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광 헤드 및 광학센서

申请号 KR1020140140578 申请日 2014-10-17 公开(公告)号 KR1020150083768A 公开(公告)日 2015-07-20
申请人 파나소닉 디바이스 썬크스 주식회사; 发明人 이마무라신야;
摘要 본발명은투광헤드로부터외륜광이출사되는것을억제하는것을과제로한다. 본발명에따른상기투광헤드는, 광을출력하는투광부와, 상기투광부의출력방향에서상기투광부의전방에배치되어, 복수의반사면및 단차부를가지는광학부재를구비하고, 상기복수의반사면은, 상기출력방향을따라동축상으로배열되고, 상기각 반사면은, 상기투광부로부터멀어질수록개구경이증대하는환상형상을이루고, 앞에위치하는반사면의후단은, 뒤에위치하는반사면의전단보다도개구경이작고, 상기단차부를개재하여상기뒤에위치하는반사면의전단에결합된다.
权利要求
  • 투광 헤드에 있어서, 상기 투광 헤드는,
    광을 출력하는 투광부, 및
    상기 투광부의 출력방향에서 상기 투광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복수의 반사면 및 단차부를 가지는 광학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반사면은 상기 출력 방향을 따라 동축 상에 배열되고,
    상기 각 반사면은 상기 투광부로부터 멀어질수록 개구경이 증대하는 환상 형상을 이루고,
    앞에 위치하는 반사면의 후단은 뒤에 위치하는 반사면의 전단보다도 개구경이 작고, 전단 단차부를 개재시켜 상기 뒤에 위치하는 반사면의 전단에 결합되는, 상기 투광 헤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앞에 위치하는 반사면은, 상기 뒤에 위치하는 반사면에 비하여, 상기 출력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가 작은, 상기 투광 헤드.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재는, 상기 복수의 반사면 및 단차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투광부로부터 출력된 광을 상기 출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집광하는 집광부를 가지는, 상기 투광 헤드.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재는, 상기 복수의 반사면 및 단차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투광부의 전단부를 유지하는 유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상기 투광 헤드.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재는, 상기 투광부로부터 출력된 광을 상기 출력방향으로 유도하는 도광부재이고,
    상기 복수의 반사면은, 상기 도광부재의 상기 출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측면인, 상기 투광 헤드.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부와 상기 광학부재를 유지하고, 차광성을 가지는 차광 케이스를 구비하는, 상기 투광 헤드.
  • 측정 대상물의 유무를 검출하는 광학 센서에 있어서, 상기 광학 센서는,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투광 헤드,
    상기 투광 헤드로부터 출사된 광을 수광하는 수광헤드, 및
    상기 수광헤드에서 수광된 광에 기초하여 측정 대상물의 유무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상기 광학 센서.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헤드는 적어도 상기 출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상기 투광 헤드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투광 헤드로부터 출사되어 측정 대상물에서 반사된 광을 수광하는, 상기 광학 센서.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 헤드의 광을 출사하는 출사면과, 상기 수광헤드의 광을 수광하는 수광면을 덮는 투광성의 커버를 구비하는, 상기 광학 센서.
  • 说明书全文

    투광 헤드 및 광학센서{LIGHT PROJECTION HEAD AND OPTICAL SENSOR}

    본 발명은 투광 헤드(投光 head) 및 광학 센서(光學 sensor)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투광 헤드와 광학 센서를 구비하고, 투광 헤드로부터 출사(出射)된 광을 수광 헤드에서 수광(受光)하는 것으로 측정 대상물의 유무를 검출하는 광학 센서가 알려져 있다. 투광 헤드는, 예를 들면 렌즈(lens) 등의 광학 부재를 가지고, 그 광학 부재의 광축에 따른 광을 검출 영역을 향하여 출사한다. 그러나 투광 헤드에서는 구조상 광축에 따른 광뿐만 아니라 광축으로부터 측방으로 퍼진 광, 소위 외륜광(外輪光)이 출사되어 버리는 것이 있다. 그러면, 예를 들어 외륜광이 수광 헤드에서 수광되어 측정 대상물의 유무를 오검출(誤檢出)해버리는 유려가 있다. 이 때문에 종래부터 광파이버(光 fiber)의 단부(端部)에 조리개가 구비된 비구면(非球面) 렌즈를 배치하는 것으로 외륜광을 저감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1. 특개평7-20351호 공보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구성에서도, 광 파이버 등의 투광 부재로부터 출사된 광이, 비구면 렌즈 내에서 확산하여, 수광 헤드에서 수광되어 버리기 때문에 외륜광을 충분히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

    본 명세서에서는 투광헤드로부터 외륜광이 사출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기술을 개시한다.

    본 명세서에 의해 개시되는 투광 헤드는, 광을 출력하는 투광부, 및 상기 투광부의 출력방향에서 상기 투광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복수의 반사면(反射面) 및 단차부(段差部)를 가지는 광학부재를 구비하고,상기 복수의 반사면은 상기 출력 방향을 따라 동축(同軸) 상에 배열되고, 상기 각 반사면은 상기 투광부로부터 멀어질수록 개구경이 증대하는 환상 형상을 이루고, 앞에 위치하는 반사면의 후단은 뒤에 위치하는 반사면의 전단보다도 개구경이 작고, 전단 단차부를 개재시켜 상기 뒤에 위치하는 반사면의 전단에 결합되어 있다.

    이 투광 헤드는 투광부의 출력방향에서 상기 투광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복수의 반사면 및 단차부를 가지는 광학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광학 부재는, 복수의 반사면이, 출력 방향을 따라 동축 상에 배열되고, 상기 각 반사면이, 투광부로부터 멀어질수록 개구경이 증대하는 환상 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앞에 위치하는 반사면의 후단은, 뒤에 위치하는 반사면의 전단보다도 개구경이 작고, 단차부를 개재시켜 상기 뒤에 위치하는 반사면의 전단에 결합되어 있다. 그 때문에, 단차부는 투광부로부터 멀어질수록 개구경이 축소하는 환상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된다. 이것에 의해, 투광부로부터 출력방향으로부터 측방으로 퍼져 출사되어, 단차부에서 반사된 광이 출력 방향을 따라 진행하는 것이 억제되어 외륜광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 의해 개시되는 투광 헤드는, 상기 앞에 위치하는 반사면은 상기 뒤에 위치하는 반사면에 비하여, 상기 출력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가 작아도 좋다. 이 투광 헤드는, 출력방향의 앞에 위치하는 반사면은, 뒤에 위치하는 반사면에 비하여, 출력방향에 대한 경사각도가 작으므로, 각 반사부에서 반사된 광을 광축을 따른 광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 의해 개시되는 투광 헤드는, 상기 광학 부재는, 상기 복수의 반사면 및 단차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투광부로부터 출력된 광을 상기 출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집광하는 집광부를 가져도 좋다. 이 투광 헤드는, 광학 부재가 집광부를 가지므로 상기 투광부로부터 출력된 광을 집광하는 것으로, 외륜광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 의해 개시되는 투광 헤드는, 상기 광학 부재는, 상기 복수의 반사면 및 단차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투광부의 전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투광 헤드는, 광학 부재에 투광부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도광부와 투광 부재의 상대 위치가 변화하는 것이 억제되어, 상대 위치의 변화에 의해 외륜광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 의해 개시되는 투광 헤드는, 상기 광학 부재는, 상기 투광부로부터 출력된 광을 상기 출력방향에 유도하는 도광 부재이고, 상기 복수의 반사면은, 상기 도광 부재의 상기 출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측면이어도 좋다. 이 투광 헤드는, 광학 부재가 도광 부재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반사면이 상기 도광 부재의 측면이므로, 상기 반사면 및 단차부를 가지는 광학 부재를 형성하기 쉽다.

    본 명세서에 의해 개시되는 투광 헤드는, 상기 투광부와 상기 광학 부재를 지지하고, 차광성을 가지는 차광 케이스를 구비하여도 좋다. 이 투광 헤드는, 차광성을 가지는 차광 케이스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투광부 이외로부터 광학 부재에 길 잃은 광이 들어와, 상기 길 잃은 광에 의해 외륜광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투광 헤드를 이용한 광학 센서도 개시한다. 본 명세서에 의해 개시되는 광학 센서는, 상기 투광 헤드, 상기 투광 헤드로부터 출사된 광을 수광하는 수광헤드, 및 상기 수광 헤드에서 수광된 광에 기초하여 측정 대상물의 유무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이 광학 센서에서는 투광 헤드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외륜광이 저감되어 있으므로, 정밀도 좋게 측정 대상물의 유무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 의해 개시되는 광학 센서는, 상기 수광 헤드는, 적어도 상기 출력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상기 투광 헤드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투광 헤드로부터 출사되어 측정 대상물에서 반사된 광을 수광하여도 좋다. 이 광학 센서에 의하면, 반사형의 광학 센서에서, 정밀도 좋게 측정 대상물의 유무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 의해 개시되는 광학 센서는, 상기 투광 헤드의 광을 출사하는 출사면과 상기 수광 헤드의 광을 수광하는 수광면을 덮는 투광성(透光性)의 커버(cover)를 구비하여도 좋다. 이 투광 헤드는 커버를 가지고 있으므로, 예를 들면 쓰레기나 약품 등이 출사면이나 수광면에 부착하여, 광학 센서가 사용 가능하지 않게 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이 투광 헤드에서는, 투광 헤드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외륜광이 저감되어 있으므로, 출사면으로부터 출사된 외륜광이 커버에서 반사되어 수광면에 도달하여, 광학 센서가 측정 대상물을 오판단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 의해 개시되는 발명에 의하면, 투광 헤드로부터 외륜광이 출사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광 파이버 센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광 파이버 헤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광 파이버 헤드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광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광 파이버 헤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광 파이버 헤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종래기술의 광 파이버 단말 유닛이다.
    도 8은 투광 헤드의 광학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9는 투광 헤드의 광학 부재의 배면도이다.
    도 10은 투광 헤드의 광학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투광 헤드의 광학 부재의 좌측면도이다.

    <실시 형태>

    일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11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1. 광 파이버 센서의 구조

    도 1은 광 파이버 센서(10)의 구조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광 파이버 센서(10)는, 센서 본체부(20)와, 센서 본체부(20)에 대하여 광 파이버(31, 32)를 개재시켜 접속되는 반사형의 광 파이버 헤드(30)를 구비한다.

    센서 본체부(20)는 대체로 상자형을 한 케이싱(20A)을 구비한다. 케이싱(20A)의 내부에는 발광부(21), 투광 회로(22), 수광부(23), 수광 회로(24), 제어 회로(27)가 설치되어 있다. 발광부(21)는 예를 들면, LED나 레이저 다이오드 등의 발광 소자로 구성되어, 투광용의 광 파이버(31)를 통하여 광 파이버 헤드(30)의 출사면(33)으로부터 소정의 검출 영역에 광 LA를 조사하는 기능을 한다. 투광 회로(22)는, 제어 회로(27)로부터의 명령에 응답하여, 발광부(21)를 구동하는 구동 회로이다. 광 파이버(31) 및 발광부(21)는 투광부의 일례(一例)이다.

    수광부(23)는 예를 들면, 포토 트랜지스터 등의 광전 소자로 구성되어, 검출 영역으로부터의 반사광 LB를 광 파이버 헤드(30)의 수광면(34) 및 수광용의 광 파이버(32)를 통하여 수광하는 기능을 한다. 수광 회로(24)는, 수광부(23)의 수광량에 따른 레벨의 수광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제어 회로(27)는, 수광 회로(24)로부터 출력되는 수광 신호의 레벨을 소정의 역치(역値)와 비교하는 것으로, 검출 영역에서 물체의 위치나 유무를 판단하는 기능을 한다. 제어 회로(27)는 제어부의 일례이다.

    광 파이버 헤드(30)는, 대체로 원주 형상을 한 금속성 혹은 수지성의 본체 케이스(60)의 내부에, 투광용의 광 파이버(31), 수광용의 광 파이버(32), 도광 부재(40), 차광 케이스(50), 전면 커버(61)를 구비한다. 광 파이버 헤드(30)의 전면에는 검출 영역에 광 LA를 출사하는 출사면(33), 및 검출 영역으로부터의 반사광 LB를 수광하는 수광면(34)이 형성되어 있다. 광 파이버 헤드(30)는 투광 헤드 및 수광 헤드의 일례이고, 도광 부재(40)는 광학 부재의 일례이다.

    도 2는 광 파이버 헤드(30)의 단면도이다. 투광용의 광 파이버(31)와 수광용의 광 파이버(32)는 동일한 선 직경을 가지고, 좌우 방형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도광 부재(40)는 예를 들면, 투광성을 가지는 수지로 구성되고, 투광용의 광 파이버(31)의 전방에 취부(取付)되어 투광용의 광 파이버(31)로부터 출력된 광 LA를 출사면(33)에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또, 도광 부재(40)는 수광용의 광 파이버(32)의 전방에 취부되어 수광면(34)에서 수광된 검출 영역으로부터의 반사광 LB를 광 파이버(32)에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도광 부재(40)의 후면측에는, 광 파이버(31, 32)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공(41)이 마련되어 있다. 도광 부재(40)는 광학 부재의 일례이고, 삽입공(41)은 지지부의 일례이다.

    차광 케이스(50)는 예를 들면, 차광성을 가지는 수지로 구성되고, 투광성을 가지는 도광 부재(40)를 외부로부터 차광함과 함께, 서로 차광하는 기능을 한다. 차광 케이스(50)의 후면측에는 광 파이버(31, 32)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공(51)이 마련되어 있다. 또 차광 케이스(50)의 전면측에는 도광 부재(40)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공(52)이 마련되어 있다. 차광 케이스(50)는 삽입공(51,52)에 광 파이버(31, 32) 및 도광 부재(40)가 삽입되는 것으로 광 파이버(31, 32) 및 도광 부재(40)를 지지한다.

    전면 커버(61)는 예를 들면, 투광성을 가지는 수지로 구성되어, 출사면(33) 및 수광면(34)이 형성된 광 파이버 헤드(30)의 전면을 덮어, 도광 부재(40)에의 쓰레기나 액체 약의 부착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전면 커버(61)는 커버의 일례이다.

    도 3은 광 파이버 헤드(30)의 전면도이다. 광 파이버 헤드(30)를 제조할 때에, 우선, 차광 케이스(50)의 삽입공(52)에 도광 부재(40)가 압입된다. 삽입공(52)의 주위에는, 선단이 삽입공(52)에 돌출한 돌출부(53)가 마련되어 있다. 도광 부재(40)는 삽입공(52)에 압입되어, 돌출부(53)에 당접하는 것으로,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다음으로, 차광 케이스(50)의 삽입공(52) 및 도광 부재(40)의 삽입공(41)에 광 파이버(31, 32)가 압입된다. 삽입공(51)은 십입공(52)과와 연통하여 있고, 광 파이버(31, 32)의 전단부가 차광 케이스(50)의 삽입공(52)을 개재하여 도광 부재(40)의 삽입공(41)에 압입 접착되는 것으로, 광 파이버(31, 32)가 도광 부재(40)에 대하여 이동 불능하게 지지된다. 투광용의 광 파이버(31)가 삽입된 삽입공(51)과 연통하는 삽입공(52)의 전면단이 출사면(33)에 상당한다. 또, 수광용의 광 파이버(32)가 삽입된 삽입공(51)과 연통하는 삽입공(52)의 전면단이 수광면(34)에 상당한다.

    2. 도광 부재의 구조

    도 4는 도광 부재(40)의 사시도이다. 도광 부재(40)는 대체로 원주 형상을 하고 있고, 그의 축 방향(49)(다시 말하면, 전후 방향)으로 광을 유도한다. 다시 말하면, 축 방향(49)은, 광축(49)의 방향이라고 말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광 부재(40)는, 광축(49)의 후면측으로부터 전면측으로 향하여, 본체부(42), 제1 단차부(43), 제1 반사부(44), 제2 단차부(45), 제2 반사부(46), 집광부(47)가 이 순서로 또한 동축 상에 배치되어 있다.

    본체부(42)는 내부에 삽입공(41)이 마련되어 있음과 함께, 외표면에 광축(49)에 직교하는 방향을 나타내기 위한 절취부(48)가 마련되어 있다. 집광부(47)는 전면측을 향하여 볼록 형상으로 형성된다. 집광부(47)는 투광용의 광 파이버(31)로부터 출력된 광을, 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집광한다.

    제1 반사부(44) 및 제2 반사부(46)은 각각, 본체부(42)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개구경 φ가 증대하고, 소위 테이퍼(taper)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 5에서 L1, L2로 나타낸 것처럼, 투광용의 광 파이버(31)로부터 도광 부재(40)에 출력되어, 광축(49)으로부터 측방(다시 말하면, 좌우 방향, 상하 방향)으로 퍼진 광은, 제1 반사부(44) 및 제2 반사부(46)의 측면인 반사면(44A, 46A)에서 반사되는 것으로, 광축(49)을 따른 광으로 된다.

    한편, 제1 반사부(44)와 제2 반사부(46)에서는, 테이퍼 형상의 광축(49)에 대한 경사 각도가 다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5에 θ1, θ2로 나타낸 것처럼, 전면측에 배치된 제2 반사부(46)의 경사 각도 θ2가 , 후면측에 배치된 제1 반사부(44)의 경사 각도 θ1보다도 작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반사부(46)는 제1 반사부(44)보다도 전면측에 배치되어, 제1 반사부(44)보다도 투광용의 광 파이버(31)로부터 떨어져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2 반사부(46)에서 반사되는 광 L2의 광축(49)에 대한 기울기 α2가, 제1 반사부(44)에서 반사되는 광 L1의 광축(49)에 대한 기울기 α1에 비하여 작다. 이 때문에, 제2 반사부(46)의 경사 각도 θ2를, 제1 반사부(44)의 경사 각도 θ1보다도 작게 되도록 설정하는 것으로, 각 반사부(44, 46)에서 반사된 광 L1, L2를 광축(49)를 따른 광으로 된다.

    더욱이, 도5에서 φ1F, φ2B로 나타낸 것처럼, 전면측에 배치된 제2 반사부(46)의 후단측의 개구경 φ2B는, 후면측에 배치된 제1 반사부(44)의 전단측의 개구경 φ1F에 비하여 작다. 그 때문에, 제1 반사부(44)와 제2 반사부(46)의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 반사부를 결합하는 제2 단차부(45)는, 본체부(42)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개구경 φ가 감소하고, 소위 역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 때문에, 도 6에 L3로 나타낸 것처럼, 투광용의 광 파이버(31)로부터 도광 부재(40)에 출력되어, 광축(49)으로부터 측방으로 퍼진 광 중에서, 제2 단차부(45)에서 반사된 광은, 광축(49)를 따른 광으로 되지 않아, 출사면(33)으로부터 출사되는 것이 억제된다.

    마찬가지로, 도 5에서 φ1B, φH로 나타낸 것처럼, 제1 반사부(44)의 후단측의 개구경 φ1B는, 본체부(42)의 개구경 φH에 비하여 작다. 그 때문에, 본체부(42)와 제1 반사부(44)의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 부를 결합하는 제1 단차부(43)는, 역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 때문에, 도 6에 L4로 나타낸 것처럼, 투광용의 광 파이버(31)로부터 도광 부재(40)에 출력되어, 광축(49)으로부터 측방으로 퍼진 광 중에서, 제1 단차부(45)에서 반사된 광은, 광축(49)을 따른 광으로 되지 않아, 출사면(33)으로부터 출사되는 것이 억제된다.

    도 7에, 종래 기술의 광 파이버 단말 유닛을 나타낸다. 종래 기술의 광 파이버 단말 유닛에서는, 투광용의 광 파이버의 전면측에 조리개(71)를 마련하고, 또한, 비구면 렌즈(70)가 배치되어 있다. 이 구조에서는, 조리개(71)를 통과한 후에 도 6에 L3, L4로 나타낸 것처럼 확산하는 광을 차광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아, 비구면 렌즈(70)의 전면측으로부터 출사되어 버려, 외륜광을 유효하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조리개(71)의 유무에 관계없이, 도 6에 나타낸 것처럼, L3, L4로 나타낸 광이 출사면(33)으로부터 출사되는 것이 억제되므로, 외륜광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부터 도 11에는, 의장에 관계되는 물품인 투광 헤드의 광학 부재가 나타내져 있다. 본 물품(40)은, 검출 영역을 향하여 광을 출사하는 투광 헤드의 광학 부재이다. 도 1 등에 나타낸 것처럼, 이 본 물품(40)은, 투광 헤드로서 기능하는 광 파이버 헤드(30) 내에서, 광 파이버(31)나 발광부(21) 등의 투광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투광부로부터 출사된 광 LA를, 투과시켜 검출 영역을 향하여 출사시키는 것이다. 또, 본 물품(40)은, 전체로서 원통 형상을 이루고, 예를 들면 아크릴이나 유리 등의 광 투과성 재료로 형성된 부재이다. 본 물품(40)의 광축(49) 주위의 외주에는, 상기 광축을 따라 동축 상으로 배열되어, 본 물품(40) 내를 투과한 광을 내면 반사시키는 복수의 반사면(44A, 46A)이 형성되어 있다. 각 반사면(44A, 46A)은 광축(49)의 방향 전방을 향할수록 개구경 φ가 증대하는 환상 형상을 이루고, 앞에 위치하는 반사면(46A)의 후단은, 뒤에 위치하는 반사면(44A)의 전단보다도 개구경 φ가 작고, 제2 단차부(45)를 개재하여 상기 뒤에 위치하는 반사면(44A)의 전단에 결합되어 있다. 또, 도 8로부터 도 11에는, 실선으로 나타낸 부분이, 부분 의장으로서 의장 등록을 받으려고 하는 부분이다.

    3. 효과 설명

    상술한 본 실시 형태의 도광 부재(40)에서는, 전면측에 배치된 제2 반사부(46)의 후단측의 개구경 φ2B는, 후면측에 배치된 제1 반사부(44)의 후단측의 개구경 φ1F에 비하여 작다. 그 때문에, 제1 반사부(44)와 제2 반사부(46)를 결합하는 제2 단차부(45)는, 역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되어, 제2 단차부(45)에서 반사된 광이 출사면(33)으로부터 출사되는 것이 억제되는 것으로, 외륜광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본 실시 형태의 도광 부재(40)에서는, 전면측에 배치된 제2 반사부(46)의 경사 각도 θ2가, 후면측에 배치된 제1 반사부(44)의 전단측의 경사 각도 θ1보다도 작다. 그 때문에, 투광용의 광 파이버(31)로부터 출력되는 광을, 광축(49)에 대한 기울기에 따라 반사시켜, 반사된 광을 광축(49)을 따른 광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본 실시 형태의 도광 부재(40)에서는, 집광부(47)를 가지므로, 투광부로부터 출사된 광을 광축(49)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집광하는 것이 가능하여, 외륜광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본 실시 형태의 도광 부재(40)에서는, 투광용의 광 파이버(31)이 삽입되는 삽입공(41)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투광용의 광 파이버(31)와 도광 부재(40)의 상대 위치가 변화하는 것이 억제되어, 상대 위치의 변화에 의해 외륜광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본 실시 형태의 도광 부재(40)에서는, 반사부(44, 46)의 반사면(44A, 46A)가 도광 부재(40)의 측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므로, 복수의 반사면(44A, 46A)을 가지는 광학 부재를 용이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본 실시 형태의 광 파이버 헤드(30)에서는, 도광 부재(40)는 차광성을 가지는 차광 케이스(50)에 압입되어 지지되므로, 외부로부터 도광 부재(40)에 길 잃은 광이 들어와, 상기 길 잃은 광에 의해 외륜광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본 실시 형태의 광 파이버 센서(10)에서는, 광 파이버 헤드(30)의 전면을 덮는 전면 커버(61)를 가진다. 전면 커버(61)가 설치되면, 출사면(33)으로부터 출사된 외륜광이 전면 커버에서 반사되어 수광면(34)에 도달하고, 검출 영역에서 물체의 위치나 유무를 오검출 해버리는 것이 일어날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본 실시 형태의 광 파이버 헤드(30)에서는, 외륜광을 저감시켜, 외륜광의 발생이 억제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외륜광이 수광면(34)에 도달했다 하여도, 그 광량이 억제되어 있어, 검출 영역에서 물체의 위치나 유무를 오검출 해버리는 것이 억제된다.

    <다른 실시 형태>

    본 발명은 상기 기술 및 도면에 의해 설명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실시 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광 파이버 헤드(30)의 전면에 전면 커버(61)가 마련되어 있는 예를 이용하여 설명을 행하였지만, 전면 커버(61)는 반드시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2)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반사형의 광 파이버 헤드(30)의 예를 이용하여 설명을 행하였지만, 투광 헤드와 수광 헤드가 따로따로 마련되어, 서로에 대향하여 배치된 투과형의 광 파이버 헤드에 적용되어도 좋다.

    (3)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반사면(44A, 46A) 및 복수의 단차부(43,45)를 가지는 광학 부재를, 도광 부재(40)에 의해 구성되는 예를 이용하여 설명을 행하였지만, 이것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차광 케이스(50)에 반사율이 높은 광학 부재가 붙여져 반사면(44A, 46A)을 구성하고, 반사율이 낮은 광학 부재가 붙여져 단차부(43,45)를 형성하여도 좋다.

    (4)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광 부재(40)에 삽입공(41) 및 집광부(47)가 마련되어 있는 예를 이용하여 설명을 행하였지만, 이들 중 적어도 한쪽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5)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발광부(21)로부터 출력된 광을 투광용의 광 파이버(31)를 개재하여 도광 부재(40)에 출력하는 예를 이용하여 설명을 행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발광부(21)가 도광 부재(40)의 삽입공(41)에 삽입되어, 도광 부재(40)에 광을 출력하여도 좋다.

    (6)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반사부(44, 46)에서, 테이퍼 형상의 광축(49)에 대한 기울기가 직선인 예를 이용하여 설명을 행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포물선 등의 곡선 모양이어도 좋다.

    10: 광 파이버 센서, 20: 센서 본체부, 21: 발광부, 22: 투광 회로, 23: 수광부, 24: 수광 회로, 27: 제어 회로, 30: 광 파이버 헤드, 31, 32: 광 파이버, 33: 출사면, 34: 수광면, 40: 도광 부재, 41: 삽입공, 42: 본체부, 43: 제1 단차부, 44: 제1 반사부, 44A, 46A: 반사면, 45: 제2 단차부, 46: 제2 반사부, 47: 집광부, 48: 절취부, 49: 광축, 50: 차광 케이스, 53: 돌출부, 60: 본체 케이스, 61: 전면 커버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