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파리의 해상 처리 시스템

申请号 KR1020060122015 申请日 2006-12-05 公开(公告)号 KR1020070061372A 公开(公告)日 2007-06-13
申请人 토호쿠 덴료쿠 가부시키가이샤; 히메지 에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发明人 이시카와신야; 시오다코우타;
摘要 A processing system of jellyfish on the sea is provided to process jellyfish entering an intake of a power plant eradicably at a low cost without installation of special waste treatment facilities. The processing system of jellyfish on the sea includes: a sea jellyfish storage tank(30) for storing the jellyfish in the sea; a jellyfish inducing unit for inducing the jellyfish around an intake(1); and a jellyfish transferring unit for transferring the jellyfish alive to the sea jellyfish storage tank by absorbing the jellyfish induced by the jellyfish inducing unit in the sea. The jellyfish die out in the jellyfish storage tank without landing and disappear by melting in the sea.
权利要求
  • 해상에 있어서 해파리를 해수중에 저류하는 해상 해파리 저류조와,
    취수구 부근의 해파리를 유도하는 해파리 유도 수단과,
    상기 해파리 유도 수단에 의해 유도된 해파리를 해상에서 흡인해, 상기 해상 해파리 저류조에 산 채로 이송하는 해파리 이송 수단을 갖추고,
    상기 해파리 유도 수단에 의해 유도된 해파리를, 양륙하는 일 없이 상기 해파리 저류조에 저류해 사멸시켜, 해수에 녹아 소멸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파리의 해상 처리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해상 해파리 저류조는, 일부 또는 전부가, 해파리를 통과시키지 않고, 해수를 통과시키는 망상의 부재로 형성된 것이고, 취수구 부근의 해수의 흐름을 가지는 위치에 배치되어, 저류된 해파리를 상기 망상의 부재에 달라붙게 해 손괴 시켜, 조기에 소멸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파리의 해상 처리 시스템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해상 해파리 저류조는, 상기 망상의 부재의 일부 또는 전부의 표면에 미소한 요철을 설치해, 상기 망상의 부재에 달라붙은 해파리를 조기에 손괴 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파리의 해상 처리 시스템.
  •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해상 해파리 저류조는, 윗면의 일부 또는 전부가 개방된 바구니 형으로 형성되고, 측면의 망상의 부재 중 해면으로부터 소정 깊이의 범위의 내면의 일부 또는 전부를 틈새에 발라서 봉하는 틈새에 발라서 봉함 수단을 갖추고, 상기 해상 해파리 저류조에 저류되어 있는 해파리가 해면 부근의 망상의 부재에 달라붙어 사멸하는 것에 의해 악취를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파리의 해상 처리 시스템
  •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해상 해파리 저류조는, 해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보다 위쪽으로 해파리가 부상하지 않도록 하는 해파리 부상 억제 수단을 갖추고, 상기 해상 해파리 저류조에 저류되어 있는 해파리가 해면 부근에 부상하는 것에 의해 악취를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파리의 해상 처리 시스템.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해상 해파리 저류조는, 조내의 수질을 감시하는 수질 감시 수단을 갖추고,
    상기 해파리 이송 수단은, 상기 감시하고 있는 조내의 수질이 소정 기준을 유지할 수 없는 경우에, 해파리의 이송처를 별도 갖춘 육상 해파리 회수 용기로 전환하는 이송처 전환 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파리의 해상 처리 시스템.
  • 청구항1 내지 청구항 5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해상 해파리 저류조는, 조내의 해파리의 양을 감시하는 조내 해파리량 감시 수단을 갖추고, 상기 해파리 이송 수단은, 상기 감시하고 있는 조내의 해파리의 양이 기준치를 넘었을 경우에, 해파리의 이송처를 별도 갖춘 육상 해파리 회수 용기로 전환하는 이송처 전환 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파리의 해상 처리 시스템.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조내 해파리량 감시 수단은, 상기 해상 해파리 저류조 내에 해수보다 조금 비중이 무겁고, 해파리가 오를 수 없는 부유체를 갖추고, 상기 부유체의 부유 상황에 의해 조내의 해파리의 양을 감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파리의 해상 처리 시스템.
  • 해상에 있어서 해파리를 해수 중에 저류하는 복수의 해상 해파리 저류조와
    취수구 부근의 해파리를 유도하는 해파리 유도 수단과,
    상기 해파리 유도 수단에 의해 유도된 해파리를 해상에서 흡인해, 상기 복수의 해상 해파리 저류조의 어느 쪽인가에 산채로 이송하는 해파리 이송 수단을 갖추고,
    상기 해파리 유도 수단에 의해 유도된 해파리를, 양륙하는 일 없이 상기 해상 해파리 저류조에 저류해 사멸시켜, 해수에 녹아 소멸시키도록 한 것이고, 상기 각 해상 해파리 저류조는, 조내의 수질을 감시하는 수질 감시 수단을 각각 갖추고,
    상기 해파리 이송 수단은, 해파리를 이송하고 있는 해상 해파리 저류조에 있어서의 조내의 수질이 소정의 기준을 유지할 수 없는 경우에, 해파리의 이송처를 조내의 수질이 소정의 기준을 유지하고 있는 다른 해상 해파리 저류조로 전환하는 이송처 전환 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파리의 해상 처리 시스템.
  • 해상에 있어서 해파리를 해수 중에 저류하는 복수의 해상 해파리 저류조와,
    취수구 부근의 해파리를 유도하는 해파리 유도 수단과,
    상기 해파리 유도 수단에 의해 유도된 해파리를 해상에서 흡인해, 상기 복수의 해상 해파리 저류조의 어느 쪽인가에 산 채로 이송하는 해파리 이송 수단을 갖추고,
    상기 해파리 유도 수단에 의해 유도된 해파리를, 양륙하는 일 없이 상기 해상 해파리 저류조에 저장해 사멸시켜, 해수에 녹아 소멸시키도록 한 것이고, 상기 각 해상 해파리 저류조는 조내의 해파리의 양을 감시하는 조내 해파리량 감시 수단을 각각 갖추고,
    상기 해파리 이송 수단은, 해파리를 이송하고 있는 해상 해파리 저류조에 있어서의 조내의 해파리의 양이 기준치를 넘었을 경우에, 해파리의 이송처를 조내의 해파리의 양이 기준치를 넘지 않은 다른 해상 해파리 저류조로 전환하는 이송처 전환 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파리의 해상 처리 시스템.
  • 청구항1 내지 청구항 10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해파리 유도 수단은, 유도되고 있는 해파리의 양을 감시하는 유도 해파리량 감시 수단을 갖추고, 상기 감시하고 있는 해파리의 양이 소정치를 넘었을 경우에, 상기 해파리 이송 수단을 작동시키는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파리의 해상 처리 시스템.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해파리 유도 수단은, 취수구에 대하여 앞바다에 있어서 해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까지 해파리 진입을 방지하는 커튼 월과 상기 커튼 월의 아래쪽을 진입하는 해파리중 해면 부근에 부상해 진입하는 해파리를 주로 상기 해파리 이송 수단에 유도하는 세로망과, 상기 커튼 월의 아래쪽으로 진입하는 해파리 중 직진하는 해파리를 주로 상기 해파리 이송 수단에 유도하는 저망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파리의 해상 처리 시스템
  • 说明书全文

    해파리의 해상 처리 시스템{A (volume reduction) processing system of jellyfish on the sea}

    [도1] 이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해파리의 해상 처리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2] 도1의 AA 시시도(矢視圖)이다.

    [도3] 도1의 BB 시시도이다.

    [도4] 해상 해파리 저류조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5] 해파리량 감시 센서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원리도이다.

    [도6] 해파리량 감시 센서의 배치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7] 해상 해파리 저류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8] 이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해파리의 해상 처리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9] 이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해파리의 해상 처리 시스템의 제어 플로도이다.

    [부호의 설명]

    1 취수구

    10 강관말뚝

    12 커튼 월

    14,16 세로망

    18 저망

    20 해파리 회수대선

    22 석션 파이프

    24 피쉬 펌프

    26 육상 회수 전환 밸브

    27 해상 회수 전환 밸브

    28 탈수 격리판

    29 격리판

    30 해상 해파리 저류조

    32 플로트

    34 금속체인

    40 조내 수질 감시 센서

    50 조내 해파리 량 감시 센서

    52 원추 부표(buoy)

    54 밧줄

    60 육상 해파리 회수 용기

    70 유도 해파리량 감시 센서

    80 제어반

    [기술분야]

    이 발명은, 발전소 등의 해수의 취수구에 진입하는 해파리를 처리하는 시스템에 관하고, 특히, 처리 대상인 해파리를 양륙하는 일 없이 해상에서 처리하는 해파리의 해상 처리 시스템에 관한다.

    [배경기술]

    화력 발전소나 원자력 발전소 등에 있어서는, 냉각수로서 해수를 사용하지만, 해수를 도입하는 취수구에는 해수와 함께 해파리 등의 부유 생물이 둘러 싸여진다. 이 때문에, 해파리가 대량 발생하면, 취수된 해수로부터 진개(塵芥)를 없애는 제진기(除塵機)에 과부하가 걸려 고장의 요인이 되는 외에, 취수량이 저하해 부하가 억제되어, 전력의 안정공급이 저해되는 경우가 생긴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 때문에, 종래는, 제진기의 앞에서 해파리를 포집(浦集)하고, 포집 된 해파리를 양륙하여 육상의 저류조에서 물기를 제거해, 산업 폐기물로서 처리하고 있었다. 이것은, 해양 오염 및 해양 재해의 방지에 관한 법률에 의해, 한번 양륙 된 해파리는 해양에 투기하는 것이 금지되고 있어, 자치단체에 따라서는 양륙 된 해파리를 산업 폐기물로서 처리하는 것이 의무지워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해파리의 처리에는 매년 다대한 비용을 필요로 하고 있었다.

    또, 양륙 된 해파리를 시설 내에 폐기하는 것이 인정되고 있는 경우에 있어 서도, 종래는 안전시설 등을 베풀지 않고 땅을 마구 파내려 간 구멍을 설치해 폐기하고 있었지만, 양륙 된 해파리를 방치하면 부패해 악취를 풍기는데다가, 오수에 의한 환경오염의 문제가 있기 때문에, 폐기물 처리의 법령 강화에 따라, 콘크리트 층을 설치해 폐기하는 것이 의무지워지게 되었다. 그렇지만, 콘크리트 층을 설치해 폐기하면, 초기의 감용(減容)효과를 얻을 수 없기 때문에, 대규모의 폐기 설비를 필요로 하여, 해파리의 폐기 처리에 필요로 한 비용의 증대를 피할 수 없다.

    한편, 이러한 폐기물 처리를 행하지 않고, 취수구 부근의 해파리를 처리하는 시스템으로서, 취수구 부근에 해파리 포집 네트를 설치하고, 포집 된 해파리를 펌프로 흡인해서 원양에 이송하는 방법(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이나, 포획된 해파리를 파쇄해서 화학적으로 처리하는 방법(예를 들면, 특허 문헌 2)이 제안되고 있다.

    [특허 문헌 1] 특개평 05-118019호 공보

    [특허 문헌 2] 특개 2004-097928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그렇지만, 특허 문헌 1과 같이, 포집 된 해파리를 원양에 이송하는 방법으로는, 발생한 해파리의 절대량을 줄일 수 없고, 원양에 이송된 해파리가 다시 취수구에 진입해 오기 때문에, 발본적인 해결책은 되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특허 문헌 2와 같이, 포획된 해파리를 파쇄해서 화학적으로 처리하는 방법으로는, 특수한 처리 설비가 필요하게 되고, 또 처리된 배수를 배수 기준을 만족시키도 록 처리하기 위해서는 다대한 비용을 필요로 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본원 발명의 목적은, 발전소 등의 취수구에 진입하는 해파리를, 특별한 폐기물 처리 설비를 설치하는 일 없이, 저비용으로 발본적으로 처리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발명 해파리의 해상 처리 시스템은, 해상에 있어서 해파리를 해수 중에 저류하는 해상 해파리 저류조와 취수구 부근의 해파리를 유도하는 해파리 유도 수단과, 상기 해파리 유도 수단에 의해 유도된 해파리를 해상에서 흡인해, 상기 해상 해파리 저류조에 산 채로 이송하는 해파리 이송 수단을 갖추고, 상기 해파리 유도 수단에 의해 유도된 해파리를, 양륙하는 일 없이 상기 해상 해파리 저류조에 저류해 사멸시켜, 해수에 녹아 소멸시키도록 한 것이다.

    해파리는, 대체로 95% 이상을 수분이 차지하고 있어, 해수중에서 사멸하면 녹아서 소멸한다고 하는 성질을 가진다. 발명자는 이것에 착안해, 취수구 부근의 해파리를, 양륙하는 일 없이 산 채로 해상에서 해파리 저류조에 저류하는 것으로 자연 소멸시켜, 법령을 준수하면서 폐기물처리 비용을 저감하는 것을 발상한 것이다.

    이 발명에 의하면 취수구 부근에 진입한 해파리를 해파리 유도 수단에 의해 유도해, 해파리 이송 수단에 의해 양륙하는 일 없이 산채로 해상 해파리 저류조에 이송해, 해상 해파리 저류조에 있어서 해수중에 저류하는 것으로 사멸시켜, 해수에 녹아 소멸시키도록 했기 때문에, 해양 오염 및 해양 재해의 방지에 관한 법률 등의 법률에 위반되는 일 없이, 취수구 부근에 진입한 해파리를 해상에서 처리할 수 있 어, 폐기물 처리의 비용을 대폭으로 저감 할 수 있다.

    또, 해상 해파리 저류조는 해상에 있어서 해파리를 해수중에 저류하는 것이고, 조내의 해수는 조외(槽外)의 해수와 치환되므로, 소정의 배수 기준을 만족시킨 상태에서 조내의 해파리를 자연 소멸시킬 수가 있다.

    더구나, 해상 해파리 저류조에 저류된 해파리는 거의 5일 동안에 소멸해, 조내의 해파리를 일정 밀도 이하로 하는 것으로 소정의 배수 기준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 실험에 의해 확인되고 있다.

    또, 이 발명 해파리의 해상 처리 시스템은, 상기 해상 해파리 저류조는, 일부 또는 전부가, 해파리를 통과시키지 않고, 해수를 통과시키는 망상(網狀)의 부재로 형성된 것이고, 취수구 부근의 해수의 흐름을 가지는 위치에 배치되어, 저류된 해파리를 상기 망상의 부재에 달라붙게 해 손괴시켜, 조기에 소멸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 발명에 의하면, 해상 해파리 저류조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해파리를 통과시키지 않고, 해수를 통과시키는 망상의 부재로 형성해, 취수구 부근의 해수의 흐름을 가지는 위치에 배치했기 때문에, 저류된 해파리는 해수의 흐름에 거슬러서 운동하는 것을 어쩔 수 없이하게 되어 감량하고, 운동력이 저하한 해파리는 하류 측의 망지에 달라붙어 망지와의 접촉에 의해 손괴하여 사멸하므로, 조내의 해파리의 소멸에 필요한 기간이 단축된다. 또 해수의 흐름에 의해 조내의 해수는 상시 강제적으로 치환되므로, 해파리의 사멸에 수반하는 수질의 악화는 저감된다. 이것들에 의해, 회수된 해파리의 처리 효율이 향상해, 대량의 해파리의 내습시에도 대응할 수 있 다.

    또, 이 발명 해파리의 해상 처리 시스템은, 상기 해상 해파리 저류조는, 상기 망상의 부재의 일부 또는 전부의 표면에 미소(黴小)한 요철을 갖추어, 상기 망상의 부재에 달라붙은 해파리를 조기에 손괴 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 발명에 의하면, 해상 해파리 저류조의 망지의 표면에 미소한 요철을 설치했으므로, 망지에 달라붙은 해파리가 망지와 접촉하는 것에 의한 손괴가 촉진되어 조내의 해파리의 소멸에 필요로 한 기간이 보다 단축된다. 이것에 의해, 회수된 해파리의 처리 효율이 더욱 향상해, 보다 대량의 해파리의 내습시에도 대응할 수 있다.

    또, 이 발명 해파리의 해상 처리 시스템은, 상기 해상 해파리 저류조는, 윗면의 일부 또는 전부가 개방된 바구니 형으로 형성되어 측면의 망상의 부재중 해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의 범위의 내면의 일부 또는 전부를 틈새에 발라서 봉하는 틈새에 발라서 봉함 수단을 갖춘 것이다.

    이 발명에 의하면, 틈새에 발라서 봉함 수단에 의해 해상 해파리 저류조의 측면의 망상의 부재중 해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의 범위의 내면의 일부 또는 전부를 틈새에 발라서 봉했으므로, 저류되어 있는 해파리가 해면 부근의 망상의 부재에 달라붙어 사멸하는 것에 의한 악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 발명 해파리의 해상 처리 시스템은, 상기 해상 해파리 저류조는, 해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보다 위쪽에 해파리가 부상하지 않도록 하는 해파리 부상 억제 수단을 갖춘 것이다.

    이 발명에 의하면, 해파리 부상 억제 수단에 의해 해상 해파리 저류조에 저류되어 있는 해파리가 소정의 깊이보다 위쪽으로 부상할 수 없도록 했으므로, 저류되어 있는 해파리가 해면 부근으로 부상해 사멸하는 것에 의한 악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 발명 해파리의 해상 처리 시스템은, 상기 해상 해파리 저류조는, 조내의 수질을 감시하는 수질 감시 수단을 갖추고, 상기 해파리 이송수단은, 상기 감시하고 있는 조내의 수질이 소정의 기준을 유지할 수 없는 경우에, 해파리의 이송처를 별도 갖춘 육상 해파리 회수 용기로 전환하는 이송처 전환 수단을 갖춘 것이다.

    이 발명에 의하면, 수질 감시 수단에 의해 해상 해파리 저류조 내의 수질을 감시해, 조내의 수질이 소정의 기준을 유지할 수 없는 경우에, 이송처 전환 수단에 의해 해파리의 이송처를 육상 해파리 회수 용기로 전환하도록 했으므로, 해상 해파리 저류조에 있어서의 수질의 악화를 미연에 방지해, 항상 소정의 수질 기준에 만족시키도록 유지 관리할 수 있다.

    또, 이 발명 해파리의 해상처리 시스템은, 상기 해상 해파리 저류조는, 조내의 해파리의 양을 감시하는 조내 해파리량 감시 수단을 갖추고, 상기 해파리 이송 수단은, 상기 감시하고 있는 조내의 해파리의 양이 기준치를 넘었을 경우에, 해파리의 이송처를 별도 갖춘 육상 해파리 회수 용기로 전환하는 이송처 전환 수단을 갖춘 것이다. 이 발명에 의하면, 조내 해파리 감시 수단에 의해 해상 해파리 저류조내의 해파리의 양을 감시해, 조내의 해파리의 양이 기준치를 넘었을 경우에, 이송처 전환 수단에 의해 해파리의 이송처를 육상 해파리 회수 용기로 전환하도록 했 으므로, 해상 해파리 저류조에 있어서 처리 가능한 해파리의 양을 넘지 않도록 유지 관리할 수가 있다.

    또, 이 발명 해파리의 해상 처리 시스템은, 상기 조내 해파리량 감시 수단은, 상기 해파리 저류조 내에 해수보다 조금 비중이 무겁고, 해파리가 오를 수 없는 부유체를 갖추어, 상기 부유체의 부유 상황에 의해 조내의 해파리의 양을 감시하도록 한 것이다.

    이 발명에 의하면, 조내 해파리량 감시 수단은, 해수보다 조금 비중이 무거운 부유체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해파리가 적을 때는 바닷속에 가라앉지만, 해파리가 오를 수 없는 부유체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해파리의 양이 증가하면 해파리의 운동에 의해 해면에 밀어올려 진다. 따라서, 부유체가 해면에 부상해 온 것에 의해, 해상 해파리 저류조 내의 해파리의 양을 간편하고 직감적으로 감시할 수가 있다.

    또, 이 발명 해파리의 해상 처리 시스템은, 해상에 있어서 해파리를 해수중에 저류하는 복수의 해상 해파리 저류조와 취수구 부근의 해파리를 유도하는 해파리 유도 수단과 상기 해파리 유도 수단에 의해 유도된 해파리를 해상에서 흡인해, 상기 복수의 해상 해파리 저류조의 어느쪽인가에 산채로 이송하는 해파리 이송 수단을 갖추고, 상기 해파리 유도 수단에 의해 유도된 해파리를 상기 해상 해파리 저류조에 저류해 사멸시켜, 해수에 녹아 소멸시키도록 한 것이며, 상기 각 해상 해파리 저류조는, 조내의 수질을 감시하는 수질 감시 수단을 각각 갖추고, 상기 해파리 이송수단은, 해파리를 이송하고 있는 해상 해파리 저류조에 있어서의 조내의 수질이 소정의 기준을 유지할 수 없는 경우에, 해파리의 이송처를 조내의 수질이 소정 의 기준을 유지하고 � ��는 다른 해상 해파리 저류조로 전환하는 이송처 전환 수단을 갖춘 것이다.

    이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해상 해파리 저류조를 갖추고, 수질 감시 수단에 의해 각 해상 해파리 저류조 내의 수질을 감시해, 해파리를 이송하고 있는 이송처의 해상 해파리 저류조 내의 수질이 소정의 기준을 유지할 수 없는 경우에, 이송처 전환 수단에 의해 해파리의 이송처를 조내의 수질이 소정의 기준을 유지하고 있는 다른 저류조로 전환하도록 했으므로, 해파리가 대량으로 내습했을 경우라도 대응할 수 있어 각 해상 해파리 저류조의 수질 악화를 미연에 방지해, 항상 소정의 수질 기준에 만족시키도록 유지 관리하는 것이 가능한 해파리 처리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또, 이 발명 해파리의 해상 처리 시스템은, 해상에 있어서 해파리를 해수중에 저류하는 복수의 해상 해파리 저류조와, 취수구 부근의 해파리를 유도하는 해파리 유도 수단과, 상기 해파리 유도 수단에 의해 유도된 해파리를 해상에서 흡인해, 상기 복수의 해상 해파리 저류조의 어느 쪽인가에 산채로 이송하는 해파리 이송 수단을 갖추고, 상기 해파리 유도 수단에 의해 유도된 해파리를 상기 해상 해파리 저류조에 저류해 사멸시켜, 해수에 녹아 소멸시키도록 한 것이고, 상기 각 해상 해파리 저류조는, 각각 조내의 해파리의 양을 감시하는 조내 해파리량 감시 수단을 갖추고, 상기 해파리 이송 수단은, 해파리를 이송하고 있는 해상 해파리 저류조에 있어서의 조내의 해파리의 양이 기준치를 넘었을 경우에, 해파리의 이송처를 조내의 해파리의 양이 기준 치를 넘지 않은 다른 해상 해파리 저류조로 전환하는 이송처 전 환 수단을 갖춘 것이다.

    이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해상 해파리 저류조를 갖추고, 조내 해파리량 감시 수단에 의해 각 해상 해파리 저류조 내의 해파리의 양을 감시해, 해파리 이송 수단에 의한 이송처의 저류조 내의 해파리의 양이 기준치를 넘었을 경우에, 이송처 전환 수단에 의해 해파리의 이송처를 조내의 해파리의 양이 기준치를 넘지 않은 다른 해상 해파리 저류조로 전환하도록 했으므로, 해파리가 대량으로 내습했을 경우에도 대응할 수 있어, 각 해상 해파리 저류조에 있어서 처리 가능한 해파리의 양을 넘지 않게 유지 관리하는 것이 가능한 해파리 처리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또, 이 발명 해파리의 해상 처리 시스템은, 상기 해파리 유도 수단은, 유도되고 있는 해파리의 양을 감시하는 유도 해파리량 감시 수단을 갖추고, 상기 감시하고 있는 해파리의 양이 소정치를 넘었을 경우에, 상기 해파리 이송 수단을 작동시키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이 발명에 의하면, 유도 해파리량 감시 수단에 의해 유도되고 있는 해파리의 양을 감시해, 유도되고 있는 해파리의 양이 소정치를 넘었을 때에 해파리 이송 수단을 작동시키도록 했으므로, 해파리의 내습에 따라서 적절히 작동하는 해파리 처리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또, 이 발명의 해파리의 해상 처리 시스템은, 상기 해파리 유도 수단은, 취수구에 대하여 앞바다에 있어서 해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까지 해파리의 진입을 방지하는 커튼 월과, 상기 커튼 월의 아래쪽을 진입하는 해파리중 해면 부근에 부상해 진입하는 해파리를 주로 상기 해파리 이송 수단에 유도하는 세로망과, 상기 커 튼 월의 아래쪽을 진입하는 해파리 중 직진하는 해파리를 주로 상기 해파리 이송 수단에 유도하는 저망을 갖춘 것이다.

    이 발명에 의하면, 커튼 월에 의해 해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까지 해파리의 직접적인 진입을 저지해, 세로망에 의해 주로 커튼 월보다 깊은 곳으로부터 진입한 해파리중 해면 부근에 부상해 진입하는 해파리를 해파리 이송수단에 유도해, 저망에 의해 주로 커튼 월보다 깊은 곳으로부터 진입한 해파리 중 해면으로 부상하지 않고 직진하는 해파리를 해파리 이송 수단에 유도하므로, 해파리의 진입이 적당히 분산되어 해파리 유도 수단의 그물이나 천 등의 눈의 막힘이 억제되고, 메인터넌스 부담이 경감되어 취수구에 진입하는 해파리를 효율적으로 해파리 이송 수단에 유도할 수 있다.

    이 발명에 의하면, 발전소 등의 취수구에 진입하는 해파리를, 특별한 폐기 처리 설비를 설치하는 일 없이, 저비용으로 발본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이 발명의 상술의 목적, 그 외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도면을 참조해 행하는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의 설명으로부터 한층 분명해 질 것이다.

    (실시예)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도1에 이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해파리의 해상 처리 시스템의 개략 구 성도를 나타낸다.

    도에 있어서, 1은 취수구이고, 냉각용의 해수가 화살표의 방향으로 흡인된다.

    10은 앞바다에 설치된 강관말뚝이고, 강관말뚝(10)에는 커튼 월(12)이 설치되어 있다. 14, 16은 세로망이며, 강관말뚝(10)의 2개소로부터 해파리 회수대선(20)에 향해 2개 설치되어 있다. 18은 저망이고, 세로망(14,16)에 의해 형성되는 삼각형 내에 있어, 해저로부터 해파리 회수대선(20)을 향해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도 1에 있어서의 AA 시시도를, 도 3에 도 1에 있어서의 BB 시시도를 나타낸다. 도와 같이, 커튼 월(12)은 강관말뚝(10)의 앞바다 측에 두고 해면으로부터 약 10m의 깊이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또, 세로망(14,16)은 해면으로부터 약 2m의 깊이까지를 커버하고 있고, 저망(18)은 해저로부터 해파리 회수대선(20)을 향해 삼각형상의 슬로프가 형성되어 있다.

    해파리 유도 수단을 이러한 구성으로 한 것은, 조사 결과, 커튼 월(12)의 아래를 진입하는 해파리 중 약 80%는 해면 부근으로 부상해 취수구로 향하고, 나머지 약 20%는 해저 부근을 직진해 취수구로 향하는 것이 확인되었기 때문에, 해면 부근으로 부상해 진입하는 해파리를 유도하기 위해서 세로망(14,16)을 이용하고, 해저 부근을 직진해 진입하는 해파리를 유도하기 위해서 저망(18)을 이용했다.

    20은 세로망(14,16)과 저망(18)에 의해 유도된 해파리를 해상으로 회수하기 위한 해파리 회수대선, 22는 해파리 회수대선(20)에 의해 회수된 해파리를 흡인하는 석션 파이프, 24는 해파리 회수대선(20)에 의해 회수된 해파리를 석션 파이프(22)로 흡인해 산 채로 해상 해파리 저류조에 이송하기 위한 피쉬 펌프, 26은 흡 인된 해파리를 해상 해파리 저류조에 이송할지 육상 해파리 회수용기에 이송할지를 전환하는 육상 회수 전환 밸브, 28은 피쉬 펌프(24)로 흡인된 해파리를 해상 해파리 저류조에 투입할 때의 탈수를 행하는 탈수 격리판, 29는 피쉬 펌프(24)로 흡인된 해파리를 육상 해파리 회수 용기에 투입할 때 분리를 행하는 격리판이다.

    30은 회수된 해파리를 해상에서 해수중에 저류하는 해상 해파리 저류조이고, 취수구 부근의 해수의 흐름이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취수구 1이 도의 오른쪽 위에 있으므로, 해수는 대체로 오른쪽 위 방향으로 상시 흐르고 있어, 이것에 의해 조내의 해수는 상시 강제적으로 치환된다.

    해상 해파리 저류조(30)에는, 조내의 수질을 감시하는 수질 감시 센서(40)가 갖춰져 있어, 조내의 수질이 소정의 배수 기준을 만족시키도록 상시 감시하고 있다.

    또, 해상 해파리 저류조(30)에는, 조내에 저류되어 있는 해파리의 양을 감시하는 조내 해파리량 감시 센서(50)가 갖춰져 있어, 조내에 저류되어 있는 해파리가 처리 가능한 양을 넘지 않게 감시하고 있다.

    60은 회수된 해파리를 해상 해파리 저류조(30)에 이송할 수 없는 경우에 육상에서 회수하기 위한 육상 해파리 회수 용기이다. 이것에 의해, 해상 해파리 저류조(30)에서 처리할 수 있는 한계를 넘어 해파리가 내습했을 경우에, 회수된 해파리를 긴급 피난적으로 육상 해파리 회수 용기(60)에 회수해, 소정의 산업 폐기물 처리에 의해 처리할 수가 있다.

    80은 현장에 설치되는 제어반이며, FA(Fastory Automation)용 PC(Personal Computer)가 실제로 장치되고(도시 생략), 피쉬 펌프(24)를 기동 정지하는 등의 제 어 기능, 수질 감시 센서(40)나 조내 해파리량 감시 센서(50)로부터의 정보를 현장에서 확인하는 기능, 관리 사무소의 PC(도시 생략)와의 사이에서 통신하는 기능 등을 가진다.

    도 4에 해상 해파리 저류조(30)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에 있어서, (a) 는 평면도, (b) 는 측면도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해상 해파리 저류조는, 대상이 되는 해파리를 통과시키지 않고, 해수가 충분히 환류하는 망지에서 형성된 폭 10m, 안길이 10m, 높이 2.5m의 직방체의 조(槽)이고, 윗면의 주위에 플로트(32)를 설치해 해면에 띄운 것이다. 또, 조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서 저면의 주위에 추체(錘體)로서 금속 체인(34)을 설치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해상 해파리 저류조의 용적은 약 250㎥이다. 이것은, 1㎥의 시험용 저류조에 산 해파리나 사멸한 해파리를 저류해 용해할 때까지의 수질 변화를 확인한 결과에 근거해, 상정되는 최대의 해파리 내습시에 있어서의 조내의 수질이, 최악의 경우에도 소정의 배수 기준을 만족시키도록 설정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조를 형성하는 망지에는 눈의 격차가 약 30㎜의 나일론 제 어망을 사용했다. 또한, 눈의 격차가 각각 소(약 12㎜), 중(약 30㎜), 대(약 50㎜)의 나일론 제 어망과, 최대 44㎜, 최소 18㎜, 한 변 약 22㎜의 금속제 익스팬드 메탈의 4종류에 대해 1 변 1m의 생책을 제작해 해파리의 감량 효과의 차이를 조사한바, 눈의 격차가 대(大)인 것은 해파리가 통과해 버리는 경우가 있어 부적당하다고 생각되었지만, 그 외의 것에는 유의(有意)의 차이가 없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

    조에 수용된 해파리는, 건강한 동안은(수용 직후는) 환류에 따라 유영하고 있지만, 쇠약해 지면(시간이 지나면 서서히) 하류 측의 망지에 밀어닥칠 수 있다. 이때, 해파리는 떠내려가지 않으려고 해, 상류로 향해 몸(갓 傘)을 박동(拍動) 시킨다. 해파리는 수류에 의해 망지에 꽉 눌리면서 박동하기 때문에, 갓의 연변(緣邊)부가 마모한다. 두께가 있는 갓의 중앙부는, 망지에 달라붙은 채로 남아, 그것을 전갱이나 쥐치 등의 작은 물고기가 포식한다. 이윽고 해파리는 박동이 없어지고, 사망하면, 신속하게 용해한다.

    이 실시 예의 해상 해파리 저류조(30)에서는, 도 4(b)에 나타내듯이, 망지의 측면의 안쪽에 해면으로부터 일정한 깊이에 미쳐서 시트에 의한 틈새에 발라서 봉함(36)을 설치하고 있다. 이것은, 조내에 저류되어 있는 해파리가 해면 부근의 망지에 달라붙어 사멸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고, 이것에 의해 이웃에 대하여 악취를 발하는 일 없이 해파리를 처리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또한, 시트는, 바닷속에 설치했을 때에 굴등이나 해초류가 부착해, 제트 수() 등에 의한 세정이 필요하므로, 내구성을 고려해, 두께 1㎜로 늘어남이 적은 튼튼한 텐트 직물을 채용했다.

    또, 시트의 색은, 육상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해수에 매치해, 더러움이 눈에 띄지 않도록 파란 색으로 했다.

    시트의 해상 해파리 저류조에의 고정 방법은, 상부 및 측부에 끈을 꿰기 위한 구멍을 설치해, 저류조를 부유시키고 있는 플로트(32)의 바로 아래에 로프 고정하는 것으로 하고, 하부에는 주머니 모양의 되접어 반대로 꺾은 것을 설치해, 그 속에 봉 모양의 낚싯봉을 설치해, 저류조에 고정하는 일 없이 사용 가능하게 했다.

    이것에 의해, 해상 해파리 저류조에 대하여 시트를 해상으로부터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다.

    이러한 시트를 4장 이용해, 측면이 각각 약 30㎝겹치도록 조의 내면에 설치해, 이은 자리로부터의 흐름을 방지하고 있다.

    또, 시트의 폭에 관해서는, 저류조의 높이의 약 1/3에 시트를 설치했을 경우와, 저류조의 높이 약 2/3에 시트를 설치했을 경우와 전면에 시트를 설치했을 경우와, 시트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의 4 경우에 관해서, 해파리의 감량 효과의 차이를 확인했는데, 저류조의 높이의 약 1/3에 시트를 설치했을 경우가 가장 높은 감량 효과를 얻을 수 있던 것, 및 육상으로부터 망지에 해파리가 달라붙은 상태가 보이지 않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부터, 저류조의 높이 2.5m의 약 1/3에 해당되는 90㎝로 했다.

    수면 근처에 시트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이송 펌프로부터 해파리와 함께 유입하는 해수에 의해, 표층에 환류를 할 수 있어, 이것들이 해파리를 살려 두기 때문에 최적인 흐름의 환경이 된다. 또, 표층의 수류가 시트에 차단되어, 하층에 흘러들기 때문에, 조내의 표층에는 연직 방향의 완만한 대류를 할 수 있다. 게다가, 하류 측에서는, 시트에 의해 차단된 물이 하층에 흘러들기 때문에, 하류 측의 망지 부근에서 해파리 밀도가 높아진다. 해파리의 감량 속도는, 수용 밀도가 높은 만큼 빠른 것이 실험에 의해 확인되고 있어, 시트가 없는 경우에 비해, 감량 속도를 빠르게 하는 효과가 있다.

    조내에는, 수질 조건이 가장 심하다고 생각되는 하류 측에 수질 감시 센서(40)를 갖춘다. 여기서 사용한 조내 수질 감시 센서(40)는, 자동 데이터 로그 기 능을 가지는 배터리 식의 수질 모니터링 프로브이고, 수온, 염분(도전률), pH(ph), DO(용존산소), ORP(산화 환원 전위), 암모니아, 탁도(濁度) 등을 감시한다. 측정 빈도는 1시간에 1회이며, 한 달에 2회 교정을 행하고 있다. 수질 모니터링 프로브는, Windows(등록상표) 제어 기능을 가지고 있고, 제어반(80) 내의 FA용 PC와 접속되어, 제어반(80)으로부터의 원격 조작에 의해 현장에서 조내의 수질을 리얼 타임으로 감시하거나 특정조건의 설정이나 기록된 데이터의 회수 등을 행할 수가 있다. 또, FA용 PC에는 휴대전화가 접속되어 있어, 관리 사무소의 PC로부터 호출 하여 접속하는 것으로, 관리 사무소로부터의 원격 조작에 의해 구내의 수질을 리얼타임으로 감시하거나, 측정 조건의 설정이나 데이터의 회수 등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수질 감시 센서(40)는, 수질 조건이 가장 심하다고 생각되는 하류 측 중앙에만 설치했지만, 그 외의 개소에도 수질 센서를 설치해 복합적으로 감시하도록 해도 괜찮다.

    또, 조내에는 조내의 해파리의 양을 감시하는 조내 해파리량 감시 센서(50)를 갖춘다. 여기에서 이용한 조내 해파리량 감시 센서(50)는, 조내의 해면으로부터 초음파를 광각(廣)에 발사하여, 해파리로부터의 반사 신호를 검출하는 것이고, 노이즈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50㎑와 200㎑의 2 파장 식의 것을 이용하고 있다. 또, 조내 해파리량 감시 센서(50)는, 조내의 전역을 커버하기 위해서, 해면 부근의 4개소에 배치하고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조내 해파리량 감시 센서(50)는 4개소에 배치한다고 했지만, 필요에 따라서 더욱더 다수의 센서를 갖추어도 괜찮고, 1개의 센서로 조내의 해파리 의 양이 판단 가능하면 1개라도 괜찮다.

    또, 제어반에는, 해상 해파리 저류조에 있어서의 해파리의 저류 상태 등을 관리 사무소 등으로부터 원격으로 감시할 수 있도록, 방수 가공을 베푼 Web 카메라를 설치했다.

    이상과 같은 시스템에 의해, 해파리 유도망(14,16,18)에 해파리가 유도되고 있는 것이 확인되면 피쉬 펌프(24)를 기동해, 유도된 해파리를 회수하여 해상 해파리 저류조에 이송해 저류하는 것으로 자연 소멸시킨다.

    도와 같이, 해파리 유도 수단으로부터 해상 해파리 저류조까지는 모두 해상에 설치되어, 해파리는 양륙하는 일없이 해상에서 처리되므로, 해양 오염 및 해양 재해의 방지에 관한 법률 등의 법률에 위반되는 일 없이, 취수구 부근에 진입한 해파리를 처리할 수 있어 폐기물 처리의 비용을 대폭으로 저감 할 수 있다.

    또한, 육상 회수 전환 밸브(26)는, 통상은 해상 해파리 저류조 측에 설정되어 있지만, 수질 감시 센서(40)에 의해 감시하고 있는 수질이 소정의 기준을 유지할 수 없다고 판단되었을 경우나 조내 해파리량 감시 센서(50)에 의해 감시되고 있는 조내의 해파리의 양이 처리 가능한 한계를 넘는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는, 해파리의 이송처를 육상 해파리 회수 용기 측으로 전환한다.

    이것에 의해, 회수된 해파리는, 통상은 소정의 배수 기준을 만족시키는 범위에서 해상에서 처리되고, 처리 능력을 넘어 해파리가 내습했을 경우에만 육상 회수 용기에 해파리를 회수해 소정의 산업 폐기물 처리를 행할 수가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조내 해파리량 감시 센서(40)로서 초음파 센서를 이 용한다고 했지만, 예를 들면 투과형의 광센서를 이용해, 조내에 있어서의 빛의 투과량이 해파리의 양에 의해 변화하는 것을 이용해 검출하도록 해도 괜찮다.

    또, 조내의 해파리의 양을 감시하기 위한 센서로서, 해상 해파리 저류조를 주위로부터 견인 고정하고 있는 로프의 토대에 하중 센서를 설치해, 계측된 하중으로부터 조내의 해파리의 양을 추정하도록 해도 괜찮다. 이것은, 조내에 저류되어 있는 해파리가 증가하는 것에 의해 조에 걸리는 하중이 증가하는 것을 이용한 것이고, 미리 조내의 해파리의 양과 로프에 걸리는 하중과의 상관 데이터를 취득해 등록해 두고, 계측된 하중으로부터 해당 등록된 상관데이터를 이용해 조내의 해파리의 양을 추정한다. 이러한 하중 센서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직접 조내에 센서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져, 센서의 오손 등에 의한 오검출이나 메인트넌스 부담이 경감되어 안정하게 조내의 해파리의 양을 감시할 수가 있다.

    또, 조내의 해파리의 양을 감시하기 위해서, 이하와 같은 좀 더 간편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도 5에 조내 해파리량 감시 센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것은, 해파리가 오를 수 없는 부유체이고, 해수보다 조금 비중이 무거운 부표(52)를 이용해, 이것을 밧줄(54)을 이용하여 조의 저면에 고정한 것이다. 해파리가 적을 때는, 1과 같이 부표(52)는 조내에 가라앉아 있기 때문에 육상으로부터는 시인(視認)되지 않는다. 그러나, 해파리의 양이 증가하면, 2와 같이 해파리는 부표(52) 아래에 들어가 퇴적해 나간다. 그리고, 일정량 이상의 해파리가 퇴적하면, 3과 같이 부표(52)가 밀어 올져려, 밧줄(54)이 신장해 부표가 육상으로부터 시인되게 된다. 이와 같 이, 이 실시 예의 해파리량 감시 센서로는, 표시가 되는 부표가 육상으로부터 시인되는지 아닌지로 해파리의 양을 직감적으로 판단할 수가 있다.

    도 6에 나타내듯이, 상기 부표(52)를 조내에 적당 배치하는 것으로, 조내의 해파리의 양을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가 있다. 여기서, 해상 해파리 저류조를 해수의 흐름을 가지는 장소에 배치하는 경우는, 해파리는 하류 측에보다 많이 집합한다고 생각되므로, 부표(52)는 하류 측에보다 대부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표(52)는, 비중이 해수보다 조금 무겁고, 해파리가 위에 오를 수 없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어도 괜찮고, 예를 들면, 수지(樹脂) 등을 원추형·각추형(角錐形)·완형(梡形)·조종형(釣鐘形) 등으로 형성한 것이라도 괜찮고, 같은 형상을 망지 등에 의해 바구니 모양으로 형성한 것이라도 괜찮다.

    또한, 이 실시 예의 해파리량 감시 센서는 사람이 육상에서 보고 직감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지만, 부표(52) 또는 밧줄(54)에 수심 검출기를 설치해 제어반(80)을 개입시켜 원격 감시할 수 있도록 해도 괜찮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해상 해파리 저류조에 저류되어 있는 해파리가 해면 부근의 망지에 달라붙어 사멸하는 것에 의한 악취를 방지하기 위해서, 측면의 망지의 해면으로부터 일정한 깊이의 범위에 틈새에 발라서 봉함을 설치하도록 했지만, 도 7에 나타내듯이, 저류조의 윗면에 천망(天網)(30T)를 설치해, 이것을 해면으로부터 일정한 깊이까지 가라앉혀, 조내에 저류된 해파리가 일정한 깊이보다 위로 부상할 수 없도록 해도 괜찮다. 또한, 이 경우에는, 천망(30T)에 해파리가 이송되는 파이프(28a)를 통과시키는 구멍을 설치해, 회수된 해파리를 조내에 직접 주입한다. 또한, 그 외에, 해상 해파리 저류조의 측면의 해면으로부터 일정한 깊이의 범위를, 해파리가 달라붙기 어려운 부재를 이용해 형성하도록 해도 괜찮고, 해수의 흐름을 차단하는 부재를 이용해 형성하도록 해도 괜찮고, 같은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틈새에 발라서 봉함은 반드시 해상 해파리 저류조의 측면의 전 주위에 설치하지 않아도 괜찮고, 해파리가 달라붙어 사멸하기 쉬운 하류 측의 측면에만 설치하도록 해도 괜찮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피쉬 펌프(24)는, 해파리 유도망(14,16,18)에 의해 유도된 해파리의 양을 사람이 판단해 기동한다고 했지만, 유도되고 있는 해파리의 양을 감시하는 센서를 설치해, 피쉬 펌프를 자동 기동하도록 해도 괜찮다.

    또, 육상 회수 전환 밸브(26)는, 조내 수질 감시 센서(40)나 조내 해파리량 감시 센서(50) 상태를 사람이 판단해 전환한다고 했지만, 육상 회수 전환 밸브를 전동 밸브로 하고, 각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기초로 자동 전환하도록 해도 괜찮다.

    도 8에 이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계된 해파리의 해상 처리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에 있어서, 커튼 월(12), 세로망(14,11), 저망(18), 해파리 회수대선(20), 석션 파이프(22), 피쉬 펌프(24), 육상 회수 전환 밸브(26), 탈수 격리판(28A,28B), 격리판(29), 육상 해파리 회수 용기(60), 제어반(80)은 전술의 실시 형태와 동등의 것이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취수구 부근의 해수의 흐름을 가지는 위치에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은 해상 해파리 저류조를 2개 갖춤과(30A 및 30B)함께, 해상 회수 전환 밸브(27)를 갖추고, 피쉬 펌프(24)에 의해 회수된 해파리를 해상 해파리 저류 조(30A ·30B)의 어느 쪽에 투입할지를 전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각 해상 해파리 저류조(30A·30B)에는 각각 독립으로 수질 감시 센서(40A, 40B)와 조내 해파리량 감시 센서 (50A,50B)가 갖춰져 있어, 계측 신호가 제어반(80)의 FA용 PC에 전달되고 있다.

    또, 해파리 유도망 (14,16,18)의 부근에는, 유도되고 있는 해파리의 양을 감시하는 유도 해파리량 감시 센서(70)가 갖춰져 있어, 계측 신호가 제어반(80)의 FA용 PC에 전달되고 있다. 또한, 유도 해파리량 감시 센서(70)는 조내 해파리량 감시 센서와 동종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여기에서는 5개소에 센서를 설치했을 경우를 도시하고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 더욱 다수의 센서를 설치해도 좋고, 광범위를 커버하는 센서를 1개 갖추도록 해도 괜찮다.

    또, 이 실시 형태에서는, 육상 회수 전환 밸브(26), 해상 회수 전환 밸브(27)는 모두 전동 밸브를 사용해, 제어반(80)으로부터 원격 조작할 수 있는 것으로 하고 있다.

    도 9에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해파리의 해상 처리 시스템의 제어반(80)에 실장되고 있는 FA용 PC에 의한 제어 플로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최초로, 유도 해파리량 감시 센서(70)로부터 유도 해파리량의 계측치를 취득해(s 100), 유도 해파리 량이 소정치보다 커지면 (s 102), 피쉬 펌프를 기동한다.(s 104).

    다음에, 현재 이송처에 설정되어 있는 해상 해파리 저류조의 수질 감시 센서(40)와 조내 해파리량 감시 센서(50)로부터 수질 계측치와 해파리량 계측치를 각각 취득 해(s 106), 수질이 기준 내에 있고(s 108), 해파리량도 기준 내에 있는(s 110) 경우에는, 회수된 해파리를 해당 해상 해파리 저류조에서 처리하는 것으로 하고, 육상 회수 전환 밸브(26)가 육상 회수 측에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s 112), 해상 회수 측으로 전환한다(s 114).

    그리고, 다시 유도 해파리량 감시 센서(70)로부터 유도 해파리량 계측치를 취득해(s 116), 유도 해파리량이 여전히 소정치보다 큰 경우에는(s 118), s 106에서 되풀이한다. 또, s 118에 있어서 유도 해파리량이 소정치보다 작아졌을 경우에는, 피쉬 펌프(24)를 정지하고(s 120), 최초로 되돌아간다.

    S 108에 있어서 수질이 기준내에 없는지, s 110에 있어서 해파리량이 기준내에 없는 경우에는, 다른 해상 해파리 저류조의 수질 감시 센서(40)와 조내 해파리량 감시 센서(50)로부터 수질 계측치와 해파리량 계측치를 각각 취득해(s 122), 수질이 기준내에 있고(s 124), 해파리량도 기준내에 있는(s 126) 경우에는, 해상 회수 전환 밸브(27)를 해당 다른 해상 해파리 저류조로 전환하고(s 128), s 112에 되돌아간다.

    또, s 124에 있어서 수질이 기준내에 없는지, s126에 있어서 해파리량이 기준내에 없는 경우에는, 회수된 해파리를 육상 회수하는 것으로 하고, 육상 회수 전환 밸브(26)가 해상 회수 측에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s 130), 육상 회수 측으로 전환한다(s 132). 그리고, s 116에 되돌아가 처리를 되풀이한다.

    또한, 조내의 해파리량의 판단은, 각 센서의 계측치로부터 조내의 해파리의 총량을 추정하고 판단하도록 해도 괜찮고, 몇 개의 센서가 기준치가 되면 저류 한계라고 판단하도록 해도 괜찮다. 또, 유도 해파리량 감시 센서(70)의 경우도 이와 같이, 각 센서의 계측치로부터 유도되고 있는 해파리의 총량을 추정하고 판단하도록 해도 괜찮고, 몇 개의 센서가 소정치가 되면 회수 처리를 개시하도록 해도 괜찮다.

    또, 각 센서의 계측치는, 계측된 시점의 수치를 기초로 판단해도 괜찮지만, 계측치의 격차를 고려해 일정 기간 내의 평균 등을 이용하도록 해도 괜찮다. 또, 과거의 계측치의 추이로부터 장래의 계측치를 추정하고 판단하는 것으로, 사전에 대응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도록 해도 괜찮다.

    이상과 같은 제어 시스템에 의해, 해파리가 계속하여 내습했을 경우에도 수질을 악화시키는 일없이 대량의 해파리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해파리 회수망(14,16,18)은 취수구 1에 대하여 우측 부분에만 설치되어 있지만, 이것은 이번 설치하는 발전소에 있어서 대부분의 해파리가 우측 방향으로부터 진입해 오기 때문이고, 해파리 유도망을 설치하는 위치나 범위, 해파리 유도망의 형태는 설치 장소의 환경 조건에 따라 적당히 설정하면 좋다.

    또, 해상 해파리 저류조에는, 수질 감시 센서와 해파리량 감시 센서의 양쪽을 갖춘다고 했지만, 소정의 배수 기준이 확보되고 있는 것을 확인하는 것만이 목적이면, 조내 해파리량 감시 센서는 생략해도 괜찮다. 또, 조내의 해파리의 양을 규제하는 것으로 소정의 배수 기준이 확보되는 경우에는, 수질 감시 센서는 생략해도 괜찮다.

    또, 해상 해파리 저류조가 대량으로 내습하는 해파리에 대하여 충분한 처리 능력을 가지고있는 경우에는, 육상 회수 전환 밸브(26), 격리판(21), 육상 해파리 회수 용기(60)는 생략해도 괜찮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해상 해파리 저류조는, 망지를 이용해 형성하고, 이것을 취수구 부근의 해수의 흐름이 있는 위치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저류된 해파리를 망지에 달라붙게 해 손괴시켜, 해파리의 감량 효과를 높이도록 구성했지만, 이러한 망지에 의한 감량 효과를 한층 더 높이기 위해서, 망지에 요철 가공을 시행하도록 해도 괜찮다. 이러한, 요철 가공으로서는, 예를 들면 미소한 입상물을 망지의 표면에 접착 등에 의해 고정하도록 해도 괜찮다.

    더욱, 해상 해파리 저류조는, 반드시 망지에서 형성할 필요는 없고, 처리 대상이 되는 해파리를 통과시키지 않고, 해수가 충분히 환류하는 한, 다른 부재를 이용해도 괜찮다. 예를 들면, 펀칭 메탈이나 익스팬드 메탈과 같이 구멍이 뚫린 판상체를 이용해 형성해도 괜찮고, 메시(mesh)상의 부재를 이용해 형성해도 괜찮다. 또, 부분적으로 망지를 이용하도록 해도 괜찮고, 예를 들면 해파리가 달라붙어 사멸하기 쉬운 하류부의 측면만을 망지로 형성해도 괜찮다.

    해상 해파리 저류조를 구멍이 뚫린 판상체에 의해 형성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엠보싱 가공 등에 의해 내측의 표면에 미소한 요철을 설치하는 것으로, 해파리가 달라붙어 손괴하는 것에 의한 감량 효과를 높이도록 해도 괜찮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상과 같이, 이 발명에 의하면, 발전소 등의 취수구에 진입하는 해파리를 특별한 폐기처리 설비를 설치하는 일 없이 저비용으로 발본적으로 처리하는 시스템 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원 발명 효과를 이루는 한, 각 실시 형태에서 서술한 구성 요소를 적당 바꿔넣거나 새로운 구성 요소를 추가하거나 일부의 구성 요소를 삭제하거나 해도 괜찮은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