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 비디오를 제작하는데 사용되는 편집시스템

申请号 KR1020120052901 申请日 2012-05-18 公开(公告)号 KR1020130027412A 公开(公告)日 2013-03-15
申请人 첸, 이-린; 发明人 첸,이-린;
摘要 PURPOSE: An editing system used for manufacturing an individual video is provided to easily manufacture an individual video file in which digital photos are automatically alternated corresponding to a music melody. CONSTITUTION: A processing device(10) processes a logical operation, a digital photo memo, and digital photo storage. The processing device combines a digital photo with a melody section where a music file stored in a music library(18) is included. A display device(20) displays an operating screen of software(15) installed in the processing device. A human-machine interface(30) operates the processing device and the software. An output device(40) outputs the digital photos and the music file.
权利要求
  • 논리연산을 제공하고, 디지털사진에 대해 메모하고, 상기 디지털사진을 저장하는 처리장치로서, 상기 처리장치의 내부에는 페이지 포맷을 배열하고 디지털사진을 편집할 수 있게 하는 소프트웨어가 내장된 처리장치;
    상기 처리장치와 연결되고, 다수의 음악파일이 저장되되, 음악파일 각각은 그 음악 멜로디에 따라 다수 개의 멜로디 구역으로 구분되어 저장되며, 상기 처리장치는 각기 다른 메모를 가진 디지털사진과 음악파일이 저장된 멜로디 구역을 서로 결합시켜 디스플레이 시키는 음악 라이브러리;
    상기 처리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처리장치에 내장된 상기 소프트웨어의 조작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장치;
    상기 처리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처리장치와 상기 소프트웨어를 조작하는 기능을 구비한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및
    상기 처리장치와 연결되어 편집된 디지털사진과 음악파일을 출력하는 기능을 구비한 출력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처리장치, 음악 라이브러리, 디스플레이장치,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및 출력장치를 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시작단계, 페이지 포맷 선택단계, 디지털사진 선택 단계, 디지털사진에 대한 메모 단계, 디지털사진의 편집 단계 및 저장단계를 걸쳐 개인 비디오를 완성시키도록 하되, 상기 디지털사진에 대한 메모 단계는 사용자가 디지털사진을 선택한 후에, 상기 처리장치가 디지털사진이 부착된 페이지 포맷에 따라 각기 다른 주소와 등급을 기록하도록 하며, 또한 디지털사진에 대한 메모는 음악 라이브러리에 미리 설계된 음악파일의 멜로디구역과 서로 대응되어, 디지털사진의 방영순서와 시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비디오 제작에 사용되는 편집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처리장치는 음악파일의 멜로디구역에 따라 디지털사진의 방영순서와 시간을 결정하는, 개인 비디오 제작에 사용되는 편집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처리장치는 음악파일의 멜로디구역에 따라 메모가 다른 디지털사진을 임의로 선택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개인 비디오 제작에 사용되는 편집 시스템.
  • 说明书全文

    개인 비디오를 제작하는데 사용되는 편집시스템{Editing system used to make personalized audio and video}

    본 발명은 디지털사진의 편집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개인 비디오를 제작하는데 사용되는 편집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진은 소리 없는 언어, 무형의 문자로서, 한 장 한 장이 추억을 회상시키는 유일무이한 것으로서, 추억을 즐거운 영상과 기억으로 장시간 남아있게 하는 것이다. 한편, 사용자가 좋아하는 음악은 본래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르고, 각 곡의 멜로디, 리듬, 표현하고자 하는 감정이 서로 다르다. 사람들은 저마다 많은 사진을 보관, 분류하게 되는데, 다양한 주제에 따라 사진을 다양한 포맷으로 배열하고, 사용자는 사진의 주제와 중요도에 따라 각기 다른 방식으로 배치하게 된다. 어떤 경우에는 앨범 페이지에 삽화, 스티커 또는 티켓, 차표, 문자, 자필 편지 등을 추가하여 사진의 보관 가치를 더욱 높이고 있다.

    대만 실용신안 제 M36810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최근 들어 디지털영상기술이 날로 발전해가고 있는데, 대부분 정적 영상 보존이 주가 되고 있다. 시장에서 유사한 편집 소프트웨어가 출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종류의 사진 편집 소프트웨어는 사진을 슬라이드 쇼가 가능하도록 편집하고자 할 때, 소프트웨어를 습득하기가 어렵고, 또한 사용자가 제작시 우선적으로 디지털 사진과 음악을 배열하고 정리한 후 천천히 시간을 가지고 점차적으로 디지털사진의 슬라이드쇼를 완성하게 된다. 만약 음악을 바꿀 경우, 전술한 단계를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만 하고, 또한 영상 편집이 너무 전문적이고, 디지털사진을 음악 멜로디에 따라 임의로 디스플레이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대만 실용신안 제 M368109호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음악 멜로디에 따라 디지털사진이 자동으로 교체되는 개인 비디오 파일을 사용자가 손쉽게 제작할 수 있는 개인 비디오 제작에 사용되는 편집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제공하는 개인 비디오 제작에 사용되는 편집 시스템은,

    논리연산을 제공하고, 디지털사진에 대해 메모하고, 상기 디지털사진을 저장하는 처리장치로서, 페이지 포맷을 배열하고, 디지털사진을 편집할 수 있게 하는 소프트웨어가 내장된 처리장치;

    상기 처리장치와 연결되고, 다수의 음악파일이 저장되되, 상기 음악파일 각각은 그 음악 멜로디에 따라 다수 개의 멜로디구역으로 구분되어 저장되며, 상기 처리장치는 각기 다른 메모를 가진 디지털사진과 음악파일이 저장된 멜로디 구역을 서로 결합시켜 디스플레이 시키는 음악 라이브러리;

    상기 처리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처리장치에 내장된 소프트웨어의 조작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장치;

    상기 처리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처리장치와 소프트웨어를 조작하는 기능을 구비한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및

    상기 처리장치와 연결되어, 편집된 디지털사진과 음악파일을 출력하는 기능을 구비한 출력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페이지 포맷을 정의할 때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디지털사진을 편집할 때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작과정을 보여주는 흐름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페이지 포맷을 선택할 때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사진선택창을 활성화시켰을 때의 상태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편집이 완료된 사진의 상태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가 음악파일을 선택했을 때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개인 비디오를 제작하는데 사용되는 편집시스템은 음악파일의 멜로디에 따라 자동으로 디지털사진이 교체되는 편집시스템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편집시스템은 처리장치(10), 음악 라이브러리(18), 디스플레이장치(20), 인간-기계 인터페이스(30) 및 출력장치(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처리장치(10)는, 원격 서버 호스트, 컴퓨터, 핸드폰 등 유무선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장비가 된다. 상기 처리장치(10)는 논리연산을 제공하고, 디지털사진에 대해 메모하고, 상기 디지털사진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데, 상기 처리장치(10)의 내부에는 설계된 소프트웨어(15)가 다운로드 되어 있다. 상기 설계된 소프트웨어(15)는 앨범의 내부 페이지 포맷을 편집하고 저장하는 것으로, 앨범 페이지 포맷 중 사진 프레임의 형상, 확대, 축소, 회전 또는 드래그 등의 작업을 제어할 수 있다(도 2에 도시됨). 또한 소프트웨어(15)는 진일보하게 디지털사진을 편집할 수 있는데, 디지털사진의 확대, 축소, 텍스트의 추가 및 삭제, 붓으로 그리기(筆畵), 부분 캡쳐, 배경 조정 또는 채색 등을 제어할 수 있다(도 3에 도시됨).

    상기 음악 라이브러리(18)는 전술한 처리장치(10)와 연결되어 있는데, 다수의 음악파일이 저장되어 있다. 음악파일 각각은 그 멜로디에 따라 다수 개의 멜로디구역으로 구분되어 저장된다. 상기 처리장치(10)는 각기 다른 메모를 가진 디지털사진과 음악파일이 저장된 멜로디 구역을 서로 결합시켜 상영하는데, 멜로디구역의 음악파일에 따라 디지털사진의 방영순서와 시간이 결정된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0)는 전술한 처리장치(10)와 연결되어, 상기 처리장치(10)가 설계된 소프트웨어(15)에 저장된 화면, 디지털 사진을 조작, 편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0)는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스마트폰, 터치스크린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인간-기계 인터페이스(30)는 전술한 처리장치(10)와 연결되는데, 사용자는 상기 인간-기계 인터페이스(30)를 통하여 처리장치(10)와 소프트웨어(15)의 각각의 기능을 조작할 수 있다. 상기 인간-기계 인터페이스(30)는 키보드, 마우스, 터치스크린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출력장치(40)는 전술한 처리장치(10)와 연결되는데, 배열된 후의 사진 앨범 페이지 포맷과 디지털사진을 음악파일과 결합시킨다. 상기 출력장치는 저장장치,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스마트폰, 터치 디스플레이, 인터넷의 원격스토리지 등의 디스플레이설비가 된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보면, 전술한 시스템의 배치를 통하여 사용자는 시작단계, 페이지 포맷 선택단계, 디지털사진 선택 단계, 디지털사진에 대한 메모 단계, 디지털사진의 편집 단계 및 저장단계를 걸쳐, 개인 비디오 편집 작업을 완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시작단계는 처리장치(10) 내의 특정주소에 촬영한 디지털사진을 업로드하여 저장하고, 처리장치(10)에 내장된 소프트웨어(15)를 여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데이터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하여 소프트웨어(15)를 시작할 때 아이디와 패스워드 또는 저장된 생체특성에 부합하는 경우 로그인할 수 있게 하는 보안 프로그램이 작동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상기 페이지 포맷 선택단계는 소프트웨어(15)를 연 후에, 인간-기계 인터페이스(30)를 사용하여 사용할 사진 앨범의 페이지 포맷(50)을 선택하는 단계이다(도 5에 도시됨). 상기 페이지 포맷(50)은 페이지에 대해 설계된 포맷이 되는데, 상기 페이지 포맷(50)에는 사진을 부착할 수 있는 하나 또는 다수 개의 사진부착박스(51)가 구비되어 있다.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정의에 의해 사용자가 설계한 페이지 포맷(50)이 별개의 페이지배열제어부(55)를 가동하도록 한다. 상기 페이지배열제어부(55)는 사진부착박스(51)의 위치, 형상, 확대, 축소, 회전 또는 드래그 등의 편집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디지털사진 선택 단계는, 페이지포맷(50)을 선택한 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간-기계 인터페이스(30)를 통해 페이지포맷(50) 중의 임의의 사진부착박스(51)를 눌러서, 사진선택창이 활성화되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원하는 디지털사진이 상기 사진부착박스에 첨부되도록 한다. 선택된 디지털사진은 자동으로 정리되고, 기록되어 상기 사진부착박스(51)의 크기에 맞게 조정됨으로써, 디지털사진이 디스플레이 되었을 때 서로 부합되는 크기로 디스플레이되고 또한 디지털사진에 기록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사진앨범에서 중복하여 디지털사진을 배열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디지털사진에 대한 메모 단계는, 사용자가 디지털사진을 상기 사진부착박스(51)에 부착하였을 때, 상기 처리장치(10)가 디지털사진이 사진부착박스(51)에 부착된 형상, 크기에 따라 각기 다른 주소, 등급 등을 기록하도록 한다. 또한 디지털사진에 대한 메모는 각각 음악 라이브러리(18)에 미리 설계된 음악파일의 멜로디구역과 서로 대응되어, 디지털사진의 방영순서와 시간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디지털사진의 편집 단계는, 디지털사진의 선택을 마친 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간-기계 인터페이스(30)를 통해 페이지 포맷(50)의 사진부착박스(51)에 첨부된 디지털사진을 클릭하여 사진편집제어부(65)를 가동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사진편집제어부(65)는 디지털사진의 확대, 축소, 텍스트의 추가 및 삭제, 붓으로 그리기(筆畵), 부분 캡쳐, 배경 조정 또는 채색 등의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포착프레임(61)를 이용하여 디지털사진 상에 필요한 부분을 포착하여, 포착된 부분이 페이지 포맷(50)의 사진부착박스(51)를 채우도록 하여 수정된 사진(70)을 형성한다. 도 7을 참조한다.

    상기 저장단계는, 페이지 포맷(50) 내의 디지털사진을 편집한 후에, 수정된 페이지 포맷(50)을 저장하는 단계이다.

    상기 편집단계에서, 상기 처리장치는 사용자가 디지털사진을 상기 사진부착박스(51)에 첨부할 때, 디지털사진이 부착된 사진부착박스(51)의 형상, 크기에 따라 각기 다른 메모를 하도록 하여, 음악파일이 플레이 될 때 출현하게 될 디지털사진의 순서와 시간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구조를 통해서 사용자는 간단하면서도 신속하게 음악멜로디에 따라 디지털사진이 자동으로 교체되는 개인 비디오 파일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음악파일에 대한 저작권 승인을 얻기만 한다면, 사용자는 간단하게 본 발명에 대한 시스템을 통해서 개인비디오 파일을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음악파일의 멜로디구역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장치(20)에서 각기 다른 음악파일을 클릭하면(도 8에 도시됨), 디지털사진이 이에 대응되게 각기 다른 스타일로 디스플레이 된다.

    그런데, 여기서 반드시 설명되어야 할 것은, 상기 처리장치(10)는 음악파일이 저장된 멜로디구역에 따라 메모가 다른 디지털사진을 임의로 선택하여 디스플레이 하여, 다양한 스타일로 디지털사진을 방영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전술한 모든 과정을 끝낸 후, 편집된 페이지 포맷은 상기 출력장치(40)를 통해서 임의의 사용자가 편집된 개인 비디오 파일을 감상할 수 있도록 원격으로 제어된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비디오를 제작하는데 사용되는 편집시스템 및 제작방법을 통해서, 진일보하게 도형, 문자, 친필 편지 및 사진 등을 부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음악파일을 틀 때 음악자막을 내보내고, 멀티미디어 효과를 줄 수 있으며, 음악파일에 관련된 영화를 상영함으로써, 디지털사진이 음악파일 자체에 포함된 멀티미디어 효과 또는 영화와 함께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여, 유일무이한 개인 비디오 파일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는 소프트웨어의 편집기능을 통하여 사용자가 구상한 방식으로 페이지 포맷과 디지털사진을 간단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되어, 좋아하는 음악을 개인 비디오에 결합시켜 무한의 상상공간을 발휘하면서도 사용자 취향에 맞는 개인 비디오를 빠르고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된다.

    10: 처리장치
    15 : 소프트웨어
    18: 음악 라이브러리
    20: 디스플레이장치
    30: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40: 출력장치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