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용 홀컵장치

申请号 KR2020030008482 申请日 2003-03-21 公开(公告)号 KR200316662Y1 公开(公告)日 2003-06-18
申请人 주식회사 지완골프; 发明人 황기룡;
摘要 본 고안은 휴대용 홀컵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 휴대용 홀컵장치는 골프공을 감지하는 부분과, 골프공을 감지함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부분이 별도 또는 측면에서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부피가 커 휴대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과 아울러 공의 진행을 방해하는 장애물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고안은 투명한 재질의 케이스를 가지며, 내장된 센서에 의해 상부를 지나는 골프공을 감지하여, 신호라인을 통해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홀컵 타겟부와; 상기 홀컵 타겟부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홀컵 타겟부에서 골프공을 감지하면 그 감지신호를 인가받아 지정된 음향을 출력함과 아울러 광을 출력하는 본체부로 구성하여, 골프공을 센싱하는 센서부와 센싱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본체 및 전원부를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퍼팅 연습을 할 때, 골프공의 진행을 방해하는 장애물이 제거하는 효과와 함께 휴대의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权利要求
  • 투명한 재질의 케이스를 가지며, 내장된 센서에 의해 상부를 지나는 골프공을 감지하여, 신호라인을 통해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홀컵 타겟부와;
    상기 홀컵 타겟부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홀컵 타겟부에서 골프공을 감지하면 그 감지신호를 인가받아 지정된 음향을 출력함과 아울러 광을 출력하는 본체부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홀컵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컵 타겟부의 센서는 홀컵 타겟부의 외주를 따라 골프공이 센서의 사이로 빠져나가지 못하는 간격으로 다수 배치되는 압력, 광 또는 초음파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홀컵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거울 면인 저면 상에서, 스위치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부의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홀컵 타겟부의 감지신호를 인가받아 음향신호를 출력함과 아울러 발광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음향신호를 재생하는 스피커와;
    상기 제어부의 발광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치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부의 전원을 발광부에 공급하여, 발광부를 점등하는 발광제어부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홀컵장치.
  • 투명한 재질의 케이스를 가지며, 내장된 센서에 의해 상부를 지나는 골프공을 감지하여, 신호라인을 통해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홀컵 타겟부와;
    상기 홀컵 타겟부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홀컵 타겟부에서 골프공을 감지하면 그 감지신호를 인가받아 지정된 음향을 출력함과 아울러 광을 출력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저면에 결합되며, 다수의 배터리를 내장하여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특정 배터리를 선택하여 그 선택된 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본체부에 공급하는 전원부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홀컵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배면에 회전이 가능한 원판형의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상부 일부에 위치하여, 그 스위치의 회전에 따라 온/오프를 선택할 수 있는 전원전극과;
    상기 전원부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며, 접지전극을 공유하는 다수의 배터리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홀컵장치.
  • 说明书全文

    휴대용 홀컵장치{PORTABLE HOLE-CUP}

    본 고안은 휴대용 홀컵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홀컵을 플레이트 내부에 매립되는 매립형으로 변경하여 퍼팅 연습을 할 때, 외부장치에 골프공이 걸리지 않는 휴대용 홀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홀컵장치는 홀컵의 크기와 동일한 원형의 판을 구비하고, 그 판에 공이 지남을 감지하는 센서를 달고, 외부장치에 의해 그 센서에서 공을 감지하면 퍼팅 성공으로 판단하여 효과음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 휴대용 홀컵장치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04670호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으며, 이를 참조하여 종래 휴대용 홀컵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04670호에 따른 휴대용 홀컵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린상의 홀컵 역할을 수행하는 홀컵 타겟부(20)와, 제어 본체(10)와, 상기 홀컵 타겟부(20)와 제어 본체(10)를 연결하는 원격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홀컵 타겟부(20)는 얇은 판상의 구조로 원판 형상을 취하며, 그 내부에는 골프공 이동시 그 중력에 의해 스위칭되는 스위치부(21)가 구비되고, 일측단에는 상기 원격수단(30)에 포함되며 양단에 잭(31a)(31b)을 갖는 코드라인(31)의 잭(31a)이 연결될 수 있도록 잭고정홈(22)이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부(21)의 각 라인과 연결된다.

    상기 스위치부(21)는, 일방향으로 등간격을 가지며 복수개 구비되어 골프공 이동시 단계적으로 온오프 동작을 하면서 그 신호를 코드라인(31)을 통해 상기 제어 본체(10)로 출력하게 된다.

    상기 제어 본체(10)는, 케이스(11)와, 속도측정부(12)와, 전원(13)과, 잭고정홈(14)과, 제어부(15)와, 스피커(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1)는 내부가 빈 공간을 이루며, 그 내측에는 교체 가능하도록 된 전원(13)이 구비되어 각 장치와 연결되고, 또한 내측 상부에는 스피커(16)가 장착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1)의 내측 일벽에는 외부로 문자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2a)를 갖는 속도측정부(1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1)의 일측에는 상기 홀컵 타겟부(20)의 스위치부(21)에서 감지된 신호 값을 제어부(15)가 입력받을 수 있도록 상기 코드라인(31)의 잭(31b)이 연결되는 잭고정홈(14)이 형성된다.

    이는, 골프공이 홀컵 타겟부(20)를 통과하게 되면 스위치부(21)가 이를 감지하게 되고, 그 신호 값은 코드라인(31)을 통해 제어부(16)로 연결되며, 이때 상기 제어부(16)는 스피커(16)를 통해 저장된 메세지 내용을 출력하고 동시에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신호 값을 속도측정부(12)가 측정하여 골프공의 이동속도를 측정한 후 이를 표시부(12a)를 통해 표시하게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홀컵 타겟부(20)의 스위치부(21)에서 감지된 신호값이 코드라인(31)을 통해 제어 본체(10)의 제어부(15)로 입력되어 음성메세지 또는골프공 속도를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휴대용 홀컵장치는 골프공을 감지하는 홀컵부분과 이를 감지하여 신호음을 발생시키는 부분이 상호 분리되어 있어, 휴대가 용이하지 않으며, 상기 본체(10) 또한 퍼팅이 이루어지는 플레이트면에 위치해야 함으로써, 퍼팅시 본체(10)에 의해 골프공의 진행이 방해되거나, 골프공과의 충돌에 의해 상기 본체(10)에 고장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본체(10)에 골프공이 충돌한 후, 골프공이 홀컵의 앞으로 진행한 후 정지하는 경우, 사용자가 다시 퍼팅을 하기 위해서는 그 홀컵 앞의 골프공을 치워야 하며, 이는 퍼팅연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정신을 산만하게 하는 요인이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고안은 본체와 홀컵 타겟부가 일체화된 휴대용 홀컵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본체가 골프공의 진행을 방해하지 않는 휴대용 홀컵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전원의 사용시간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는 휴대용 홀컵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홀컵 타겟부의 저면에 본체가 위치하여, 매립 또는 경사면을 이용한 설치를 통해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됨에 그 특징이 있다.

    전원부를 별도로 마련하고, 다수의 배터리를 그 전원부에 구비시켜, 사용자가 용이하게 다수의 배터리 중 특정 배터리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됨에 그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휴대용 홀컵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있어서, 본체의 내부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홀컵장치의 일실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있어서, 홀컵 타겟부의 평면도.

    도 5는 도 3에 있어서, 본체의 내부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 휴대용 홀컵장치가 설치되는 예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홀컵장치의 다른 실시 사시도.

    도 8은 도 7에 있어서, 전원부의 배면 모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 홀컵 타겟부 41 : 센서

    42 : 신호라인 50 : 본체

    51 : 제어부 52 : 스피커

    53 : 발광제어부 54 : 발광부

    55 : 전원부 56 : 스위치

    57 : 전원전압전극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제 홀컵과 동일한 지름을 가지며, 내부에 센서가 구비된 홀컵 타겟부(40)와; 상기 홀컵 타겟부(40)의 하부에 위치함과 아울러 상기 홀컵 타겟부(40)에서 골프공 검출신호가 인가되면, 지정된 음향을 출력함과 아울러 광 점멸신호를 상기 홀컵 타겟부(40) 측으로 출력하는 본체(50)로 구성된다.

    도 4는 상기 홀컵 타겟부(40)의 평면모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홀컵 타겟부(40)의 하부측은 투명한 플라스틱 등의 케이스이며, 상부측은 센싱이 용이하도록 투명한 비닐 등의 재질로 구성한다.

    상기 도 4에서 센서(41)는 홀컵 타겟부(40)의 외주를 따라 골프공이 센서(41)에 감지되지 않고, 홀컵으로 들어올 수 없도록 조밀하고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한다.

    그 다음, 상기 센서(41)의 센싱 신호가 출력되어지는 신호라인(42)은 그 홀컵 타겟부(40)의 중앙을 기준으로 복수의 센서 사이 부분으로 뻗어 나간 제1부와, 그 제1부의 끝과 센서(41)를 연결하는 제2부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신호라인(42)은 배선을 보다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이후에 설명할 광의 출력면을 최대화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신호라인(42)의 중앙부에는 상기 본체(50)의 내부로 연결되어, 그 본체(50)에 내장된 제어부에 직접 연결된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본체(50)의 내부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신호라인(42)을 통해 인가되는 센서(41)의 검출신호를 인가받아, 음향신호 및 발광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51)와; 상기 제어부(51)의 음향신호를 재생하는 스피커(52)와; 상기 제어부(51)의 발광제어신호에 따라 전원의 인가를 제어하는 발광제어부(53)와; 상기 발광제어부(53)의 제어에 따라 전원을 공급받아 광을 발산하는 발광부(54)와; 스위치(56)를 통해 상기 각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55)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 휴대용 홀컵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은 그 두께가 50mm 이하이며, 이는 퍼팅연습기, 카페트 등에 구멍을 뚫고, 그 구멍 내에 장착할 수 있다.

    쉽게 구멍을 형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평면상에 본 고안의 휴대용 홀컵장치를 놓고, 퍼팅위치를 향해 경사면을 가지는 물체를 둠으로써, 기타의 변형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휴대용 홀컵장치를 퍼팅연습기의 매트에 장착한 상태의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면(60)을 설치하여, 휴대용 홀컵장치를매트(70)의 상부에 올려놓은 상태로 퍼팅연습을 할 수 있으며, 매트(70)에 홈을 형성하고, 그 홈에 본 고안에 의한 홀컵장치를 넣어 그 홀컵장치의 표면인 홀컵 타겟부(40)의 상부와 매트(70)의 상부를 일치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로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홀컵장치를 장착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퍼팅연습을 하게 된다.

    퍼팅된 골프공이 상기 홀컵 타겟부(40)를 지나는 경우에는 상기 홀컵 타겟부(40)에 위치하는 센서(41)에 의해 센싱되고, 그 센싱신호는 신호라인(42)을 통해 제어부(51)로 인가된다.

    이때의 센서(41)는 압력센서, 광센서, 초음파센서 등 골프공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이면, 그 종류에 관계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51)는 지정된 음향신호를 스피커(52)로 출력하여, 스피커를 통해 음향이 재생되도록 한다. 이때의 음향은 실제 홀컵에 골프공이 들어갈 때 발생하는 소리 또는 적당한 음악, 음향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51)는 상기 음향신호를 출력함과 아울러 발광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발광제어신호를 인가받은 발광제어부(53)는 스위치(56)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부(55)의 전원을 스위칭하여 발광부(54)를 동작시킨다.

    상기 발광부(54)는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점등된다.

    상기 발광부(54)는 발광제어부(53)의 설정에 따라 소정시간동안 점등된 후 소등되거나, 점등과 소등을 반복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광부(54)의 빛은 상기 홀컵 타겟부(40)를 통해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되며, 상기 본체(50)의 바닥을 거울 면으로 형성하면 그 발광효과를 더욱 크게 할 수 있다.

    상기의 동작에 의해 사용자는 자신이 퍼팅한 공이 홀컵에 들어갔는지 청각적 시각적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50)와 홀컵 타겟부(40)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퍼팅된 골프공의 진행에 방해가 되는 물체가 없으며, 이에 따라 퍼팅연습에 방해를 주지 않게 된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부(55)를 별도의 구조로 상기 홀컵 타겟부(30), 본체(50)와 함께 적층한다.

    도 8은 상기 도 7에 기재한 전원부(55)의 저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원부(55)는 다수의 배터리(BAT1~BAT6)가 그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어 있으며, 그 배터리(BAT1~BAT6)들의 접지전극은 공통으로 사용한다.

    또한, 배면은 회전이 가능한 원판이 구비되며, 그 원판은 스위치(56)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부측에 스위치(56)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는 전원전압전극(57)을 구비하고 있다.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56)를 돌려 화살표가 OFF, ON1~ON6의 위치로 향하도록 돌려 스위칭을 할 수 있으며, 다수의 배터리(BAT1~BAT6)를 구비함으로써, 사용 수명을 보다 연장할 수 있다.

    즉, ON1으로 스위치(56)의 화살표를 맞춰놓고 사용하다가, 배터리(BAT1)의수명이 다하면, ON2의 위치로 스위치(56)의 화살표를 돌려 배터리(BAT2)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체 기기의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전원부(55)를 구성함으로써 얻어지는 다른 효과는 여분의 배터리가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내장된 배터리의 수명이 다한 경우에는 휴대용 홀컵을 사용할 수 없게 되나, 본 고안의 전원부(55)를 사용하면 별도로 배터리의 여분을 준비해 두지 않아도, 다른 배터리를 스위치(56)의 선택만으로 선택사용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휴대의 편이성이 보다 증대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골프공을 센싱하는 센서부와 센싱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본체 및 전원부를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퍼팅 연습을 할 때, 골프공의 진행을 방해하는 장애물이 제거하는 효과와 함께 휴대의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퍼팅에 성공한 경우 음향뿐만 아니라 광을 발산하여 시각적으로도 퍼팅의 성공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청각 장애인들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다수의 배터리를 내장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른 배터리를 전원으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와 아울러 여분의 배터리를 준비하지 않고도 휴대할 수 있어 그 휴대의 편의성을 보다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