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ft recoil system and cannon having the same

申请号 KR20120039384 申请日 2012-04-16 公开(公告)号 KR101200748B1 公开(公告)日 2012-11-13
申请人 发明人
摘要 PURPOSE: A soft recoil system and a cannon with the same is provided to reduce not only recoil force but also recoil length by offsetting some of recoiling movement with front movement because ammunition is fired in a process in which a recoiling unit is moved to a front side by a forward movement generation device. CONSTITUTION: A soft recoil system(200) comprises a barrel returning device(210), a barrel fixing device(220), and a forward movement generation device(230). The barrel returning device is mounted on a recoil mechanism(160) absorbing recoiling force when firing ammunition. The barrel returning device pushes a breech ring(150) to a rear side so that a barrel is placed on a pre-set fixing position. The barrel fixing device is installed in the recoil mechanism. The barrel fixing device fixes a barrel when the barrel is returned to the pre-set position. The forward movement generation device is connected to the recoil mechanism and breech ring and moves the barrel forward by transferring power to the breech ring so that the ammunition is fired when the barrel is moved forward.
权利要求
  • 탄약의 발사시 주퇴력을 흡수하도록 형성되는 주퇴기에 장착되고, 포신이 기설정된 고정위치에 놓일 수 있도록 상기 포신의 후단부에 결합된 포미환을 후방으로 가압하도록 이루어지는 포신 복귀장치;
    상기 주퇴기에 설치되며, 상기 포신이 상기 고정위치로 복귀되면 상기 포신을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포신 고정장치; 및
    상기 주퇴기와 상기 포미환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포신의 전방 이동 중에 상기 탄약이 격발될 수 있도록 상기 포미환에 힘을 가하여 상기 포신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탄약의 격발에 의한 주퇴운동량의 일부가 전방운동량과 상쇄되어 주퇴력을 저감시키도록 형성되는 전방운동량 발생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식 주퇴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퇴기에 장착되어 상기 탄약의 격발 과정에서 상기 포미환과 서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브래킷에 설치되며, 상기 포미환이 상기 전방운동량 발생장치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포미환과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탄약을 격발시키도록 형성되는 격발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식 주퇴 시스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신 고정장치는,
    상기 주퇴기에 장착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일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포미환에 걸림되도록 형성되고 타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걸림이 해제되도록 형성되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식 주퇴 시스템.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주퇴기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주퇴기의 상부에 인접한 상기 포미환의 상부에 걸림 및 걸림해제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에 걸림되는 상기 포미환의 상부는 상기 탄약의 격발에 의한 주퇴시 상기 포신 고정장치를 지나 후방으로 이동되었다가 상기 전방운동량 발생장치에 의해 다시 전방으로 이동되어 타방향으로 회전된 상기 회전부에 걸려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식 주퇴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신 복귀장치는,
    상기 주퇴기에 장착되는 제1실린더; 및
    상기 제1실린더의 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공기압 또는 유압에 의해 조절되어 상기 포신이 상기 고정위치에 놓일 수 있게 상기 포미환을 가압하도록 이루어지는 제1피스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식 주퇴 시스템.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피스톤은 상기 포신이 상기 포신 고정장치에 의해 고정되면 초기위치로 복귀하게 되며,
    상기 초기위치에서 상기 제1피스톤은 상기 주퇴기와 상기 포미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탄약의 불발시 상기 포미환과 접촉되어 상기 포미환에 전달되는 힘을 흡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식 주퇴 시스템.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운동량 발생장치는,
    상기 주퇴기에 장착되는 제2실린더; 및
    상기 제2실린더의 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포미환에 장착되며, 공기압 또는 유압에 의해 조절되어 상기 포미환을 끌어당겨 상기 포신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제2피스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식 주퇴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신 복귀장치 및 상기 전방운동량 발생장치 각각은 상기 포미환이 균일한 힘을 받을 수 있도록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되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식 주퇴 시스템.
  • 삭제
  • 탄약이 특정된 발사방향을 따라 발사되도록 일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는 포신;
    상기 포신의 후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포신과 함께 주퇴 및 복좌되는 포미환;
    상기 포신에 장착되며, 상기 탄약의 발사시 주퇴력을 흡수하도록 이루어지는 주퇴기;
    상기 주퇴기에 장착되고, 상기 포신이 기설정된 고정위치에 놓일 수 있도록 상기 포미환을 후방으로 가압하도록 이루어지는 포신 복귀장치;
    상기 주퇴기에 설치되며, 상기 포신이 상기 고정위치로 복귀되면 상기 포신을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포신 고정장치; 및
    상기 주퇴기와 상기 포미환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포신의 전방 이동 중에 상기 탄약이 격발될 수 있도록 상기 포미환에 힘을 가하여 상기 포신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탄약의 격발에 의한 주퇴운동량의 일부가 전방운동량과 상쇄되어 주퇴력을 저감시키도록 형성되는 전방운동량 발생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포.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주퇴기에 장착되고, 상기 탄약의 격발 과정에서 상기 포미환과 서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브래킷; 및
    상기 브래킷에 설치되며, 상기 포미환이 상기 전방운동량 발생장치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포미환과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탄약을 격발시키도록 형성되는 격발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포.
  • 삭제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포신 고정장치는,
    상기 주퇴기에 장착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일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포미환에 걸림되도록 형성되고 타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걸림이 해제되도록 형성되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포.
  •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주퇴기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주퇴기의 상부에 인접한 상기 포미환의 상부에 걸림 및 걸림해제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에 걸림되는 상기 포미환의 상부는 상기 탄약의 격발에 의한 주퇴시 상기 포신 고정장치를 지나 후방으로 이동되었다가 상기 전방운동량 발생장치에 의해 다시 전방으로 이동되어 타방향으로 회전된 상기 회전부에 걸려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포.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포신 복귀장치는,
    상기 주퇴기에 장착되는 제1실린더; 및
    상기 제1실린더의 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공기압 또는 유압에 의해 조절되어 상기 포신이 상기 고정위치에 놓일 수 있게 상기 포미환을 가압하도록 이루어지는 제1피스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포.
  •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피스톤은 상기 포신이 상기 포신 고정장치에 의해 고정되면 초기위치로 복귀하게 되며,
    상기 초기위치에서 상기 제1피스톤은 상기 주퇴기와 상기 포미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탄약의 불발시 상기 포미환과 접촉되어 상기 포미환에 전달되는 힘을 흡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포.
  •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운동량 발생장치는,
    상기 주퇴기에 장착되는 제2실린더; 및
    상기 제2실린더의 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포미환에 장착되며, 공기압 또는 유압에 의해 조절되어 상기 포미환을 끌어당겨 상기 포신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제2피스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포.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포신 복귀장치 및 상기 전방운동량 발생장치 각각은 상기 포미환이 균일한 힘을 받을 수 있도록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되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포.
  • 삭제
  • 说明书全文

    연식 주퇴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화포{SOFT RECOIL SYSTEM AND CANNON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주퇴력 및 주퇴거리를 저감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연식 주퇴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화포에 관한 것이다.

    포탄이 발사되는 과정에서 작용/반작용의 법칙에 따라 포탄에 작용되는 힘과 동일한 크기의 힘이 포신에 작용된다. 이 힘으로 인하여 포신은 포탄의 발사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주퇴). 따라서 뒤로 밀린 포신은 포탄의 발사 후에 원래의 위치로 돌아갈 수 있어야 한다(복좌).

    일반적으로 전차(Tank)에 장착되는 화포는 정지 상태에서 발사가 이루어진다. 이 경우 사격시 발생하는 반동하중은 120미리 전차포를 기준으로 약 100톤 가량으로서, 사격 후 상당한 거리의 만큼의 포신의 후진운동을 피할 수 없다. 따라서, 포신을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게 하기 위하여 복좌기가 사용된다.

    화포의 주퇴력을 저감시키기 위한 한 방법으로 사격충격력을 일정 시간 동안 지연시키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주퇴거리를 늘리는 방법밖에는 없다. 따라서, 상기 주퇴에 저항하여 주퇴력뿐만 아니라 주퇴거리를 저감시킬 수 있는 연식 주퇴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화포가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주퇴력뿐만 아니라 주퇴거리를 저감시킬 수 있는 연식 주퇴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화포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연식 주퇴 시스템은 탄약의 발사시 주퇴력을 흡수하도록 형성되는 주퇴기에 장착되고 포신이 기설정된 고정위치에 놓일 수 있도록 상기 포신의 후단부에 결합된 포미환을 후방으로 가압하도록 이루어지는 포신 복귀장치와, 상기 주퇴기에 설치되며 상기 포신이 상기 고정위치로 복귀되면 상기 포신을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포신 고정장치, 및 상기 주퇴기와 상기 포미환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포신의 전방 이동 중에 상기 탄약이 격발될 수 있도록 상기 포미환에 힘을 가하여 상기 포신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탄약의 격발에 의한 주퇴운동량의 일부가 전방운동량과 상쇄되어 주퇴력을 저감시키도록 형성되는 전방운동량 발생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연식 주퇴 시스템은 상기 주퇴기와 결합되는 브래킷에 설치되며 상기 포미환이 상기 전방운동량 발생장치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포미환과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탄약을 격발시키도록 형성되는 격발장치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포신 고정장치는 상기 포미환을 향하여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포신이 상기 고정위치로 복귀되면 상기 포미환에 걸림되어 상기 포신을 고정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포신 고정장치는 상기 주퇴기에 장착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일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포미환에 걸림되도록 형성되고 타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걸림이 해제되도록 형성되는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미환의 상기 포신 고정장치가 걸림되는 부분은 상기 탄약의 격발에 의한 주퇴시 상기 포신 고정장치를 지나 후방으로 이동되었다가 상기 전방운동량 발생장치에 의해 다시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포신 고정장치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포신 복귀장치는 상기 주퇴기에 장착되는 제1실린더, 및 상기 제1실린더의 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공기압 또는 유압에 의해 조절되어 상기 포신이 상기 고정위치에 놓일 수 있게 상기 포미환을 가압하도록 이루어지는 제1피스톤을 포함한다.

    상기 제1피스톤은 상기 포신이 상기 포신 고정장치에 의해 고정되면 초기위치로 복귀하게 되며, 상기 초기위치에서 상기 제1피스톤은 상기 주퇴기와 상기 포미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탄약의 불발시 상기 포미환과 접촉되어 상기 포미환에 전달되는 힘을 흡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운동량 발생장치는 상기 주퇴기에 장착되는 제2실린더, 및 상기 제2실린더의 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포미환에 장착되며 공기압 또는 유압에 의해 조절되어 상기 포미환을 끌어당겨 상기 포신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제2피스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포신 복귀장치 및 상기 전방운동량 발생장치 각각은 상기 포미환이 균일한 힘을 받을 수 있도록 상기 포신의 축을 중심으로 각각 대칭되게 추가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주퇴운동부가 기설정된 고정위치에 놓일 수 있도록 상기 주퇴운동부를 후방으로 가압하도록 이루어지는 주퇴운동부 복귀장치와, 상기 주퇴운동부가 상기 고정위치로 복귀되면 상기 주퇴운동부를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주퇴운동부 고정장치와, 상기 주퇴운동부의 전방 이동 중에 탄약이 격발될 수 있도록 상기 주퇴운동부에 힘을 가하여 상기 주퇴운동부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탄약의 격발에 의한 주퇴운동량의 일부가 전방운동량과 상쇄되어 주퇴력을 저감시키도록 형성되는 전방운동량 발생장치, 및 상기 주퇴운동부가 상기 전방운동량 발생장치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주퇴운동부와 연동되어 상기 탄약을 격발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격발장치를 포함하는 연식 주퇴 시스템을 제안한다.

    아울러,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탄약이 특정된 발사방향을 따라 발사되도록 일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는 포신과, 상기 포신의 후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포신과 함께 주퇴 및 복좌되는 포미환과, 상기 포신에 장착되며 상기 탄약의 발사시 주퇴력을 흡수하도록 이루어지는 주퇴기와, 상기 주퇴기에 장착되고 상기 포신이 기설정된 고정위치에 놓일 수 있도록 상기 포미환을 후방으로 가압하도록 이루어지는 포신 복귀장치와, 상기 주퇴기에 설치되며 상기 포신이 상기 고정위치로 복귀되면 상기 포신을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포신 고정장치, 및 상기 주퇴기와 상기 포미환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포신의 전방 이동 중에 상기 탄약이 격발될 수 있도록 상기 포미환에 힘을 가하여 상기 포신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탄약의 격발에 의한 주퇴운동량의 일부가 전방운동량과 상쇄되어 주퇴력을 저감시키도록 형성되는 전방운동량 발생장치를 포함하는 화포를 개시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화포는 상기 주퇴기에 장착되고 상기 탄약의 격발 과정에서 상기 포미환과 서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브래킷, 및 상기 브래킷에 설치되며 상기 포미환이 상기 전방운동량 발생장치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포미환과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탄약을 격발시키도록 형성되는 격발장치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포신 고정장치는 상기 포미환을 향하여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포신이 상기 고정위치로 복귀되면 상기 포미환에 걸림되어 상기 포신을 고정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포신 고정장치는 상기 주퇴기에 장착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일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포미환에 걸림되도록 형성되고 타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걸림이 해제되도록 형성되는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미환의 상기 포신 고정장치가 걸림되는 부분은 상기 탄약의 격발에 의한 주퇴시 상기 포신 고정장치를 지나 후방으로 이동되었다가 상기 전방운동량 발생장치에 의해 다시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포신 고정장치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포신 복귀장치는 상기 주퇴기에 장착되는 제1실린더, 및 상기 제1실린더의 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공기압 또는 유압에 의해 조절되어 상기 포신이 상기 고정위치에 놓일 수 있게 상기 포미환을 가압하도록 이루어지는 제1피스톤을 포함한다.

    상기 제1피스톤은 상기 포신이 상기 포신 고정장치에 의해 고정되면 초기위치로 복귀하게 되며, 상기 초기위치에서 상기 제1피스톤은 상기 주퇴기와 상기 포미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탄약의 불발시 상기 포미환과 접촉되어 상기 포미환에 전달되는 힘을 흡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운동량 발생장치는 상기 주퇴기에 장착되는 제2실린더, 및 상기 제2실린더의 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포미환에 장착되며 공기압 또는 유압에 의해 조절되어 상기 포미환을 끌어당겨 상기 포신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제2피스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포신 복귀장치 및 상기 전방운동량 발생장치 각각은 상기 포미환이 균일한 힘을 받을 수 있도록 상기 포신의 축을 중심으로 각각 대칭되게 추가로 배치된다.

    상기 포신 복귀장치 및 상기 전방운동량 발생장치는 상기 포신의 외주면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주퇴운동부가 주퇴운동부 복귀장치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되어 주퇴운동부 고정장치에 의해 기설정된 고정위치에 고정되고, 전방운동량 발생장치를 통해 전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탄약이 격발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주퇴운동량의 일부가 전방운동량과 상쇄되어 주퇴력뿐만 아니라 주퇴거리가 저감될 수 있다.

    이러한 연식 주퇴 시스템은 모든 화기(火器)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연식 주퇴 시스템을 구비하는 화포가 차량에 장착되는 경우 차량의 경량화가 이루어질 수 있고, 장비 운용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화포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연식 주퇴 시스템을 나타낸 확대도.
    도 3은 도 2의 확대도에서 화포의 포미장치를 생략하고 보인 개념도.
    도 4는 도 3의 개념도를 화포의 후단에서 바라본 도면.
    도 5a 내지 5d는 도 1에 도시된 화포의 탄약의 발사에 따른 주퇴복좌를 보인 작동 순서도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연식 주퇴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화포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화포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포(100)는 한쪽을 막은 관 속에서 화약을 폭발시켜 발생하는 가스의 힘으로 탄약을 발사하는 대형 화기를 말한다. 화포(100)는 예를 들어, 전차포 또는 기관포가 될 수 있다. 화포(100)는 주퇴운동부(110), 주퇴기(160) 및 연식 주퇴 시스템(200)을 포함한다.

    주퇴운동부(110)는 탄약을 발사하도록 이루어지고, 탄약이 발사되는 과정에서 작용/반작용의 법칙에 따라 탄약에 작용하는 힘과 동일한 크기의 힘이 작용하여 탄약의 발사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주퇴). 주퇴운동부(110)는 포신(120) 및 포미장치(130)를 구비한다.

    포신(120)은 탄약이 특정된 발사방향을 향하여 발사되도록 일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포신(120)의 내부에는 강선이 형성될 수 있다.

    포미장치(130)는 폐쇄기(140)와 폐쇄기(140)를 수용하는 포미환(150)을 포함한다. 폐쇄기(140)는 탄약을 장전하기 위하여 포신(120)의 약실 뒤쪽을 여닫도록 이루어진다. 포미환(150)은 포신(120)의 후단과 폐쇄기(140)를 수용하며, 포신(120)에 대하여 구속된 상태로 주퇴(후진) 및 복좌(전진)된다.

    포신(120)은 포가대(미도시)에 장착된다. 포가대는 장착된 포신(120)이 특정된 발사방향을 향하도록 지면에 대한 경사를 조절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주퇴기(160)는 포신(120)에 장착되고, 탄약의 발사시 사격 충격력, 즉 주퇴력을 흡수하도록 이루어진다. 주퇴기(160)는 포신(120)의 후단을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포가대에 장착될 수 있다. 주퇴기(160)와 포신(120)은 유체의 압력에 의해 작동되는 실린더/피스톤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주퇴기(160)에는 주퇴유를 조절하는 저유기(161)가 설치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탄약의 발사에 의해 뒤로 밀린 주퇴운동부(110)는 탄약의 발사 후에 원래의 위치로 돌아갈 수 있어야 한다(복좌). 따라서, 일반적으로 주퇴운동부(110)를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게 하기 위하여 복좌기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화포(100)는 상기 주퇴에 저항하여 주퇴력 및 주퇴거리를 저감시킬 수 있는 연식 주퇴 시스템(200)을 구비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연식 주퇴 시스템(20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연식 주퇴 시스템(200)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2의 확대도에서 화포(100)의 포미장치(130)를 생략하고 보인 개념도이며, 도 4는 도 3의 개념도를 화포(100)의 후단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 내지 4를 참조하면, 연식 주퇴 시스템(200)은 주퇴운동부(110)의 전방 이동 중에 사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예를 들어, 연식 주퇴 시스템(200)은 주퇴운동부(110)에 힘을 가하여 주퇴운동부(110)를 전방으로 가속시키고, 전방운동량이 최대로 될 때 사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하면, 주퇴운동부(110)의 주퇴운동량의 일부가 전방운동량과 상쇄되어 주퇴력이 저감되고, 주퇴거리가 보다 짧아지게 된다.

    연식 주퇴 시스템(200)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연식 주퇴 시스템(200)은 포신 복귀장치(또는 주퇴운동부 복귀장치, 210), 포신 고정장치(또는 주퇴운동부 고정장치, 220), 전방운동량 발생장치(230)를 포함한다.

    포신 복귀장치(210)는 포미환(150)을 후방으로 가압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가압에 의해 주퇴운동부(110)는 기설정된 고정위치에 놓일 수 있다. 상기 고정위치는 사격시 주퇴운동부(110)가 전방으로 이동되는 거리를 확보하도록 포미환(150)이 주퇴기(160)로부터 특정 거리를 두고 이격된 위치를 의미한다.

    포신 복귀장치(210)는 주퇴기(160)에 장착되어 포미환(150)을 밀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신 복귀장치(210)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작동되는 실린더/피스톤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포신 복귀장치(210)는 주퇴기(160)에 장착되는 제1실린더(211) 및 제1실린더(211)에 수용된 상태로 제1실린더(211)의 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피스톤(2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피스톤(212)은 공기압 또는 유압에 의해 조절되어 포신(120)이 상기 고정위치에 놓일 수 있게 포미환(150)을 후방으로 가압하도록 이루어진다.

    포신 고정장치(220)는 주퇴운동부(110)가 상기 고정위치로 복귀되면 주퇴운동부(110)를 고정하도록 형성된다. 포신 고정장치(220)는 걸림 구조를 통해 주퇴운동부(110)를 상기 고정위치에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신 고정장치(220)는 주퇴기(160)의 상부에 장착되어 포미환(150)을 향하여 연장되게 형성되고, 고정부(221) 및 회전부(222)를 구비할 수 있다. 고정부(221)는 주퇴기(160)에 장착되며, 회전부(222)는 일단이 고정부(22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포미환(150)에 걸림되어 주퇴운동부(110)를 고정하도록 이루어진다. 회전부(222)는 일방향으로 회전시 포미환(150)에 걸림되도록 형성되고, 타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걸림이 해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포신 고정장치(220)의 단부와 인접한 포미환(150)의 상부에는 어댑터(151)가 설치되어 상기 포신 고정장치(220)가 걸림 및 걸림해제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어댑터(151)는 기존의 화포(100)에 연식 주퇴 시스템(200)을 적용할 경우 포신 고정장치(220)와 함께 주퇴 운동부(110)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만일 화포(100)가 애초에 연식 주퇴 시스템(200)을 구비하는 경우라면 포미환(150) 자체가 어댑터(151)의 기능을 할 수도 있다.

    전방운동량 발생장치(230)는 주퇴운동부(11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져 주퇴운동부(110)가 전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사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주퇴운동량이 전방운동량과 일부 상쇄되어 주퇴력이 저감될 수 있도록 한다.

    전방운동량 발생장치(230)는 주퇴기(160)와 포미환(150)에 각각 연결되고, 포미환(150)에 힘을 가하여 포신(120)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방운동량 발생장치(230)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작동되는 실린더/피스톤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방운동량 발생장치(230)는 주퇴기(160)에 장착되는 제2실린더(231) 및 제2실린더(231)에 수용된 상태로 제2실린더(231)의 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피스톤(2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피스톤(232)은 공기압 또는 유압에 의해 조절되어 포미환(150)을 끌어당겨 포신(120)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진다.

    도 4를 참조하면, 포신 복귀장치(210)는 복수 개로 구비되고, 각각은 포미환(150)이 균일한 힘을 받을 수 있도록 포신(120)의 축을 중심으로 각각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전방운동량 발생장치(230)는 복수 개로 구비되며, 각각은 포미환(150)이 균일한 힘을 받을 수 있도록 포신(120)의 축을 중심으로 각각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화포(100)를 후단에서 바라보았을 때를 기준으로 포신 복귀장치(210)는 좌측상단 및 우측하단에 배치되고, 전방운동량 발생장치(230)는 좌측하단 및 우측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주퇴기(160)에는 브래킷(170)이 장착된다. 브래킷(170)은 포미환(150)에 이격되게 배치되며, 탄약의 격발 과정에서 포미환(150)과 서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170)은 포미환(150)의 좌우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연식 주퇴 시스템(200)은 주퇴운동부(110)의 전방 이동 중에 사격이 이루어지므로, 격발 시점을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브래킷(170)에는 탄약을 격발시키도록 형성되는 격발장치(240)가 설치될 수 있다. 격발장치(240)는 포미환(150)이 전방운동량 발생장치(230)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포미환(150)과 연동되어 탄약을 격발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격발장치(240)는 포미환(150)과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탄약을 점화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격발 시점은 격발장치(240)와 주퇴운동부(110) 간의 거리 조정을 통해서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탄약을 점화시키는 경우 충격에 의한 점화 방식에 비하여 불발률이 줄어들 수 있으며, 간단한 조작을 통해 탄약이 발사될 수 있다. 물론, 격발장치(240)는 포미환(150)과의 기구적 접촉에 의해 탄약에 충격을 가하여 탄약을 점화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a 내지 5d는 도 1에 도시된 화포(200)의 탄약의 발사에 따른 주퇴복좌를 보인 작동 순서도들이다. 도 5a는 사격 전 주퇴운동부(110)가 기설정된 고정위치에 고정된 상태이고, 도 5b는 주퇴운동부(110)의 전방 이동 중에 사격이 이루어진 상태이며, 도 5c는 주퇴운동부(110)가 주퇴력에 의해 주퇴되는 상태이고, 도 5d는 주퇴운동부(110)가 복좌되어 상기 기설정된 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a 내지 5d를 참조하면, 사격 전 주퇴운동부 복귀장치(210)는 기설정된 고정위치에 놓이도록 주퇴운동부(110)를 주퇴시키고, 주퇴운동부 고정장치(220)는 상기 주퇴운동부(110)가 상기 고정위치에 복귀하게 되면 주퇴운동부(110)를 고정시킨다. 도 5a 상태에서 포미환(150)의 후단부는 ①의 위치에 놓이게 된다.

    앞서 설명한 제1실린더(211) 및 제1피스톤(212) 구조를 구비하는 주퇴운동부 복귀장치(210)에서 제1피스톤(212)은 주퇴운동부(110)가 주퇴운동부 고정장치(220)에 의해 고정되면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초기위치에서 제1피스톤(212)은 주퇴기(160)와 포미환(150) 사이에 배치되어 탄약의 불발시 포미환(150)과 접촉됨으로써 포미환(150)에 전달되는 힘을 흡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사격 명령이 내려지면, 포신 고정장치(220)의 회전부(222)가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주퇴운동부 고정장치(220)의 주퇴운동부(110)에 대한 고정이 해제되며, 주퇴운동부(110)는 전방운동량 발생장치(230)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주퇴운동부(110)는 전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격발장치(240)와 전기적/기구적으로 접촉되어 탄약을 격발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5b 상태에서 포미환(150)의 후단부는 ②의 위치에 놓이게 된다.

    사격이 이루어지면 주퇴운동량의 일부가 전방운동량과 상쇄되어 1차로 주퇴력이 저감되고, 주퇴기(160)에서 주퇴력(160)을 흡수하여 2차로 주퇴력이 저감된다. 따라서, 주퇴운동부(110)는 주퇴력이 많이 감소된 채로 주퇴운동부 고정장치(220)를 지나 후방으로 이동되었다가 [이때가 도 5c 상태이며, 포미환(150)의 후단부는 ③의 위치에 놓이게 된다] 전방운동량 발생장치(230)에 의해 다시 전방으로 이동되며 타방향으로 회전된 회전부(222)에 걸려 고정되면서 사격이 끝나게 된다. 도 5d 상태에서 포미환(150)의 후단부는 ①의 위치로 돌아가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주퇴운동부(110)가 주퇴운동부 복귀장치(210)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되어 주퇴운동부 고정장치(220)에 의해 기설정된 고정위치에 고정되고, 전방운동량 발생장치(230)를 통해 전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탄약이 격발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주퇴운동량의 일부가 전방운동량과 상쇄되어 주퇴력 및 주퇴거리가 저감될 수 있다.

    이러한 연식 주퇴 시스템(2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들은 화포(100)뿐만 아니라 모든 화기(火器)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연식 주퇴 시스템(200)을 구비하는 화포(100)가 차량에 장착되는 경우 차량의 경량화가 이루어질 수 있고, 장비 운용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연식 주퇴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화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 기능, 배치 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에는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화포: 100 주퇴운동부: 110
    포신: 120 포미장치: 130
    폐쇄기: 140 포미환: 150
    어댑터: 151 주퇴기: 160
    저유기: 161 브래킷: 170
    연식주퇴시스템: 200 포신(주퇴운동부)복귀장치: 210
    제1실린더: 211 제1피스톤: 212
    포신(주퇴운동부)고정장치: 220 고정부: 221
    회전부: 222 전방운동량 발생장치: 230
    제2실린더: 231 제2피스톤: 232
    격발장치: 240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