首页 / 国际专利分类库 / 物理 / 乐器;声学 / 发声器械 / 哨子 / 다기능을 갖는 차량 경보기

다기능을 갖는 차량 경보기

申请号 KR2020030002865 申请日 2003-01-29 公开(公告)号 KR200311156Y1 公开(公告)日 2003-04-23
申请人 주식회사 드레이크시스템; 发明人 정명현;
摘要 본 고안은 자동차의 편의장치로서 원격제어를 통해 작동하는 차량경보기에 관한 것으로, 상부몸체(11)와 하부몸체(12)가 상호 결합되어 실링부재(13)를 통해 밀봉됨과 더불어 상/하부몸체(11.12)의 내부공간에 안테나(14)가 실장되어 원격제어를 통해 작동하는 차량경보기에 있어서, 차량경보기(10)의 전면에 주입구(21)로부터 흡입되는 공기의 배기과정에서 소리음을 발생하는 호신수단(20)이 장착됨과 더불어, 차량경보기(10)의 후면에 목걸이(31)가 걸려 고정되는 걸이수단(30)이 장착되어, 차량경보기를 목에 걸어 휴대하므로 사용과정에서 분실사고가 최소화될 뿐만 아니라 비상시에 주변사람들에게 신속하게 도움을 청하므로 위험상황을 신속하게 벗어날 수 있게 한 것이다.
权利要求
  • 상부몸체(11)와 하부몸체(12)가 상호 결합되어 실링부재(13)를 통해 밀봉됨과 더불어 상/하부몸체(11.12)의 내부공간에 안테나(14)가 실장되어 원격제어를 통해 작동하는 차량경보기에 있어서,
    차량경보기(10)의 전면에 주입구(21)로부터 흡입되는 공기의 배기과정에서 소리음을 발생하는 호신수단(20)이 장착됨과 더불어, 차량경보기(10)의 후면에 목걸이(31)가 걸려 고정되는 걸이수단(30)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을 갖는 차량 경보기.
  • 说明书全文

    다기능을 갖는 차량 경보기 {Automobile remote controller having milti function}

    본 고안은 자동차의 편의장치로서 원격제어를 통해 작동하는 차량경보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경보기에 걸이수단과 호신수단을 장착하여 위급 상황을 주변에 신속하게 알려줌과 더불어 차량경보기를 목에 걸고 사용하여 분실사고를 방지하도록 된 다기능을 갖는 차량 경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신기는 건달이나 치한 등과 같은 폭력배로부터 자신을 방어하기 위한 수공구로서, 긴급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주변사람들에게 알려 주며, 이러한 호신기로는 가스총이나 호루라기나 전기봉 등이 보급되어 있다.

    그러나, 가스총이나 전기봉은 호신기능이 비교적 우수하지만 부피가 큰 상태로서 핸드백이나 가방 등에 휴대하기에 매우 불편함은 물론 가격이 비싸 비경제이며, 호루라기는 부피가 비교적 작고 가격이 저렴하여 사용이 용이하지만 손쉽게 잃어 버리거나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호신기는 가방이나 옷의 주머니 등에 보관된 상태로서, 폭력배들이 갑자기 주위에 나타나는 긴급한 상황인 경우, 호신기를 미처 꺼낼 시간이 없어 신속하게 대처하지 못하므로 무용지물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경보기에 호신기구를 별도로 장착하여 위급상황을 주변에 신속하게 알려줌과 더불어 차량경보기를 목에 걸어 분실을 방지하도록 된 다기능을 갖는 차량 경보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부몸체와 하부몸체가 상호 결합되어 실링부재를 통해 밀봉됨과 더불어 상/하부몸체의 내부공간에 안테나가 실장되어 원격제어를 통해 작동하는 차량경보기에 있어서, 차량경보기의 전면에 주입구로부터 흡입되는 공기의 배기과정에서 소리음을 발생하는 호신수단이 장착됨과 더불어, 차량경보기의 후면에 목걸이가 걸려 고정되는 걸이수단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경보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경보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경보기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차량경보기 11.12 : 상/하부몸체

    13 : 실링부재 14 : 안테나

    16 : 스위치부재 18.18' : 고정벽

    19 : 걸림돌기 20 : 호신수단

    21 : 주입구 22 : 끼움벽

    30 : 걸이수단 31 : 목걸이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경보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경보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경보기를 도시한 사용상태도로서, 상부몸체(11)와 하부몸체(12)가 상호 결합되어 실링부재 (13)를 통해 밀봉됨과 더불어 상/하부몸체(11.12)의 내부공간에 안테나(14)가 실장되어 원격제어를 통해 작동하는 차량경보기에 있어서, 차량경보기(10)의 전면에 주입구(21)로부터 흡입되는 공기의 배기과정에서 소리음을 발생하는 호신수단(20)이 장착됨과 더불어, 차량경보기(10)의 후면에 목걸이(31)가 걸려 고정되는 걸이수단 (30)이 결합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차량경보기(10)는, 상부몸체(11)와 하부몸체(12)가 실링부재(13)를 통해 상호 결합되어 중공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그 중공부에 회로기판(15)과 스위치부재(16)와 안테나(14)가 내장되며, 그 둘레면에 다수개의 미끄럼방지돌기(1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차량경보기(10)는, 그 몸체전면에 다각형 또는 원형의 끼움벽(18.18')이 일체로 형성되며, 그 몸체후면에 이후에 설명하는 걸이수단(30)이 장착되는 한 쌍의 걸림돌기(19)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호신수단(20)은, 차량경보기(10)의 몸체전방측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그 일측부에 공기주입구(21)가 형성되면서, 그 타측면에 끼움벽(18)과 결합되는 고정벽(22)이 형성되어 있다. 물론, 고정벽(22)의 내주면에 끼움벽(18)의 고정돌기(18a)와 결합되는 요홈(22a)이 형성되어 있다.

    물론, 차량경보기(10)의 끼움벽(18)과 호신수단(20)의 고정벽(22)은 그 위치를 상호 변경하여 형성시킬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이때, 차량경보기(20)의 몸체전면에 호신수단(20)을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호신수단(20)을 대신하여 볼펜이나 소형 후레쉬 등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걸이수단(30)은, 차량경보기(10)의 몸체후면에 힌지식으로 결합되는 고리부재로서, 그 둘레면에 운전자의 목에 걸겨지는 목걸이(31)가 연결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차량경보기(10)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일단 차량경보기(10)의 몸체전면에 끼움벽(18)과 고정벽(22)을 통해 호신수단(20)을 장착한 다음, 차량경보기(10)의 몸체후면에 걸이수단(30)을 장착하여 목걸이(31)를 거는 과정이 선결되어야 한다.

    이렇게 하면, 차량경보기(10)를 휴대하고 다니는 운전자는 걸이수단(30)에 목걸이(31)를 연결하여 목에 걸고 다니는 상태이므로, 경보기의 사용이 편리해짐은 물론 분실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차량경보기(10)를 휴대하다고 폭력배를 만나 위험에 직면하는 경우 호신수단(20)의 주입구(21)에 자신의 입을 맞대고 불게 되면, 호신수단(20)의 자체기능에 의해 소리음이 주변으로 울려퍼진다.

    따라서, 차량경보기(10)를 목걸이식으로 휴대하여 분실에 따른 각종 위험이 최소화될 뿐만 아니라 호신수단(20)에 의해 주변사람들에게 도움을 받아 신속하게 위험한 상황을 벗어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을 갖는 차량 경보기에 의하면, 차량경보기를 목에 걸어 휴대하므로 분실사고가 최소화될 뿐만 아니라 호신수단을 통해 주변사람들에게 도움을 청하므로 위험상황을 신속하게 벗어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