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악기 울림증폭구

申请号 KR1020130027477 申请日 2013-03-14 公开(公告)号 KR101431202B1 公开(公告)日 2014-08-21
申请人 (주)스쿨뮤직; 发明人 안정모;
摘要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verberation amplifying device for a string instrument which increases density of a head part to suppress vibration generated from strings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head part and prevent the vibration extinction of the strings in order to concentrate the vibration of the strings to a body part. The device includes a body part made of a resonance body; a neck part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body part; a head part positioned at a front end portion of the neck part and having a tuning member; a plurality of strings each of which has one end arranged on the body part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head part; and a vibration suppressing part installed to the head part to increase density of the head, thereby suppressing vibration generated from the strings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head part, preventing the vibration extinction of the strings, and thus concentrating the vibration of the strings to the body part. Therefore, the resonance of the body part is amplified, sustain is increased so that a harmonic tone is abundant and the tone is retained at length.
权利要求
  • 공명체로 이루어진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넥크부, 상기 넥크부의 선단부에 위치하며 조율구가 설치된 헤드부, 일단이 상기 바디부 상에 다수개가 배열 설치되어 고정되고 타단이 헤드부상에 고정된 현을 포함하는 현악기에 있어서,
    헤드부의 재질보다 밀도가 높은 재질을 갖는 진동억제부를 헤드부에 설치하되,
    상기 진동억제부는 상기 헤드부의 일측에 하나 이상의 삽입홈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홈에 금속재질로 50g 내지 250g 중량인 진동억제부를 고정시켜 현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이 헤드부로 전달될 때 진동의 감소를 꾀하도록 하여 구성한 현악기 울림증폭구.
  • 삭제
  • 삭제
  • 삭제
  • 说明书全文

    현악기 울림증폭구{The reverberation amplifier for the stringed instrument}

    본 발명은 현악기 울림증폭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헤드부의 밀도를 높여서 현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헤드부에 전달될 때 진동의 감소를 꾀하도록 한 현악기 울림증폭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악기는 다수개의 현을 이용하여 소리를 내는 악기의 한 종류로서, 기타, 바이올린, 첼로, 비올라 등이 이에 해당된다.

    상기 현악기는 악기의 종류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외측이 라운드 지게 형성된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네크부와, 상기 네크부의 단부와 연결 설치되며 조율구가 다수개 구비된 헤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바디부에 일단이 고정되어 연장 형성되며, 타단이 헤드부상에 구비된 조율구 상에 다수개가 연결된 현이 배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현악기는 현을 튕겨주거나 별도로 구비된 활을 사용하여 현을 마찰시킴으로써 소리를 내게 되며, 상기 바디부가 공명체로 이루어져 있어서 현의 진동에 의한 공명현상에 의해 음이 발생 된다.

    이때, 통기타와 같은 현악기는 현의 진동으로 발생되는 음은 그 음이 생성되는 바디부 내부에서 내부의 공기를 매개로 진동의 전달되고 음이 만들어지게 되며, 이러한 음의 진동, 음파는 바디부를 구성하는 전판과 측판 등에 진동, 반사되고, 흡수되는 등의 과정을 통해 울림공을 통해 출력된다.

    그런데, 바디부 내부에서 발생된 음파 중에 울림공으로부터 가까운 곳의 음파는 울림공을 통해 곧장 나오게 되겠지만, 일부의 진동이 헤드부쪽으로 전달되어 지속적으로 진동을 유발하게 되고, 바디부에서 음파를 제대로 생성해 내지 못하여 바디부의 울림이 저하되고 기타의 배음이 풍부하지 못하며, 음을 길게 유지시켜주는 서스테인이 짧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헤드부의 밀도를 높여서 현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헤드부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시켜 현의 진동이 손실되지 않아 현의 진동이 바디부에 집중되도록 한 현악기 울림증폭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이탈착이 가능하고 이탈착이 편리한 구조로 이루어진 현악기 울림증폭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명체로 이루어진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넥크부, 상기 넥크부의 선단부에 위치하며 조율구가 설치된 헤드부, 일단이 상기 바디부 상에 다수개가 배열 설치되어 고정되고 타단이 헤드부상에 고정된 현을 포함하는 현악기에 있어서, 헤드부의 재질보다 밀도가 높은 재질을 갖는 진동억제부를 헤드부에 설치하여 현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이 헤드부로 전달될 때 진동의 감소를 꾀하도록 구성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진동억제부는, 상기 헤드부의 일측에 하나 이상의 삽입홈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홈에 진동억제부를 고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진동억제부는, 상기 헤드부의 상부에 끼움 방식으로 설치가능하도록 하부가 개구된 클립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진동억제부는, 금속재질로 50g 내지 250g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현악기 울림증폭구는 헤드부에 설치한 진동억제부로 인해 헤드부의 밀도를 높여서 현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헤드부에 전달될 때 진동의 감소를 꾀하도록 한 현악기 울림증폭구를 제공하여, 바디부의 울림이 증폭되고 배음이 풍부해지고 음을 길게 유지시켜주는 서스테인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현악기 울림증폭구는 헤드부에 형성한 삽입홈에 삽입하거나, 헤드부의 상부에 끼움 방식으로 설치가능한 진동억제부로 인해, 진동억제부의 이탈착이 가능하고 이탈착이 편리한 구조로 이루어진 현악기 울림증폭구를 제공하여, 편의성 및 호환성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현악기 울림증폭구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인 현악기 울림증폭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현악기 울림증폭구 중 진동억제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현악기 울림증폭구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현악기 울림증폭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인 현악기 울림증폭구 중 진동억제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 울림증폭구의 구성상태를 살펴보면, 공명체로 이루어진 바디부 20, 상기 바디부 20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넥크부 40, 상기 넥크부 40의 선단부에 위치하며 조율구 50가 설치된 헤드부 60, 일단이 상기 바디부 20 상에 다수개가 배열 설치되어 고정되고 타단이 헤드부 60상에 고정된 현 10을 포함하는 현악기 1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 60의 밀도가 높아지도록 진동억제부 110를 헤드부 60에 설치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 울림증폭구 100에 대하여 다양한 현악기 1 중 통기타를 일 실시 예로 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반적인 통기타의 무게는 크기나 종류에 따라 2kg 내지 4kg으로 다양하다. 이때, 헤드부 60와 넥크부 40에 비해 바디부 20의 크기가 크다. 하지만, 바디부 20는 내부가 준공상태이기 때문에 밀도는 헤드부 60 및 넥크부 40와 바디부 20는 유사한 밀도를 갖는다.

    즉, 밀도의 밸런스가 잘 맞춰진 상태의 현악기의 현떨림이 준공상태의 바디부 20에 전달되기도 하지만 헤드부 60에도 진동이 발생한다. 이처럼, 헤드부 60의 진동을 억제하기 위해 헤드부 60의 밀도가 높여주는 것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즉, 헤드부 60의 밀도가 높아지도록 헤드부 60에 진동억제부 110를 설치한다. 이러한, 진동억제부 110를 통해 헤드부 60의 밀도가 증가하여 현 10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헤드부 60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한다. 그리하여, 현 10의 진동이 손실되지 않아 현 10의 진동이 바디부 20에 집중되도록 하여, 바디부 20의 울림이 증폭되고 배음이 풍부해진다.

    한편, 진동억제부 110는, 헤드부 60의 일측에 하나 이상의 삽입홈 120을 형성한다. 이러한, 삽입홈 120은 조율구 50를 간섭하지 않도록 조율구 50 사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삽입홈 120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동억제부 110가 완벽하게 수납되어 고정되도록 대응되는 형상이 바람직하다. 즉, 삽입홈 120과 진동억제부 110는 원형이 바람직하나 이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아울러,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현악기 울림증폭구 100는 헤드부 60의 상부에 끼움 방식으로 설치가능하도록 한 진동억제부 110'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진동억제부 110'는 하부가 개구된 클립형상으로 탄성력이 있다. 이러한, 진동억제부 110'를 헤드부 60 상부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끼움 결합한다.

    결국, 본 발명의 현악기 울림증폭구는 헤드부 60에 형성한 삽입홈 120에 삽입하거나, 헤드부 60의 상부에 끼움 방식으로 설치가능한 진동억제부 110로 인해, 진동억제부 110의 이탈착이 가능하고 이탈착이 편리한 구조로 이루어진 현악기 울림증폭구를 제공하여, 다양한 형상 및 무게를 갖는 현악기에 적용이 가능하여 편의성 및 호환성이 증가한다.

    한편, 진동억제부 110,110'는 헤드부 60의 밀도 즉 질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밀도가 높은 금속재질 중 강철이 바람직하나 이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즉, 진동억제부 110,110'는 50g 내지 250g 중량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교예

    바디부 20와 헤드부 60 및 넥크부 40의 밀도비율이 동일하고 총 무게 3kg인 통기타를 준비한다.

    실시예

    상기 비교예와 동일한 제품의 통기타 헤드부 60에 지름 25mm, 깊이 5mm의 삽입홈 101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홈 110에 지름 25mm, 두께 5mm, 질량 무게 120g의 진동억제부 110를 삽입 고정한다. 아울러, 6.6㎡녹음실 안에 설치된 마이크(SHURE KSM32)와 1m 거리를 두고 통기타를 설치한다.

    통기타의 사운드 테스트

    6.6㎡녹음실 안에 설치된 마이크(SHURE KSM32)와 1m 거리를 두고 설치한 통기타를 동일한 힘으로 현을 치고 사운드 측정장비(Vegas pro 10.0)를 이용하여 6초 동안 각각 2차례 측정한다.

    사운드 측정 결과는 하기 [시험결과 1, 2]와 같다.

    [시험결과 1]

    [시험결과 2]

    상기, 진동억제부 110가 설치된 실시예 통기타와 비교예의 측정결과를 비교해 보면 진동억제부 110가 설치된 통기타의 바디부는 울림이 증폭되어 배음이 풍부해지고 음을 길게 유지시켜주는 서스테인이 증가한다.

    한편, 진동억제부 110,110'의 질량이 50g미만일 경우 헤드부 60의 밀도가 상승하는 효과가 미비하고 250g초과할 경우 진동을 억제하는 효과가 증가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현악기 10 : 현
    20 : 바디부 30 : 너트
    40 : 넥크부 50 : 조율구
    60 : 헤드부
    100 : 현악기 울림증폭구
    110 : 진동억제부 120 : 삽입홈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