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터제어유닛 자동 개폐 기능을 구비한 모터제어반

申请号 KR1020100101298 申请日 2010-10-18 公开(公告)号 KR101027705B1 公开(公告)日 2011-04-12
申请人 보국전기공업 주식회사; 发明人 곽기영;
摘要 PURPOSE: An MCC(Motor Control Center) including a function for automatically switching a motor control center unit is provided to improve the safety of a worker by outputting or inputting the motor control center unit by rotating a screw bolt. CONSTITUTION: A motor control panel is installed inside a motor control unit(20). An input and output control unit(40) is installed on the front of a motor control center. A driving unit(D) generates a drive force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of the input and output control unit. A driven unit(F) receives the drive force of the driving unit and outputs the motor control unit from a motor control unit mounting part or inputs the motor control unit to the motor control unit mounting part.
权利要求
  • 개별적인 모터를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모터제어유닛이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는 모터제어유닛장착부가 다단으로 형성된 모터제어반에 있어서,
    상기 모터제어반의 전면에 설치되는 인입인출제어수단;과,
    상기 모터제어유닛 또는 상기 모터제어유닛장착부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인입인출제어수단의 제어명령에 따라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유닛;과,
    상기 구동유닛이 설치되지 않은 상기 모터제어유닛 또는 상기 모터제어유닛장착부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력을 인가받아 상기 모터제어유닛을 상기 모터제어유닛장착부로부터 인출하거나 상기 모터제어유닛장착부로 인입시키는 종동유닛;을 구비한 인입인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인입인출수단은 상기 모터제어반의 전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와 모터제어반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모터제어유닛의 인출을 단계적으로 하기 위하여 상기 모터제어유닛 또는 상기 모터제어유닛장착부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모터제어유닛의 인입 종료 위치, 인출 종료 위치 및 중간 위치(테스트를 위해 모터제어유닛이 주모선과는 분리되고 모터측의 접속은 유지되는 위치)에 각각 리미트스위치(S)를 구비하고,
    상기 인입인출제어수단은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되는 거리정보를 기 설정된 거리 값과 비교하여 기 설정된 거리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구동유닛의 인출구동을 정지시키며, 상기 리미트스위치들로부터 스위칭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제어반.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원주둘레를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에 축결합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제어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유닛은,
    봉형으로 원주둘레를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종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의 양측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상기 모터제어유닛 또는 상기 모터제어유닛장착부 중 어느 하나에 고정시키는 서포트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제어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인출수단은,
    결합돌기가 형성된 결합부와 결합부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상기 종동유닛의 종동기어를 수동으로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동조작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종동기어의 단부면에는 결합돌기가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모터제어반의 전면에는 결합홈과 대향하는 위치에 수동조작수단삽입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제어반.
  • 说明书全文

    모터제어유닛 자동 개폐 기능을 구비한 모터제어반{MOTOR CONTROL CENTER HAVING A FUNCTION OF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MOTOR CONTROL CENTER UNIT}

    본 발명은 모터제어반(MCC: Motor Control Center)에 다수로 설치되는 각각의 모터제어유닛(Motor Control Center Unit)을 정확한 위치에 위치시키며 자동으로 인입 또는 인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모터제어유닛 자동 개폐 기능을 구비한 모터제어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터제어반(MCC: Motor Control Center)은 빌딩 등의 대형 구조물에 설치되는 소방수공급펌프, 배수펌프, 상수도 공급펌프 등의 다양한 기능을 위해 구비되는 펌프 구동을 위한 각각의 모터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 모터제어패널을 가지는 다수의 모터제어유닛(Motor Control Center Unit)이 장착된 제어반을 말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84497호에 개시된 종래기술의 모터제어반(Motor Control Center)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종래기술의 모터제어반(201)은 MCCB(Molded Case Circuit Breaker), MC(Magnetic Contactor), CT(Current Transfer), 캐패시터(Capacitor), CT 검출용 셀 및 통신장치(KEN)가 구비되는 패널(205)과, 패널(205)의 상부에 결합되어 하우징(209)으로 패널(205)의 인입 또는 인출을 용이하게 하도록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패널(203)을 포함하여 각각의 모터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다수의 모터제어유닛(Motor Control Center Unit)(204)들과 모터제어유닛(204)들이 모터제어반(201)의 내부로 인입 또는 내부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는 하우징(20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와 같이 하우징(209)의 내부에는 각각의 모터제어유닛(204)들이 전원을 공급받도록 접속되는 다수의 캐패시터(301)들과 끼움결합부재(309)들과 전원공급바(319)들이 설치된다.

    도 3과 같이 상기 슬라이딩패널(203)은 전면에 손잡이(215)가 형성되고, 양측에 고정레일(501)과 유동레일(503)이 결합된 슬라이딩레일(504)이 구비되어, 하우징(209)의 내부로 슬라이딩 되어 인입되거나 하우징(209)의 내부로부터 슬라이딩되며 인출되는 것에 의해 모터제어유닛(204)들의 인입 또는 인출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의 모터제어반(201)의 경우 모터제어유닛(204)이 슬라이딩되면서 기 설정된 위치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인입 또는 인출을 위한 슬라이딩 운동이 멈추는 때에 충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배선 또는 단자 등의 연결부가 풀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배선 또는 단자 등의 연결부위의 풀림에 의해 누전발생, 과도한 국부적인 열발생, 오동작 또는 감전사고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모터제어유닛(204)을 인출하는 경우 과도한 힘이 작용하여 인출력이 커지게 되면, 모터제어유닛(204)이 급격히 인출되어 인접된 작업자와 충돌하는 것에 의해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원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모터제어유닛의 인입 또는 인출 시 충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배선 또는 단자 등의 풀림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누전발생, 과도한 국부적인 열발생, 오동작 또는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모터제어반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는 모터제어유닛 자동 개폐 기능을 구비한 모터제어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 발명은 또한 모터제어유닛이 사용자인 일정 거리 이내로 인접하는 경우 모터제어유닛의 인출 작용을 멈추도록 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모터제어유닛 자동 개폐 기능을 구비한 모터제어반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모터제어유닛 자동 개폐 기능을 구비한 모터제어반은, 개별적인 모터를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모터제어유닛이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는 모터제어유닛장착부가 다단으로 형성된 모터제어반에 있어서, 상기 모터제어반의 전면에 설치되는 인입인출제어수단;과, 상기 모터제어유닛 또는 상기 모터제어유닛장착부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인입인출제어수단의 제어명령에 따라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유닛;과, 상기 구동유닛이 설치되지 않은 상기 모터제어유닛 또는 상기 모터제어유닛장착부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력을 인가받아 상기 모터제어유닛을 상기 모터제어유닛장착부로부터 인출하거나 상기 모터제어유닛장착부로 인입시키는 종동유닛;을 구비한 인입인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입인출수단은, 또한, 상기 모터제어반의 전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와 모터제어반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입인출제어수단은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되는 거리정보를 기 설정된 거리 값과 비교하여 기 설정된 거리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구동유닛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인입인출수단은, 또한, 상기 모터제어유닛 또는 상기 모터제어유닛장착부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모터제어유닛의 인입 종료 위치 또는 인출 종료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모터제어유닛의 인입 또는 인출을 종료시키는 리미트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입인출제어패널은 상기 리미트스위치로부터 스위칭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구동유닛은, 원주둘레를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에 축결합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종동유닛은, 봉형으로 원주둘레를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종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의 양측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상기 모터제어유닛 또는 상기 모터제어유닛장착부 중 어느 하나에 고정시키는 서포트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입인출수단은, 또한, 결합돌기가 형성된 결합부와 결합부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상기 종동유닛의 종동기어를 수동으로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동조작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종동기어의 상기 단부면에는 결합돌기가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모터제어반의 전면에는 결합홈과 대향하는 위치에 수동조작수단삽입구멍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원 발명은 모터제어반에 장창되는 모터제어유닛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스크류볼트를 회전시켜 인입 또는 인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모터제어유닛의 인입 및 인출 시의 작업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원 발명은 모터제어반에 장창되는 모터제어유닛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스크류볼트를 회전시켜 인입 또는 인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모터제어유닛의 인입 또는 인출 시 충격의 발생을 방지한다.

    또한 본원 발명은 모터제어유닛의 인입 또는 인출 시의 충격 발생의 방지에 의해 모터제어유닛의 인입 또는 인출 시 배선 또는 단자 등의 풀림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누전발생, 과도한 국부적인 열발생, 오동작 또는 감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한다.

    또한 본원 발명은 모터제어유닛의 인입 또는 인출 시 정확한 위치에 모터제어유닛을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원 발명은 전원 공급시에는 자동으로 단전 시에는 수동으로 모터제어유닛을 인입 또는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설치 및 유지보수 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한다.

    또한 본원 발명은 모터제어유닛이 인출되는 때에 사용자와의 거리가 일정거리 이내로 되는 경우 모터제어유닛의 인출동작을 멈추도록 하는 것에 의해 모터제어유닛이 사용자와 충돌하는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의 모터제어반(201)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 및 도 2의 모터제어반(201)의 슬라이딩 수납 기능을 가지는 모터제어유닛(204)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원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는 모터제어반(100)의 사시도.
    도 5는 구동유닛(D)이 모터제어유닛장착부(11)에 장착되고, 종동유닛(F)이 모터제어유닛(20)의 케이스(C) 저면에 형성된 안착홈(24)에 장착되는 본원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는 모터제어반(100)의 부분 사시도.
    도 6은 본원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모터제어반(100)에 장착되는 모터제어유닛(20)의 저면 사시도.
    도 7은 종동유닛(F)이 모터제어유닛장착부(11)에 장착되고, 구동유닛(D)이 모터제어유닛(20')의 케이스(C) 저면에 형성된 안착홈(24)에 장착되는 본원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는 모터제어반(100')의 부분 사시도.
    도 8은 본원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는 모터제어반(100')에 장착되는 모터제어유닛(20')의 저면 사시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원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는 모터제어반(100)의 사시도이고, 도 5는 구동유닛(D)이 모터제어유닛장착부(11)에 장착되고, 종동유닛(F)이 모터제어유닛(20)의 케이스(C) 저면에 형성된 안착홈(24)에 장착되는 본원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는 모터제어반(100)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 6은 본원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모터제어반(100)에 장착되는 모터제어유닛(20)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와 같이 모터제어반(100)은 모터제어유닛장착부(11)가 다단으로 형성된 외함(10)과, 본 발명의 인입인출수단(30)에 의해 각각의 모터제어유닛장착부(11)에 자동 또는 수동으로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는 다수의 모터제어유닛(20)들 및 모터제어유닛(20)들을 자동으로 인입 또는 인출시키는 인입인출수단(30)과 모터제어유닛(20)들을 수동으로 인입 또는 인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동조작수단(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5와 같이 상기 외함(10)의 각각의 모터제어유닛장착부(11)는 격판(10a)에 의해 구획된다. 상기 격판(10a)의 상부면 중 모터제어유닛(20)에 설치되는 인입인출수단(30)의 일 구성인 종동유닛(F)의 스크류볼트(31)에 대향하는 위치 중 전면에 인접되는 위치에 인입인출수단(30)의 또 다른 구성인 구동유닛(D)이 설치된다.

    모터제어유닛장착부(11)의 내부 양측벽에는 모터제어유닛(20)의 인입 또는 인출 시 모터제어유닛(20)의 슬라이드 이동을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레일(13)이 설치된다.

    도 5에는 미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모터제어유닛장착부(11)를 구획하는 격판(10a)에는 모터제어유닛(20)의 인출을 단계적으로 중지시키는 리미트스위치(S)들이 설치된다. 도 5의 경우 모터제어유닛장착부(11)의 내부 격판(10a)의 상부 좌측의 위치에 일렬로 3개의 리미트스위치(S)들이 형성된다. 이중 모터제어유닛장착부(11)의 입구측에 위치되는 리미트스위치(S)는 모터제어유닛(20)의 완전인출시 모터제어유닛(20)의 인출을 정지시킨다. 다음의 내부 중간에 위치되는 리미트스위치(S)는 모터제어유닛(20)이 테스트 위치로 인출되는 경우 모터제어유닛(20)의 인출을 정지시킨다. 이는 모터제어유닛(20)의 내부 구성 부품에 대한 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모선과의 결합이 분리되고 모터측의 접속은 유지된 상태를 가진다. 다음으로 최 내측에 위치되는 리미트스위치(S)는 모터제어유닛(20)이 주모선에 결합되는 완전 인입 상태에서 모터제어유닛(20)의 인입을 정지시킨다. 상기 리미트스위치(S)들은 다른 필요에 따라 3개 이상이 설치될 수도 있고, 하나의 리미트스위치(S)만이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3개의 리미트스위치(S)들이 장착된 위치들이 본원 발명의 인입 또는 인출 종료위치가 된다.

    외함(10)의 내부에는 도 2에 도시된 종래기술의 모터제어반(201)과 같이 접촉방지패널(313), 끼움결합부재(309), 하우징(209), 끼움결합부재(309), 전원공급바(319), 캐폐시터(301) 등이 설치된다. 또한 모터제어유닛(20)의 배면과 인접되는 위치에는 외부전원을 인가하는 1차외함접속단자(미도시), 외부전원을 각각의 모터로 공급하는 2차외함접속단자(미도시) 및 외부의 관제센터, 소방소 등의 제어 신호를 인가받는 3차외함접속단자(미도시)가 형성된다.

    도 6과 같이 모터제어유닛(20)은 내부에는 모터제어반(100)에 의해 제어되는 모터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MCCB(Molded Case Circuit Breaker), MC(Magnetic Contactor), CT(Current Transfer), 캐패시터(Capacitor), CT 검출용 셀 및 통신장치(KEN)가 구비되는 패널(205)(모터제어패널)이 설치되어 슬라이드되면서 모터제어유닛장착부(11)에 인입 또는 인출되는 케이스(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스(C)의 전면에는 구동유닛(D)의 구동모터(51)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전원램프(41), 인입버튼(42), 인출버튼(43) 및 수동버튼(44)이 형성되고 내부에 감지센서(60)의 거리신호 또는 각 버튼(42~44)들의 입력에 따라 구동모터(51)를 제어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탑재한 마이콤 또는 펌웨어 등을 구비하는 인입인출제어패널(40)과 자기장, 적외선, 초음파, 광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감지센서(60)가 부착되고, 종동유닛(F)의 스크류볼트(31)의 전면측에 위치되는 단부에 대향하는 면에는 수동조작수단삽입구멍(21)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C)의 저면 중 모터제어유닛(20)이 완전인입된 상태에서 모터제어유닛(20)의 인입을 중지시키는 위치에는 리미트스위치(S)들을 스위칭하기 위한 리미트돌기(P)가 형성된다.

    상기 인입인출제어패널(40)은 감지센서(60) 및 구동모터(51)와 신호제어선을 통해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된 인입인출제어패널(40)은 사용자의 인입버튼(42), 인출버튼(43) 또는 수동버튼(44)의 누름에 의해 입력되는 인입, 인출 또는 수동 조작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그에 따라 구동모터(51)의 구동을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된 인입인출제어패널(40)은 또한 감지센서(60)로부터 사용자와의 인접 거리 정보를 수신하여 인접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보다 작은 경우 구동모터(51)의 회전을 강제로 정지시켜 모터제어유닛(20)의 인출을 차단하여 모터제어유닛(20)이 사용자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한다. 이 후 사용자의 인입버튼(42), 인출버튼(43) 또는 수동버튼(44)의 누름에 의해 입력되는 인입, 인출 또는 수동 조작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그에 따라 구동모터(51)의 구동을 제어한다.

    케이스(C)의 외부 양측 벽에는 모터제어유닛장착부(11)에 형성된 가이드레일(13)이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는 가이드홈(22)이 형성된다. 가이드홈(22)의 내부에는 가이드레일(13)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볼베어링(23)이 설치된다.

    케이스(C)의 저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종동유닛(F)이 설치되는 안착홈(24)이 형성된다.

    도면에는 미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케이스(C)의 배면에는 각각의 1차외함접속단자(미도시), 2차외함접속단자(미도시) 및 3차외함접속단자(미도시)와 대향하는 각각의 위치에 1차접속단자, 2차접속단자 및 3차접속단자가 형성된다.

    본원 발명의 인입인출수단(30)은 상기 인입인출제어패널(40), 구동유닛(D), 종동유닛(F) 및 감지센서(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6을 참조하여 인입인출수단(30)의 구성 중 구동유닛(D)과 종동유닛(F)을 포함하는 본원 발명의 인입인출수단(30)을 설명한다.

    상기 구동유닛(D)은 스크류볼트(31)와 맞물리어 회전하는 웜기어(52)와 웜기어(52)가 축결합된 구동모터(5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웜기어(52)는 원통형의 외주연에 원주둘레를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서 본원 발명의 구동기어의 일 실시예가 된다.

    상기 종동유닛(F)은 스크류볼트(31)와 스크류볼트(31)의 양단부에서 스크류볼트(31)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서포트유닛(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크류볼트(31)의 모터제어유닛(20)의 전면에 대향하는 단부면에는 수동조작수단(90)의 결합돌기(92b)가 삽입되어 스크류볼트(31)를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결합홈(32)이 형성된다. 상기 서포트유닛(33)은 스크류볼트(3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스크류볼트(31)의 단부에 결합된 후 서포트유닛(33)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어링부재(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크류볼트(31)가 서포트유닛(33)에 의해 지지되는 경우 결합홈(32)이 형성된 스크류볼트(31)의 단부는 수동조작수단삽입구멍(21)을 통해 결합돌기(92b)와 결합될 수 있도록 전면으로 노출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스크류볼트(31)는 본원 발명의 종동기어의 일 실시예가 된다.

    다음으로 수동조작수단(90)을 설명한다.

    상기 수동조작수단(90)은 도 6과 같이, 손잡이(91)와 손잡이(91)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9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결합부(92)는 결합관(92a)과 결합관(92a)의 내부에서 스크류볼트(31)의 단부면에 형성된 결합홈(32)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92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성의 수동조작수단(90)은 정전 등으로 모터제어유닛(20)의 자동 인입 또는 인출이 불가능한 경우 결합부(92)를 수동조작수단삽입구멍(21)을 통해 삽입하여 결합홈(32)에 결합돌기(92b)를 결합한 후 수동으로 스크류볼트(31)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모터제어유닛(20)을 수동으로 인입 또는 인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의 제1실시예의 모터제어반(100)의 결합구조를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입인출수단(30)의 구동유닛(D)은 격판(10a)의 상부면에 장착되고, 종동유닛(F)은 모터제어유닛(20)의 저면에 형성된 안착홈(24)에 장착된다. 이때 스크류볼트(31)의 결합홈(32)이 형성된 단부면은 수동조작수단삽입구멍(21)과 대향하도록 위치된다. 그리고 인입인출수단(30)의 인입인출제어패널(40)과 감지센서(60)는 모터제어유닛(20)의 케이스(C) 전면에 부착된다. 인입인출제어패널(40)은 신호제어선에 의해 구동모터(51) 및 감지센서(60)와 연결된다.

    상기 구성의 모터제어유닛(20)이 모터제어유닛장착부(11)에 삽입되면 모터제어유닛장착부(11)에 구비된 가이드레일(13)이 각각 모터제어유닛(20)의 양측벽에 형성된 가이드홈(22)에 삽입되어 모터제어유닛(20)의 인입 또는 인출 운동을 유도하며 모터제어유닛(20)의 이탈을 방지한다.

    이때 모터제어유닛(20)의 저면에 장착된 종동유닛(F)의 스크류볼트(31)와 격판(10a)의 상부면에 장착된 구동유닛(D)의 웜기어(52)가 나사결합되는 것과 같이 서로 맞물리면서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인입버튼(42) 또는 인출버튼(43)을 누르면 구동모터(51)가 모터제어유닛(20)을 인입 또는 인출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모터제어유닛(20)을 인입 또는 인출시킨다. 이러한 인입 또는 인출 과정은 모터제어유닛(20)의 저면에 설치된 리미트돌기(P)에 의해 모터제어유닛장착부(11)의 내부에 설치된 리미트스위치(S) 중 하나가 눌리는 경우 종료된다. 이후 다시 인입버튼(42) 또는 인출버튼(43)이 눌리는 경우 다음 리미트스위치(S)가 눌릴 때까지 인입 또는 인출 동작이 다시 수행된다.

    이 중 모터제어유닛(20)의 인출 시 인입인출제어패널(40)은 감지센서(60)로부터 감지된 사용자와의 거리 정보가 기 설정된 거리 이내의 값을 가지는 경우 구동모터(51)의 구동을 정지시켜 모터제어유닛(20)이 사용자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수동버튼(44)이 눌리는 경우에는 구동모터(51)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사용자가 수동조작수단(90)을 이용하여 스크류볼트(31)를 회전시킴으로써 수동으로 모터제어유닛(20)을 모터제어유닛장착부(11)에 인입하거나 모터제어유닛장착부(11)로부터 인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7 및 도 8은 본원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는 모터제어반(100')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7은 종동유닛(F)이 외함(10')의 모터제어유닛장착부(11)에 장착되고, 구동유닛(D)이 모터제어유닛(20')의 케이스(C) 저면에 형성된 안착홈(24)에 장착되는 본원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는 모터제어반(100')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8은 본원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는 모터제어반(100')에 장착되는 모터제어유닛(20')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인입인출수단(30) 중 종동유닛(F)은 모터제어유닛장착부(11)에 설치되고, 구동유닛(D)이 모터제어유닛(20')의 저면에 형성된 안착홈(24)에 장착된다.

    상기 구조의 경우 구동모터(51)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모터제어유닛(20)으로부터 직접 공급받게 되므로 설치 및 모터제어유닛(20)의 인입 인출 동작이 용이하게 된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동기어를 웜기어(52)로 하고, 종동기어를 스크류볼트(31)로 도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구동기어와 종동기어는 래크와 피니언 등의 다양한 기어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인입인출수단(30) 중 구동유닛(D) 및 종동유닛(F)이 기어결합에 의해 구동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인입인출수단(30)은 유압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로드와 유압실린더를 구비한 유압장치 등으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의 외함(10')과 모터제어유닛(20')의 구동유닛(D) 및 종동유닛(F)의 설치 위치를 제외한 다른 구성은 도 5 및 도 6의 외함(10')과 모터제어유닛(20')의 구성과 동일하다.

    또한 본원 발명은 도면에는 미 도시되어 있으나 상술한 도 5 및 도 7의 리미트스위치(S)들과 도 6 및 도 8의 리미트스위치돌기(P)들은 상술한 구성과 달리 리미트스위치들이 모터제어유닛(20)의 저면에 순차적으로 설치되고, 리미트돌기는 모터제어유닛장착부(11)의 격판(10a)의 상부 중 모터제어유닛(20)의 전면측에 위치되는 리미트스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모터제어유닛(20)의 전면측에 위치되는 리미트스위치가 완전인입상태를 나타내며, 중간 리미트스위치가 테스트위치를 나타내고, 최 내측에 위치되는 리미트스위치가 완전인출위치를 나타낸다.

    100, 100': 모터제어반(MCC: Motor Control Center), 10, 10': 외함
    10a: 격판, 11: 모터제어유닛장착부, 13: 가이드레일
    20, 20': 모터제어유닛(Motor Control Center Unit), C: 케이스
    21: 수동조작수단삽입구멍, 22: 가이드홈, 23: 볼베어링, 24: 안착홈
    30: 인입인출수단, F: 종동유닛, 31: 스크류볼트, 32: 결합홈, 33: 서포트유닛
    D: 구동유닛, 51: 구동모터, 52: 웜기어
    40: 인입인출제어패널, 41: 전원램프, 42: 인입버튼, 43: 인출버튼, 44: 수동버튼
    60: 감지센서
    90: 수동조작수단, 91: 손잡이, 92: 결합부, 92a: 결합관, 92b: 결합돌기
    P: 리미트돌기, S: 리미트스위치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