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끄럼 방지 구조를 가진 고 하중 지지용 그레이팅

申请号 KR1020160071804 申请日 2016-06-09 公开(公告)号 KR1020170139353A 公开(公告)日 2017-12-19
申请人 (주)태흥그레이팅; 오현배; 发明人 오현배;
摘要 본발명은그레이팅에관한것으로서, 한쌍의종방향지지대(120)와, 상기종방향지지대(120) 사이를횡으로가로지르며일정간격으로배치되되입구가아래를향하는단면 'ㄷ'자형태를이루는횡방향보강대(140) 및널빤지형상으로되어상기횡방향보강대(140) 내부중앙부에세워져설치되는보조보강바(142)를포함하여고 하중에견딜수 있게되되, 상기보조보강바(142) 상단에는마찰돌기부(143)가형성되어상기마찰돌기부(143)가상기횡방향보강대(140)를관통하여위로돌출됨으로써미끄럼방지기능을구현하게되는미끄럼방지구조를가진고 하중지지용그레이팅에관한것이다.
权利要求
  • 한 쌍의 종방향지지대(120)와, 상기 종방향지지대(120) 사이를 횡으로 가로지르며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되 입구가 아래를 향하는 단면 'ㄷ'자 형태를 이루는 횡방향보강대(140) 및 널빤지 형상으로 되어 상기 횡방향보강대(140) 내부 중앙부에 세워져 설치되는 보조보강바(142)를 포함하여 고 하중에 견딜 수 있게 되되,
    상기 보조보강바(142) 상단에는 마찰돌기부(143)가 형성되어 상기 마찰돌기부(143)가 상기 횡방향보강대(140)를 관통하여 위로 돌출됨으로써 미끄럼 방지 기능을 구현하게 되는 미끄럼 방지 구조를 가진 고 하중 지지용 그레이팅.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돌기부(143)는 복수의 돌기가 톱니형태를 이루며 돌출된 것이되, 상기 돌기는 서로 높이차를 이루게 형성되는 미끄럼 방지 구조를 가진 고 하중 지지용 그레이팅.
  • 제1 항에 있어서,
    널빤지 형태의 판이 지그재그 패턴을 이루게 형성되어 상기 보조보강바(142) 양측에서 보조보강바(142)에 접하는 상태로 횡방향보강대(140) 내부에 고정되는 지그재그보강바(144)를 더 포함하는 미끄럼 방지 구조를 가진 고 하중 지지용 그레이팅.
  • 제1 항에 있어서,
    널빤지 형태의 판이 지그재그 패턴을 이루게 형성되어 상기 보조보강바(142) 아래에서 보조보강바(142)를 지지하는 상태로 횡방향보강대(140) 내부에 고정되는 지그재그보강바(144)를 더 포함하는 미끄럼 방지 구조를 가진 고 하중 지지용 그레이팅.
  • 제3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재그보강바(144)는 종방향지지대(120)의 길이방향으로 가운데 부분에만 형성되는 미끄럼 방지 구조를 가진 고 하중 지지용 그레이팅.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보강대(140) 사이에서 횡방향보강대(140)의 상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면서 종방향지지대(120)와 나란하게 형성되되, 상면에 마찰돌기가 형성된 마찰판(180)을 더 포함하는 미끄럼 방지 구조를 가진 고 하중 지지용 그레이팅.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판(180)에 상단이 지지되되, 하단이 종방향지지대(120) 하단 아래로 돌출되는 길이로 되는 완충고무(190)를 더 포함하는 미끄럼 방지 구조를 가진 고 하중 지지용 그레이팅.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보강대(140) 사이에는 널빤지 형상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바(160)가 설치되고, 베어링바(160) 사이 및 베어링바(160)와 횡방향보강대(140) 사이에는 널빤지 형상을 이루는 금속판이 파형으로 굴곡되어 지그재그 패턴을 이루는 여과보강바((170)가 설치되어 오수는 통과하고 이물질은 걸러질 수 있게 되되,
    상기 여과보강바(170) 상단을 따라서 돌기가 형성되어 미끄럼 방지 기능을 구현하게 되는 미끄럼 방지 구조를 가진 고 하중 지지용 그레이팅

  • 说明书全文

    미끄럼 방지 구조를 가진 고 하중 지지용 그레이팅{Grating for drainage}

    본 발명은 배수로를 덮는 그레이팅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 하중을 지지할 수 있게 되면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미끄럼 방지 구조를 가진 고 하중 지지용 그레이팅에 관한 것이다.

    배수로 덮개, 즉 그레이팅은 도로에 형성된 배수구나 배수로의 입구에 설치되어 이물질 등을 걸러주면서 우수와 오수를 유입시키는 통로 역할을 하는 시설물이다. 배수시설물 중의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그레이팅은 배수구 또는 배수로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이 연속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대체로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프레임 내부에 널빤지 형상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베어링바가 용접되고, 상기 베어링바에서 종방향으로 다수개의 크로스바가 용접되어 격자형태로 형성되는 구조를 이룬다. 이러한 구조는 특허공개 제10-2004-0078496호(2004. 9. 10.) "스틸 그레이팅"에 게시된 바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통상적인 그레이팅의 경우 덤프트럭과 같은 무거운 중량체의 통과시 가해지는 하중에 의하여 뒤틀림이나 휨 등과 같은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고 하중이 가해지는 환경에서 사용시 언제라도 하중에 의해 손상될 가능성이 있다는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그레이팅은 대체로 상면이 평평하게 형성되고 있어서 미끄럼에 취약하다는 문제가 있었는데, 효과적인 방법으로 미끄럼 방지 구조를 확보하여야 할 필요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그레이팅이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중에 견디는 능력이 극대화되어 고 하중도 견딜 수 있도록 하면서도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고 하중 지지와 미끄럼 방지성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그레이팅을 제안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한 쌍의 종방향지지대와, 상기 종방향지지대 사이를 횡으로 가로지르며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되 입구가 아래를 향하는 단면 'ㄷ'자 형태를 이루는 횡방향보강대 및 널빤지 형상으로 되어 상기 횡방향보강대 내부 중앙부에 세워져 설치되는 보조보강바를 포함하되, 상기 보조보강바 상단에는 마찰돌기부가 형성되어 상기 마찰돌기부가 상기 횡방향보강대를 관통하여 위로 돌출됨으로써 미끄럼 방지 기능을 구현하게 되는 미끄럼 방지 구조를 가진 고 하중 지지용 그레이팅을 제안하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그레이팅이 전체적으로 강도가 효과적으로 보강됨으로써 수직하중과 비틀림 하중에 견디는 능력이 향상되어 고 하중이 가해지는 조건에서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강도를 보강하면서 자연스럽게 마찰돌기부를 그레이팅 상면으로 돌출시킬 수 있게 되는바, 효과적으로 미끄럼이 방지되는 구조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그레이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그레이팅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그레이팅의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고 하중 지지구조와 미끄럼 방지구조를 보여주는 일부 발췌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그레이팅의 구조를 보여주는 일부 발췌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그레이팅에 적용되는 여과보강바의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해 횡방향보강대에 적용되는 고 하중 지지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그레이팅의 저면도.

    본 발명에서는 하중에 견디는 능력이 극대화되어 고 하중도 견딜 수 있도록 하면서도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고 하중 지지와 미끄럼 방지성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그레이팅을 제안하기 위해,

    한 쌍의 종방향지지대와, 상기 종방향지지대 사이를 횡으로 가로지르며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되 입구가 아래를 향하는 단면 'ㄷ'자 형태를 이루는 횡방향보강대(140) 및 널빤지 형상으로 되어 상기 횡방향보강대 내부 중앙부에 세워져 설치되는 보조보강바를 포함하되, 상기 보조보강바 상단에는 마찰돌기부가 형성되어 상기 마찰돌기부가 상기 횡방향보강대를 관통하여 위로 돌출됨으로써 미끄럼 방지 기능을 구현하게 되는 미끄럼 방지 구조를 가진 고 하중 지지용 그레이팅을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7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그레이팅(100)은 대체로 사각형 형상을 이룬다.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인데, 특히 도로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통상의 배수로에서 설치되는 것은 직사각형을 이루게 된다.

    상기 그레이팅(100)은 한 쌍의 종방향지지대(120)와 상기 종방향지지대(120) 사이를 횡으로 가로지르며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횡방향보강대(140) 및 횡방향보강대(140) 내부에 설치되는 보조보강바(142)를 포함한다.

    상기 종방향지지대(120)는 일정한 길이로 된 널빤지 형상 또는 사각봉 또는 입구가 아래를 향해 개방된 단면 'ㄷ' 자 형상을 이루는데, 그 사이에는 상기 횡방향보강대(140)와 아울러 널빤지 형상을 이루는 베어링바(160)가 횡방향보강대(14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베어링바(160) 사이 및 베어링바(160)와 횡방향보강대(140) 사이에 하중을 보강하거나 베어링바(16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별도의 구성을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널빤지 형상을 이루는 금속판이 파형으로 굴곡되어 지그재그 패턴을 이루게 형성되는 여과보강바((170)가 설치되어 오수는 통과하되 이물질은 걸러질 수 있게 되면서도 하중에 견디는 능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여과보강바(170) 상단을 따라서는 돌기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돌기는 미끄럼 방지 기능을 구현하는 구성이다.

    상기 횡방향보강대(140)는 입구가 아래를 향하는 단면 'ㄷ'자 형태로 형성된다. 단면 사각형 파이프의 바닥이 개방되어 있는 형상인바, 이러한 구성에 따라 하중에 견디는 능력이 극대화된다. 아래를 향하는 입구가 개방되어 있음에 따라 그레이팅(100) 제작 과정에서 부식 방지를 위해 사용되는 코팅액이 횡방향보강대(140) 내부까지 쉽게 침투하게 되고 남은 코팅액이 쉽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보조보강바(142)는 금속재질로 되고 널빤지 형상으로 되는 것으로서, 상기 횡방향보강대(140) 내부에서 폭 방향 중앙부에 세워진 상태로 용접되어 고정된다. 보조보강바(142) 상단이 횡방향보강대(140) 내부 천장에 접하는 사태로 용접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보조보강바(142) 상단에는 마찰돌기부(143)가 형성된다. 보조보강바(14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마찰돌기부(143)가 형성되게 된다.

    상기 마찰돌기부(143)는 복수의 돌기가 톱니 형태를 이루며 돌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마찰돌기부(143)는 상기 횡방향보강대(140)의 상면을 관통하여 그레이팅(100) 위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마찰돌기부(143)가 관통할 수 있도록 횡방향보강대(140) 상면에 구멍이 형성됨으로써 달성되는 구성이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한 그레이팅(100)이 미끄럼 방지 성능을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복수의 돌기가 톱니 형태를 이루며 돌출상기 마찰돌기부(143)는 상기 돌기는 서로 높이차를 이루게 형성됨으로써 하중의 정도에 따라 미끄럼 기능이 적절하게 발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마찰돌기부(143)가 그레이팅(100) 상면에서 갑자기 튀어나온 형상이 되면 보행자가 보행시 걸릴 수 있으므로 복수의 돌기가 형성됨에 있어서 자장자리는 낮고 중간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구조를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횡방향보강대(140) 내부에서 상기 보조보강바(142) 양측에는 지그재그보강바(144)가 더 설치된다. 지그재그보강바(144)는 금속재질로 되어 널빤지 형상의 부재가 파형으로 굴곡되어 지그재그 패턴을 이루게 성형된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지그재그보강바(144)는 상단이 횡방향보강대(140) 내부 천장에 접하는 상태로 용접되어 고정될 수 있는바, 이때 측면 일측은 보조보강바(142)에 접하여 용접되고 타 착은 횡방향보강대(140) 내부 측면 벽에 접하여 용접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보조보강바(142)를 견고하게 지지하면서도 보조보강바(142)와 지그재그보강바(144)의 상호 보완작용에 의해 횡방향보강대(140)가 수직 및 비틀림 하중에 견디는 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그재그보강바(144)는 종방향지지대(120)의 길이방향으로 가운데 부분에만 형성될 수 있다. 대략 종방향지지대(120) 전체 길이의 1/4 내지 3/4의 길이를 점유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 구성에 따라 종방향지지대(120)에서 하중이 집중되는 중앙부분을 효과적으로 보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그재그보강바(144)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만 마련되어 보조보강바(142) 아래에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보조보강바(142)는 높이가 종방향지지대(120)의 높이보다 낮게, 바람직하게는 1/2 정도의 높이로 형성되고, 지그재그보강바(144)도 마찬가지 높이로 형성되어 보조보강바(142)를 지지하면서 아래에 용접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구성은 필요에 따라 채택될 수 있는 구성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그레이팅(100)은 상기 횡방향보강대(140) 사이에서 횡방향보강대(140)의 상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면서 종방향지지대(120)와 나란하게 형성되는 마찰판(18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찰판(180)은 상면에 마찰돌기가 형성되는 금속재질의 판으로서 하중 지지능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미끄럼을 방지하는 기능을 보완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그레이팅(100)은 저면에서 길이방향 양측 가장자리에서 아래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완충고무(190)를 더 포함할 있다. 완충고무(190)는 그레이팅(100) 저면 가장자리에서 비어있는 공간에 끼워져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마찰판(180)에 상단이 지지될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하단이 종방향지지대(120) 하단 아래로 돌출되는 길이로 형성된다. 이러한 완충고무(190)는 본 발명에 의한 그레이팅(100)이 배수로에 설치되면 하단이 바닥에 닿음으로써 그레이팅(100) 위로 차량 등이 통과할 때 충격을 흡수함과 아울러 차량의 통과시 그레이팅(100)이 들썩거리더라도 종방향지지대(120)나 횡방향보강대(140)의 하단이 바닥에 부딪히지 않도록 하는바,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막아주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그레이팅(100)은 횡방향보강대(140)와 보조보강바(142) 및 지그재그보강바(144)를 통해 하중에 견디는 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되고, 보조보강바(142)에 마찰돌기부(143)를 형성함으로써 보조보강바(142)를 설치하면서 자연스럽게 미끄럼 방지 기능도 구현할 수 있게 되고, 완충고무(190)에 의해 소음도 방지되는바, 이러한 구성을 종합적으로 채택함으로써 고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능력과 미끄럼 방지 능력 및 소음방지 기능을 하나의 제품으로 확보하여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0 :그레이팅, 120 : 종방향지지대,
    140 : 횡방향보강대, 142 ; 보조보강바,
    143 : 마찰돌기부, 144 : 지그재그보강바,
    160 : 베어링바, 170 : 여과보강바,
    180 : 마찰판, 190 : 완충고무.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