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talling equipment for multi-beam echo sounder

申请号 KR20100039477 申请日 2010-04-28 公开(公告)号 KR101002037B1 公开(公告)日 2010-12-17
申请人 OCEAN SPACE; 发明人 LEE SUG BOK;
摘要 PURPOSE: A holder for a multi-beam echo sounder is provided to support a multi-beam echo sounder stably by employing a height adjusting unit vertically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holder body. CONSTITUTION: A holder for a multi-beam echo sounder comprises a holder body(200), a fixing bracket(300), and a height adjusting unit(400). The holder body fixes one side of a ship where a multi-beam echo sounder is attached. The fixing bracket is coupled with the holder body on one side and fixed to the ship on the other. The height adjusting unit is arranged under the holder body perpendicularly and includes a lower support plate(410), an upper support plate(430), and a lifting unit(450). The lower support plate is fixed to a side of the ship. The upper support plate is coupled to the holder body. The lifting unit is installed between the lower and upper support plates and lifts the upper support plate.
权利要求
  • 다중빔 음향측심기가 결합되게 선박의 일측에 고정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일측이 결합하고, 타측이 선박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트; 및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배치하고, 상기 본체부에 수직하게 결합하는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빔 음향측심기용 거치대.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선박의 측부에 고정하는 하부 지지판;
    상기 본체부에 결합하는 상부 지지판; 및
    상기 하부 지지판과 상기 상부 지지판 사이에 설치하여 상기 상부 지지판을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빔 음향측심기용 거치대.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판은,
    저면이 선박 측부의 곡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빔 음향측심기용 거치대.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판의 하부에는 마찰부재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빔 음향측심기용 거치대.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다중빔 음향측심기에 결합하는 복수의 결합구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돌기가 삽입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복수의 삽입홈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상부 지지판은 상기 복수의 삽입홈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빔 음향측심기용 거치대.
  • 说明书全文

    다중빔 음향측심기용 거치대{INSTALLING EQUIPMENT FOR MULTI-BEAM ECHO SOUNDER}

    본 발명은 다중빔 음향측심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해수면에 수직하게 배치하는 다중빔 음향측심기에 결합하는 거치대가 상기 다중빔 음향측심기의 하중에 의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다중빔 음향측심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양의 수심을 측정하기 위하여 음파 수심탐지기를 사용하고 있다.

    음파 수심탐지기는 선박에 장착하여 수중에서 음파(초음파, 저주파 등)의 속도를 이용하여 수심을 측정하는 기기이다. 통상적으로 음파를 바다 또는 강 바닥으로 쏘아 보낸 뒤 음파가 반사되어 돌아오기까지의 시간으로 바다 또는 강의 깊이를 측정하게 된다.

    최근에는 음파 수심탐지기로서 다중빔 음향측심기(MULTI-BEAM ECHO SOUNDER)가 개발되어, 음파의 송·수신 범위 안에서 바다 밑 횡단면 전체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다.

    선박에 고정된 다중빔 음향측심기는, 파도 등에 의하여 선박과 함께 유동하게 된다. 따라서, 다중빔 음향측심기에 의해 측정되는 측심량과 선박의 유동량을 동시에 계산하고, 선박의 유동량을 보정하여 최종 측심량을 계산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다중빔 음향측심기를 이용하여 해저의 깊이를 정밀하게 측정하기 위하여는 다중빔 음향측심기를 선박에 견고히 고정하여야 한다.

    다중빔 음향측심기를 선박에 고정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646592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은 선박의 측부에 수직판(10)을 고정하고, 상기 수직판(10)에 다중빔 음향측심기(20)를 결합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다중빔 음향측심기는(20)는 철과 같은 무거운 재질로 제작되기 때문에 다중빔 음향측심기(20)의 자체 하중에 의해 수직판(10)이 선박의 측부로 휘어지는 변형이 발생한다. 이처럼, 수직판(10)이 휘어지는 경우에 이를 보정할 수 없어 정확히 해저수심을 측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선박의 일측에 다중빔 음향측심기용 거치대를 용이하게 고정 및 분리하고, 높이조절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거치대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다중빔 음향측심기에 의한 해저수심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다중빔 음향측심기용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다중빔 음향측심기용 거치대는 다중빔 음향측심기가 결합되게 선박의 일측에 고정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일측이 결합하고 타측이 선박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트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배치하고 상기 본체부에 수직하게 결합하는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선박의 측부에 고정하는 하부 지지판과, 상기 본체부에 결합하는 상부 지지판과, 상기 하부 지지판과 상기 상부 지지판 사이에 설치하여 상기 상부 지지판을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지지판은 저면이 선박 측부의 곡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 지지판의 하부에는 마찰부재를 더 설치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부는 상기 다중빔 음향측심기에 결합하는 복수의 결합구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돌기가 삽입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복수의 삽입홈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상부 지지판은 상기 복수의 삽입홈부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다중빔 음향측심기용 거치대에 따르면, 다중빔 음향측심기가 결합하는 본체부의 하부에 높이조절수단을 수직하게 결합하여 상기 거치대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거치대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브라켓트를 이용하여 다중빔 음향측심기용 거치대를 선박의 일측에 용이하게 고정 및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다중빔 음향측심기용 거치대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다중빔 음향측심기용 거치대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빔 음향측심기용 거치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빔 음향측심기용 거치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빔 음향측심기용 거치대를 나타내는 평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다중빔 음향측심기용 거치대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빔 음향측심기용 거치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빔 음향측심기용 거치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빔 음향측심기용 거치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중빔 음향측심기용 거치대는 해양 수심을 측정하는 다중빔 음향측심기(100)가 결합하는 본체부(200)와, 본체부(200)에 일측이 결합하고 타측이 선박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트(300)와, 본체부(200)의 하부에 수직하게 결합하는 높이조절수단(4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200)는 해수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길게 배치한다. 본체부(200)는 다중빔 음향측심기(100)를 선박의 일측에 설치할 수 있도록 다중빔 음향측심기(1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다중빔 음향측심기(100)와 본체부(200)의 결합은 먼저 본체부(200)에 소정간격 이격하여 복수개의 삽입홈부(210)를 설치한다. 이때, 삽입홈부(210)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이다. 그리고, 삽입홈부(210)의 간격에 대응하여 복수의 결합구(500)를 다중빔 음향측심기(100)에 결합한다. 결합구(500)는 일측에 삽입돌기(510)을 구비하고, 삽입돌기(510)가 삽입홈부(210)에 삽입된다.

    예컨데, 다중빔 음향측심기(100)와 본체부(200)의 결합은 결합구(500)의 삽입돌기(510)를 삽입홈부(210)의 상부에서 하부로 미끄러지게 삽입하여 상호결합시킨다. 이와같이, 삽입돌기(510)와 삽입홈부(210)에 의해 본체부(200)와 다중빔 음향측심기(100)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된다.

    고정브라켓트(300)는 본체부(200)를 선박에 견고히 고정하고, 나아가 다중빔 음향측심기(100)를 선박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브라켓트(300)는 본체부(200)의 상부에 일측이 결합하고, 타측이 상기 선박 측부의 상단에 고정될 수 있도록 "ㄴ"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고정브라켓트(300)와 본체부(200)의 결합은 용접 또는 볼트 등의 결합부재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고정브라켓트(300)를 선박 측부의 상단에 볼트 등의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때, 고정브라켓트(300)를 길게 형성하여 선박 측부 상단의 선박의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안정하게 고정할 수 있다.

    해양 수심을 측정하는 경우에 다중빔 음향측심기(100)를 해저바닥에 수직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그러나, 다중빔 음향측심기(100)는 철과 같은 무거운 재질로 제작되기 때문에 다중빔 음향측심기(100)의 하중에 의해 본체부(200)가 선박측으로 휘어지는 변형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체부(200)의 상부는 고정브라켓트(300)를 이용하여 다중빔 음향측심기용 거치대를 수평방향에서 지지하고, 본체부(200)의 하부는 높이조절수단(400)을 이용하여 수평방향으로 지지함으로써 다중빔 음향측심기(100)의 하중에 의한 거치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높이조절수단(400)은 본체부(200)의 하부에 배치하고, 본체부(200)에 수직하게 결합한다.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높이조절수단(400)은 선박의 측부에 고정하는 하부 지지판(410)과, 본체부(200)에 결합하는 상부 지지판(430)과, 하부 지지판(410)과 상부 지지판(430) 사이에 설치하여 상부 지지판(430)을 승강시키는 승강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지지판(430)은 본체부(200)에 설치된 복수의 삽입홈부(21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데,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브라켓트(300)의 하측에 위치하게 본체부(200)에 설치한 제1삽입홈부(211)와 본체부(200)의 하부에 설치된 제2삽입홈부(213)의 사이에 상부 지지판(430)이 위치할 수 있다. 이는 다중빔 음향측심기(100)의 하중에 의해 고정브라켓트(300)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 모멘트가 발생하여 본체부(200)가 선박의 측부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지지판(410)의 저면은 곡면 형상을 갖는 선박 측부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선박 측부의 곡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하부 지지판(410)은 선박 측부에 고정함에 있어서 선박에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부에 마찰부재(4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마찰부재의 저면은 선박 측부의 곡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승강부(450)는 선박의 측부와 본체부(200)와의 거리에 따라 상부 지지판(430)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다. 가령, 승강부(450)는 복수의 링크부재(451)와 나사산이 형성된 레버(453)로 구성할 수 있다. 복수의 링크부재(451)는 하부 지지판(410) 및 상부 지지판(430)에 양단이 각각 힌지 결합한다. 그리고, 나사산이 형성된 레버(453)는 회전가능하게 복수의 링크부재(451)를 관통하여 설치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레버(453)를 회전시켜 하부 지지판(410) 및 상부 지지판(430)의 힌지 부분의 대각선 길이를 신장 및 축소하여 상부 지지판(430)을 승강시킨다. 또한, 승강부(450)는 유압실린더(미도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펌핑에 의해 피스톤(미도시)의 길이를 신장 및 축소시키고, 이에 따라 상부 지지판(430)을 승강시키는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처럼, 높이조절수단(400)을 이용하여 본체부(200)의 하부를 수평방향에서 지지함으로써 다중빔 음향측심기(100)의 하중에 의한 본체부(200)의 선박의 측부방향으로 휘어짐을 방지하여 정확한 해저수심을 측정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다중빔 음향측심기 200: 본체부
    210: 삽입홈부 211: 제1삽입홈부
    213: 제2삽입홈부 300: 고정브라켓트
    400: 높이조절수단 410: 하부 지지판
    420: 마찰부재 430: 상부 지지판
    450: 승강부 451: 링크부재
    453: 레버 500: 결합구
    510: 삽입돌기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