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아노 표면 나무무늬 형성방법

申请号 KR1020110062204 申请日 2011-06-27 公开(公告)号 KR101058416B1 公开(公告)日 2011-08-24
申请人 최원호; 发明人 최원호;
摘要 PURPOSE: A wood texture formation method for a piano surface is provided to achieve the effect that the existing piano seems to be made of natural wood by forming wood texture on the piano body frame and casing. CONSTITUTION: A wood texture formation method for a piano surface comprises the steps of: separating the body frame and casing of a piano and grinding the surface(S110), forming uneven surfaces of the ground body frame and casing(S120), painting the body frame and the casing with wood color as the background color(S130), painting wood patterns on the body frame and the casing(S140), forming wood texture on the body frame and the casing before the wood-pattern painting is dried(S150), painting the body frame and the casing with final wood patterns(S170), and assembling the body frame and the casing and coating a transparent protective layer(S180).
权利要求
  • 피아노 표면 나무무늬 형성방법으로서,
    피아노의 본체프레임과 케이싱을 분리하고 표면을 연마하는 단계와;
    상기 본체프레임과 상기 케이싱에 나무색상의 바탕색을 도장하는 단계와;
    바탕색이 도장된 상기 본체프레임과 상기 케이싱의 표면에 나무무늬의 색상을 조색하여 도장하는 단계와;
    조색된 상기 나무무늬의 색상이 건조되기 전에 나무무늬 형성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프레임과 상기 케이싱의 표면에 나무무늬를 형성하는 단계와;
    나무무늬가 형성된 상기 본체프레임과 상기 케이싱의 표면에 스테인 조색된 최종 나무색상을 도장하는 단계와;
    상기 본체프레임과 상기 케이싱을 조립한 후, 투명 색상으로 보호막을 도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 표면 나무무늬 형성방법.
  • 제1항에 있어서,
    표면이 연마된 상기 본체프레임과 상기 케이싱의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 표면 나무무늬 형성방법.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표면에 나무무늬가 형성된 상기 본체프레임과 상기 케이싱의 표면을 수분을 함유한 섬유로 부드럽게 닦아 상기 나무무늬가 입체감을 띄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 표면 나무무늬 형성방법.
  • 说明书全文

    피아노 표면 나무무늬 형성방법{METHOD FOR FORMING WOOD PATTERN ON PIANO SURFACE}

    본 발명은 피아노 표면에 무늬를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피아노 표면에 자연스러운 나무무늬를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아노는 대형 악기로 고가의 가격으로 인해 한번 구입하면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피아노는 수명을 관리하기에 따라 60년에서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므로 신제품을 구입하는 것보다 중고 제품을 구입하는 경우가 더 많은 실정이다. 이에 따라 중고 제품을 고객의 기호에 맞게 새롭게 리폼하여 판매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여기서, 일반적인 피아노는 검은색, 백색, 아이보리, 아르떼, 말리디 등의 단색 컬러 색상을 갖는다.

    그러나, 최근 친자연 및 친환경 제품에 대한 기호가 증가하면서 피아노도 원목무늬를 갖는 제품을 선호하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원목을 이용하여 중고 피아노를 리폼할 경우 본체프레임과 케이싱을 새로 제조해야 하므로 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중고 피아노에 사용된 본체프레임과 케이싱에 나무무늬를 자연스럽게 형성하여 원목으로 제조된 피아노와 같이 보이도록 하는 피아노 표면 나무무늬 형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아노 표면 나무무늬 형성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아노 표면 나무무늬 형성방법은, 피아노의 본체프레임과 케이싱을 분리하고 표면을 연마하는 단계와; 상기 본체프레임과 상기 케이싱에 나무색상의 바탕색을 도장하는 단계와; 바탕색이 도장된 상기 본체프레임과 상기 케이싱의 표면에 나무무늬의 색상을 조색하여 도장하는 단계와; 조색된 상기 나무무늬의 색상이 건조되기 전에 나무무늬 형성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프레임과 상기 케이싱의 표면에 나무무늬를 형성하는 단계와; 나무무늬가 형성된 상기 본체프레임과 상기 케이싱의 표면에 스테인 조색된 최종 나무색상을 도장하는 단계와; 상기 본체프레임과 상기 케이싱을 조립한 후, 투명 색상으로 보호막을 도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면이 연마된 상기 본체프레임과 상기 케이싱의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면에 나무무늬가 형성된 상기 본체프레임과 상기 케이싱의 표면을 수분을 함유한 섬유로 부드럽게 닦아 상기 나무무늬가 입체감을 띄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아노 표면 나무무늬 형성방법은 중고 피아노의 본체프레임과 케이싱을 그대로 이용하여 표면에 나무무늬를 형성하므로 원목으로 제조한 것과 같은 효과를 주면서 제조비용은 줄일 수 있다.

    또한, 표면 연마시 작업면에 요철을 형성하여 나무무늬 형성시 페인트가 요철에 흡착되도록 하여 나무무늬가 보다 자연스럽게 보이도록 한다.

    또한, 물걸레를 이용하여 나무무늬를 부드럽게 닦는 과정이 추가되어 나무무늬의 색감이 진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보이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아노 표면 나무무늬 형성방법의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2 내지 도 6은 피아노 표면 나무무늬 형성방법의 각 단계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아노 표면 나무무늬 형성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피아노 표면 나무무늬 형성방법은 단색으로 도장된 중고 피아노를 나무무늬를 갖는 피아노로 리폼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중고 피아노의 리폼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새로운 피아노를 제조하는 과정에도 적용이 가능함을 밝힌다. 또한, 본 발명이 적용되는 피아노는 그랜드 피아노, 업라이트 피아노 및 디지털 피아노 등 모든 종류일 수 있다.

    피아노 표면 나무무늬 형성을 위해서 먼저 리폼해야 할 중고 피아노(10)를 분리한다(S110).

    도 2는 중고 피아노(1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중고 피아노(10)는 검정색과 같은 단색으로 도장된 상태이다.

    도 3은 리폼을 위해 분해된 피아노(100)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분해된 케이싱(120)을 도장하기 위해 거치대(200)에 거치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피아노(100)는 전체 모양을 유지하는 본체프레임(110)과, 본체프레임(110)의 외부를 커버하는 케이싱(120)을 포함한다. 본체프레임(110)의 내부에는 소리를 발생시키는 건반(미도시), 향판(미도시), 현(미도시), 페달(130) 등이 구비된다. 본체프레임(110)은 건반(미도시), 향판(미도시), 현(미도시), 페달(130) 등이 일체로 결합되어 있어 분해가 되지 않으므로 결합된 상태로 나무무늬 형성과정이 진행된다.

    반면, 케이싱(1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악보지지대(121), 지지바(123), 상부커버(125), 건반커버(127)를 각각 분리하여 거치대(200) 상에 거치시킨 상태에서 각각 나무무늬 형성과정이 진행된다.

    본체프레임(110)과 케이싱(120)이 분리되면, 작업자는 손상된 부분이 있는지 살펴본 후, 손상된 부분을 복구시킨다. 작업자는 손상된 부분을 퍼티(putty)로 성형을 하고 표면의 불순물을 제거한다.

    불순물이 제거되면 본체프레임(110)과 케이싱(120)을 샌딩 페이퍼를 이용하여 연마한다(S120). 이때, 작업자는 본체프레임(110)과 케이싱(120)의 표면에 일정 거칠기의 요철이 형성되도록 연마한다. 표면에 형성되는 요철은 후술할 수성페인트가 본체프레임(110)과 케이싱(120)의 작업면에 보다 잘 부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체프레임(110)과 케이싱(120)에 형성되는 표면 거칠기는 손으로 만졌을 때 거칠기가 느껴질 정도로 육안으로 봤을 때 식별되지 않는 범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프레임(110)과 케이싱(120)의 표면 연마가 완료되면, 본체프레임(110)과 케이싱(120)에 바탕색을 도장한다(S130). 바탕색은 나무로 보이는 기본 바탕이 되는 색으로 황토색 또는 갈색 또는 적갈색이 바람직하다.

    바탕색이 도장되면, 페인트가 잘 건조될 수 있는 15~20℃의 온도에서 본체프레임(110)과 케이싱(120)의 작업면에 나무무늬색상을 도장한다(S140). 나무무늬색상은 바탕색보다 진한 색상으로 구비되어 바탕색 위에 형성된 나무무늬가 식별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나무무늬색상은 수성페인트로 흑갈색으로 조색하여 엷게 본체프레임(110)과 케이싱(120)의 표면에 스프레이 분사방식으로 도장한다. 이에 의해 수성페인트가 본체프레임(110)과 케이싱(120) 표면에 형성된 요철에 스며들게 된다.

    나무무늬색상의 도장이 완료되면, 수성페인트가 건조되기 전에 나무무늬를 형성한다(S150).

    도 5는 나무무늬를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나무무늬는 나무무늬 형성도구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형성한다. 나무무늬 형성도구는 우드 그레이너 또는 그레이팅 툴이 이용된다. 나무무늬 형성도구는 도장도구와 같은 형태로 구비되며, 판면에 나무무늬에 대응되는 무늬가 음각되어 있다. 작업자가 수성페인트가 건조되기 전에 나무무늬 형성도구를 작업면에 가압하며 이동시키면, 작업면의 표면에 나무무늬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경우에 따라 나이테 무늬를 형성시키기 위한 별도의 도구가 더 사용될 수 있다.

    나무무늬 형성이 완료되면, 나무무늬에 입체감을 부여하는 작업이 진행된다(S160). 앞서 진행된 바탕색 위에 나무무늬가 형성되면 색감이 진하여 나무 고유의 질감과 입체감이 부여되지 않는다. 작업자는 나무무늬색상의 수성페인트가 건조되기 전에 수분을 함유한 섬유로 본체프레임(110)과 케이싱(120)의 표면을 닦아 준다. 일례로, 물걸레로 본체프레임(110)과 케이싱(120)의 표면을 힘을 주지 않고 닦아 주면, 수성페인트에 함유된 알콜이 증발하고 수성페인트가 표면의 요철부분에 미세하게 접착되면서 진하게 보이는 나무무늬가 자연스러운 엷은 무늬로 보이며 입체감이 형성된다. 작업자는 희망하는 자연스러운 색상의 엷은 나무무늬가 형성될 때까지 물걸레로 닦는 과정을 반복한다.

    여기서, 나무무늬에 포함된 곡면 무늬는 아티스트 스폰지를 이용하여 닦아 자연스럽게 보이도록 한다.

    나무무늬 형성이 완료되면, 수성페인트가 완전히 건조되길 기다린 후 최종 나무색상을 도장한다(S170). 최종 나무색상은 오크, 월넛, 마호가니, 체리 등 최종적으로 피아노가 표현해야 할 질감의 나무색상으로 선택된다. 최종 나무색상은 황색, 적색, 흑색의 스테인 조색에 밤색, 초콜릿 색상을 혼합하여 제조된다. 이렇게 제조된 최종 나무색상을 본체프레임(110)과 케이싱(120)에 도장을 하면 원목 나무무늬가 투명하게 보이면서 자연스러운 나무결이 살아나게 된다.

    최종 나무색상 도장이 건조되면, 본체프레임(110)과 케이싱(120)을 조립하고 투명 보호막을 도장한다(S180).

    도 6은 나무무늬 형성이 완료된 리폼된 피아노(100)의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프레임(110)과 케이싱(120)의 전면에 나무무늬가 자연스럽게 형성되어 원목을 이용하여 피아노를 제조한 것과 같은 느낌을 준다.

    한편, 도 6에는 나무무늬 형성이 완료된 본체프레임(110)과 케이싱(120)의 작업면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가 개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면(111)에 요철(111a)이 형성되고, 바탕색(113), 나무무늬색(115), 최종 나무색상(117), 보호막(119)이 순차적으로 도장된다. 단면도는 각각의 두께를 과장하여 도시하였으나 실제 바탕색(113)과 나무무늬색(115)은 작업면(111)과 요철(111a)에 흡착되어 자연스러운 나무무늬로 보이도록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아노 표면 나무무늬 형성방법은 중고 피아노의 본체프레임과 케이싱을 그대로 이용하여 표면에 나무무늬를 형성하므로 원목으로 제조한 것과 같은 효과를 주면서 제조비용은 줄일 수 있다.

    또한, 표면 연마시 작업면에 요철을 형성하여 나무무늬 형성시 페인트가 요철에 흡착되도록 하여 나무무늬가 보다 자연스럽게 보이도록 한다.

    또한, 물걸레를 이용하여 나무무늬를 부드럽게 닦는 과정이 추가되어 나무무늬의 색감이 진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보이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피아노 표면 나무무늬 형성방법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피아노 110 : 본체프레임
    120 : 케이싱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