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상물 위치 확정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申请号 KR1020177008294 申请日 2015-01-21 公开(公告)号 KR1020170036822A 公开(公告)日 2017-04-03
申请人 시아오미 아이엔씨.; 发明人 리잉준; 왕리;
摘要 본발명은대상물위치확정방법, 장치, 프로그램및 기록매체를제공하는바, 무선통신실용분야에속한다. 상기대상물위치확정방법은, 소정의방식에따라빔을발사하는단계와, 대상물에설치된전자태그가상기빔을수신한후 송신하는신호이며, 상기전자태그가상기빔을수신할시의상기빔의빔 강도와관련되는신호인피드백신호를상기대상물로부터수신하는단계와, 상기피드백신호에기반하여상기위치확정디바이스에대한상기대상물의위치를판정하는단계를포함한다. 본발명에따르면, 위치확정디바이스를통해물품에대해위치확정을수행할수 있기에, 사용자가수동으로기록부에물품보관위치를기록하여야함으로인한조작이번거롭고신뢰성이낮은문제를해결할수 있으며, 대상물에대한위치확정조작의편의성을향상시킬수있는효과를얻을수 있다.
权利要求
  •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대상물 위치 확정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방식에 따라 빔을 발사하는 단계와,
    대상물에 설치된 전자태그가 상기 빔을 수신한 후 송신하는 신호이며, 상기 전자태그가 상기 빔을 수신할 시의 상기 빔의 빔 강도와 관련되는 신호인 피드백 신호를 상기 대상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피드백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대상물의 위치를 판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위치 확정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소정의 방식에 따라 빔을 발사하는 단계는, 빔 각도가 360°인 빔을 외부로 발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위치 확정 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확정 디바이스는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이며,
    상기 피드백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대상물의 위치를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피드백 신호와 관련되는 빔 강도에 기반하여, 상기 대상물과 상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와,
    적어도 하나의 서브 위치 확정 디바이스가 송신한 상기 서브 위치 확정 디바이스와 상기 대상물 사이의 거리를 수신하는 단계와,
    적어도 하나의 서브 위치 확정 디바이스와 상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 사이의 상대적 위치관계 및 각 서브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의해 측정된 상기 각 서브 위치 확정 디바이스와 상기 대상물 사이의 거리에 기반하여, 상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대상물의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위치 확정 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위치 확정 디바이스와 상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 사이의 상대적 위치관계 및 각 서브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의해 측정된 상기 각 서브 위치 확정 디바이스와 상기 대상물 사이의 거리에 기반하여, 상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대상물의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위치 확정 디바이스와 상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 사이의 상대적 위치관계 및 각 서브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의해 측정된 상기 각 서브 위치 확정 디바이스와 상기 대상물 사이의 거리에 기반하여, 각 위치 확정 디바이스를 중심으로 하고 각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의해 확정된 상기 각 위치 확정 디바이스와 상기 대상물 사이의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원을, 각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각 당해 원 사이에 상기 상대적 위치관계를 구비하도록 확정하는 단계와,
    상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원 상에 두개 이상의 원이 교차하여 형성된 교점이 존재할 경우, 상기 교점이 존재하는 위치를 상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대상물의 위치로 확정하는 단계와,
    상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원 상에 두개 이상의 원이 교차하여 형성된 교점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원 상의 당해 원과 기타 원이 교차하여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교점을 확정하며, 상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원 상에 소정의 라디안 임계값보다 작은 라디안을 형성하는 두개의 교점이 존재할 경우, 그중의 한 교점이 존재하는 위치를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대상물의 위치로 확정하며; 상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원 상의 임의의 두개의 교점 사이의 라디안이 모두 상기 소정의 라디안 임계값보다 클 경우, 상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원 상의 교점을 대상으로 하여, 상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원과 상기 교점을 형성하는 다른 한 원을 확정하여, 상기 다른 한 원 상에 상기 교점과의 라디안이 소정의 라디안 임계값보다 작은 교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며, 상기 다른 한 원 상에 상기 교점과의 라디안이 소정의 라디안 임계값보다 작은 교점이 존재하는 것이 검출되었을 경우, 상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원 상의 상기 교점이 존재하는 위치를 상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대상물의 위치로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위치 확정 방법.
  •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대상물 위치 확정 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방식에 따라 빔을 발사하기 위한 발사 모듈과,
    대상물에 설치된 전자태그가 상기 빔을 수신한 후 송신하는 신호이며, 상기 전자태그가 상기 빔을 수신할 시의 상기 빔의 빔 강도와 관련되는 신호인 피드백 신호를 상기 대상물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과,
    상기 피드백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대상물의 위치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 모듈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위치 확정 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 모듈은 빔 각도가 360°인 빔을 외부로 발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위치 확정 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확정 디바이스는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이며,
    상기 판정 모듈은,
    상기 피드백 신호와 관련되는 빔 강도에 기반하여, 상기 대상물과 상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기 위한 제 2 산출 서브 모듈과,
    적어도 하나의 서브 위치 확정 디바이스가 송신한 상기 서브 위치 확정 디바이스와 상기 대상물 사이의 거리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서브 모듈과,
    적어도 하나의 서브 위치 확정 디바이스와 상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 사이의 상대적 위치관계 및 각 서브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의해 측정된 상기 각 서브 위치 확정 디바이스와 상기 대상물 사이의 거리에 기반하여, 상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대상물의 위치를 산출하기 위한 제 3 산출 서브 모듈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위치 확정 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산출 서브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서브 위치 확정 디바이스와 상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 사이의 상대적 위치관계 및 각 서브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의해 측정된 상기 각 서브 위치 확정 디바이스와 상기 대상물 사이의 거리에 기반하여, 각 위치 확정 디바이스를 중심으로 하고 각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의해 확정된 상기 각 위치 확정 디바이스와 상기 대상물 사이의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원을, 각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각 당해 원 사이에 상기 상대적 위치관계를 구비하도록 확정하기 위한 제 2 확정 서브 모듈과,
    상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원 상에 두개 이상의 원이 교차하여 형성된 교점이 존재할 경우, 상기 교점이 존재하는 위치를 상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대상물의 위치로 확정하기 위한 제 3 확정 서브 모듈과,
    상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원 상에 두개 이상의 원이 교차하여 형성된 교점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원 상의 당해 원과 기타 원이 교차하여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교점을 확정하며, 상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원 상에 소정의 라디안 임계값보다 작은 라디안을 형성하는 두개의 교점이 존재할 경우, 그중의 한 교점이 존재하는 위치를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대상물의 위치로 확정하며;상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원 상의 임의의 두개의 교점 사이의 라디안이 모두 상기 소정의 라디안 임계값보다 클 경우, 상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원 상의 교점을 대상으로 하여, 상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원과 상기 교점을 형성하는 다른 한 원을 확정하여, 상기 다른 한 원 상에 상기 교점과의 라디안이 소정의 라디안 임계값보다 작은 교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며, 상기 다른 한 원 상에 상기 교점과의 라디안이 소정의 라디안 임계값보다 작은 교점이 존재하는 것이 검출되었을 경우, 상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원 상의 상기 교점이 존재하는 위치를 상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대상물의 위치로 확정하기 위한 제 4 확정 서브 모듈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위치 확정 장치.
  • 대상물과 적어도 하나의 위치 확정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대상물에는 상기 위치 확정 디바이스가 송신한 빔을 수신하기 위한 전자태그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위치 확정 디바이스는 제 5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대상물 위치 확정 장치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위치 확정 시스템.
  • 프로세서와
    프로세서가 실행 가능한 명령을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소정의 방식에 따라 빔을 발사하고,
    대상물에 설치된 전자태그가 상기 빔을 수신한 후 송신하는 신호이며, 상기 전자태그가 상기 빔을 수신할 시의 상기 빔의 빔 강도와 관련되는 신호인 피드백 신호를 상기 대상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피드백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대상물의 위치를 판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위치 확정 장치.
  •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통하여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대상물 위치 확정 방법을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
  • 제 11 항에 기재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 说明书全文

    대상물 위치 확정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OBJECT POSITIONING METHOD, DEVICE,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본원 발명은, 출원 번호가 CN201410521145.6이고, 출원일자가 2014년 9월 30일 인 중국 특허 출원을 기초로 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 당해 중국 특허 출원의 전부 내용은 본원 발명에 원용된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실용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대상물 위치 확정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상생활에서 사용자들은 종종 집의 열쇠, 돈지갑 혹은 오래전에 정리하였던 물품 등을 찾지 못하게 되며, 이는 사용자의 생활에 큰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

    소요 물품을 효율적으로 찾아내기 위하여, 사용자는 기록부에 물품 보관 위치를 기록하여 물품 위치를 확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물품을 보관할 시 보관 물품의 보관 위치를 기록하여 사용자가 해당 물품을 찾고자 할 경우 기록부의 기록에 따라 물품의 보관 위치를 검색할 수 있다.

    발명자들이 본 발명을 실현하는 과정에서 관련기술에 적어도 하기와 같은 문제들이 존재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물품 보관 위치를 기록하여 물품의 위치를 확정할 경우, 사용자가 수동으로 기록부에 기록하여야 하므로 조작이 번거로우며 신뢰성이 낮다.

    관련기술중의 사용자가 수동으로 기록부에 물품보관 위치를 기록할 필요가 있기에 조작이 번거로워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대상물 위치 확정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기술방안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 1 양태에 따르면, 대상물 위치 확정 방법을 제공하는 바, 상기 방법은,

    소정의 방식에 따라 빔을 발사하는 단계와,

    대상물에 설치된 전자태그가 상기 빔을 수신한 후 송신하는 신호이며, 상기 전자태그가 상기 빔을 수신할 시의 상기 빔의 빔 강도와 관련되는 신호인 피드백 신호를 상기 대상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피드백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대상물의 위치를 판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옵션으로서,

    소정의 방식에 따라 빔을 발사하는 단계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지난번의 발사 방향을 소정의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편향시켜 얻은 이번의 발사 방향에 따라 상기 빔을 발사하며, 상기 피드백 신호가 수신되거나 혹은 이번의 발사방향과 초기의 발사방향이 동일하게 된 경우, 상기 빔 발사를 정지시키는 단계

    를 포함한다.

    옵션으로서,

    상기 피드백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대상물의 위치를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피드백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위치 확정 디바이스가 현재 발사하는 빔의 발사 방향을 확정하며, 상기 발사 방향에 기반하여 상기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대상물의 방향을 확정하는 단계와,

    상기 피드백 신호와 관련되는 빔 강도에 기반하여, 상기 대상물과 상기 위치 확정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옵션으로서,

    소정의 방식에 따라 빔을 발사하는 단계는,

    빔 각도가 360°인 빔을 외부로 발사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옵션으로서,

    상기 위치 확정 디바이스는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이며,

    상기 피드백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대상물의 위치를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피드백 신호와 관련되는 빔 강도에 기반하여, 상기 대상물과 상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와,

    적어도 하나의 서브 위치 확정 디바이스가 송신한 상기 서브 위치 확정 디바이스와 상기 대상물 사이의 거리를 수신하는 단계와,

    적어도 하나의 서브 위치 확정 디바이스와 상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 사이의 상대적 위치관계 및 각 서브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의해 측정된 상기 각 서브 위치 확정 디바이스와 상기 대상물 사이의 거리에 기반하여, 상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대상물의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옵션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위치 확정 디바이스와 상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 사이의 상대적 위치관계 및 각 서브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의해 측정된 상기 각 서브 위치 확정 디바이스와 상기 대상물 사이의 거리에 기반하여, 상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대상물의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위치 확정 디바이스와 상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 사이의 상대적 위치관계 및 각 서브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의해 측정된 상기 각 서브 위치 확정 디바이스와 상기 대상물 사이의 거리에 기반하여, 각 위치 확정 디바이스를 중심으로 하고 각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의해 확정된 상기 각 위치 확정 디바이스와 상기 대상물 사이의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원을, 각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각 당해 원 사이에 상기 상대적 위치관계를 구비되도록 확정하는 단계와,

    상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원 상에 두개 이상의 원이 교차하여 형성된 교점이 존재할 경우, 상기 교점이 존재하는 위치를 상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대상물의 위치로 확정하는 단계와,

    상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원 상에 두개 이상의 원이 교차하여 형성된 교점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원 상의 당해 원과 기타 원이 교차하여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교점을 확정하며, 상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원 상에 소정의 라디안 임계값보다 작은 라디안을 형성하는 두개의 교점이 존재할 경우, 그중의 한 교점이 존재하는 위치를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대상물의 위치로 확정하며, 상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원 상의 임의의 두개의 교점 사이의 라디안이 모두 상기 소정의 라디안 임계값보다 클 경우, 상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원 상의 교점을 대상으로 하여, 상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원과 상기 교점을 형성하는 � ��른 한 원을 확정하여, 상기 다른 한 원 상에 상기 교점과의 라디안이 소정의 라디안 임계값 보다 작은 교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며, 상기 다른 한 원 상에 상기 교점과의 라디안이 소정의 라디안 임계값보다 작은 교점이 존재하는 것이 검출되었을 경우, 상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원 상의 상기 교점이 존재하는 위치를 상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대상물의 위치로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 2 양태에 따르면, 대상물 위치 확정 장치를 제공하는 바, 상기 장치는,

    소정의 방식에 따라 빔을 발사하기 위한 발사 모듈과,

    대상물에 설치된 전자태그가 상기 빔을 수신한 후 송신하는 신호이며, 상기 전자태그가 상기 빔을 수신할 시의 상기 빔의 빔 강도와 관련되는 신호인 피드백 신호를 상기 대상물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과,

    상기 피드백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대상물의 위치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 모듈

    을 구비한다.

    옵션으로서,

    상기 발사 모듈은,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지난번의 발사 방향을 소정의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편향시켜 얻은 이번의 발사 방향에 따라 상기 빔을 발사하며, 상기 피드백 신호가 수신되거나 혹은 이번의 발사방향과 초기의 발사방향이 동일하게 된 경우, 상기 빔 발사를 정지시킨다.

    옵션으로서,

    상기 판정 모듈은,

    상기 피드백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위치 확정 디바이스가 현재 발사하는 빔의 발사 방향을 확정하며, 상기 발사 방향에 기반하여 상기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대상물의 방향을 확정하기 위한 제 1 확정 서브 모듈과,

    상기 피드백 신호와 관련되는 빔 강도에 기반하여, 상기 대상물과 상기 위치 확정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기 위한 제 1 산출 서브 모듈

    을 구비한다.

    옵션으로서,

    상기 발사 모듈은 빔 각도가 360°인 빔을 외부로 발사한다.

    옵션으로서,

    상기 위치 확정 디바이스는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이며,

    상기 판정 모듈은,

    상기 피드백 신호와 관련되는 빔 강도에 기반하여, 상기 대상물과 상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기 위한 제 2 산출 서브 모듈과,

    적어도 하나의 서브 위치 확정 디바이스가 송신한 상기 서브 위치 확정 디바이스와 상기 대상물 사이의 거리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서브 모듈과,

    적어도 하나의 서브 위치 확정 디바이스와 상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 사이의 상대적 위치관계 및 각 서브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의해 측정된 상기 각 서브 위치 확정 디바이스와 상기 대상물 사이의 거리에 기반하여, 상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대상물의 위치를 산출하기 위한 제 3 산출 서브 모듈

    을 구비한다.

    옵션으로서,

    상기 제 3 산출 서브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서브 위치 확정 디바이스와 상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 사이의 상대적 위치관계 및 각 서브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의해 측정된 상기 각 서브 위치 확정 디바이스와 상기 대상물 사이의 거리에 기반하여, 각 위치 확정 디바이스를 중심으로 하고 각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의해 확정된 상기 각 위치 확정 디바이스와 상기 대상물 사이의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원을, 각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각 당해 원 사이에 상기 상대적 위치관계를 구비하도록 확정하기 위한 제 2 확정 서브 모듈과,

    상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원 상에 두개 이상의 원이 교차하여 형성된 교점이 존재할 경우, 상기 교점이 존재하는 위치를 상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대상물의 위치로 확정하기 위한 제 3 확정 서브 모듈과,

    상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원 상에 두개 이상의 원이 교차하여 형성된 교점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원 상의 당해 원과 기타 원이 교차하여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교점을 확정하며, 상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원 상에 소정의 라디안 임계값보다 작은 라디안을 형성하는 두개의 교점이 존재할 경우, 그중의 한 교점이 존재하는 위치를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대상물의 위치로 확정하며, 상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원 상의 임의의 두개의 교점 사이의 라디안이 모두 상기 소정의 라디안 임계값보다 클 경우, 상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원 상의 교점을 대상으로 하여, 상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원과 상기 교점을 형성하는 � ��른 한 원을 확정하여, 상기 다른 한 원 상에 상기 교점과의 라디안이 소정의 라디안 임계값 보다 작은 교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며, 상기 다른 한 원 상에 상기 교점과의 라디안이 소정의 라디안 임계값보다 작은 교점이 존재하는 것이 검출되었을 경우, 상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원 상의 상기 교점이 존재하는 위치를 상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대상물의 위치로 확정하기 위한 제 4 확정 서브 모듈

    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 3 양태에 따르면, 대상물 위치 확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바, 상기 시스템은,

    대상물과 적어도 하나의 위치 확정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대상물에는 상기 위치 확정 디바이스가 송신한 빔을 수신하기 위한 전자태그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위치 확정 디바이스는 제 2 양태 및 그 옵션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대상물 위치 확정 장치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 4 양태에 따르면, 대상물 위치 확정 장치를 제공하는 바, 상기 장치는,

    프로세서와,

    상기 프로세서가 실행 가능한 명령을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소정의 방식에 따라 빔을 발사하도록 통신 어셈블리를 제어하고,

    대상물에 설치된 전자태그가 상기 빔을 수신한 후 송신하는 신호이며, 상기 전자태그가 상기 빔을 수신할 시의 상기 빔의 빔 강도와 관련되는 신호인 피드백 신호를 상기 대상물로부터 수신하도록 통신 어셈블리를 제어하고,

    상기 피드백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대상물의 위치를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제 5 양태에 따르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통하여 상기의 대상물 위치 확정 방법을 실현하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제 6 양태에 따르면, 상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기술 방안은 하기와 같은 유익한 효과를 포함한다.

    소정의 방식에 따라 빔을 발사하고, 대상물이 송신한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며, 피드백 신호에 기반하여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한 해당 대상물의 위치를 판정한다. 위치 확정 디바이스를 통해 물품에 대해 위치 확정을 수행할 수 있기에, 사용자가 수동으로 기록부에 물품 보관 위치를 기록하여야 함으로 인한 조작이 번거롭고 신뢰성이 낮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대상물에 대한 위치 확정 조작의 편의성을 향상시킬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의 일반적인 설명과 후술되는 세부사항은 단지 예시적인 것일뿐,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여기서의 도면은, 명세서에 합병되어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도시하며, 명세서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도 1 은, 일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 위치 확정 방법에 관한 실시 환경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 위치 확정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3a는 다른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 위치 확정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3b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위치 확정 디바이스가 외부로 빔을 발사하는 것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c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위치 확정 디바이스가 대상물 위치를 확정하는 것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a는 또 다른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 위치 확정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4b는 다른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위치 확정 디바이스가 외부로 빔을 발사하는 것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c는 다른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위치 확정 디바이스가 대상물 위치를 확정하는 것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d는 또 다른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위치 확정 디바이스가 대상물 위치를 확정하는 것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e는 또 다른 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위치 확정 디바이스가 대상물 위치를 확정하는 것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 위치 확정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다른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 위치 확정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또 다른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 위치 확정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 위치 확정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다른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 위치 확정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에 대해 위치 확정을 진행하는데 사용되는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여기서, 도면에 예시적으로 나타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도면을 설명할 때 특별한 설명이 없을 경우, 서로 다른 도면중의 동일한 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실시 형태는 본 발명과 일치한 모든 실시 형태를 의미하지 않는다. 반대로, 예시적인 실시 예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본 발명의 어느 측면과 일치한 장치와 방법의 예일 뿐이다.

    도 1은 일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 위치 확정 방법에 관한 실시 환경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시 환경은 적어도 하나의 위치 확정 디바이스(120)와 대상물(140)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 확정 디바이스(120)는 위치 확정 모듈이 설치되어 있는 전자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스마트 TV, 전자책 판독기, 라우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랩톱 컴퓨터 및 데스크톱 컴퓨터 등일 수 있다.

    위치 확정 디바이스(120)와 대상물(140)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무선 네트워크는 Wi-Fi(Wireless-Fidelity,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일 수 있다.

    대상물(140)은 전자태그(160)가 설치되어 있는 물품일 수 있으며, 상기 전자태그(160)는 수동태그 혹은 능동태그일 수 있다.

    상기 실시 환경에는 위치 확정 디바이스(180)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위치 확정 디바이스(120)와 위치 확정 디바이스(180)를 결합하여 대상물(140)에 대한 위치 확정을 실현할 수 있다.

    도 2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 위치 확정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상물 위치 확정 방법은 도 1 에 도시된 실시 환경의 위치 확정 디바이스(120)에 적용된다. 상기 방법은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201에 있어서, 소정의 방식에 따라 빔을 발사한다.

    단계 202에 있어서, 대상물에 설치된 전자태그가 빔을 수신한 후 송신하는 신호이며, 전자태그가 빔을 수신할 시의 빔의 빔 강도와 관련되는 신호인 피드백 신호를 상기 대상물로부터 수신한다.

    단계 203에 있어서, 피드백 신호에 기반하여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한 대상물의 위치를 판정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대상물 위치 확정 방법에 따르면, 소정의 방식에 따라 빔을 발사하고, 대상물이 송신한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며, 피드백 신호에 기반하여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한 해당 대상물의 위치를 판정한다. 위치 확정 디바이스를 통해 물품에 대해 위치 확정을 수행할 수 있기에, 사용자가 수동으로 기록부에 물품 보관 위치를 기록하여야 함으로 인한 조작이 번거롭고 신뢰성이 낮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대상물에 대한 위치 확정 조작의 편의성을 향상시킬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일 적용 사례에 있어서, 사용자는 하나의 위치 확정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대상물의 위치를 확정할수 있다. 이렇게 하여 편리하고 신속한 위치 확정을 실현할 수 있다. 아래 실시예를 참조하면서 구체적 실현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는 다른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 위치 확정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상물 위치 확정 방법은, 도 1 에 도시된 실시 환경의 위치 확정 디바이스(120)에 적용된다. 상기 방법은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301에 있어서,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지난번의 발사 방향을 소정의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편향시켜 얻은 이번의 발사 방향에 따라 외부로 빔 각도를 구비하는 빔을 발사하며, 피드백 신호가 수신되거나 혹은 이번의 발사 방향과 초기의 발사 방향이 동일하게 된 경우 빔 발사를 정지한다.

    빔 발사시, 하나의 초기 발사 방향을 확정하며, 그후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지난번의 발사 방향을 소정의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편향시켜 이번의 발사 방향을 취득한다. 소정의 방향은 순시침 방향 혹은 역시침 방향일 수 있으며, 인접하는 두차례 발사의 발사 방향 사이의 각도 차는 동일하다.

    옵션으로서, 소정의 각도는 빔의 빔 각도일 수 있다.

    소정의 각도가 빔의 빔 각도일 경우, 지난번의 발사 방향을 소정의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편향시켜 이번의 발사 방향을 취득하는 것을 하기와 같이 이해할 수 있다. 제 i 차로 빔을 발사할 경우, 제 i 번째 발사 방향을 확정한다. 여기서, i > 1일 때, 제 i 번째 발사 방향과 제i - 1 번째 발사 방향 사이의 각도 차가 빔의 빔 각도 크기와 동일하며, 또한 제 i 번째 발사 방향이 제i - 1 번째 발사 방향의 소정의 방향측에 위치한다. 여기서 i는 0보다 큰 자연수이다.

    여기서, 발사되는 빔은 일반적으로 부채형이며, 빔 각도가 부채형의 중심 각이다. 실제 적용에 있어서, 위치 확정의 정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빔의 빔 각도를 비교적 작은 각도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빔 각도의 크기가 3°혹은 5° 등일 수 있다. 빔 각도가 작을 수록, 위치 확정이 더욱 정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빔 각도의 크기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는 것을 설명할 필요가 있다. 대상물의 위치를 확정하는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하여, 빔의 빔 각도를 상대적으로 크게 설정할수 있다. 따라서, 실제 위치 확정 과정에서 위치 확정의 정확도와 위치 확정 시간을 결합시켜 적합한 크기의 빔 각도를 확정할 수 있다.

    처음으로 빔을 발사할 시, 임의의 방향을 발사 방향으로 선택하여 빔을 발사할 수 있다. 옵션으로서, 위치 확정 디바이스의 직면 방향을 제 1 차로 빔을 발사할 시의 발사 방향으로 선택할 수 있다.

    스캐닝할 시, 순시침 방향 혹은 역시침 방향에 따라 발사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차로 빔을 발사할 시, 제 1 차로 발사한 빔에 기반하여 발사 방향을 확정하며, 상기 발사 방향이 제 1 차 발사 방향의 좌측 방향(즉 역시침 방향에 따라 조정한 발사 방향) 혹은 제 1 차 발사 방향의 우측 방향(즉 순시침 방향에 따라 조정한 발사 방향)일 수 있다.

    제 2 차 발사 방향을 제 1 차 발사 방향의 소정의 방향측으로 확정한 후, 제 2 차 이후로 발사하는 빔의 발사 방향을 모두 지난번의 발사 방향의 소정의 방향측으로 확정한다. 즉, 제 2 차 발사 방향을 제 1 차 발사 방향의 좌측 방향으로 확정하였을 경우, 제 2 차 이후로 발사하는 빔의 발사 방향을 모두 지난번의 발사 방향의 좌측 방향으로 확정한다. 예를 들면 제 3 차 발사 방향은 제 2 차 발사 방향의 좌측 방향에 위치하며, 제 4 차 발사 방향은 제 3 차 발사 방향의 좌측 방향에 위치한다. 제 2 차 발사 방향을 제 1 차 발사 방향의 우측 방향으로 확정하였을 경우, 제 2 차 이후로 발사하는 빔의 발사 방향을 모두 지난번의 발사 방향의 우측 방향으로 확정한다. 예를 들면 제 3 차 발사 방향은 제 2 차 발사 방향의 우측 방향에 위치하며, 제 4 차 발사 방향은 제 3 차 발사 방향의 우측 방향에 위치한다.

    옵션으로서, 매차례 발사하는 빔의 빔 각도의 크기가 모두 동일하며, 또한 제 2 차로 발사한 빔의 발사 방향과 제 1 차로 발사한 빔의 발사 방향 사이의 각도 차는 빔의 빔 각도 크기와 동일하다. 즉 제 2 차로 발사하는 빔에 대응되는 부채형의 한개 변은, 제 1 차로 발사한 빔에 대응되는 부채형의 한개 변과 중첩된다.

    예를 들면, 도 3b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위치 확정 디바이스가 외부로 빔을 발사하는 것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확정 디바이스(3001)가 제 1 차로 빔을 발사할 시, 직면 방향으로 빔 각도(3002)를 구비하는 빔을 발사한다. 위치 확정 디바이스가 제 2 차로 빔을 발사할 시, 제 1 차 발사 방향의 좌측 방향을 발사 방향으로 확정하고, 상기 방향으로 동일한 빔 각도(3002)를 구비하는 빔을 발사한다. 또한, 제 2 차로 발사하는 빔에 대응되는 부채형의 우측 변이 제 1 차로 발사한 빔에 대응되는 부채형의 좌측 변과 접한다(tangent).

    옵션으로서, 빔 발사시, 대상물에 대한 위치 확정을 확보하기 위하여, 위치 확정 디바이스는 발사한 빔으로 전방위 스캐닝을 수행한다. 즉 360°스캐닝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빔 발사시,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지난번의 발사 방향을 소정의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편향시켜 얻은 이번의 발사 방향을 따라 빔을 발사하며, 이번의 발사 방향과 초기의 발사 방향이 동일할 경우 빔 발사를 정지한다. 옵션으로서, 위치 확정된 물품이 피드백 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므로, 피드백 신호가 수신되었을 경우 빔 발사를 정지할 수 있다.

    위치 확정 디바이스는, 발사 방향을 확정한 이후 상기 발사 방향에 따라 외부로 빔 각도를 구비하는 빔을 발사한다.

    단계 302에 있어서, 피드백 신호가 수신되었을 경우, 위치 확정 디바이스가 현재 빔을 발사할 시의 발사 방향을 확정하며, 발사 방향에 기반하여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한 대상물의 방향을 확정한다.

    여기서, 대상물에는 전자태그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자태그는 위치 확정 디바이스가 발사한 빔을 수신한 후, 수신된 빔의 강도에 기반하여 대응하는 피드백 신호를 위치 확정 디바이스로 피드백할 수 있다. 상기의 태그는, 능동태그 혹은 수동태그 일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위치 확정 디바이스가 피드백 신호를 수신한 후, 외부로의 빔 발사를 정지하며, 마지막 차로 송신한 빔의 발사 방향을, 위치 확정 대상물의 방향으로 확정한다.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의해 확정된 방향은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한 상대적 방향인 바, 예를 들면 위치 확정 디바이스의 1시의 방향, 3시의 방향 혹은 6시의 방향 등임일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할 필요가 있다.

    물론, 위치 확정 디바이스가 피드백 신호를 수신한 후, 지속적으로 외부로 빔을 발사할 수도 있지만, 피드백 신호가 수신된 타이밍에 대응되는 발사 방향을 위치 확정 대상물의 방향으로 확정할 필요가 있다.

    단계 303에 있어서, 피드백 신호와 관련되는 빔 강도에 기반하여, 대상물과 위치 확정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를 산출한다.

    전자태그는 수신된 빔의 강도에 기반하여 대응하는 피드백 신호를 위치 확정 디바이스로 피드백할 수 있으며, 또한 빔의 전파과정에서 빔 강도가 점차적으로 약해진다. 즉 전파 거리가 더 멀수록 빔 강도가 더 약하므로, 다시 말하면, 빔 강도와 전파거리가 반 비례 관계를 가진다. 때문에, 위치 확정 디바이스는 피드백 신호와 관련되는 빔 강도에 기반하여 대상물과 위치 확정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위치 확정 디바이스는,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한 대상물의 방향 및 대상물과 위치 확정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를 취득한 후,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한 대상물의 방향과 대상물과 위치 확정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를 결합시켜,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한 대상물의 어느 한 방향의 상대적 위치관계를 취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c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위치 확정 디바이스가 대상물 위치를 확정하는 것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확정 디바이스(3001)는, 위치 확정 디바이스(3001)에 대한 대상물(3003)의 방향 및 대상물(3003)과 위치 확정 디바이스(3001) 사이의 거리를 취득하여 조합한 후, 대상물(3003)이 위치 확정 디바이스(3001)의 좌측 앞 방향의 10 미터 되는 곳에 위치하고 있음을 얻을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대상물 위치 확정 방법에 따르면, 소정의 방식에 따라 빔을 발사하고, 대상물이 송신한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며, 피드백 신호에 기반하여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한 해당 대상물의 위치를 판정한다. 위치 확정 디바이스를 통해 물품에 대해 위치 확정을 수행할 수 있기에, 사용자가 수동으로 기록부에 물품 보관 위치를 기록하여야 함으로 인한 조작이 번거롭고 신뢰성이 낮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대상물에 대한 위치 확정 조작의 편의성을 향상시킬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래 실시예를 참조하면서, 일 적용 사례에서 사용자가 적어도 두개의 위치 확정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대상물에 대해 위치 확정을 수행함으로써 더욱 정확한 위치 확정을 실현할 수 있는 구체적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일 적용 사례에 있어서, 사용자는 두개의 위치 확정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대상물의 위치를 확정할수 있다. 이렇게 하여 더욱 정확한 위치 확정을 실현할 수 있다. 아래 실시예를 참조하면서 구체적 실현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는, 또 다른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 위치 확정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상물 위치 확정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실시 환경의 위치 확정 디바이스(120)에 적용된다. 여기서 위치 확정 디바이스(120)는 복수의 위치 확정 디바이스 중의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이며, 이외에 위치 확정 디바이스는 서브 위치 확정 디바이스이다. 상기 방법은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401에 있어서, 빔 각도가 360°인 빔을 외부로 발사한다.

    대상물의 위치를 확정할 시, 적어도 세개의 위치 확정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외부로 빔 각도가 360°인 빔을 발사한다.

    예를 들면, 도 4b는 다른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위치 확정 디바이스가 외부로 빔을 발사하는 것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확정 디바이스(4001)는 빔 각도가 360°인 빔을 외부로 발사한다. 즉 위치 확정 디바이스는 모든 방향을 향해 빔을 발사한다. 대상물(4002)은 위치 확정 디바이스(4001)가 발사한 빔을 수신한 후, 위치 확정 디바이스(4001)로 피드백 신호를 송신한다.

    단계 402에 있어서, 대상물이 송신한 피드백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의 대상물에는 전자태그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자태그는 위치 확정 디바이스가 발사한 빔을 수신한 후, 수신된 빔의 강도에 기반하여 대응하는 피드백 신호를 위치 확정 디바이스로 피드백할 수 있다. 상기의 태그는, 능동태그 혹은 수동태그 일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계 403에 있어서, 피드백 신호와 관련되는 빔 강도에 기반하여, 대상물과 위치 확정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를 산출한다.

    전자태그는 수신된 빔의 강도에 기반하여 대응하는 피드백 신호를 위치 확정 디바이스로 피드백할 수 있으며, 또한 빔의 전파과정에서 빔 강도가 점차적으로 약해진다. 때문에, 위치 확정 디바이스는 피드백 신호와 관련되는 빔 강도에 기반하여 대상물과 위치 확정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단계 404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위치 확정 디바이스가 송신한 당해 서브 위치 확정 디바이스와 대상물 사이의 거리를 수신한다.

    서브 위치 확정 디바이스도, 단계 403 에 따라 대상물과 서브 위치 확정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으며, 상기 거리를 취득한 후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는 각 서브 위치 확정 디바이스와 대상물 사이의 거리를 수신한다.

    단계 405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위치 확정 디바이스와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 사이의 상대적 위치관계 및 각 서브 위치 확정 디바이스가 측정한 대상물과의 거리에 기반하여, 각 위치 확정 디바이스를 중심으로 하고 각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의해 확정된 대상물과의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원을 확정한다. 여기서, 각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원 사이는 상대적 위치관계를 구비한다.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는, 각 서브 위치 확정 디바이스와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 사이의 상대적 위치관계가 미리 저장되어 있다.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는, 각 서브 위치 확정 디바이스와 대상물 사이의 거리를 수신한 후, 각 서브 위치 확정 디바이스와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 사이의 상대적 위치관계 및 각 서브 위치 확정 디바이스가 측정한 대상물과의 거리에 기반하여, 각 위치 확정 디바이스를 중심으로 하고 각 위치 확정 디바이스가 확정한 대상물과의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원을 각각 확정한다. 또한 각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원 사이의 상대적 위치관계는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저장된 각 서브 위치 확정 디바이스과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의 상대적 위치관계와 동일한다.

    단계 406에 있어서,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원 상에 두개 이상의 원이 교차하여 형성된 교점이 존재할 경우, 교점이 존재하는 위치를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한 대상물의 위치로 확정한다.

    예를 들면, 도 4c는 다른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위치 확정 디바이스가 대상물 위치를 확정하는 것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4001)에 기반하여 확정한 원 및 서브 위치 확정 디바이스(4003, 4004)에 기반하여 확정한 원은, 한 점(4005)에서 교차한다. 이때,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는 상기 교점(4005)을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한 대상물의 위치로 확정한다.

    단계 407에 있어서,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원 상에 두개 이상의 원이 교차하여 형성된 교점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원 상의 당해 원과 기타 원이 교차하여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교점을 확정하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원 상에 라디안이 소정의 라디안 임계값보다 작은 두개의 교점이 존재할 경우, 그중의 한 교점이 존재하는 위치를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대상물의 위치로 확정하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원 상의 임의의 두개의 교점 사이의 라디안이 모두 소정의 라디안 임계값보다 클 경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원 상의 각 교점을 대상으로 하여,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원과 교점을 형성하는 다른 한 원을 확정하여, 다른 � � 원 상에 당해 교점과의 라디안이 소정의 라디안 임계값보다 작은 교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며, 다른 한 원 상에 당해 교점과의 라디안이 소정의 라디안 임계값보다 작은 교점이 존재하는 것이 검출되었을 경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원 상의 교점이 존재하는 위치를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한 대상물의 위치로 확정한다.

    위치 확정 과정에서 위치 확정 대상물의 크기가 서로 다르므로, 위치 확정의 오차를 쉽게 초래할 수 있다. 즉, 위치 확정 디바이스 및 위치 확정 디바이스가 취득한 대상물과의 거리에 기반하여 원을 확정할 경우, 통상적으로 확정된 원에는 일부 오차가 존재하므로, 오차가 존재하는 상황하에서 정확한 위치 확정을 보증하기 위하여, 하나의 소정의 라디안 임계값을 설정할 수 있다.

    첫번째 상황하에서,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원 상에 두개 이상의 원이 교차하여 형성된 교점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원 상에서 당해 원과 기타 원이 교차하여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교점을 확정하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원 상에 라디안이 소정의 라디안 임계값보다 작은 두개의 교점이 존재할 경우, 그중의 한 교점이 존재하는 위치를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한 대상물의 위치로 확정한다. 즉,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원 상의 두개의 교점 사이의 라디안이 소정의 라디안 임계값보다 작을 경우에는 위치 확정 요건을 만족시키므로, 상기의 두개의 교점중의 임의의 교점을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한 대상물의 위치로 확정한다.

    예를 들면, 도 4d는 또 다른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위치 확정 디바이스가 대상물 위치를 확정하는 것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라디안 임계값은 5°이다.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4001)에 대응되는 원과 서브 위치 확정 디바이스(4003)에 대응되는 원은 점(4007)에서 교차하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4001)에 대응되는 원과 서브 위치 확정 디바이스(4004)에 대응되는 원은 점(4008) 에서 교차한다. 이때, 교점(4007)과 교점(4008)사이의 라디안(4006)은 3°로서 5°보다 작기에,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는 교점(4007)이 존재하는 위치를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한 대상물의 위치로 확정한다.

    두번째 상황하에서,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원 상에 두개 이상의 원이 교차하여 형성된 교점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원 상에서 당해 원과 기타 원이 교차하여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교점을 확정하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원 상의 임의의 두개의 교점 사이의 라디안이 모두 소정의 라디안 임계값보다 클 경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원 상의 각 교점을 대상으로 하여,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원과 교점을 형성하는 다른 한 원을 확정하여, 다른 한 원 상에 당해 교점과의 라디안이 소정의 라디안 임계값 보다 작은 교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며, 다른 한 원 상에 당해 교점과의 라디안이 소정의 라디안 임계값보다 작은 교점이 존재하는 것이 검출되었을 � ��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원 상의 교점이 존재하는 위치를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한 대상물의 위치로 확정한다.

    예를 들면, 도 4e는 또 다른 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위치 확정 디바이스가 대상물 위치를 확정하는 것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라디안 임계값은 5°이다.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4001)에 대응되는 원 A와 기타의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원은 점(4011) 및 점(4012)에서 교차하며, 교점(4011)과 교점(4012) 사이의 라디안이 88°이다. 이 수치는 소정의 라디안 임계값인 5°보다 크므로 그중의 하나의 교점(4011)을 선택하여 상기의 교점(4011)과 교차하는 다른 한 원 B를 확정한 후, 상기 원 B 상에 존재하는 교점(4013)과 교점(4011)사이의 라디안이 3°인 것을 확정한다. 이는 소정의 라디안 임계값 5°보다 작으므로 교점(4011)이 존재하는 위치를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4001)에 대한 대상물의 위치로 확정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대상물 위치 확정 방법에 따르면, 소정의 방식에 따라 빔을 발사하고, 대상물이 송신한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며, 피드백 신호에 기반하여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한 해당 대상물의 위치를 판정한다. 위치 확정 디바이스를 통해 물품에 대해 위치 확정을 수행할 수 있기에, 사용자가 수동으로 기록부에 물품 보관 위치를 기록하여야 함으로 인한 조작이 번거롭고 신뢰성이 낮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대상물에 대한 위치 확정 조작의 편의성을 향상시킬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대상물 위치 확정 방법에 따르면, 적어도 두개의 위치 확정 디바이스를 통해 대상물에 대해 위치 확정을 실시하므로써, 단일한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존재하는 위치 확정의 정확성이 낮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대상물 위치 확정의 정확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장치의 실시 예이며, 본 발명의 방법의 실시 예를 수행할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의 실시 예 내에서 기술되지 않은 세부 내용은, 본 발명의 방법의 실시 예를 참조할 수 있다.

    도 5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 위치 확정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상물 위치 확정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실시 환경중의 위치 확정 디바이스(120)에 적용된다. 상기 대상물 위치 확정 장치는, 발사 모듈(502), 수신 모듈(504) 및 판정 모듈(506)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발사 모듈(502)은 소정의 방식에 따라 빔을 발사한다.

    상기 수신 모듈(504)은, 대상물에 설치된 전자태그가 상기 빔을 수신한 후 송신하는 신호이며, 상기 전자태그가 상기 빔을 수신할 시의 상기 빔의 빔 강도와 관련되는 신호인 피드백 신호를 상기 대상물로부터 수신한다.

    상기 판정 모듈(506)은 피드백 신호에 기반하여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한 대상물의 위치를 판정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대상물 위치 확정 장치에 따르면, 소정의 방식에 따라 빔을 발사하고, 대상물이 송신한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며, 피드백 신호에 기반하여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한 해당 대상물의 위치를 판정한다. 위치 확정 디바이스를 통해 물품에 대해 위치 확정을 수행할 수 있기에, 사용자가 수동으로 기록부에 물품 보관 위치를 기록하여야 함으로 인한 조작이 번거롭고 신뢰성이 낮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대상물에 대한 위치 확정 조작의 편의성을 향상시킬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6은 다른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 위치 확정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상물 위치 확정 장치는 도 1 에 도시된 실시 환경의 위치 확정 디바이스(120)에 적용된다. 상기 대상물 위치 확정 장치는, 발사 모듈(602), 수신 모듈(604) 및 판정 모듈(606)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발사 모듈(602)은 소정의 방식에 따라 빔을 발사한다.

    상기 수신 모듈(604)은, 대상물에 설치된 전자태그가 상기 빔을 수신한 후 송신하는 신호이며, 상기 전자태그가 상기 빔을 수신할 시의 상기 빔의 빔 강도와 관련되는 신호인 피드백 신호를 상기 대상물로부터 수신한다.

    상기 판정 모듈(606)은 피드백 신호에 기반하여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한 대상물의 위치를 판정한다.

    실시 가능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사 모듈(602)은,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지난번의 발사 방향을 소정의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편향시켜 얻은 이번의 발사 방향에 따라 상기 빔을 발사하며, 상기 피드백 신호가 수신되거나 혹은 이번의 발사방향과 초기의 발사방향이 동일하게 된 경우, 상기 빔 발사를 정지시킨다.

    실시 가능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판정 모듈(606)은 제 1 확정 서브 모듈(606a)과 제 1 산출 서브 모듈(606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확정 서브 모듈(606a)은, 상기 피드백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위치 확정 디바이스가 현재 발사하는 빔의 발사 방향을 확정하며, 상기 발사 방향에 기반하여 상기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대상물의 방향을 확정한다.

    상기 제 1 산출 서브 모듈(606b)은 상기 피드백 신호와 관련되는 빔 강도에 기반하여, 상기 대상물과 상기 위치 확정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를 산출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대상물 위치 확정 장치에 따르면, 소정의 방식에 따라 빔을 발사하고, 대상물이 송신한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며, 피드백 신호에 기반하여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한 해당 대상물의 위치를 판정한다. 위치 확정 디바이스를 통해 물품에 대해 위치 확정을 수행할 수 있기에, 사용자가 수동으로 기록부에 물품 보관 위치를 기록하여야 함으로 인한 조작이 번거롭고 신뢰성이 낮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대상물에 대한 위치 확정 조작의 편의성을 향상시킬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7은 또 다른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 위치 확정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상물 위치 확정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실시 환경의 위치 확정 디바이스(120)에 적용된다. 상기 대상물 위치 확정 장치는 발사 모듈(702), 수신 모듈(704) 및 판정 모듈(706)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발사 모듈(702)은 소정의 방식에 따라 빔을 발사한다.

    상기 수신 모듈(704)은, 대상물에 설치된 전자태그가 상기 빔을 수신한 후 송신하는 신호이며, 상기 전자태그가 상기 빔을 수신할 시의 상기 빔의 빔 강도와 관련되는 신호인 피드백 신호를 상기 대상물로부터 수신한다.

    상기 판정 모듈(706)은 피드백 신호에 기반하여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한 대상물의 위치를 판정한다.

    실시 가능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사 모듈(702)은 빔 각도가 360°인 빔을 외부로 발사한다.

    실시 가능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 확정 디바이스는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이며,

    상기 판정 모듈(706)은 제 2 산출 서브 모듈(706a), 수신 서브 모듈(706b) 및 제 3 산출 서브 모듈(706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산출 서브 모듈(706a)은 상기 피드백 신호와 관련되는 빔 강도에 기반하여, 상기 대상물과 상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를 산출한다.

    상기 수신 서브 모듈(706b)은 적어도 하나의 서브 위치 확정 디바이스가 송신한 상기 서브 위치 확정 디바이스와 상기 대상물 사이의 거리를 수신한다.

    상기 제 3 산출 서브 모듈(706c)은 적어도 하나의 서브 위치 확정 디바이스와 상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 사이의 상대적 위치관계 및 각 서브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의해 측정된 상기 각 서브 위치 확정 디바이스와 상기 대상물 사이의 거리에 기반하여, 상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대상물의 위치를 산출한다.

    실시 가능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3 산출 서브 모듈(706c)은 제 2 확정 서브 모듈(706c1), 제 3 확정 서브 모듈(706c2) 및 제 4 확정 서브 모듈(706c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확정 서브 모듈(706c1)은 적어도 하나의 서브 위치 확정 디바이스와 상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 사이의 상대적 위치관계 및 각 서브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의해 측정된 상기 각 서브 위치 확정 디바이스와 상기 대상물 사이의 거리에 기반하여, 각 위치 확정 디바이스를 중심으로 하고 각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의해 확정된 상기 각 위치 확정 디바이스와 상기 대상물 사이의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원을 확정한다. 여기서, 각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원 사이에는 상기 상대적 위치관계를 구비한다.

    상기 제 3 확정 서브 모듈(706c2)은, 상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원 상에 두개 이상의 원이 교차하여 형성된 교점이 존재할 경우, 상기 교점이 존재하는 위치를 상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대상물의 위치로 확정한다.

    상기 제 4 확정 서브 모듈(706c3)은, 상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원 상에 두개 이상의 원이 교차하여 형성된 교점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원 상의 당해 원과 기타 원이 교차하여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교점을 확정하며, 상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원 상에 소정의 라디안 임계값보다 작은 라디안을 형성하는 두개의 교점이 존재할 경우, 그중의 한 교점이 존재하는 위치를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대상물의 위치로 확정하며, 상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원 상의 임의의 두개의 교점 사이의 라디안이 모두 상기 소정의 라디안 임계값보다 클 경우, 상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원 상의 교점을 대상으로 하여, 상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응 되는 원과 상기 교점을 형성하는 다른 한 원을 확정하여, 상기 다른 한 원 상에 상기 교점과의 라디안이 소정의 라디안 임계값보다 작은 교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며, 상기 다른 한 원 상에 상기 교점과의 라디안이 소정의 라디안 임계값보다 작은 교점이 존재하는 것이 검출되었을 경우, 상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원 상의 상기 교점이 존재하는 위치를 상기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대상물의 위치로 확정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대상물 위치 확정 장치에 따르면, 소정의 방식에 따라 빔을 발사하고, 대상물이 송신한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며, 피드백 신호에 기반하여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한 해당 대상물의 위치를 판정한다. 위치 확정 디바이스를 통해 물품에 대해 위치 확정을 수행할 수 있기에, 사용자가 수동으로 기록부에 물품 보관 위치를 기록하여야 함으로 인한 조작이 번거롭고 신뢰성이 낮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대상물에 대한 위치 확정 조작의 편의성을 향상시킬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실시 예 중의 장치에 관하여, 각 모듈이 조작을 수행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이미 관련된 방법의 실시 예에서 상세히 설명했기에,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 관한 실시 예이며, 본 발명의 방법의 실시 예를 수행할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의 실시 예 내에서 기술되지 않은 세부 내용은, 본 발명의 방법의 실시 예를 참조할수 있다.

    도 8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 위치 확정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상물 위치 확정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실시 환경에 적용된다. 상기 시스템은 대상물(802) 및 위치 확정 디바이스(804)를 포함한다.

    상기 대상물(802)에는 위치 확정 디바이스가 송신한 빔을 수신하기 위한 전자태그가 설치되어 있다.

    위치 확정 디바이스(804)는 도 5 혹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대상물 위치 확정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대상물 위치 확정 시스템에 따르면, 소정의 방식에 따라 빔을 발사하고, 대상물이 송신한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며, 피드백 신호에 기반하여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한 해당 대상물의 위치를 판정한다. 위치 확정 디바이스를 통해 물품에 대해 위치 확정을 수행할 수 있기에, 사용자가 수동으로 기록부에 물품 보관 위치를 기록하여야 함으로 인한 조작이 번거롭고 신뢰성이 낮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대상물에 대한 위치 확정 조작의 편의성을 향상시킬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9는 다른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 위치 확정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상물 위치 확정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실시 환경에 적용된다. 상기 시스템은 대상물(902),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904) 및 적어도 두개의 서브 위치 확정 디바이스(906)를 포함한다.

    상기 대상물(902)에는, 위치 확정 디바이스가 송신한 빔을 수신하기 위한 전자태그가 설치되어 있다.

    메인 위치 확정 디바이스(904)는 도 5 혹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대상물 위치 확정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서브 위치 확정 디바이스(906)는 도 5 혹은 도 7의 대상물 위치 확정 장치에 도시된 서브 위치 확정 디바이스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대상물 위치 확정 시스템에 따르면, 소정의 방식에 따라 빔을 발사하고, 대상물이 송신한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며, 피드백 신호에 기반하여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한 해당 대상물의 위치를 판정한다. 위치 확정 디바이스를 통해 물품에 대해 위치 확정을 수행할 수 있기에, 사용자가 수동으로 기록부에 물품 보관 위치를 기록하여야 함으로 인한 조작이 번거롭고 신뢰성이 낮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대상물에 대한 위치 확정 조작의 편의성을 향상시킬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대상물 위치 확정 장치를 제공하는 바, 대상물 위치 확정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대상물 위치 확정 장치는 프로세서와 프로세서가 실행 가능한 명령을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를 구비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소정의 방식에 따라 빔을 발사하도록 통신 어셈블리를 제어하고,

    대상물에 설치된 전자태그가 상기 빔을 수신한 후 송신하는 신호이며, 상기 전자태그가 상기 빔을 수신할 시의 상기 빔의 빔 강도와 관련되는 신호인 피드백 신호를 상기 대상물로부터 수신하도록 통신 어셈블리를 제어하고,

    상기 피드백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위치 확정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대상물의 위치를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도 10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의 위치를 확정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예를 들면, 장치(1000)는, 휴대 전화, 컴퓨터, 디지털 방송 단말기, 메시지 송수신 디바이스, 게임 콘솔, 태블릿 디바이스, 의료 기기, 피트니스 기기, 개인 디지털 보조, 등일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1000)는 프로세스 어셈블리(1002), 메모리(1004), 전원 어셈블리(1006), 멀티미디어 어셈블리(1008), 오디오 어셈블리(1010), 입력/출력(I/O) 인터페이스(1012), 센서 어셈블리(1014) 및 통신 어셈블리(1016) 등 하나 또는 복수의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스 어셈블리(1002)는 통상적으로 장치(1000)의 전체 조작을 제어하며, 예를 들면, 표시, 전화 호출, 데이터 통신, 카메라 조작 및 기록 조작에 관련된 조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스 어셈블리(1002)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1020)를 구비하여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방법의 전부 혹은 일부 단계를 완성한다. 또한, 프로세스 어셈블리(1002)는 하나 또는 복수의 모듈을 포함하고 있어 프로세스 어셈블리(1002)와 기타 어셈블리 사이의 인터랙션에 편리하다. 예를 들면, 프로세스 어셈블리(1002)는 멀티미디어 모듈을 포함하고 있어 멀티미디어 어셈블리(1008)와 프로세스 어셈블리(1002) 사이의 인터랙션이 편리하게 된다.

    메모리(1004)에는 각종 유형의 데이터를 저장되어 장치(1000)의 동작을 서포트한다. 이러한 데이터의 예로서 장치(1000)에서 동작하는 임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혹은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 연락인 데이터, 전화번호부 데이터, 메시지, 이미지, 비디오 등을 포함한다. 메모리(1004)는 임의의 유형의 휘발성 혹은 비휘발성 메모리 혹은 양자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ROM(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자기 디스크 혹은 콤팩트 디스크 등으로 실현될 수 있다.

    전력 어셈블리(1006)는 장치(1000)의 각 어셈블리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전력 어셈블리(1006)는 전원 관리 시스템, 하나 또는 복수의 전원 및 장치(1000)를 위하여 전력을 생성, 관리 및 분배하기 위한 기타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어셈블리(1008)는 상기 장치(1000)와 사용자 사이에 하나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스크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스크린은 액정 표시 장치(LCD)와 터치 패널(TP)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이 터치 패널을 포함할 경우, 스크린은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하나 또는 복수의 터치 센서를 포함하고 있어 터치, 슬라이딩 및 터치 패널위에서의 손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터치 혹은 슬라이딩 동작의 경계위치를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터치 혹은 슬라이딩 조작에 관련된 지속시간 및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어셈블리(1008)는 하나의 프론트 카메라 및/또는 리어 카메라를 포함한다. 장치(1000)가 예를 들면 촬영 모드 혹은 비디오 모드 등 조작 모드 상태에 있을 경우, 프론트 카메라 및/또는 리어 카메라는 외부로부터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론트 카메라와 리어 카메라는 하나의 고정된 광학 렌즈 시스템일 수 있거나 또는 가변 초점거리와 광학 줌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 어셈블리(101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 및/또는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오디오 어셈블리(1010)는 마이크로폰(MIC)을 포함하며, 장치(1000)가 예를 들면 호출 모드, 기록 모드 및 음성 인식 모드 등 조작 모드에 있을 경우, 마이크로폰은 외부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한다. 수신된 오디오 신호는 또한 메모리(1004)에 저장되거나 혹은 통신 어셈블리(1016)를 통하여 송신될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오디오 어셈블리(1010)는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어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I/O 인터페이스(1012)는 프로세스 어셈블리(1002)와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은 키보드, 휠 키, 버튼 등일 수 있다. 이러한 버튼은 홈 버튼, 음량 버튼, 작동 버튼 및 잠금 버튼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센서 어셈블리(1014)는 장치(1000)에 각 방면의 상태평가를 제공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센서 어셈블리(1014)는 장치(1000)의 온/오프 상태, 어셈블리의 상대위치결정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어셈블리가 장치(1000)의 디스플레이 및 키패드일 시, 센서 어셈블리(1014)는 장치(1000) 혹은 장치(1000)의 일 어셈블리의 위치변경, 사용자와 장치(1000) 사이의 접촉 여부, 장치(1000)의 방위 혹은 가속/감속 및 장치(1000)의 온도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1014)는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어, 임의의 물리적 접촉이 없는 정황하에서 근처 물체의 존재를 검출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1014)는 예를 들면 CMOS 혹은 CCD 이미지 센서 등 광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미징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 어셈블리(1014)는 가속 센서, 자이로 센서, 자기 센서, 압력 센서 혹은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어셈블리(1016)는 장치(1000)와 기타 설비 사이의 유선 혹은 무선 통신에 사용된다. 장치(1000)는 예를 들면 WiFi, 2G 혹은 3G, 혹은 이들의 조합 등의 통신규격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일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 어셈블리(1016)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 방송 관리 시스템으로부터의 방송 신호 혹은 방송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 어셈블리(1016)는 근거리 무선 통신(NFC)모듈을 더 포함하고 있어, 단거리 통신을 촉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NFC 모듈은 RFID 기술, IrDA 기술, UWB 기술, 블루투스(BT) 기술 및 기타 기술에 기초하여 실현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장치(1000)는 하나 또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전용 집적 회로(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디지털 신호 처리설비(DSPD), 프로그램 가능 논리 소자(PLD),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혹은 기타 전자소자에 의하여 실현되어, 상기의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낸 대상물 위치 확정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데, 예를 들면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메모리(1004) 등을 포함하며, 상기 인스트럭션은 장치(1000)의 프로세서(1020)에 의하여 실행되어 상기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디스크 및 광데이터 저장 장치 등일 수 있다.

    당업자는, 명세서를 검토하여 본 발명을 실현한 후, 본 발명의 기타 실시안을 용이하게 생각해낼수 있다. 본원 발명은, 본 발명의 모든 변형, 용도, 또는 적응적 변경을 포함하며, 이러한 변형, 용도, 또는 적응적 변경은, 본 발명의 일반적 원리에 따르며, 본 발명은 개시되지 않은 당업계의 공지의 지식 또는 통상적 기술수단을 포함한다. 명세서와 실시 예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와 사상은 이하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되고 또 도면에 나타낸 정확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범위를 초과하지 않는한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실현할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할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단지 첨부되는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