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링식 기타 고정장치

申请号 KR1020130055880 申请日 2013-05-16 公开(公告)号 KR101431553B1 公开(公告)日 2014-08-20
申请人 이재걸; 发明人 이재걸;
摘要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ring-type guitar fixing apparatus. More specifically, the spring-type guitar fixing apparatus can be supported on a thigh of a guitar player by being spaced, and the spaced height can be easily adjusted, at the same time having a structure for easily detaching a musical instrument. When using the fixing apparatus, a guitar can be easily arranged on a position where a player, in accordance with the skill, age and performing habits, can comfortably play the musical instrument, thus allowing the player to be in one with the musical instrument and to play music.
权利要求
  • 기타 연주자의 허벅지에 대응 지지되는 안착부(10);
    상기 안착부(10)에 일측이 연결설치되되, 타측은 기타 연주자의 기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기타 고정부(30);
    상기 안착부(10)와 기타 고정부(30) 사이의 이음부에 설치되어, 상기 안착부(10)와 기타 고정부(30) 상호간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60);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부(10)는 이음부가 연결되는 지지판(11)과, 상기 지지판(11)의 양측에 힌지결합되어 직립설치되는 제 1, 2사이드판(12, 13)과, 상기 제 1, 2사이드판(12, 13)의 상호 대향면 각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끼움장치(14)와, 상기 제 1, 2사이드판(12, 13) 상호간을 연결하되, 기타 연주자의 허벅지에 대응되며 안착되는 받침판(15)과, 상기 끼움장치(14)에 대응되며 끼워지도록 받침판(15)의 양단에 설치되어, 받침판(15)이 끼움장치(14)에 의해 좌, 우로 회동이 가능토록 하는 끼움고리(16)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착부(10)는 지지판(11) 상면에 일단이 힌지결합되어 있는 지지체(21)와, 상기 제 1, 2사이드판(12, 13) 중 하나의 일면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체(21)의 타단이 올려지는 복수개의 받침부(22)와, 상기 받침부(22)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받침부(22)에 올려진 지지체(21)를 감싸며 고정하는 걸쇠(23)로 이루어지는 지지부(2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식 기타 고정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타 고정부(30)는
    저면에 제 1슬라이드 돌기(32)를 다수 돌출형성하는 상판(31);
    상기 상판(31)의 하단에 대응결합되되, 상면에 제 2슬라이드 돌기(36)를 다수 돌출형성하는 하판(35);
    상, 하면에 제 1, 2슬라이드 돌기(32, 36)가 슬라이딩되며 끼워지는 제 1, 2슬라이드 홈(41, 42)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하며, 상기 상, 하판(31, 35)의 양측에서 상, 하판(31, 35) 내부로 내입되거나 외부로 토출작동되어, 기타에 테두리 양면에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체(40);
    상기 상판(31)의 저면에 설치되어, 고정체(40)가 상, 하판(31, 35) 내부로 내입시 압축되는 원위치용 탄성부재(45);
    상기 다수의 고정체(40)가 상, 하판(31, 35) 내부로 내입되며 기타를 고정할 시에는 상기 고정체(40)가 토출되지 않도록 하고, 토출작동시에는 고정체(40)를 유동가능하게 하는 고정풀림부(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식 기타 고정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풀림부(50)는
    상기 고정체(40)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이동 나사산(43)과 치합되어 회전가능토록 상판(31)의 저면에 설치되는 전달기어(51);
    상기 상판(31)의 저면에 중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일단이 푸싱 탄성부재(57)에 의해 일측으로 밀려 타단이 전달기어(51)에 걸쳐지는 회동체(53);
    상기 상판(31)의 저면에 길이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되, 다수의 회동체(53) 일단의 움직임을 차단하는 차단편(54)이 외주연에 다수 돌출형성되어 있는 안전핀(56);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식 기타 고정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핀(56)은
    상기 고정체(40)가 상, 하판(31, 35) 내부로 내입될 시, 차단편(54)이 회동체(53)의 일단에 밀착되어, 회동체(53)의 타단이 전달기어(51)에 걸쳐져 있도록 일단의 밀림을 방지하고,
    상기 안전핀(56)이 상판(31) 내부로 눌러질 경우, 차단편(54)이 회동체(53)의 일단을 일측으로 밀어 회동체(53)의 타단이 전달기어(51)에서 이탈되거나, 또는 차단편(54)이 회동체(53)의 일단에서 이격되면서 푸싱 탄성부재(57)에 의해 회동체(53)의 일단이 일측으로 밀려, 회동체(53)의 타단이 전달기어(51)에서 이탈되면서, 고정체(40)가 상, 하판(31, 35) 외부로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식 기타 고정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60)는
    상기 안착부(10)의 지지판(11)에 일단이 끼움결합되며, 외주연에 복수개의 집게홀(61)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링(62);
    상기 고정링(62)에 대응되어 삽입되도록, 상기 기타 고정부(30)의 상판(31)에 설치되되, 외주연에 고정 나사산(64)이 형성되어 있는 높이봉(63);
    상기 집게홀(61)에 양단이 내입되면서 높이봉(63)에 대응체결되어, 높이봉(63)의 위치를 조절 및 고정하는 위치 고정체(70);
    상기 위치 고정체(70)를 감싸되, 상기 고정링(62)의 외주연 및 안착부(10)의 저면에 밀착고정되는 위치 고정체 설치판(8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식 기타 고정장치.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고정체 설치판(80)은
    상기 고정링(62)이 끼워지는 메인홀(81)과, 저면에 돌출되는 다수의 제 1, 2돌기(82, 83)로 이루어지는 상부 지지판(84);
    상기 상부 지지판(84)의 하단에 대응되어 체결되되, 상기 제 1돌기(82)가 대응되어 끼워지는 제 1홈(86)을 다수 형성하는 하부 지지판(85);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식 기타 고정장치.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고정체(70)는
    상기 위치 고정체 설치판(80) 내부에 중앙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되, 양단이 위치 고정체 설치판(80)의 메인홀(81)에 내입되는 높이봉(63)의 외주연에 체결되는 집게부(71);
    상기 위치 고정체 설치판(80) 내에 설치되어, 상기 집게부(71)의 양단을 높이봉(63)의 외주연으로 푸싱하는 제 2탄성부재(72);
    상기 위치 고정체 설치판(80) 내에 돌출된 제 2돌기(83)에 중앙이 끼움결합되되, 일단이 집게부(71)의 타단에 접촉되어, 푸싱여부에 의해 집게부(71)가 높이봉(63)과 체결되거나 이격되도록 집게부(71)를 밀어 회전시키는 푸싱바(7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식 기타 고정장치.
  • 삭제
  • 삭제
  • 说明书全文

    스프링식 기타 고정장치{Fixing Apparatus for Guitar using Spring}

    본 발명은 기타에 착탈이 손쉽고, 기타를 연주자의 허벅지에 지지하면서 높이 조절 및 다양한 위치조절이 가능한 스프링식 기타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악기 다수개의 줄을 이용하여 소리를 내는 악기의 한 종류로서, 현악기의 몸체에 팽팽한 상태로 고정된 줄을 튕겨주거나 혹은 활 등으로 마찰시킴으로써 그 소리를 내게 되는데, 상기 현악기의 몸체는 공명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공명현상에 의해 음이 발생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현악기 중 하나인 기타를 살펴보면,

    일반적인 기타는 속이 빈 바디(body, 110)와, 상기 바디(110)에 고정되어 일정 길이 연장된 네크(neck, 120)와, 상기 네크(120)의 일단에 연결되고, 줄감개가 마련된 헤드(head, 130) 부분 및 줄감개에 의해 팽팽해진 상태로 바디(110)의 앞판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기타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바디(110)는 앞판과 옆판 및 뒷판으로 구성된 하나의 공명통으로서 앞판에는 사운드 홀이 형성되어 있다. 사운드 홀은 기타줄을 튕김에 따라 기타줄에서 발생한 음파가 바디(110) 내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 이동 통로이다.

    특히, 이러한 기타를 연주하기 위해서는 연주자의 왼손으로 코드를 잡아야 하고, 오른손으로는 기타줄을 튕겨야 하는데, 원활한 연주를 위해서는 코드를 잡는 왼손측의 기타 헤드(130)부분이 바디(110)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위치되도록 해야 한다.

    이에, 대게의 연주자들은 왼쪽 발을 일정높이 올려놓을 수 있는 받침판을 왼쪽 발 하단에 받쳐 사용하게 되고, 이로써, 기타의 헤드(130)부분이 소리통인 바디(110)부분보다 높은 위치가 되어 곡의 코드 및 계이름을 손쉽고 편안하게 잡을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이러한 받침판의 경우, 기타를 연주하는 연주자의 연령, 키, 숙련도, 연주스타일, 연주시의 특이자세 등 다양한 조건에 의해, 각각의 연주자마다 편안한 악기 연주를 위한 높이 및 위치가 달라져야 함은 당연하다. 하지만, 단 하나의 받침판으로 모든 연주자들의 편안한 연주를 가능케할 수는 없었기에,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받침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타를 연주시, 기타와 연주자의 허벅지 사이에 위치되어 안정감있는 연주가 가능토록 하되, 기타에 착탈이 손쉬운 구조를 가짐과 동시에, 연주자의 연령, 숙련도, 연주방식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연주자가 기타를 가장 편안하게 연주할 수 있는 위치로 기타가 고정될 수 있도록, 높이 조절을 통해 기타와 연주자의 허벅지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높이 조절, 회전조절, 좌, 우, 전, 후의 위치조절이 가능하며, 접철구조를 통해 보관 또한 용이한 스프링식 기타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기타 연주자의 허벅지에 대응 지지되는 안착부(10); 상기 안착부(10)에 일측이 연결설치되되, 타측은 기타 연주자의 기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기타 고정부(30); 상기 안착부(10)와 기타 고정부(30) 사이의 이음부에 설치되어, 상기 안착부(10)와 기타 고정부(30) 상호간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타에 착탈이 손쉬운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타 연주시, 연주자가 편안하게 연주할 수 있는 형태 및 위치로 기타를 손쉽게 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주자의 연령, 키, 숙련도, 개개인의 연주버릇 등 다양한 조건에 맞춰, 기타와 연주자의 허벅지 사이에서 회전과 높이조절뿐만 아니라, 전, 후, 좌, 우 위치조절 또한 가능하여, 단일의 장치만으로 모든 연주자가 가장 편안하게 연주할 수 있도록 악기를 신체와 일체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관시 악기에 밀착되도록 접철됨으로써, 별도의 보관케이스 없이, 악기가 보관되는 케이스에 함께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착이 쉽고 견고하여, 연주에 도움이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악기(기타)를 왼발, 오른발 어느 쪽에 올려놓고 사용해도 안정적이고 올바른 연주자세를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악기를 장시간 연주하여도,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어, 연주자의 척추건강에도 도움이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식 기타 고정장치를 사용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식 기타 고정장치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작동도.
    도 4는 도 3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봉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끼움장치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고정체 설치판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평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고정체의 작동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작동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고정체를 통한 높이봉의 상, 하 높이조절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작동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기타 고정부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일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기타 고정부의 내부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기타 고정부의 작동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작동도.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 "제 3(third)" 및“제 4(fourth)"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기타 연주자의 허벅지에 대응 지지되는 안착부(10); 상기 안착부(10)에 일측이 연결설치되되, 타측은 기타 연주자의 기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기타 고정부(30); 상기 안착부(10)와 기타 고정부(30) 사이의 이음부에 설치되어, 상기 안착부(10)와 기타 고정부(30) 상호간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10)는 상기 이음부가 연결되는 지지판(11); 상기 지지판(11)의 양측에 힌지결합되어 직립설치되는 제 1, 2사이드판(12, 13); 상기 제 1, 2사이드판(12, 13)의 상호 대향면 각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끼움장치(14); 상기 제 1, 2사이드판(12, 13) 상호간을 연결하되, 기타 연주자의 허벅지에 대응되며 안착되는 받침판(15); 상기 끼움장치(14)에 대응되며 끼워지도록 받침판(15)의 양단에 설치되어, 받침판(15)이 끼움장치(14)에 의해 좌, 우로 회동이 가능토록 하는 끼움고리(1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판(11) 상면에 일단이 힌지결합되어 있는 지지체(21); 상기 제 1, 2사이드판(12, 13) 중 하나의 일면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체(21)의 타단이 올려지는 복수개의 받침부(22); 상기 받침부(22)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받침부(22)에 올려진 지지체(21)를 감싸며 고정하는 걸쇠(23); 로 이루어지는 지지부(2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타 고정부(30)는 저면에 제 1슬라이드 돌기(32)를 다수 돌출형성하는 상판(31); 상기 상판(31)의 하단에 대응결합되되, 상면에 제 2슬라이드 돌기(36)를 다수 돌출형성하는 하판(35); 상, 하면에 제 1, 2슬라이드 돌기(32, 36)가 슬라이딩되며 끼워지는 제 1, 2슬라이드 홈(41, 42)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하며, 상기 상, 하판(31, 35)의 양측에서 상, 하판(31, 35) 내부로 내입되거나 외부로 토출작동되어, 기타에 테두리 양면에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체(40); 상기 상판(31)의 저면에 설치되어, 고정체(40)가 상, 하판(31, 35) 내부로 내입시 압축되는 원위치용 탄성부재(45); 상기 다수의 고정체(40)가 상, 하판(31, 35) 내부로 내입되며 기타를 고정할 시에는 상기 고정체(40)가 토출되지 않도록 하고, 토출작동시에는 고정체(40)를 유동가능하게 하는 고정풀림부(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풀림부(50)는 상기 고정체(40)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이동 나사산(43)과 치합되어 회전가능토록 상판(31)의 저면에 설치되는 전달기어(51); 상기 상판(31)의 저면에 중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일단이 푸싱 탄성부재(57)에 의해 일측으로 밀려 타단이 전달기어(51)에 걸쳐지는 회동체(53); 상기 상판(31)의 저면에 길이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되, 다수의 회동체(53) 일단의 움직임을 차단하는 차단편(54)이 외주연에 다수 돌출형성되어 있는 안전핀(56);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전핀(56)은 상기 고정체(40)가 상, 하판(31, 35) 내부로 내입될 시, 차단편(54)이 회동체(53)의 일단에 밀착되어, 회동체(53)의 타단이 전달기어(51)에 걸쳐져 있도록 일단의 밀림을 방지하고, 상기 안전핀(56)이 상판(31) 내부로 눌러질 경우, 차단편(54)이 회동체(53)의 일단을 일측으로 밀어 회동체(53)의 타단이 전달기어(51)에서 이탈되거나, 또는 차단편(54)이 회동체(53)의 일단에서 이격되면서 푸싱 탄성부재(57)에 의해 회동체(53)의 일단이 일측으로 밀려, 회동체(53)의 타단이 전달기어(51)에서 이탈되면서, 고정체(40)가 상, 하판(31, 35) 외부로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높이 조절부(60)는 상기 안착부(10)의 지지판(11)에 일단이 끼움결합되며, 외주연에 복수개의 집게홀(61)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링(62); 상기 고정링(62)에 대응되어 삽입되도록, 상기 기타 고정부(30)의 상판(31)에 설치되되, 외주연에 고정 나사산(64)이 형성되어 있는 높이봉(63); 상기 집게홀(61)에 양단이 내입되면서 높이봉(63)에 대응체결되어, 높이봉(63)의 위치를 조절 및 고정하는 위치 고정체(70); 상기 위치 고정체(70)를 감싸되, 상기 고정링(62)의 외주연 및 안착부(10)의 저면에 밀착고정되는 위치 고정체 설치판(8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치 고정체 설치판(80)은 상기 고정링(62)이 끼워지는 메인홀(81)과, 저면에 돌출되는 다수의 제 1, 2돌기(82, 83)로 이루어지는 상부 지지판(84); 상기 상부 지지판(84)의 하단에 대응되어 체결되되, 상기 제 1돌기(82)가 대응되어 끼워지는 제 1홈(86)을 다수 형성하는 하부 지지판(85);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치 고정체(70)는 상기 위치 고정체 설치판(80) 내부에 중앙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되, 양단이 위치 고정체 설치판(80)의 메인홀(81)에 내입되는 높이봉(63)의 외주연에 체결되는 집게부(71); 상기 위치 고정체 설치판(80) 내에 설치되어, 상기 집게부(71)의 양단을 높이봉(63)의 외주연으로 푸싱하는 제 2탄성부재(72); 상기 위치 고정체 설치판(80) 내에 돌출된 제 2돌기(83)에 중앙이 끼움결합되되, 일단이 집게부(71)의 타단에 접촉되어, 푸싱여부에 의해 집게부(71)가 높이봉(63)과 체결되거나 이격되도록 집게부(71)를 밀어 회전시키는 푸싱바(7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식 기타 고정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식 기타 고정장치(200)는 안착부(10), 기타 고정부(30), 높이 조절부(60)를 포함한다.

    상기 안착부(10)는 본 발명의 스프링식 기타 고정장치에서, 연주자(또는 사용자)의 허벅지와 대응되어 접촉되어 지지되는 부분이다. 이를 위한 상기 안착부(10)는 지지판(11), 제 1, 2사이드판(12, 13), 끼움장치(14), 받침판(15), 끼움고리(16), 지지부(2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판(11)은 후술될 기타 고정부(30)가 연결되는 부분으로, 판재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 1, 2사이드판(12, 13)은 전술된 지지판(11)과 동일하게 판재 형상을 가지며, 상기 지지판(11)의 양단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지지판(11)의 양측으로 기울어지거나 또는 상기 지지판(11)의 상단으로 접히는 등의 접철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이때, 상기 제 1, 2사이드판(12, 13) 상호간은 길이가 상이토록 한다.

    상기 끼움장치(14)는 전술된 제 1, 2사이드판(12, 13)에서, 제 1, 2사이드판(12, 13)이 상호간 마주보면 각각의 일면 상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끼움장치(14)는 별도의 홀이 천공형성되어 있으면서, 상기 제 1사이드판(12) 및 제 2사이드판(13)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제 1, 2사이드판(12, 13)에 결합되어 있도록 한다.

    상기 받침판(15)은 전술된 제 1, 2사이드판(12, 13)의 상부에 얻혀지는 구조, 즉 제 1, 2사이드판(12, 13)의 상단을 상호간 연결하는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상기 받침판(15)의 양단에는 갈고리 형상의 끼움고리(16)가 각각 형성되어 있도록 하여, 상기 받침판(15)의 양단이 제 1, 2사이드판(12, 13) 각각의 일면에 형성된 끼움장치(14)의 홀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이다. 물론, 연주자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받침판(15)의 양측 중 일측의 끼움고리(16)는 제 1, 2사이드판(12, 13) 중 어느 하나의 끼움장치(14)에 고정되어 있도록 하고, 타측의 끼움고리(16)가 남아있는 제 1, 2사이드판(12, 13) 중 하나의 끼움장치(14)에 착탈되어 사용되는 형태로 사용될 수 있음이다.

    또한, 이러한 받침판(15)은 연주자의 허벅지에 대응되며 접촉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중단이 지지판(11)을 향해 휘어져 있는 원호 형상을 가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원호 형상의 받침판(15) 중 연주자의 허벅지에 접촉되는 일면에는 연주자의 실시예에 따라, 쿠션 및 충격흡수를 위한 부직포, 실리콘 등의 보호체(44)가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음이다. 이로써, 상기 지지판(11) 제 1, 2사이드판(12, 13), 받침판(15)은 사각형 형태를 가지게 된다.

    상기 받침판(15)은 양단의 끼움고리(16)가 제 1, 2사이드판(12, 13)의 끼움장치(14)에 체결되되, 상기 끼움장치(14)가 회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받침판(15)은 제 1, 2사이드판(12, 13) 사이에서 좌, 우로 회동이 가능해진다. 이는 다시 말해, 상기 받침판(15)이 연주자의 허벅지에 올려졌을 시, 받침판(15)은 연주자의 허벅지와 대응 밀착되어 있는 상태를 가지되, 나머지 부분들, 즉 지지판(11), 제 1, 2사이드판(12, 13)은 연주자의 전, 후로 기울어지는 것이 가능하며, 받침판(15)의 양단이 제 1, 2사이드판(12, 13)에 고리 형태로 연결되어 있고, 지지판(11)의 양단은 제 1, 2사이드판(12, 13)에 힌지결합되어 있기에, 연주자의 좌, 우로도 기울어짐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지지부(20)는 전술된 지지판(11), 제 1, 2사이드판(12, 13), 받침판(15)이 상호간 사각형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판(11)을 제 1, 2사이드판(12, 13) 중 하나와 연결하여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한 지지부(20)는 지지체(21), 받침부(22), 걸쇠(23)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체(21)는 '┌┐'와 같은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일단(지지체(21)의 양단부)은 지지판(11) 상면에 힌지결합되어, 제 1사이드판(12) 및 제 2사이드판(13) 측으로 회동이 가능토록 한다.

    상기 받침부(22)는 마주보고 있는 제 1, 2사이드판(12, 13)의 일면 중 어느하나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2사이드판(13)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하면, 상기 제 2사이드판(13)의 일면에 설치되되, 중단이 절곡되어 제 1사이드판(12)의 일면을 향해 직각으로 절곡('ㄴ'자 형태)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받침부(22)는 제 2사이드판(13)의 일면에 상호간 이격되어 복수개 설치되어 있도록 한다. 이로써, 상기 지지체(21)를 중단부가 제 2사이드판(13)의 일면에 접촉되도록 기울이면, 상기 지지체(21)의 중단부는 복수개의 받침부(22) 상면에 올려지는 형태가 되어, 제 2사이드판(13)의 일면에 접촉으로 인한 스크래치 등이 발생되지 않는 것이다.

    상기 걸쇠(23)는 전술된 제 2사이드판(13)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 1, 2사이드판(12, 13)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중단이 제 2사이드판(13)에 힌지결합되어 있도록 하되, 일단이 굴곡진 형태를 가지도록 하여, 상기 복수개의 받침부(22)에 지지판(11)이 올려져 있는 경우, 연주자는 걸쇠(23)를 힌지부분을 중심으로 걸쇠(23)를 회동시켜 지지판(11) 상부를 덮어, 상기 지지판(11)이 고정되도록 하고, 안착부(10)를 접거나 하는 경우에는 지지판(11)을 덮었던 걸쇠(23)를 힌지를 중심으로 들어올리 후 지지판(11)을 빼내면 되는 것이다.

    더불어, 이러한 복수개의 받침부(22) 및 걸쇠(23)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이다.

    상기 기타 고정부(30)는 전술된 안착부(10)와 연결(더욱 자세히는 안착부(10)의 지지판(11))되어, 상기 안착부(10)가 기타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상기 기타 고정부(30)는 상판(31), 하판(35), 다수의 고정체(40), 원위치용 탄성부재(45)(ex: 스프링 등, 이러한 스프링은 후술될 탄성부재란 기재에는 모두 동일하게 적용), 고정풀림부(50)를 포함한다.

    상기 상판(31)은 전술된 지지판(11)과 이음부(고정링(62)과 높이봉(63)의 연결부위를 이음부라 한다.)에 의해 연결되는 것으로, 저면에 다수의 제 1슬라이드 돌기(32)를 돌출형성하는 것이다. 이때, 이러한 상기 제 1슬라이드 돌기(32)는 상판(31)의 저면 일측 상, 하단, 타측 상, 하단에 각각 총 4개가 돌출형성되어 있도록 하며, 저면 일측 상단과 타측 상단에 돌출된 2개의 제 1슬라이드 돌기(32)와, 저면 일측 하단과 타측 하단에 형성된 2개의 제 1슬라이드 돌기(32)들은 상호간 대향되는 형태를 가진다. 더불어, 이러한 상기 상판(31)의 상면 중앙에는 후술될 높이 조절부(60)의 높이봉(63)이 일단이 직립설치되어 있도록 한다.

    상기 하판(35)은 전술된 상판(31)의 저면에 대응되어 체결되어 일체를 이루는 것으로서, 이러한 상기 하판(35)의 상면(상기 상판(31)과 대향되는 면)에는 제 2슬라이드 돌기(36)가 상판(31)과 마찬가지로, 상면의 일측 상, 하단, 타측 상, 하단에 각각 4군데에 돌출형성되어 있도록 하며, 저면 일측 상단과 타측 상단에 돌출된 두군데의 제 2슬라이드 돌기(36)와, 저면 일측 하단과 타측 하단에 형성된 두군데의 제 2슬라이드 돌기(36)들은 상호간 대향되는 형태를 가지되, 각각의 제 2슬라이드 돌기(36)는 상호간 이격되어 있는 복수개의 돌기가 한쌍을 이루는 형태가 되도록 한다. 물론, 상기 상, 하판(31, 35) 상호간의 체결을 위해, 상판(31)에는 결바돌기가 형성되고 하판(35)에는 이러한 결합돌기(33)가 대응체결되는 결합홈(34)이 형성되어져야 함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다수의 고정체(40)는 전술된 상판(31)과 하판(35)이 결합되었을 시, 이러한 상, 하판(31, 35)의 양측에 끼워져 상, 하판(31, 35)의 내부로 소정길이 내입되거나 또는 상, 하판(31, 35)에 끼워진 상태로 소정길이 외부로 토출되는 구조로써, 전술된 상, 하판(31, 35)이 기타의 폭 부분에 올려지면, 다수의 고정체(40)가 기타의 전, 후면에 압착되어 기타에 고정되는 부분이다. 이를 위한 상기 고정체(40)는 일측은 지면과 수평을 이루되, 중단이 절곡되어 타측이 수직으로 연장되는 'ㄱ' 자 단면 형태를 가진다.

    즉,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일측이 상, 하판(31, 35)의 내부로 끼워진 상태에서, 내부로 소정길이 내입되거나 또는 외부로 토출되는 형태를 가지는 것이고, 수직으로 연장된 타단측의 일면이 기타의 일면에 밀착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고정체(40)의 일측 상면에는 전술된 상판(31)의 저면에 형성된 제 1슬라이드 돌기(32)가 대응되어 끼워져 이동될 수 있는 경로가 마련되는 제 1슬라이드 홈(41)이 길이방향으로 파여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도록 하고, 일측 저면에도 전술된 제 2슬라이드 돌기(36)가 대응되어 끼워져 이동될 수 있는 경로가 마련되는 제 2슬라이드 홈(42)이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파여져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고정체(40)는 결합된 상, 하판(31, 35)의 일측에서 좌, 우로 이동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다수의 고정체(40)는 결합된 상, 하판(31, 35)의 양측 상, 하단에 각각 설치되어 총 4개(A, B, C, D)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상, 하판(31, 35) 양측의 상단 2개의 고정체(40)(A, B)가 동시에 상, 하판(31, 35) 내부로 대향되며 내입되어 기타의 양면에 밀착되거나, 또는 상, 하단 양측의 하단 2개의 고정체(40)(C, D)가 동시에 상, 하판(31, 35) 내부로 대향되며 내입되며 기타의 양면에 밀착되거나 또는 상, 하판(31, 35) 양측의 상, 하단 총 4개의 고정체(40)(A, B, C, D)가 동시에 기타의 양면에 밀착되면서 기타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이러한 상기 다수의 고정체(40)가 내입되었을 시, 외부로 토출되지 않고 내입된 상태를 유지토록 하거나, 또는 내입된 상태에서 토출하고 싶은 경우, 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 후술될 원위치용 탄성부재(45) 및 고정풀림부(50)이다.

    더불어, 상기 고정체(40)의 일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이동 나사산(43)이 형성되어 있도록 하고, 기타의 저면 또는 후면에 밀착되는 고정체(40)의 타측 일면에는 다수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기타와의 미끄럼을 방지하고 밀착이 용이토록 한다.

    상기 원위치용 탄성부재(45)는 전술된 바와 같이, 상판(31) 저면에서 상호간 대향되어 있는 상단측의 제 1슬라이드 돌기(32) 사이에 2개가 설치되고, 하단측의 제 1슬라이드 돌기(32) 사이에도 2개가 설치된다. 즉, 원위치용 탄성부재(45)가 하나가 고정체(40) 하나씩을 담당하는 것으로, 이러한 4개의 원위치용 탄성부재(45)는 각각 일단이 상판(31) 저면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타측이 고정체(40)의 일단을 향해 인장되어 있는 형태를 가진다. 이로써, 상기 고정체(40)가 상, 하판(31, 35) 내부로 내입될 시, 원위치용 탄성부재(45)가 상, 하판(31, 35) 내에서 압축되어지는 것이다. 이에, 후술될 고정풀림부(50)에 의해 고정체(40)가 내입된 상태로 유지되면 원위치용 탄성부재(45)는 계속 압축된 상태를 가지다가, 고정풀림부(50)에 의해 고정체(40)의 이동이 자유롭게 되면, 압축되었던 원위치용 탄성부재(45)가 원상복귀되기위해 인장되어, 내입되어있던 고정체(40)가 상, 하판(31, 35)에 끼워진 상태에서 외부로 토출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풀림부(50)는 기타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고정체(40)가 상, 하판(31, 35) 내부로 내입되었을 시에는 내입된 상태를 유지하고 외부로 토출되지 않도록 부동시키면서도, 이렇게 내입되어 있는 고정체(40)를 풀어주는 작동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상기 고정풀림부(50)는 전달기어(51), 회동체(53), 안전핀(5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달기어(51)는 상판(31)의 저면에 회전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외주연에 회전 나사산(52)이 형성되어 있는 기어이다. 이러한 전달기어(51)는 전술된 고정체(40)의 일측면에 형성된 이동 나사산(43)에 대응되어 치합되는 형태를 가짐으로써, 상기 고정체(40)가 내입 및 토출 시 전달기어(51)도 동시에 회전된다.

    상기 회동체(53) 중단이 상판(31)의 저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중단은 회전축(53a)이 형성되어 있고 절곡되어 양단이 소정각도로 벌어진 단면형태('<')를 가진다. 또한, 이러한 회동체(53)의 일단에는 회동체(53)의 일단을 일방향으로 밀어내는 푸싱 탄성부재(57)가 설치되어 있도록 하고, 회동체(53)의 타단은 두께가 점차 줄어드는 형태를 가지며 전달기어(51)의 회전 나사산(52)에 끼워져 걸쳐지는 형태를 가진다.

    상기 전달기어(51) 및 회동체(53) 또한 다수의 고정체(40)마다 설치되어 있도록 하며, 상, 하판(31, 35)이 결합되었을 시, 상, 하판(31, 35) 내부 좌측과 우측에 각각 설치된 고정체(40)에 연결된 각각의 회동체(53) 상호간은 대칭되는 형태(상, 하판(31, 35) 내부 좌측에 위치된 고정체(40)와 연결된 회동체(53)는 전달기어(51)의 우측에 연결되고, 상, 하판(31, 35) 내부 우측에 위치된 고정체(40)와 연결된 회동체(53)는 전달기어(51)의 좌측에 연결되는 형태.)를 가지며, 사용된 다수개의 회동체(53) 일단은 전부, 후술될 고정풀림부(50) 측을 향해 설치되어 있으면서 전달기어(51)와 연결되는 형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 안전핀(56)은 봉 형태이며, 외주연에 다수의 회동체(53)의 움직임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편(54)이 다수 돌출형성된다. 즉, 이러한 안전핀(56)은 상, 하판(31, 35)이 결합되어있는 내부 중앙으로 끼워져 설치고정되되, 최초 위치를 살펴보면, 상기 다수의 차단판(총 4개)은 회동체(53) 일단을 사이에 두고 푸싱 탄성부재(57)의 반대편에 위치되어, 푸싱 탄성부재(57)에 의해 회동체(53)의 일단이 일측으로 밀리지 않도록 회동체(53)에 밀착되어 있는 형태를 가진다. 또한, 이러한 상기 안전핀(56)은 타단에는, 일측이 상판(31)에 고정되어 있는 복귀용 탄성부재(55)와 연결되어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복귀용 탄성부재(55)는 안전핀(56)이 연주자에 의해 눌러져 압축된 후, 연주자가 눌렀던 안전핀(56)을 놓는 순간, 압축되었던 상태로 원상복귀되면서 눌러졌던 안전핀(56)을 원위치로 후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에, 안전핀(56)의 작동을 살펴보면, 연주자가 기타에 본 발명의 스프링식 기타 고정장치를 고정하기 위해, 기타의 테두리에 상, 하판(31, 35)을 올려놓은 후, 다수의 고정체(40)를 누르면, 상기 고정체(40)는 상, 하판(31, 35) 내부로 점차 내입되고, 이러한 고정체(40)의 내입으로 인하여 전달기어(51)는 회동체(53)의 타단이 걸쳐져 있는 상태로 회전축(53a)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러한 상기 회동체(53)는 일측 양단에 푸싱 탄성부재(57) 및 차단편(54)이 대향되어 위치되어 있어 움직이지 못하기에, 연주자가 고정체(40)를 누르다가 일정위치에서 누르는것을 멈추게 되면, 회동체(53)의 타단이 전달기어(51) 외주연의 회전 나사산(52) 중 하나에 끼워져 걸쳐진 상태를 유지하기에, 원위치용 탄성부재(45)를 압축한 상태로 고정체(40)는 그 위치가 유지되는 것이다. (전달기어(51)가 회전하게 되면, 전달기어(51)의 회전 나사산(52) 중 하나에 끼워진 회동체(53)의 타단 또한 회전방향으로 밀리게 되는데, 이러한 힘에 의해 회동체(53)의 일단은 푸싱 탄성부재(57)를 미세하게 밀어 소량 압축하면서, 연속적으로 전달기어(51)의 다수의 회전 나사산(52)에 순차적으로 걸쳐짐이 가능한 것이다. 하지만, 푸싱 탄성부재(57) 반대편에 차단편(54)이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회동체(53)가 일정위치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고정되어 있는 형태를 가지기에, 회동체(53)가 위치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라고 기재한 것이다.)

    이후, 연주자가 기타에 고정되어 있는 본 발명의 스프링식 기타 고정장치를 탈거하고자 하는 경우, 상, 하판(31, 35)의 일측으로 일부가 돌출되어 있는 안전핀(56)을 상, 하판(31, 35) 내부로 내입되는 방향으로 누르게 되면, 상판(31) 저면의 우측 상, 하단에 각각 위치되어 있는 회동체(53)들의 일단은, 안전핀(56)의 차단편(54)에 의해 좌측방향으로 밀리게 되어, 각각 푸싱 탄성부재(57)를 압축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회전하게 된다. 이에, 회동체(53)에서 전달기어(51)의 회전 나사산(52)에 끼워져 걸쳐있던 회동체(53)의 타단이 회동체(53)의 회전에 의해 전달기어(51)에서 이격되게 되고, 이에, 압축되어 있던 상판(31) 저면의 우측 상, 하단의 고정체(40)의 원위치용 탄성부재(45)가 인장되면서, 고정체(40)를 상, 하판(31, 35) 우측으로 밀어내게 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상판(31) 저면의 좌측 상, 하단에 각각 위치되어 있는 회동체(53)들의 일단은, 안전핀(56)이 눌러져 좌측방향으로 밀리게 됨에 따라, 안전핀(56)에 형성되어 있던 차단편(54)이 회동체(53)와 이격되게 되므로, 상기 상판(31) 저면의 좌측 상, 하단에 위치되어 있던 회동체(53) 일단은 각각의 푸싱 탄성부재(57)에 의해 좌측으로(안전핀(56)이 눌러진 방향과 동일한 방향) 밀리게 된다. 이에, 상기 상판(31) 저면의 좌측 상, 하단에 위치된 복수개의 회동체(53)들은 푸싱 탄성부재(57)에 의해 좌측으로 밀려 회전되기에, 각각의 전달기어(51)에 맞물려 있던 회동체(53)의 타단이 전달기어(51)에서 이격되게 되고, 이에, 압축되어 있던 상판(31) 저면의 좌측 상, 하단의 고정체(40)의 원위치용 탄성부재(45)가 인장되면서, 고정체(40)를 상, 하판(31, 35) 좌측으로 밀어내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고정체(40)(A, B, C, D) 및 고정체(40)를 부동 및 움직이기 위해, 각 고정체(40)에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상기의 구성들(고정풀림부(50)(전달기어(51), 회동체(53), 등) 등의 구성은 연주자의 실시예에 따라, 상, 하판(31, 35)의 좌, 우측 한쌍(A, B 또는 C, D)을 이루어 단일쌍 또는 다수쌍으로 사용할 수 있음이다.)

    상기 높이 조절부(60)는 전술된 안착부(10)와 기타 고정부(30) 상호간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연주자의 허벅지와 기타 사이에 본 발명의 스프링식 기타 고정장치를 설치하였을 시, 연주자의 허벅지와 기타 사이의 이격거리(간격)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상기 높이 조절부(60)는 고정링(62), 높이봉(63), 위치 고정체(70), 위치 고정체 설치판(8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링(62)은 내부가 비어있고, 양단이 개구된 관체 형상이며, 외주연에 복수개의 집게홀(61)이 천공형성되어 있되, 상기 집게홀(61)은 상호간 대향되는 위치에 천공형성되어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고정링(62)은 일단이 전술된 지지판(11)의 저면 중앙에 형성된 홀에 대응되며 일부분만 끼움고정되고, 집게홀(61)이 천공형성된 나머지 부분은 지지판(11)의 하단에 돌출되는 형태가 되도록 하여, 후술될 위치 고정체(70)가 대응설치되고, 더불어, 위치 고정체 설치판(80) 또한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높이봉(63)은 전술된 바와 같이, 전술된 기타 고정부(30)의 상판(31) 상면의 중앙에 직립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이러한 높이봉(63)이 전술된 고정링(62)에 끼워져, 상기 높이 조절부(60)와 기타 고정부(30) 상호간이 연결되는 것이며, 상기와 같이 높이봉(63)이 고정링(62)에 끼워진 후, 후술될 위치 고정체(70)가 집게홀(61)을 통해 위치조절된 높이봉(63)을 고정함으로써, 높이 조절부(60)와 기타 고정부(30) 상호간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이러한 높이봉(63)은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고정 나사산(64)이 형성되어 있도록 하되, 이러한 고정 나사산(64)은 높이봉(63)의 외주연에 둘레에 완전한 원(또는 링) 형태로 파여지는 것이 아니라, 전술된 복수개의 집게홀(61)과 대응되도록 완전한 원을 이루지 않고 원호 형태로 두 군데가 파여져 형성되는 것이다. 이렇게 파여지는 형태가 높이봉(63)의 길이방향을 향해 연속적으로 다수 형성되는 것이다.

    이오 같이 상기 높이봉(63)에 형성된 다수의 고정 나사산(64)이 링 형태로 형성되지 않고 원호 형태로 두군데씩 형성하는 이유는, 상기 높이봉(63)의 고정 나사산(64)이 링 형태일 경우, 후술될 위치 고정체(70)가 집게홀(61)을 통해 높이봉(63)에 형성된 다수의 고정 나사산(64) 중 하나에 걸쳐져 높이봉(63)의 위치를 고정했다 하더라도, 안착부(10)가 높이 조절부(60)와 함께 360°회전되거나 또는 기타 고정부(30)가 360°회전될 수가 있기 때문에, 고정 나사산(64)이 높이봉(63)의 외주연에 둘레에 링 형태로 형성되지 않고, 고정 나사산(64)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을 일부 남겨둬서 고정 나사산(64)이 형성하고 있는 원호 정도만 회전되며 위치가 조절되고, 360°로 빙빙 돌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위치 고정체(70)는 전술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집게홀(61)에 양단이 끼워져 높이봉(63)의 고정 나사산(64) 중 하나에 대응체결됨으로서, 높이봉(63)의 위치를 조절및 고정하는 것이다. 즉, 전술된 높이봉(63)을 연주자가 원하는 위치로 조절한 후, 위치 고정체(70)의 일단을 집게홀(61)에 끼워 높이봉(63)의 위치를 고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상기 위치 고정체(70)는 집게부(71), 제 2탄성부재(72), 푸싱바(74)를 포함한다.

    상기 집게부(71)는 중단에 회전축(71a)이 형성되어 있고, 양단이 절곡되어 '⊂' 또는 '⊃' 와 같은 형상을 가지는 것이고, 일단은 전술된 높이봉(63)의 고정 나사산(64)에 대응되어 끼워질 수 있도록 두께가 점차 감소하는 형태가 되도록 한다. 즉 중단의 회전축(71a)은 후술될 위치 고정체 설치판(80)에 고정되어, 집게부(71)의 양단 중 하나가 밀리면 상기 회전축(71a)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형태를 가지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집게부(71)의 중단부인 회전축(71a)이 위치 고정체 설치판(80)에 설치되는 위치는 복수개의 집게부(71)가 높이봉(63)에 대응접촉될 수 있는 위치가 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이러한 상기 집게부(71)는 집게 형태로 상호간 대향되어 마주보고 있는 형태를 가지는 것이고, 이러한 상기 집게부(71)에는 제 2탄성부재(72)가 위치되어, 복수개로 이루어진 집게부(71) 상호간을 푸싱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제 2탄성부재(72)의 실시예로는 2가지가 있는데, 첫번째로, 복수개로 이루어지는 집게부(71)의 양측에 제 2탄성부재(72)가 각각 설치되는 것이다. 즉, 이러한 집게부(71)는 전술된 고정링(62)의 집게홀(61)에 끼워진 후 다수의 고정 나사산(64) 중 하나에 대응체결되면, 집게부(71) 양단의 제 2탄성부재(72)가 집게홀(61)을 높이봉(63) 측으로 항시 밀어주어, 고정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는 전술된 복수개의 집게부(71) 일단 상호간을, 압축되어 있는 단일개의 제 2탄성부재(72)를 사전에 벌린 상태로 연결하여, 상기 복수개의 집게부(71) 상호간이 제 2탄성부재(72)의 압축력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푸싱바(74)는 중앙에 이동홀(73)이 천공형성된 상태로, 일단이 두개로 분기되어 전술된 복수개의 집게부(71) 타단에 밀착되어 있는 형태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푸싱바(74)는 후술될 위치 고정체 설치판(80)에 형성되어 있는 제 2돌기(83)에 끼움고정되어 위치된다.

    즉, 이러한 위치 고정체(70)의 작동을 살펴보면, 복수개의 제 2탄성부재(72)에 의해 밀리면서 복수개 집게부(71) 일단이 집게홀(61)을 관통하여 높이봉(63)의 고정 나사산(64)에 끼움고정된 상태를 가지며, 이때 푸싱바(74)는 복수개 집게부(71)의 타단에 밀착된 상태이되, 상기 푸싱의 이동홀(73) 내 일측에 제 2돌기(83)가 걸쳐져 있게 되는데, 이런 제 2돌기(83)가 이동홀(73)에 걸쳐져 있음으로 인해, 상기 복수개 회전축(71a)의 타단 양측이 외부로 벌어지지 않는 것이다. 이후, 연주자가 높이봉(63)의 높이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연주자가 푸싱바(74)를 집게부(71) 측으로 밀게 된다. 이에, 푸싱바(74)는 이동홀(73)의 천공길이만큼 전진하면 (이때, 상기 푸싱바(74)가 전진시, 제 2돌기(83)가 이동홀(73) 내 타측에 걸리면, 더이상 전진하지 못하게 된다. 이동범위를 제한한 것이다.) 복수개의 집게부(71) 타단이 밀리면서 회전축(71a)을 중심으로 복수개의 집게부(71) 일단 상호간이 회전되어 벌어지는 것이다. 물론, 이때 복수개의 집게부(71)를 높이봉(63)으로 밀었던 제 2탄성부재(72)는 집게부(71)가 벌어지면서 압축된다. 이에, 연주자는 높이봉(63)의 위치 조절이 완료되었을 경우, 밀었던 푸싱바(74)를 손에서 놓게 되면, 압축되었던 탄성부재가 원상복귀되기 위해 인장되면서 복수개의 집게부(71) 일단을 높이봉(63)을 밀게되고, 이에, 회전축(71a)을 기준으로 복수개의 집게부(71) 타단도 외측으로 회전하면서 푸싱바(74)를 후진시키되, 푸싱바(74)는 이동홀(73)의 길이만큼 후진된 후 제 2돌기(83)가 이동홀(73)에 걸려 위치가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위치 고정체 설치판(80)은 전술된 위치 고정체(70)를 보호하고 위치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 지지판(84), 하부 지지판(85)으로 이루어진다.

    우선, 상기 상부 지지판(84)은 중앙에 메인홀(81)이 천공형성되어, 지지판(11)에 끼움고정되어 있는 고정링(62) 외주연에 끼워져 지지판(11)에 밀착된다. 물론, 상기 고정링(62) 외주연에도 용접 등에 의해 일체가 되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상기 상부 지지판(84)에는 하부를 향해 돌출되는 다수의 제 1, 2돌기(82, 83)를 천공형성하는데, 여기서 말하는 제 2돌기(83)가 전술된 위치 고정체(70)의 이동홀(73)에 끼워지는 돌기이다.

    상기 하부 지지판(85)도 중앙에 메인홀(81)이 천공형성되어, 상부 지지판(84)에 이어서 고정링(62) 외주연에 끼워지는 것이다, 또한 전술된 다수의 제 1돌기(82)가 대응되며 끼워질 수 있는 다수의 제 1홈(86)을 다수 형성하여, 상부 지지판(84)과 하부 지지판(85)이 대응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이러한 상기 상부 지지판(84)과 하부 지지판(85)은 상호간이 결합될 시, 상호간의 사이에 전술된 위치 고정체(70)가 삽입될 설치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위치 고정체(70)가 상부 지지판(84)과 하부 지지판(85) 사이에 끼워져 고정링(62)의 집게홀(61)에 끼워지기 때문에, 고정링(62)의 집게홀(61) 상단 외주연에 상부 지지판(84)이 위치되고, 고정링(62)의 집게홀(61) 하단 외주연에 하부 지지판(85)이 위치되는 형태가 되는 것이다. 또한, 상부 지지판(84)과 하부 지지판(85)이 상호간 체결되었을 시, 위치 고정체(70)가 끼워지는 일측만 개구되었을 뿐, 나머지 부분은 밀페되는 형태가 되도록 하며, 상부 지지판(84)과 하부 지지판(85)이 상호간 체결된 상태에서 외부로 푸싱바(74)만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형태가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안착부 11: 지지판
    12: 제 1사이드판 13: 제 2사이드판
    14: 끼움장치 15: 받침판
    16: 끼움고리 20: 지지부
    21: 지지체 22: 받침부
    23: 걸쇠 30: 기타 고정부
    31: 상판 32: 제 1슬라이드 돌기
    33: 결합돌기 34: 결합홈
    35: 하판 36: 제 2슬라이드 돌기
    40: 고정체 41: 제 1슬라이드 홈
    42: 제 2슬라이드 홈 43: 이동 나사산
    44: 보호체 45: 원위치용 탄성부재
    50: 고정풀림부 51: 전달기어
    52: 회전 나사산 53: 회동체
    53a, 71a: 회전축 54: 차단편
    55: 복귀용 탄성부재 56: 안전핀
    57: 푸싱 탄성부재 60: 높이 조절부
    61: 집게부 62: 고정링
    63: 높이봉 64: 고정 나사산
    70: 위치 고정체 71: 집게부
    72: 제 2탄성부재 73: 이동홀
    74: 푸싱바 80: 위치 고정체 설치판
    81: 메인홀 82: 제 1돌기
    83: 제 2돌기 84: 상부 지지판
    85: 하부 지지판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