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완동물용 배설물 수거 장치

申请号 KR1020160141208 申请日 2016-10-27 公开(公告)号 KR101744891B1 公开(公告)日 2017-06-08
申请人 조경은; 发明人 조경은;
摘要 본발명은애완동물용배설물수거장치에관한것으로서, 애완동물의배설구주변을감싸는것으로서, 상기애완동물의배설구와꼬리가위치하는부위에일정크기의꼬리통과홀이형성된본체; 상기본체에대하여탈부착되는것으로서, 상기꼬리통과홀과연통되는연통홀이형성된부착부와, 상기부착부의일면으로부터연장되되, 그일측에는상기꼬리가통과되기위한수납홀이형성된봉지부로구성된배설물수거부를포함한다.
权利要求
  • 애완동물의 배설구 주변을 감싸는 것으로서, 상기 애완동물의 배설구와 꼬리가 위치하는 부위에 일정 크기의 꼬리 통과홀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에 대하여 탈부착 되는 것으로서, 상기 꼬리 통과홀과 연통되는 연통홀이 형성된 부착부와, 상기 부착부의 일면으로부터 연장되되, 그 일측에는 상기 꼬리가 통과되기 위한 수납홀이 형성된 봉지부로 구성된 배설물 수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꼬리 통과홀에는, 각각 통과홀의 직경이 다른 복수의 조절부가 탈부착됨에 따라 상기 꼬리 통과홀의 크기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배설물 수거부의 부착부는, 상기 복수의 조절부 중, 어느 하나의 조절부와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배설물 수거부는, 상기 부착부가 상기 본체의 꼬리 통과홀 외면 둘레에 부착되되,
    상기 부착부의 연통홀 크기에 따라 상기 꼬리 통과홀의 크기가 달라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배설물 수거부의 봉지부 선단에는, 조임 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배설물 수거부의 일측에는, 배설물의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냄새 센서부(300)가 배치되고,
    상기 냄새 센서부(300)가 배설물을 감지하게 되는 경우, 감지 신호를 선택된 휴대용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배설물 수거부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배설물 수거 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说明书全文

    애완동물용 배설물 수거 장치{Apparatus for excrements collecting of pet}

    본 발명은 애완동물용 배설물 수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애완동물의 배설구 주변에 착용시킨 상태에서, 애완동물이 배설물을 배설하게 되면 이를 위생적이면서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애완동물용 배설물 수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집안의 실내 공간에서 강아지나 고양이 등과 같은 애완동물을 키우는 가정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따라서, 훈련되지 않은 애완동물은 집안의 실내 아무 곳에나 배설물을 배설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는 애완동물을 키우는 입장에서는 하나의 문제점으로 인식될 수 있다.

    특히, 애완동물을 데리고 집밖 공간 즉, 공동주택 단지나 공원 등을 산책하게 되는 경우, 애완동물이 아무데서나 배설물을 배설하게 되는 경우가 있으며, 이의 경우 타인에게 불쾌감을 초래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애완동물의 주인은 일회용 비닐봉투와 휴지 등을 휴대하고 다니면서, 애완동물이 배설물을 배설하게 되면 이를 직접 휴지와 비닐봉투 등을 이용하여 직접 손으로 치우고 있는 실정이나, 이는 애완동물의 주인도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비위생적이고, 특히 길 바닥에 배설물의 흔적이 남게 되어 여전히 타인에게 불쾌감을 초래하는 등의 문제점이 해소되지 못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0843589호(2008.06.2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애완동물의 배설구 주변에 용이하게 착용시킬 수 있으며, 애완동물이 배설물을 배설하게 되면 간단하면서도 위생적으로 수거할 수 있는 애완동물용 배설물 수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다양한 크기의 애완동물 즉, 꼬리의 크기가 다른 애완동물들에도 모두 착용시킬 수 있는 애완동물용 배설물 수거 정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애완동물이 배설물을 배설하게 되면, 이의 신호를 애완동물 주인의 휴대용 단말기로 송신하여 애완동물 주인이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애완동물의 배설물을 보다 신속하게 수거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애완동물용 배설물 수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배설물 수거장치는, 애완동물의 배설구 주변을 감싸는 것으로서, 상기 애완동물의 배설구와 꼬리가 위치하는 부위에 일정 크기의 꼬리 통과홀이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에 대하여 탈부착 되는 것으로서, 상기 꼬리 통과홀과 연통되는 연통홀이 형성된 부착부와, 상기 부착부의 일면으로부터 연장되되, 그 일측에는 상기 꼬리가 통과되기 위한 수납홀이 형성된 봉지부로 구성된 배설물 수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꼬리 통과홀에는, 각각 통과홀의 직경이 다른 복수의 조절부가 탈부착됨에 따라 상기 꼬리 통과홀의 크기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배설물 수거부의 부착부는, 상기 복수의 조절부 중, 어느 하나의 조절부와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배설물 수거부는, 상기 부착부가 상기 본체의 꼬리 통과홀 외면 둘레에 부착되되, 상기 부착부의 연통홀 크기에 따라 상기 꼬리 통과홀의 크기가 달라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배설물 수거부의 봉지부 선단에는, 조임 끈이 형 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배설물 수거부의 일측에는, 배설물의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냄새 센서부(300)가 배치되고, 상기 냄새 센서부(300)가 배설물을 감지하게 되는 경우, 감지 신호를 선택된 휴대용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배설물 수거부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배설물 수거 장치에 의하면, 애완동물의 배설구 주변에 용이하게 착용시킬 수 있으며, 애완동물이 배설물을 배설하게 되면 간단하면서도 위생적으로 수거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배설물 수거 장치에 의하면, 다양한 크기의 애완동물 즉, 꼬리의 크기가 다른 애완동물들에도 모두 착용시킬 수 있는 효과도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배설물 수거 장치에 의하면, 애완동물이 배설물을 배설하게 되면, 이의 신호가 애완동물 주인의 휴대용 단말기로 송신되어 애완동물 주인이 인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애완동물의 배설물을 보다 신속하게 수거하여 처리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배설물 수거 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설물 수거 장치를 애완동물이 착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설물 수거 장치에서, 애완동물의 꼬리 통과홀 주변에 부착되어 꼬리 통과홀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부들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조절부들이 본체의 꼬리 통과홀 주변에 부착되는 관계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배설물 수거 장치에서, 배설물 수거부의 사시도.
    도 6은 배설물 수거부를 수거하여 폐기시키기 위해 조임끈을 묶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배설물 수거 장치와, 애완동물의 주인이 휴대하는 휴대용 단말기 간의 통신 관계를 도시한 블록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배설물 수거 장치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배설물 수거 장치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설물 수거 장치를 애완동물이 착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배설물 수거 장치(100)는, 본체(110) 및 이 본체(110)에 대하여 착탈되는 배설물 수거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0)는, 애완동물(10)의 배설구(20) 주변을 감싸되, 배설구(20) 및 꼬리가 위치하는 부위에 일정 크기의 꼬리 통과홀(130)이 형성된 기저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110)의 내면에는 애완동물(10)의 소변을 흡수할 수 있도록 흡수율이 우수한 흡수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양측의 선단과 후단에는 각각 연결구(120)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110)를 애완동물(10)의 배설구(20) 주변을 감싸도록 한 후, 연결구(120)들을 통해 서로 연결하게 되면,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를 애완동물(10)의 배설구(20) 주변을 마치 기저귀와 같이 착용시킬 수 있다.

    이때, 본체(110)의 꼬리 통과홀(130)을 통해 애완동물(10)의 꼬리가 통과되도록 함으로써, 본체(110)를 애완동물(10)의 배설구(20) 주변에 착용시킴에 있어 걸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설물 수거 장치(100)의 경우, 본체(110)의 연결구(120)가 일명 찍찍이와 같은 벨크로 타입인 것을 일 예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연결구(120)는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벨트나 또는 끈 등이 적용될 수도 있다.

    즉, 본체(110)의 연결구(120)가 벨크로 타입인 것이 적용되거나, 또는 벨트, 끈 등이 적용되는 경우, 애완동물의 몸체 크기에 구애 받지 않고 다양한 크기의 애완동물에 범용으로 적용하여 착용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체(110)의 꼬리 통과홀(130)의 경우, 작은 크기의 애완동물은 물론 비교적 몸체가 큰 애완동물의 꼬리도 통과할 수 있도록 일정 크기 이상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비교적 몸체의 크기가 큰 애완동물의 꼬리가 통과될 수 있는 일정 크기 이상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꼬리 통과홀(130)의 외면 측 둘레에는 일정 간격만큼 벨크로 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벨크로 면을 대신하여 소정의 접착력을 갖는 점착 면이 형성될 수도 있다.

    꼬리 통과홀(130)의 외면 측 둘레에 형성되는 벨크로 면 또는 점착 면은 평상 시 보호 커버(미도시됨)에 의해 덮여진 상태를 유지하며, 필요에 따라 보호 커버를 떼어낸 후, 벨크로 면 또는 점착 면에 배설물 수거부(200)를 착탈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설물 수거 장치에서, 애완동물의 꼬리 통과홀 주변에 부착되어 꼬리 통과홀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부들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조절부들이 본체의 꼬리 통과홀 주변에 부착되는 관계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배설물 수거 장치에서, 배설물 수거부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배설물 수거부를 수거하여 폐기시키기 위해 조임 끈을 묶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체(110)의 꼬리 통과홀(130) 주변에 순차적으로 부착됨에 따라 꼬리 통과홀(130)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부(150,160,170)들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뒷받침하기 위한 도면에서는, 조절부(150,160,170)가 모두 3개 구비되어 꼬리 통과홀(130)의 크기가 3단으로 조절되는 것을 일 예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그 개수는 가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꼬리 통과홀(130)의 크기 또한 다단으로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배설물 수거 장치(100)는, 본체(110)의 꼬리 통과홀(130)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가 제1 조절부(150)와, 제2 조절부(160) 및 제3 조절부(170)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조절부(150)는 본체(110)의 꼬리 통과홀(130) 보다 직경이 다소 작은 통과홀(154)을 갖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면에는 제1 점착부(152)가 형성되고, 배면에는 본체(110)의 꼬리 통과홀(130) 주변에 형성된 벨크로 면 또는 점착 면과 부착되는 제2 점착부(미도시됨)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조절부(160)는 제1 조절부(150)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크기로 구비되되, 제1 조절부(150)의 통과홀(154) 보다 직경이 다소 작은 통과홀(164)을 갖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면에는 제1 점착부(162)가 형성되고, 배면에는 제1 조절부(150)의 제1 점착부와 부착되는 제2 점착부(미도시됨)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조절부(170)는 제2 조절부(160)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크기로 구비되되, 제2 조절부(160)의 통과홀(164) 보다 직경이 다소 작은 통과홀(174)을 갖는 링 형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면에는 제1 점착부(172)가 형성되고, 배면에는 제2 조절부(160)의 제1 점착부(162)와 부착되는 제2 점착부(미도시됨)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110)의 꼬리 통과홀(130) 주변에 조절부(150,160,170)들이 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꼬리 통과홀(130)의 크기가 가장 크게 되고, 본체(110)의 꼬리 통과홀(130) 주변에 제1 조절부(150)만 부착된 상태에서는 꼬리 통과홀(130)의 크기가 조금 작아지게 되며, 본체(110)의 꼬리 통과홀(130) 주변에 제1 조절부(150)와 제2 조절부(160)가 순차적으로 부착된 상태에서는 꼬리 통과홀(130)의 크기가 조금 더 작아지게 된다.

    그리고, 본체(110)의 꼬리 통과홀(130) 주변에 제1 조절부(150)와 제2 조절부(160) 및 제3 조절부(170)가 순차적으로 부착된 상태에서는 꼬리 통과홀(130)의 크기가 가장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애완동물(10)의 주인은 자신이 키우는 애완동물의 몸체 크기 즉, 애완동물의 꼬리 크기에 맞춰 상기 조절부(150,160,170)들을 부착시키거나 떼어냄으로써, 꼬리 통과홀(130)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배설물 수거부(200)는, 본체(110)의 꼬리 통과홀(130)과 연통되도록 착탈이 이루어지는 링 형상의 부착부(210)와, 이 부착부(210)의 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꼬리 통과홀(130)을 감쌀 수 있는 봉지부(도면부호 미부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부착부(210)의 일 면에는 본체(110)의 벨크로 면 또는 점착 면과, 조절부(150,160,170)의 제1 접착부(152,162,172)들과 부착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역시 벨크로 면 또는 점착 면이 형성될 수 있고, 타 면에는 봉지부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링 형상의 부착부(210)는 본체(110)의 꼬리 통과홀(130)과 연통이 이루어지는 연통홀(212)이 형성되고, 봉지부에도 애완동물의 꼬리가 통과될 수 있는 수납홀(22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본체(110)의 꼬리 통과홀(130) 주변 외면에 형성된 벨크로 면 또는 점착 면에 배설물 수거부(200)의 부착부(210)를 부착시키거나, 또는 복수의 조절부(150,160,170)들 중 어느 하나의 조절부의 제1 점착부(152,162,172)에 배설물 수거부(200)의 부착부(210)를 부착시키게 되면, 애완동물(10)의 꼬리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꼬리 통과홀(130)과 배설물 수거부(200)의 부착부(210)에 형성된 연통홀(212) 및 봉지부의 수납홀(220)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게 된다.

    한편, 강아지나 고양이와 같이 네 발로 보행하는 애완동물의 경우, 꼬리의 아래쪽에 배설구가 위치하게 됨으로써, 배설구는 본체(110)의 꼬리 통과홀(130)과 배설물 수거부(200)의 부착부(210)에 형성되는 연통홀(212)과 연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배설구(20)를 통해 배설되는 배설물은 본체(110)의 꼬리 통과홀(130)과 배설물 수거부(200)의 부착부(210)에 형성되는 연통홀(212)을 통해 봉지부로 수거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작동 관계는 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배설물 수거부(200)는, 다양한 크기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착부(210)의 연통홀 크기와, 봉지부의 크기가 다르게 제공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애완동물(10)은 그 몸체의 크기가 다양하므로, 그 꼬리와 배설구(20)의 크기도 각각 다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배설물의 양 또한 다르게 된다.

    따라서, 배설물 수거부(200)의 경우 몸체가 작은 애완동물용과, 중간 크기의 몸체 크기의 애완동물용과, 비교적 몸체의 크기가 큰 애완동물용 등의 것으로 구분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1호부터 3호로 구분하여 크기가 다른 배설물 수거부(200)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애완동물의 주인은 자신이 키우고 있는 애완동물(10)의 크기에 맞는 배설물 수거부(200)를 구비한 후, 이를 필요에 따라 본체(110)에 부착시킴으로써, 집안에서나 또는 산책 중에 애완동물이 배설하는 배설물을 용이하게 수거하여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배설물 수거부(200)는, 부착부(210)의 크기가 제1 조절부(150) 크기에 대응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고, 부착부(210)의 크기가 제2 조절부(160) 크기에 대응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으며, 부착부(210)의 크기가 제3 조절부(170) 크기에 대응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애완동물의 주인은 자신이 키우는 애완동물의 몸체 크기 즉, 꼬리의 크기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이 조절부(150,160,170)의 탈부착에 의해 꼬리 통과홀(130)의 크기를 조절한 후, 조절부(150,160,170)의 크기에 대응하는 부착부(210)를 갖는 배설물 수거부(200)를 구비하여 조절부(150,160,170)에 부착부(210)를 부착시킴에 따라 꼬리 통과홀(130)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배설물 수거부의 경우 부착부의 외경 크기는 본체(110)의 꼬리 통과홀(130) 주변의 벨크로 면 또는 점착 면에 부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내경 크기만 다르게 형성된 것이 복수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의 경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조절부들의 구성은 배제시킨 상태에서, 내경의 크기가 다른 배설물 수거부들 중, 자신이 키우는 애완동물의 몸체 크기에 맞는 배설물 수거부를 구비하여 본체(110)에 직접 탈부착 시킴에 따라 꼬리 통과홀(130)의 크기를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배설물 수거부(200)의 봉지부 선단에는 조임 끈(2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설물 수거부(200)의 봉지부 선단에 조임 끈(220)이 형성되는 경우, 애완동물(10)이 배설구(20)를 통해 배설물을 배설하여 봉지부에 배설물이 쌓인 상태에서, 조임 끈(220)을 조이게 되면 배설물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악취 발생의 우려도 불식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완동물(10)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설물 수거 장치(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배설구(20)를 통해 배설물을 배설하게 되면, 배설물은 본체(110)의 꼬리 통과홀(130)과, 배설물 수거부(200)의 부착부(210)에 형성된 연통홀(212)을 통해 봉지부에 포집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애완동물의 주인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설물 수거부(200)의 부착부(210)를 본체(110)로부터 분리시킨 다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임 끈(220)을 조이게 되면 배설물이 외부로 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악취 발생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애완동물의 주인은 배설물 수거부(200)만을 따로 버리기 수월해짐은 물론 폐기 장소까지 휴대도 가능하게 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배설물 수거 장치(100)의 경우, 배설물 수거부(200)를 이루는 부착부(210)와 봉지부는 쉽게 썩거나 분해될 수 있는 친환경 재질인 것으로 제작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땅 속에 묻거나 바다 속에 버려두면 세균이나 조류, 곰팡이와 같은 자연에 존재하는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어 저분자화합물이 되었다가 최종적으로 물과 이산화탄소 또는 물과 메테인 가스로 변하게 되는 생분해성 재질 즉,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배설물 수거부(200)에 애완동물의 배설물이 포집된 상태에서, 이를 버리게 되더라도 환경오염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배설물 수거부(200)를 폐기시킨 상태에서, 애완동물의 주인은 다른 배설물 수거부(200)를 본체(110)의 꼬리 통과홀(130) 주변 또는 조절부(150,160,170)에 대하여 다시 부착시키게 되면, 애완동물이 다음에 배설물을 배설하기 전까지 안전하게 애완동물을 데리고 산책 등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배설물 수거 장치와, 애완동물의 주인이 휴대하는 휴대용 단말기 간의 통신 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애완동물이 배설물을 배설하여 배설물 수거부(200)의 봉지부에 배설물이 포집된 상태에서, 애완동물의 주인이 미처 이를 인지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의 경우, 배설물 처리가 지연됨에 따라 애완동물이 불편함을 느낄 수 있음은 물론 배설물이 외부로 새어 주변 사람들에게 피해를 입히게 되는 경우도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애완동물이 배설물을 배설하여 배설물 수거부(200)의 봉지부에 배설물이 포집되면, 이를 실시간으로 애완동물의 주인에게 인지시키도록 함으로써, 신속한 배설물 처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b를 참조하면 배설물 수거 장치(100)의 일측에는 배설물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부(300)가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애완동물(10)의 배설구(20) 주변인 본체(110)의 꼬리 통과홀(130) 주변에 센서부(3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센서부(300)는 배설물의 냄새를 감지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센서부(300)가 배설물을 감지하게 되면, 센서부(300)는 감지된 신호를 무선통신에 의해 애완동물 주인의 휴대용 단말기(400) 즉, 항상 휴대하고 다니는 이동통신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애완동물의 주인은 애완동물이 배설물을 배설하였는지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센서부(300)가 무선통신에 의해 애완동물 주인의 이동통신단말기로 배설물 감지 신호를 송신하게 되면, 애완동물 주인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알람을 발생하거나 또는 문자 메시지 등으로 수신할 수 있으며, 또는 별도의 애완동물 관리 앱(App)을 통해 이의 신호를 전달받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배설물 수거 장치 110 : 본체
    130 : 꼬리 통과홀 150,160,170 : 조절부
    200 : 배설물 수거부 210 : 부착부
    212 : 연통홀 220 : 수납홀
    230 : 조임 끈 300 : 센서부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