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ystem for examining typing proficiency online and method thereof

申请号 KR20100068082 申请日 2010-07-14 公开(公告)号 KR20120007357A 公开(公告)日 2012-01-20
申请人 EDUBOX CORP; 发明人 YUN MI YOUNG; LEE IN KI;
摘要 PURPOSE: A system for examining typing proficiency online and a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grade the level of typing proficiency of each person to measure. CONSTITUTION: An examination server(40) manages examinees who apply to a typing proficiency test. The examination server provides a problem according to an examination grade. The examination server manages qualification by inputting a test result. A supervisor computer(20)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examinees and the problem to provide a test. The supervisor computer transmits the test result to the examination server.
权利要求
  • 타자능력 시험에 응시하는 응시자를 접수받아 관리하고 응시급수에 따른 문제를 제공하며 시험결과를 입력받아 합부에 따라 자격을 관리하는 검정서버;
    상기 검정서버로부터 상기 응시급수에 따른 문제 및 상기 응시자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시험을 진행한 후 상기 시험결과를 상기 검정서버로 전송하는 감독관 컴퓨터; 및
    상기 감독관 컴퓨터에 접속하여 시험에 응시하기 위한 응시자 컴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타자 검정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정서버는 인터넷을 통해 상기 응시자를 접수받고 상기 시험결과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타자 검정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정서버에서 상기 응시자를 접수받을 때 다수의 응시자가 정리된 파일에서 명단을 복사하여 붙여넣기 하고 사진을 업로드하여 일괄적으로 접수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타자 검정 시스템.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은 주민등록번호를 파일명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타자 검정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정서버와 상기 감독관 컴퓨터는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타자 검정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독관 컴퓨터와 상기 응시자 컴퓨터는 LAN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타자 검정 시스템.
  • 검정서버에서 타자능력 시험에 응시하는 응시자를 접수받아 수험번호와 시험장을 부여하는 단계;
    감독관 컴퓨터를 통해 상기 검정서버에 접속하여 시험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하는 단계;
    상기 감독관 컴퓨터에서 응시자 컴퓨터를 통한 상기 응시자의 로그인 상태를 판단하여 출결상황을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출결상황을 체크한 후 시험이 시작되면 로그인 정보에 따라 상기 응시자 컴퓨터로 시험문제를 제공하고 시험이 완료되면 결과를 입력받아 상기 검정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타자 검정 방법.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검정서버에서 상기 응시자를 접수받을 때 다수의 응시자가 정리된 파일에서 명단을 복사하여 붙여넣기 하고 사진을 업로드하여 일괄적으로 접수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타자 검정 방법.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은 주민등록번호를 파일명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타자 검정 방법.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감독관 컴퓨터를 통해 감독관이 로그인할 경우 시험장에 배정된 상기 응시자의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타자 검정 방법.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이 완료되면 상기 응시자 컴퓨터의 키보드 입력이 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타자 검정 방법.
  • 说明书全文

    온라인 타자능력 검정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EXAMINING TYPING PROFICIENCY ONLIN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온라인 타자 검정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온라인을 통해 타자능력을 검정할 수 있도록 시험의 진행 및 관리감독을 할 수 있도록 한 온라인 타자 검정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 통신망과 PC의 발달 및 보급의 대중화에 인터넷이 결합되면서 기존에 오프라인으로 처리하였던 각종 정보제공 서비스 및 상거래 행위들이 온라인 방식으로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처리가 가능하게 되었다.

    더욱이 인터넷 초기에는 인터넷 전문가들만이 인터넷을 유효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었지만,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 WWW)의 등장과 이 WWW 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웹브라우저 프로그램이 발달함에 따라서 누구나 손쉽게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게 되어 인터넷 이용자는 날이 갈수록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현대인의 작업, 취미, 오락, 정보검색 등은 모두 컴퓨터를 이용할 수밖에 없게 되므로 기본적인 입력장치인 키보드를 다루는 것은 마치 밥을 먹으려면 수저를 이용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기본적인 능력이라 할 수 있겠다.

    요즘, 남녀노소 할 것 없이 웹(Web) 상에서 즐기는 채팅(Chatting)을 할 경우에도 타자능력이 떨어지면 사용자와 대화를 하는 상대방은 물론이고, 사용자 본인도 무척 답답함을 느낀다.

    그래서, 컴퓨터를 이용하는 초보 이용자들은 대부분 처음 이용하게 되는 프로그램이 타자연습 프로그램이다. 이는 우선 자판의 위치를 익히고, 어느 정도 익혔다 싶으면 타자게임을 통하여 좀 더 빠른 속도로 타자능력을 향상시키도록 되어 있다.

    위에서 설명한 기술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타자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타자연습 프로그램을 사용하지만 타자능력에 대해 검정할 수 없어 해당 타자연습 프로그램 내에서의 점수 등으로 판단함에 따라 각 개인의 타자능력에 대한 수준을 등급화 및 지수화하여 측정할 수 없고 단순한 게임의 점수로만 남게 됨에 따라 타자능력의 향상을 위한 목적의식이 저하되거나 성취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온라인을 통해 타자능력을 검정할 수 있도록 시험의 진행 및 관리감독을 할 수 있도록 한 온라인 타자 검정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온라인 타자 검정 시스템은 타자능력 시험에 응시하는 응시자를 접수받아 관리하고 응시급수에 따른 문제를 제공하며 시험결과를 입력받아 합부에 따라 자격을 관리하는 검정서버; 검정서버로부터 응시급수에 따른 문제 및 응시자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시험을 진행한 후 시험결과를 검정서버로 전송하는 감독관 컴퓨터; 및 감독관 컴퓨터에 접속하여 시험에 응시하기 위한 응시자 컴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검정서버는 인터넷을 통해 응시자를 접수받고 시험결과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검정서버에서 응시자를 접수받을 때 다수의 응시자가 정리된 파일에서 명단을 복사하여 붙여넣기 하고 사진을 업로드하여 일괄적으로 접수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진은 주민등록번호를 파일명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검정서버와 감독관 컴퓨터는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감독관 컴퓨터와 응시자 컴퓨터는 LAN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온라인 타자 검정 방법은 검정서버에서 타자능력 시험에 응시하는 응시자를 접수받아 수험번호와 시험장을 부여하는 단계; 감독관 컴퓨터를 통해 검정서버에 접속하여 시험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하는 단계; 감독관 컴퓨터에서 응시자 컴퓨터를 통한 응시자의 로그인 상태를 판단하여 출결상황을 체크하는 단계; 및 출결상황을 체크한 후 시험이 시작되면 로그인 정보에 따라 응시자 컴퓨터로 시험문제를 제공하고 시험이 완료되면 결과를 입력받아 검정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검정서버에서 응시자를 접수받을 때 다수의 응시자가 정리된 파일에서 명단을 복사하여 붙여넣기 하고 사진을 업로드하여 일괄적으로 접수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진은 주민등록번호를 파일명으로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감독관 컴퓨터를 통해 감독관이 로그인할 경우 시험장에 배정된 웅시자의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시험이 완료되면 응시자 컴퓨터의 키보드 입력이 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온라인을 통해 타자능력을 검정할 수 있도록 시험의 진행 및 관리감독을 할 수 있도록 하여 각 개인의 타자능력에 대한 수준을 등급화 및 지수화하여 측정함으로써 타자능력의 향상을 위한 목적의식이나 성취감을 고취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타자 검정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타자 검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타자 검정 방법에 따라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타자 검정 시스템 및 그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타자 검정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온라인 타자 검정 시스템은 검정서버(40), 감독관 컴퓨터(20), 응시자 컴퓨터(10) 및 사용자 컴퓨터(50)를 포함한다.

    검정서버(40)는 타자능력 시험에 응시하는 응시자를 접수받아 관리하고 응시급수에 따른 문제를 제공하며 시험결과를 입력받아 합부에 따라 자격을 관리한다.

    또한, 검정서버(40)는 인터넷(30)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 컴퓨터(50)로부터 응시자를 접수받고 시험결과를 제공한다.

    응시자를 접수받을 때 단체접수인 경우에는 다수의 응시자가 정리된 엑셀 파일에서 명단을 복사하여 붙여넣기 함으로써 단체접수가 이루어지고, 사진은 응시자의 주민등록번호를 파일명으로 정리하여 일괄적으로 압축한 후 업로드함으로써 접수할 수 있도록 한다.

    감독관 컴퓨터(20)는 인터넷(30)을 통해 검정서버(40)에 접속하여 시험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함으로써 응시자 컴퓨터(10)가 접속하여 시험을 치를 수 있도록 하며 검정서버(40)로부터 응시급수에 따른 문제 및 응시자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시험을 진행한 후 시험결과를 검정서버(40)로 전송한다.

    응시자 컴퓨터(10)는 시험장에서 LAN을 통해 감독관 컴퓨터(20)의 IP 주소로 접속하여 응시급수에 따라 제공되는 시험을 치를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온라인 타자 검정 시스템은 사용자 컴퓨터(50)에서 검정서버(40)에 접속하여 응시자 접수를 하게 되고, 시험검정을 위해 시험장에 설치된 감독관 컴퓨터(20)를 통해 검정서버(40)에 접속하여 시험진행을 위한 시험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게 되면, 응시자 컴퓨터(10)를 통해 감독관 컴퓨터(20)에 접속하여 제시되는 시험문제를 정해진 시간동안 입력하여 시험을 치르게 된다.

    이렇게 시험을 치르게 되면 시험결과를 감독관 컴퓨터(20)에서 취합하여 검정서버(40)로 전송함으로써 시험이 진행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타자 검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3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타자 검정 방법에 따라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타자 검정 방법은 먼저, 사용자 컴퓨터(40)를 통해 검정서버(40)에 접속하여 응시자를 접수하고 수험번호와 시험장을 부여받는다(S10).

    응시자를 접수받을 때 단체접수인 경우에는 도 3과 같이 다수의 응시자가 정리된 엑셀 파일에서 명단을 복사하여 도 4에 도시된 단체접수 화면에서 일괄명단등록을 통해 붙여넣기 함으로써 단체접수가 이루어지고, 사진은 응시자의 주민등록번호를 파일명으로 정리하여 일괄적으로 압축한 후 일괄사진등록을 통해 업로드함으로써 접수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시험 응시접수를 완료하여 수험번호 및 시험장을 부여받은 후 시험당일 시험장에 가서 시험을 치르게 된다.

    시험장에서는 감독관 컴퓨터(20)를 통해 검정서버(40)에 접속하여 시험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하여 응시자 컴퓨터(10)가 감독관 컴퓨터(20)에 접속하여 시험을 치를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한다(S12).

    이와 같이 감독관 컴퓨터(20)에 시험프로그램이 설치된 상태에서 감독관이 로그인 할 경우 시험문제를 검정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게 되고(S14)(S16),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험장 정보 및 시험현황이 표시된다(S18).

    즉, 시험장 정보로써 시험장명, IP주소, 포트번호, 시험감독관 및 총응시자 수가 표시되고, 시험현황으로 좌석번호, 수험번호, 이름, 응시급수, 응시상태 및 출석여부 등이 표시된다.

    또한, 응시자 컴퓨터(10)에 이상이 발생시 재시험을 진행하기 위한 초기화 버튼이 구비된다.

    이렇게 시험을 치를 수 있는 환경이 모두 구축되면 감독관 컴퓨터(20)의 IP주소를 확인하여 응시자 컴퓨터(10)에서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응시자는 응시자 컴퓨터(10)를 통해 감독관 컴퓨터의 IP주소로 접속하여 로그인을 한다.

    응시자 컴퓨터(10)가 로그인되면 감독관 컴퓨터(20)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험현황의 출석여부에 응시자가 출석한 것으로 표시되어 응시자가 모두 로그인 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출결상황을 체크한다(S20).

    이때 응시자 컴퓨터(10)가 감독관 컴퓨터(20)에 정상적으로 접속되어 로그인 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라인 타자검정 시험을 시작하기 위한 준비화면이 출력된다.

    이와 같이 출결상황의 체크가 마무리되면 응시자에게 시험을 시작할 수 있도록 하면 응시자는 화면에 출력된 시험프로그램의 시작하기를 눌러 시험을 진행하게 된다.(S22)

    이렇게 시험이 시작되면 감독관 컴퓨터(20)에서는 로그인 정보에 따라 도 8과 같이 응시자 컴퓨터(10)로 시험문제가 제공되고 응시자는 정해진 시간동안 시험을 치르게 된다(S24).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응시자 컴퓨터(10)의 키보드 입력이 중지되고 시험결과의 제출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S26)(S28).

    이렇게 시험이 완료되면 시험결과가 제출되고 도 9와 같이 감독관 컴퓨터(20)에는 시험현황이 표시되어 시험의 완료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S30).

    이와 같이 시험이 완료되면 제출받은 시험결과는 자동으로 검정서버(40)로 전송되어 합격 및 불합격을 판정하게 되며 이후 사용자 컴퓨터(50)를 통해 합격 및 불합격에 대한 결과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한다(S32).

    한편, 감독관 컴퓨터(20)에서 검정서버(40)로 시험결과가 자동으로 전송되지 않은 경우에는 도 10과 같이 시험결과 데이터백업을 통해 수동으로 검정서버(40)로 시험결과를 전송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응시자 컴퓨터
    20 : 감독관 컴퓨터
    30 : 인터넷
    40 : 검정서버
    50 : 사용자 컴퓨터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