212) 및 슬롯(200)은 자기헤드(46)에 상반되게 위치된다. 또한, 자기드럼 카트릿지(190)의 내벽부(196) 및 외벽부(195)의 광전송구멍(198) 및 (199)은 각각 회전위상검출수단인 발광소자(180) 및 수광소자(181)에 상반되게 배치된다.

    회전위상검출수단은 표식부(157), 발광소자(180) 및 수광소자(181)의 조합에 의한 것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들면, 제2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식부인 영구자석편(220)은 표식부로 작용하는 표식부구멍(157) 위치에 쌓여지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회전위상검출수단인 픽업헤드(221)는 표식부인 영구자석편(220)의 반대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제25도에는 모터의 회전축에 고착된 회전판과 자기드럼의 상단면간의 결합부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링형연결판(230)은 연결로 제조되어 자기드럼(150)의 상단표면부(154)의 저면에 감싸여 설치된다. 자기드럼(150)의 결합부(155)내로 끼워지는 자기결합수단인 중앙돌기부(231)는 자기결합수단인 회전판(178)의 중심에서 일체로 설치된다. 강자성체로 만들어진 링(223)은 자기결합수단인 회전판(178)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영구자석으로부터의 누설 자속을 차폐시킨다. 외주 연부 및 자기결합수단인 중앙돌기부(231)를 제외하고는 자기결합수단 회전판(178)의 상면에 침강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자기드럼(150)은 자기결합수단 회전판(178)의 외주연부에 의해 지지된다.

    제26도 및 제27도에는 자기헤드(46)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26도에 도시된 자기헤드(46a)에 있어서, 다결정 강자성판(241) 및 (242) 사이에는 합금으로 된 박막층(240)이 끼워져 자기통로 역할을 한다. 이 합금박막층(240)의 선단부는 내마찰 마모성을 가진 세라믹판(243) 및 (244) 사이에 끼워지며 갭(245)은 합금박막층(240)과 세라믹판(243) 및 (244)의 중앙에 형성된다. 코일(246) 및 (247)은 각각의 강자성판(241) 및 (242)의 선단부 부근 주위에 권회한다. 갭(245)을 포함하고 있는 만곡된 오목면(248)의 곡률은 자기드럼(최대 직경부분)의 최소곡률보다 약간 작다.

    제27도에 도시된 자기헤드(46b)는 단결정 강자성체인 한쌍의 헤드코어(250) 및 (251)를 구비하고 있다. 갭(252) 주변에는 유리접착제(253)가 접착되어 있다. 갭(252)을 포함하고 있는 만곡된 오목면(254)은 헤드코어(250) 및 (251)의 선단부에 형성된다.

    다음에는 제28도 내지 제31도를 참조하면서 자기드럼을 수납하여 자기드럼 카트릿지를 구성하고 있는 수납케이스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28도에 도시된 수납케이스(260)는 제20도 및 제21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태로 된 외벽부(195)와 이 외벽부(195) 개방단과 결합하는 링부재(261)를 구비하고 있다. 링부재(261)는 자기드럼(150)이 수납케이스(260)로부터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며, 구동 어셈블리내로 로딩되도록 하는 안내 부근 작용한다.

    제29a도에 도시된 수납케이스(270)는 상부판(271)의 저면 중앙에 있는 판스프링(272)을 구비하고 있다. 판스프링(272)은 자기드럼(150)의 상면에서 볼(273)을 중앙으로 향해 밀어내게 한다. 자기드럼 카트릿지가 사용되지 않은 상태에서, 자기드럼(150)은 판스프링(272)에 의해서 가압되며, 자기드럼(150)의 하부단은 링부재(261)와 접촉한다. 따라서, 바람직하지 않은 회전 및 유동성이 자기드럼의 비동작 상태중에 방지된다. 다음, 자기드럼 카트릿지나 구동 어셈블리에 로드되었을 때, 모터회전축(177)의 상부단은 제29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드럼(150) 상단부의 저면내의 중심에 중공되어 있는 요부와 정합한다. 또한, 자기결합수단인 회전축(177)의 상부에 고정된 회전판(275)은 자기드럼 상단부의 천정부와 접촉하여 자기드럼을 상승시킨다. 따라서, 자기드럼(150)의 하부 여부는 링부재(261)로부터 분리되어, 회전판(275)과 함께 회전 가능한 상태로 가정된다.

    제30도에 도시된 수납케이스(280)내에서 상부판(28)의 중심에는 구멍(282)이 제공된다. 자기드럼 카트릿지가 구동 어셈블리에 로드되는 경우에, 자기드럼(150)은 회전판(275)에 의해 상승되며, 또한 볼(284)을 구비한 푸싱부재(283)에 의해 하향으로 가압된다. 결과적으로, 자기드럼(150)의 상단 표면부의 하부표면은 회전판과 프레싱 접촉을 이루어 훌륭한 회전 전달을 가능케 한다.

    제31도에는 구동 어셈블리 또다른 실시예가 도시된다. 상기 제각기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자기드럼은 나사(44) 및 너트(60)와 같은 수단, 자기결합수단 회전판(178)의 영구자석(179), 그리고 결합부재(156)등등에 의해 모터회전축의 상부에 결합된다. 이런 이유로서 회전축의 축선에서 변동이 있는 경우에, 자기드럼의 하부 종단에서의 변동이 자기드럼의 상단부에서의 변동과 비교하여 확대된다. 본 실시예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시켰다.

    베어링(290)은 모터지지체(173)의 외부주변부에 제공된다. 링형 수납용부재(291)는 베어링(290)의 외부레이스에 제공된다. 자기드럼(191)이 구동 어셈블리안으로 로드될 때 상단 표면부(154)는 자기결합수단 회전판(178)의 영구자석(179)에 의해 끌리며, 자기드럼의 상단 표면부(154)는 자기결합수단 회전판(178)상에 놓이며, 자기드럼(191)의 하부 종단부의 내부 주변 표면은 수납용부재(291)의 외부의 주변부에 꼭 알맞다. 그러므로, 자기드럼(191)은 두 위치 즉 그것의 상부 및 하부에서 지지된다.

    모터(171)가 동작되고 자기결합수단 회전축(171)이 회전할 때, 자기드럼(191)은 자기결합수단 회전판(178)에 의해 회전된다. 이 상태에서 자기드럼(191) 사이의 마찰력에 기인하여 베어링(290)에 의해 축을 따라 지지되는 수납용 부재도 역시 회전된다. 자기드럼(191)의 역시 수납용부재(291)에 의해 수납되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 그 축에서의 변동이 회전시 그것의 하단부에서조차 심하게 생기게 된다.

    수납용부재(291)는 베어링(290)에 포합되게 제공될 수도 있다. 더우기, 베어링(290)의 외부레이스 자체는 수납용부재(291)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자기드럼의 다른 실시예들은 제32 및 33도에 도시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서는, 속이 빈 자기드럼본체는 개방된 하나의 종단과 상단 표면부에 의해 폐쇄된 다른 종단을 가지는 중공부를 포함한다. 그러나, 차후에 설명될 실시예들에서는 속이 빈 자기드럼본체의 상단부 및 하단부가 개방된다.

    제32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자기드럼(300)이 속이 비고 사실상 원통형인 드럼본체(301)와 드럼본체(301)의 원통형 주변 표면상에 인가되어 형성된 자기표면(302)을 포함한다. 드럼본체(301)는 그것의 중심부에서 구획벽부(303)를 포함한다. 드럼본체(301)내의 중공부는 구획벽부(303)에 의해, 구멍(304a, 305a)을 각각 갖는 중공부(304, 305)로 분할된다.

    결합부재(156)는 구획벽부(303)의 하부표면에서 포함되게 제공된다. 자기드럼(300)이 모터(171)를 포함하는 구동 어셈블리안으로 로드될 때, 모터(171)는 상대적으로 구멍(305a)으로부터 중공부(305)안으로 들어간다. 회전축(177)은 구획벽부(303)에서 중앙홀에 끼워지며 자기결합수단인 영구자석(179)은 결합부재(156)를 끌어당긴다. 따라서 구획벽부(303)는 자기결합수단인 회전판(178)상에 놓인다. 이 상태에서 모터(171)의 일부분은 자기드럼(300)의 바깥쪽에서 노출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자면, 자기드럼(300)은 종방향을 따라 그것의 중심부가 지지되는 상태에서 회전 구동된다. 따라서 자기결합수단인 회전축(177) 및 회전판(178)의 축선에서의 변동에 기인하여 자기드럼(300)의 상단부 및 하단부의 축선에서의 변동은 예를들어 제19, 23 및 2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부 표면에서 회전식 구동되는 형태의 자기드럼의 하단부 축선에서의 변동에 대하여 절반정도이다.

    제33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자기드럼(310)이 그것의 상단부 및 하단부 양쪽상에서 개방된 속이 비고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드럼본체(311)와 드럼본체(311)의 원통형 주변 표면상에 인가되어 형성된 자기표면(312)을 포함한다. 드럼본체(311)는 내부주변 표면의 하단부 및 상단부에서 경사면(314, 313)을 포함한다. 자기드럼(310)이 모터(24)를 포함하는 구동 어셈블리 안으로 로드될 때, 하단 경사부(313)는 드럼홀더(41)의 경사부(45)상에 놓인다. 다음에 드럼홀더(41)의 고정나사(44)가 보유판(315)의 구멍(316)을 통하여 삽입되는 상태에서 자기드럼(310)상에 놓인다. 이 상태에서, 보유판(315)의 경사부(317)는 자기드럼(310)의 상단 경사부(314)를 따라 끼워진다. 그 다음, 너트(60)는 고정나사(44)상에 단단히 조여진다. 결과적으로, 자기드럼(310)은 두 위치 즉, 보유판(35)의 경사부에서의 하부위치와, 드럼홀더(41)의 경사부에서의 상부 위치에서 지지되어지며, 따라서 자기드럼(310)은 모터(24)에 의해 구동되고 드럼홀더(41)와 일원적으로 회전된다.

    다음에는, 제34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픽업 기록재생장치의 제2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제34도에서, 제1도의 대응부분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 참조번호로 표시되므로 그것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 것이다.

    기록재생장치(320)는 상기에서 설명한 기록재생장치(10)와 사실상 유사한 구조를 가지며, 두 기록재생장치(10, 320)간의 주요한 차이점은 기록재생장치(320)가 차후에 설명된 어댑터(330)의 코넥터(331)에 연결되는 코넥터(321)를 갖는다는 점이다. 코넥터(321, 331)는 코넥터부(322)를 구성한다. 자기드럼 카트릿지를 아래로 보유하기 위한 뚜껑(323)은 그것의 중심부에서 스프링(324)을 가지며, 자유로이 개방 폐쇄되는 방식으로 제공된다. 상기 스위치(88)는 스위치(88)가 뚜껑(323)의 개방 및 폐쇄에 의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락되거나 개방될 수 있도록 한 위치에 제공된다.

    어댑터(330)는 통상의 전력출구에 접속되며, 온/오프 스위치(334), 고속 후향스위치(335), 고속 전향스위치(336), 정지 시프트스위치(337) 및 플레이스위치(338)가 재생동작 패널(333)상에 제공된다. 어댑터(330)는 차후에 설명될 바와 같이 재생회로를 포함한다. 어댑터(330)는 코드(339)를 통하여 텔레비젼 수상기(340)에 연결된다.

    영상픽업기록용 장치를 사용할 때, 코넥터(321), (331)는 접속되지 않으며, 장치(320)는 독립적으로 사용된다. 한편, 이미 영상픽업기록이 행해진 영상픽업기록 또는 자기드럼에 속한 화상을 재생할 때는, 코넥터(321 및 331)는 코넥터부(322)를 구성하여 장치(320)와 어댑터(330)를 접속시킨다. 또한 어댑터(330) 및 텔레비젼 수상기(340)는 코드(339)에 의해 접속된다. 다음에, 플러그(332)가 전원에 접속되며, 상술된 소정의 동작이 실행되면 기록재생장치(320)에서의 자기드럼으로부터 재생된 신호는 어댑터(330)를 통해 텔레비젼 수상기(340)에 인가되며, 재생된 신호는 텔레비젼 수상기(340)상에서 재생된 화상으로서 재생된다.

    상기 기록재생장치(320)의 회로에 대한 블럭시스템을 제35a도에서 도시하였으며, 어댑터(330)의 회로에 대한 블럭시스템을 제35b도에서 도시한다. 제35a 및 35b도에서, 제9도에서의 대응 부분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참조번호로서 표시되며, 이들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고 있다.

    영상픽업재생모드동안, 코넥터(331, 321)는 접속되지 않으며, 기록재생장치(320)는 독립적으로 사용된다. 제35a도에 도시한 장치(320)의 스위치(351)는 밧데리(17)에 접속된 접점

    에 연결된다. 장치(320)가 사용되지 않을 때, 동작스위치(21)의 노브(knob)는 "오프"위치로 되며, 스위치(352)는 접점 에 연결된다. 영상 픽업재생을 시작하기에 앞서, 동작스위치(21)의 노브는 먼저 "대기(READY)" 위치로 슬라이드된다. 이 동작에 의하여 스위치(352)는 절환되어 접점 에 접속되며, 밧데리(17)로부터의 전압은 스위치(351, 352) 및 단자(353)를 통하여 각 회로에 공급된다. 구동신호는 스위칭 펄스발생기를 포함하는 제어회로(354)로부터의 서보회로(361)에 공급되며 이에 따라 모터(171)는 회전을 시작한다.

    단자(111)로부터의 합성동기신호는 수평동기신호 및 수직동기신호가 분리되는 동기신호분리회로(358)에 공급된다. 분리된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는 각각 제어회로(354)에 공급된다. 분리된 수직동기신호도 역시 서보회로(359) 및 서보회로(361)에 공급된다. 픽업헤드(221)로부터의 회전위상 검출출력이 서보회로(361)에 공급된다. 그러므로, 모터(171)는 비데오신호의 수직동기신호와 동기하여 3600rpm의 회전속도로 회전한다.

    셔터버튼(19)이 눌러져 셔터스위치(19a)가 단락되면 영상픽업재생이 시작된다. 셔터스위치(19a)는 셔터버튼(19)이 눌러지고 있는 동안 단락된 상태를 유지하며,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화상이 차후에 기술될 바와 같이 기록된다. 셔터스위치(19a)가 단락될 때, 제어회로(354)는 제10c도에 도시된 스위칭신호를 스위칭회로(117)에 공급한다. 따라서, 스위칭회로(117)는 예를 들어 모든 다른 필드에 대하여 우수필드의 비데오 신호를 통과시킨다. 또한 제어회로(354)는 제10d도 및 제10e도에 도시된 스위칭신호를 스위칭회로(362)에 공급한다. 스위칭회로(362)는 교대로 모든 다른 필드에 대하여(매 2필드마다) 트랙킹신호 발생기(355)로부터의 트랙킹 신호 f p1 및 f p2 를 통과시킨다. 다시 말하면, 매 4번째 필드에서 (매 4필드마다) 1트랙킹 신호를 통과시킨다. 따라서, 제10f도에서 도시된 기록정보는 혼합기(119)로부터 얻어진다. 이 정보신호는 기록증폭기(121) 및 단자

    에 접속된 스위치(122)를 통하여 자기헤드(46)에 인가된다.

    셔터스위치(19a)가 단락되는 기간동안, 구동신호는 제어신호(354)로부터 서보회로(359)에 공급되며 따라서 이송수단인 이송모터(214)가 회전된다. 이송수단인 이송모터(214)의 회전위상을 예를 들어 회전판상에 제공된 영구자석과 자기픽업헤드로 이루어진 공지된 회전위상검출수단(360)에 의해 검출된다. 이 회전위상검출수단(360)의 출력은 서보회로(359)에 공급된다. 결과적으로, 이송수단인 이송모터(214)는 동기신호분리회로(358)로부터의 수직동기신호와 동기되어 회전한다. 자기헤드장치(28)는 예를 들어 이송수단인 이송모터(214)의 회전에 기인하여 제35a도의 좌측을 향해 이송되며, 상기 정보신호는 자기헤드(46)에 의해 자기드럼(191)의 자기표면상에 있는 나선 트랙상에 기록된다. 이 상태에서, 이송수단인 이송모터(214)는 이미 시동되어 소정의 회전속도로 회전된다.

    셔터버튼(19)이 눌러지고 있는 동안, 상기 동작은 연속적으로 수행되고, 이동화상의 기록은 기록이 필드 스킵 기록일지라도 연속적으로 행해진다. 자기헤드(46)에 의한 기록이 자기드럼(191)상의 1 기록범위 제한위치로 연장될 때, 이송수단인 이송너트(27)가 눌려져서 제한스위치(83b)를 작동시킨다. 제한스위치(83b)로부터의 신호가 단자(356)를 통하여 제어회로(354)에 공급된다. 결과적으로 제어회로(354)는 스위칭회로(117), (362)에 공급되는 스위칭신호 생성을 중단하여 스위칭 회로(117 및 362)는 신호생성을 중지하게 되며 또한 제어회로(354)는 서보회로(359)에 역극성 구동신호를 공급하여 고회전속도로 이송수단인 이송모터(214)를 역방향 회전시킨다. 자기헤드장치(28)는 이송수단인 이송모터(214)의 역회전에 기인하여 제35a도의 우측을 향해 신속하게 복귀된다. 자기헤드(46)가 자기드럼(191)상의 다른 기록범위 제한위치로 돌아올 때, 이송수단인 이송너트(27)가 눌러져 스위치(83a)를 활성시킨다. 제한스위치(83a)로부터의 신호는 단자(356)를 통하여 제어회로(354)에 공급되며, 제어회로(354)는 구동신호를 서보회로(359)에 공급하는 것을 중단한다. 그러므로 이송수단인 이송모터(214)의 회전이 멈추게 된다.

    셔터버턴(19)이 자기헤드가 상기 기록범위 제한위치로 도달하기 전에 눌러진 위치로부터 풀려질 때, 제어회로(354)로부터의 구동신호는 서보회로(359, 361)로의 공급이 중단되며 이에 따라 모터(171, 214)의 회전이 중단된다. 그후 제2시간동안 셔터버턴(19)이 눌려질 때, 자기헤드(46)는 그 위치로부터 기록을 행하기 시작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서 이동화상의 기록에 대한 설명이 주어졌다. 그러나, 만일 정지화상이 기록되려면, "정지(STILV)" 위치가 또한 동작스위치(21)상에 제공되므로 1필드의 비데오신호가 셔터버턴(19)이 눌러질 때 자기드럼(191)의 1트랙 권선상에 기록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영상픽업재생을 받게 되는 신호가 재생되는 재생모드동안, 어댑터(330)의 코넥터(331)는 코넥터(321)에 접속되어 코넥터부(332)를 구성한다. 어댑터(330)의 코드(339)는 텔레비젼 수상기(340)에 접속된다. 어댑터(330)의 플러그(332)는 제35b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장치(350)내로 삽입된다. 전원장치(350)는 통상 전원전압을 소정의 정격 전압으로 감소시키고 또 감소된 전압을 정류하고 평활하므로써 DC 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이다. 그러나, 자동차의 밧데리 전원과 같은 임의의 전원은 전력원장치(350)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제35a도에 도시된 스위치(351)는 코넥터(331)가 코넥터(321)에 접속될 때 기계적으로 전환되어 코넥터핀에 의해 접점

    로부터 접점 에 접속된다. 결과적으로, 밧데리로부터 전력의 공급이 중단되고, 전원장치(30)로부터의 전압이 코넥터단자(332a) 및 단자(353)를 통하여 각 회로에 공급된다.

    재생 시작에 의하여, 제35b도에 도시된 어댑터(330)의 재생동작패널(333)의 온/오프 스위치(334)는 온상태로 놓이게 된다. 온/오프 스위치(334)로부터 나온 온 신호는 코넥터(322b)를 통하여 제어회로(354)에 공급된다. 따라서, 제어회로(354)가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여 스위치(122)에 공급하므로써 스위치(122)를 절환하여 접점

    로부터 접점 에 접속한다. 그밖에 제어회로(354)는 구동신호를 서보회로(361)에 공급하여 모터(171)를 구동하여 회전시킨다.

    정상의 재생이 행해지려면, 예를들어 플레이 스위치(338)가 눌러진다. 따라서, 플레이 신호가 제어회로(354)에 공급되며, 제어회로(354)는 구동신호를 서보회로(359)에 공급하여 이송수단인 이송모터(214)를 회전시킨다. 자기헤드장치(28)는 이송수단인 이송모터(214)의 회전에 기인하여 이송되며, 자기헤드(46)에 의해 자기드럼(191)으로부터 재생된 신호는 스위치(122), 전치증폭기(363) 및 코넥터단자(322h)를 통하여, 어댑터(330)의 전치증폭기(124)에 공급된다. 복조회로(127)로부터 얻어진 합성 비데오신호는 제9도에 도시된 블록 시스템과 함께 설명된 바와 같은 유사회로 및 동작에 의하여 출력단자(357)를 통하여 얻어진다. 이와 같이 얻어진 합성 비데오신호는 코드(339)를 통하여 텔레비젼 수상기(340)에 공급되고, 이에 따라 이동화상이 텔레비젼 수상기(339)의 스크린상에 재생된다. 매 1필드마다 H/2 지연회로(125, 129)의 지연 혹은 비지연 동작은 코넥터단자(322f)를 통하여 얻어진 제어회로(354)로부터 나온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더우기, 동기신호분리회로(137)로부터의 수직동기신호는 코넥터단자(322c)를 통하여 제어회로(354)와 서보회로(361)에 공급되며 재생 모드시 얻어진 동기신호분리회로(358)로부터의 수직동기신호 대신에 사용된다. 트랙킹 서보회로(136)의 출력트랙킹 제어신호가 코넥터단자(322g)를 통하여 자기헤드장치(28)의 트랙킹 코일에 공급되며, 트랙킹 제어가 수행되어 자기헤드(46)가 정보신호트랙을 정확히 주사하게 된다. 또한 트랙킹 서보회로(136)의 출력신호도 역시 코넥터단자(322e)를 통하여 서보회로(359)에 공급되어, 이송수단인 이송모터(214)의 회전을 제어한다. 제9도에 도시된 블럭시스템에 관련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상기 필드-스킵 시스템에 따라 자기드럼(191)에 대하여 기록 행하여지기 때문에, 각 트랙은 두번씩 재생되어진다. 그러므로, 신호가 코넥터단자(322d)를 통하여 제어회로(354)로부터 스위칭 펄스발생기(138)에 공급되어서, 스위칭 펄스발생기(138)의 출력 스위칭 펄스의 극성은 자기헤드(46)가 제13도에 도시된 위치 SP에 도달할 때 역전된다.

    정지 시프트 스위치(337)가 정지-화상 재생을 행하도록 눌러진다. 정지 시프트 스위치(337)가 눌러질 때, 정지 신호는 제어회로(354)에 공급된다. 이 상태에서, 모터(171)는 회전상태를 유지하지만, 이송수단인 이송모터(214)는 회전이 중단되고 동일한 트랙이 자기헤드(46)에 의하여 반복으로 재생된다. 결과적으로, 정지화상재생이 행하여진다. 상기 상태에서는 중단신호가 코넥터단자(322d)를 통하여 제어회로(354)로부터 스위칭 펄스발생기(138)에 인가되므로, 스위칭회로(135)는 스위칭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정지화상재생이 다음 펄스에 대하여 행하여지려면, 정지 시프트 스위치(337)는 제2시간동안 눌려진다. 정지 시프트 스위치(337)가 제2시간동안 눌려질 때 신호는 스위치(337)로부터 제어회로(354)에 다시 인가되고 이송수단인 이송모터(214)가 회전된다. 결과적으로, 자기헤드장치(28)는 1트랙만큼 이송되고 정지화상재생은 자기헤드(46)에 의해서 다음 트랙에 대하여 행하여진다.

    자기헤드(46)가 희망내용의 화상을 재생하기 위하여 자기헤드(46)를 전진시키거나 후진시키므로써 소정의 트랙 위치로 신속하게 이송되려면, 고속전향 스위치(336) 또는 되감기 스위치(335)가 눌러진다. 스위치(336) 또는 (335)가 눌러질 때, 제어회로(354)는 고속 전향 또는 되감기 신호를 서보회로(359)에 공급하여 이에 따라 이송수단인 이송모터(214)는 고속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스위치(336 또는 335)가 눌러지고 있는 동안, 자기헤드(46)는 고속으로 전진하거나 후진하며 상기한 희망 화상내용 위치에 대한 탐색이 신속하게 완성될 수 있다. 플레이 스위치 (338) 또는 정지 시프트 스위치(337)는 상기 탐색이 완료된 후 눌러져서 정상적인 재생 또는 정지화상재생이 행하여진다.

    자기드럼상에 기록되고 또 그것으로부터 재생된 정보신호는 비데오 신호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펄스 코드 변조(PCM) 오디오 신호일 수도 있다. 그밖에, 상기 기록매체도 역시 현존하는 플로피 디스크 대신에 컴퓨터의 단말기 메모리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은 여러 가지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