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기능 조립기구

申请号 KR1020000067438 申请日 2000-11-14 公开(公告)号 KR1020020037506A 公开(公告)日 2002-05-22
申请人 한정규; 发明人 한정규;
摘要 PURPOSE: A multi-functional assembling unit is provided to effectively utilize a space and to enjoy various kinds of plays by binding various functions of plays in the multi-functional assembling unit. CONSTITUTION: A multi-functional assembling unit comprises the first unit and the second unit. The first unit has a desk shape having rectangular slots and includes a pair of legs(12) at both ends thereof. The rectangular slots are spaced from an upper edge portion of the desk. An opening(13) is formed in at least one of legs(12). The size of the opening(13) is enough to allow children to pass therethrough. The second unit includes inserting sections(21) at both sides thereof. The inserting section(21) having a triangle shape and is coupled to the rectangular slot of the first unit. A plate member(22) extends from the inserting sections(21). The plate member(22) includes the first plate member(22a) arranged towards a side of the inserting section and the second plate member(22b) formed below the first plate member(22a).
权利要求
  • 책상형상으로,
    상기 책상면 상부에 정방형의 요홈이 마련되어 있으며, 양 단부에 다리를 갖는 장방형의 제1 유닛;
    상기 정방형 요홈에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가 양 측면에 마련되고 상기 양 삽입부 사이에서 연장되어 상기 삽입부를 지지하는 판재로 이루어지는 제2 유닛; 및
    상기 제2 유닛의 삽입부를 지지하는 판재와 결합되는 요홈을 갖으며 장방형 판재로 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조립기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의 다리에 적어도 하나의 구멍이 뚫려 있고, 상기 삽입부는 바람직하게 삼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조립기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삽입부 사이에서 연장되어 상기 삽입부를 지지하는 판재는 상기 양삽입부 사이에서 대략 수직 방향으로, 판재의 주 평면이 상기 삽입부의 측면들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제1 판재와,
    그 저부에 상기 삽입부와 역시 결합되며 상기 판재의 지지부 역할을 할 수 있는 제2 판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조립기구.
  •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유닛은 상기 제2 유닛의 제1 판재와 결합되며, 상기 제1 판재와 결합되는 요홈은 상기 제3 유닛의 양 끝단에 마련되고, 또한 정중앙 부분에 또 하나의 요홈이 형성되어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조립기구.
  • 제1 항에 있어서, 육면체로 구성되나 그 종방향 단면의 형상이 장방형으로 이루어지는 제4 유닛을 더 포함하며, 이는 의자로서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조립기구.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유닛은 육면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에 구멍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조립기구.
  • 제 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유닛이 결합된 형상체가 각각 두 개씩 존재하고, 상기 제3 유닛 양 끝단의 요홈이 상기 형상체 제2 유닛의 제2 판재와 각각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조립기구.
  • 说明书全文

    다기능 조립기구{MULTI FUNCTIONAL ASSEMBLY EQUIPMENT}

    본 발명은 다기능 조립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책상 및 여러가지 놀이기능을 갖는 다기능 조립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부와 놀이는 별개의 개념으로 아이들이 공부할 때는 책상에서, 놀이를 할 때는 놀이기구를 사용하여 즐긴다. 또한, 통상적으로 놀이기구는 미끄럼틀과 시소 등 따로따로 하나의 개체로 격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놀이기구 및 공부용 책상을 함께 사용하기 위해서는 넓은 공간이 필요하며, 각각 목적을 위해서 형성되는 놀이기구 및 책상을 제조하는데 생산 비용이 많이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책상 및 여러가지의 놀이기구의 기능을 하나의 개체로서 구현할 수 있는 다기능 조립기구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다기능 조립기구에 있어서 제1, 제2, 제3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기능 조립기구에 있어서 제4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셜명 *

    10 : 제1 유닛 20 : 제2 유닛

    30 : 제3 유닛 40 : 제4 유닛

    11 : 정방형 요홈 12 : 다리

    13 : 구멍 21 : 삽입부

    22a : 제1 판재 22b : 제2 판재

    31a : 제1 요홈 31b : 제2 요홈

    A : 실내용 미끄럼틀 B : 실내용 시소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책상형상으로, 상기 책상면 상부에 정방형의 요홈이 마련되어 있으며, 양 단부에 다리를 갖는 장방형의 제1 유닛; 상기 정방형 요홈에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가 양 측면에 마련되고 상기 양 삽입부 사이에서 연장되어 상기 삽입부를 지지하는 판재로 이루어지는 제2 유닛; 및 상기 제2 유닛의 삽입부를 지지하는 판재와 결합되는 요홈을 갖으며 장방형 판재로 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유닛의 다리에 적어도 하나의 구멍이 뚫려 있고, 상기 삽입부는 바람직하게 삼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양삽입부 사이에서 연장되어 상기 삽입부를 지지하는 판재는 상기 양삽입부 사이에서 대략 수직 방향, 즉 판재의 주 평면이 상기 삽입부의 측면들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제1 판재와, 그 저부에는 상기 삽입부와 역시 결합되며 상기 판재의 지지부 역할을 할 수 있는 제2 판재로 구성된다.

    상기 제3 유닛에 있어서, 상기 제3 유닛은 상기 제2 유닛의 제1 판재와 결합되며, 상기 제1 판재와 결합되는 요홈은 상기 제3 유닛의 양 끝단에 마련되고, 또한 정중앙 부분에 또 하나의 요홈이 형성되어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육면체로 구성되나 그 종방향 단면의 형상이 장방형으로 이루어지는 제4 유닛이 또한 마련되는데, 이는 의자로서 사용될 수 있도록 되어있으며, 육면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에는 구멍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제1 및 제2 유닛이 결합된 형상체가 각각 두 개씩 존재하고, 상기 제3 유닛 양 끝단의 요홈이 상기 형상체 제2 유닛의 제2 판재와 각각 결합함으로써 받침대 역할 및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다기능 조립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제1, 제2 및 제3 유닛을 도시한 것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4유닛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제1 유닛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제1 유닛(10)은 책상형상으로 책상면 상에 정방형의 요홈(11)이 마련되어 있으며, 양 단부에 한 쌍의 다리(12)를 구비한다. 이 때, 상기 정방형 요홈(11)은 책상형상 상부면 가장자리와 소정부분 이격되면서 또한 서로 소정부분 이격되어 한 쌍으로 존재한다. 한편, 상기 책상 형상 양 단부에 형성된 다리(12)의 적어도 어느 한 부분에 구멍(13)이 뚫어져 있다. 상기 구멍은 아이들이 구멍 사이로 기어서 지나다닐 수 있을만 한 크기로 형성되어 아이들의 놀이기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다음,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제2 유닛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제2 유닛(20)은 상기 정방형 요홈에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21)가 양 측면에 마련되고 상기 양 삽입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판재(22)로 이루어 진다. 상기 삽입부(21)는 바람직하게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유닛(10)의 정방형 요홈(11)과 결합한다. 또한, 상기 양삽입부(21)에 연장되는 판재(22)는 상기 양삽입부 사이에는 적어도 수직방향, 즉 판재의 주평면이 상기 삽입부의 측면들을 향하도록 제1 판재(22a)가 배치되며, 그 저부는 상기 삽입부와 역시 결합되며 상기 판재의 지지부 역할을 수행하는 제2 판재(22b)가 개재된다. 또한 상기 제1 판재(22a)는 제1 유닛(10) 상부면의 정방형 요홈(11)을 덮어 평탄화함으로써, 공부할 수 있는 책상면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다음,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2 유닛의 판재와 결합되는 요홈을 갖는 장방형 판재로 된 제3 유닛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3 유닛(30)은 양 끝단에 제 2유닛(20)의 제1 판재(22a)와 결합될 수 있는 제1 요홈(31a) 및 제3 유닛(30)의 정중앙부에 제2 요홈(31b)을 구비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예컨대, 한 쌍으로 구성하여 제2 유닛(20)의 제1 판재(22a)와 결합한다. 여기서, 제1 유닛(10)과 제2 유닛(20)이 결합된 형상에 있어서, 제3 유닛(30)의 제1 요홈(31a)을 제2 유닛의 제2 판재(22b)와 결합하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같이, 실내에서 놀이문화를 즐길 수 있는 실내용 미끄럼틀(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유닛(20)의 제2 판재(22b)와 제3 유닛(30)의 제2 요홈(31b)과 결합하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같이, 실내용 시소(B)가 형성됨으로써 아이들이 공부뿐만 아니라 실내에서도 놀이를 즐길 수 있는 놀이기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다음, 도 4를 참조하면, 제1 유닛과 제2 유닛이 결합된 책상형상에 있어서, 육면체로 구성되나 그 종방향 단면의 형상이 장방형으로 이루어지는 제4 유닛(40)이 또한 마련되는데, 이는 의자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육면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에는 구멍(4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멍을 통하여 의자로서의 역할 뿐 아니라 놀이기구로서의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아울러,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및 제2 유닛이 결합된 형상체가 각각 두 개씩 존재하고, 상기 제3 유닛 양 끝단의 요홈이 상기 형상체 제2 유닛의 제2 판재와 각각 결합함으로써 받침대 역할 및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책상 및 놀이기구 몇 가지의 형태로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제1 내지 제4 유닛을 통하여 여러가지 다양한 놀이기구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자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상기 제1 내지 제4 유닛을 서로 상호결합햐여 실내공간에서의 놀이문화 및 공부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는 다기능 조립기구로서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공간 효율성 향상 및 다양한 눌이문화를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