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전기, 발전기의 기초대, 및 발전기의 보수 방법

申请号 KR1020170021340 申请日 2017-02-17 公开(公告)号 KR1020170101786A 公开(公告)日 2017-09-06
申请人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发明人 아라이겐토; 나카무라히데유키; 미야이케기요시; 군지유이치로; 나카야마신야; 기쿠치도루; 사토가즈키;
摘要 발전기의양축단이각각회전기에접합되는발전설비에적용되는발전기의보수방법에있어서, 상기발전기에당해발전기를기초대바닥면위에설치하기위한다리판을마련하며, 또한상기다리판이외의발전기저부(底部)에발전기자중(自重)을지지가능한발전기저부평면을갖도록구성함과함께, 상기발전기를상기기초대바닥면위에상기다리판을개재(介在)하여설치한상태에서상기발전기저부평면과당해발전기저부평면에마주하는위치의기초대바닥면사이에상기발전기의리프트업(lift up) 및수평방향이동을가능하게하는반송장치를상기발전기의잭 업(jack up)을하지않고삽입할수 있는극간(隙間)을갖도록구성하고, 상기극간에대하여상기반송장치를상기발전기의잭 업을하지않고삽입하여, 상기반송장치에의해상기발전기의리프트업 및수평방향이동을행한후에, 상기발전기의보수를행한다.
权利要求
  • 발전기의 양축단이 각각 회전기에 접합되는 발전 설비에 적용되는 발전기의 보수 방법으로서,
    상기 발전기에 당해 발전기를 기초대 바닥면 위에 설치하기 위한 다리판을 마련하며, 또한 상기 다리판 이외의 발전기 저부(底部)에 발전기 자중(自重)을 지지 가능한 발전기 저부 평면을 갖도록 구성함과 함께, 상기 발전기를 상기 기초대 바닥면 위에 상기 다리판을 개재(介在)하여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발전기 저부 평면과 당해 발전기 저부 평면에 마주하는 위치의 기초대 바닥면 사이에 상기 발전기의 리프트 업(lift up) 및 수평 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반송 장치를 상기 발전기의 잭 업(jack up)을 하지 않고 삽입할 수 있는 극간(隙間)을 갖도록 구성하고,
    상기 극간에 대하여 상기 반송 장치를 상기 발전기의 잭 업을 하지 않고 삽입하여, 상기 반송 장치에 의해 상기 발전기의 리프트 업 및 수평 방향 이동을 행한 후에, 상기 발전기의 보수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의 보수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 저부 평면을 상기 다리판의 저면(底面)보다 높게 함으로써 상기 극간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의 보수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 저부 평면에 마주하는 위치의 기초대 바닥면을 상기 다리판이 설치되는 기초대 바닥면보다 낮게 함으로써 상기 극간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의 보수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 저부 평면에 마주하는 위치의 기초대 바닥면에, 발전기 축방향으로 반송 장치의 폭 이상의 폭을 갖는 홈을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의 보수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의 수평 방향 이동시에 상기 기초대와 간섭하는 구조가 없거나, 혹은 상기 기초대와 간섭하는 부품이 용이하게 제거 가능한 구조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의 보수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의 수평 방향 이동시에 상기 발전기와 간섭하는 구조가 없거나, 혹은 상기 발전기와 간섭하는 부품이 용이하게 제거 가능한 구조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의 보수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의 측면에 상기 발전기 저부 평면의 면적을 발전기 축직각 방향으로 확장시키는 확장 하중 받침대를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의 보수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의 양축단에 체결되어 있는 회전기와의 접속을 끊는 축접속단절 공정과, 상기 발전기의 기초대와 상기 다리판 사이의 체결을 끊는 기초 접속단절 공정과, 상기 발전기의 수평 방향 이동시에 상기 기초대와의 사이에서 간섭하는 발전기측 및 기초대측의 구조물을 분해하는 분해 공정과, 상기 반송 장치를 상기 극간에 삽입하는 반송 장치 삽입 공정과, 상기 반송 장치의 작동에 의해 상기 발전기를 리프트 업하며 또한 수평 방향으로 상기 기초대 바닥면 위를 소정의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반송 공정과, 상기 발전기를 소정의 위치에서 상기 기초대 위에 상기 다리판을 개재하여 설치시키는 발전기 설치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의 보수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장치가, 공기압을 이용하여 공기막을 개재하여 물건을 반송 가능하게 하는 공기압 부상식(浮上式) 반송기를 구비함과 함께, 공기압 미작동시에 접지하는 캐스터를 구비한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의 보수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장치가, 롤러 대차(台車) 위에 공기압 또는 수압 또는 유압을 이용하는 잭을 실은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의 보수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장치가, 공기압 또는 수압 또는 유압을 이용하는 잭과 그 부착대 아래에 롤러를 나열한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의 보수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를 상기 반송 장치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 상기 반송 장치의 이동 범위를 한정하는 이동 가이드 또는 스토퍼를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의 보수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의 보수 종료 후, 상기 각 공정을 역순으로 실시함으로써 상기 발전기를 원래의 위치로 되돌림과 함께, 상기 반송 장치의 리프트 업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양축단에 있는 회전기에 대한 상기 발전기의 얼라인먼트 조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의 보수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를 상기 반송 장치에 의해 이동시키기 전에, 상기 발전기의 무게 중심과 상기 반송 장치의 수하(受荷) 무게 중심의 어긋남을 작게 하기 위해, 상기 발전기의 일단(一端)에 카운터 웨이트를 부가하거나 혹은 발전기 구조물의 일부를 분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의 보수 방법.
  • 양축단이 각각 회전기에 접합되는 발전기로서,
    당해 발전기를 기초대 바닥면 위에 설치하기 위한 다리판을 구비하고,
    상기 다리판 이외의 발전기 저부에 발전기 자중을 지지 가능한 발전기 저부 평면을 가짐과 함께,
    상기 발전기를 상기 기초대 바닥면 위에 상기 다리판을 개재하여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발전기 저부 평면과 당해 발전기 저부 평면에 마주하는 위치의 기초대 바닥면 사이에 상기 발전기의 리프트 업 및 수평 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반송 장치를 상기 발전기의 잭 업을 하지 않고 삽입할 수 있는 극간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 저부 평면을 상기 다리판의 저면보다 높게 함으로써 상기 극간의 일부 또는 전부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의 수평 방향 이동시에 상기 기초대와 간섭하는 구조가 없거나, 혹은 상기 기초대와 간섭하는 부품이 용이하게 제거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 저부 평면의 면적을 발전기 축직각 방향으로 확장시키는 확장 하중 받침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
  • 양축단이 각각 회전기에 접합되는 발전기의 기초대로서,
    상기 발전기를 설치하기 위한 기초대 바닥면을 구비하고,
    상기 발전기를 상기 기초대 바닥면 위에 다리판을 개재하여 설치한 상태에서 발전기 저부 평면과 당해 발전기 저부 평면에 마주하는 위치의 기초대 바닥면 사이에 상기 발전기의 리프트 업 및 수평 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반송 장치를 상기 발전기의 잭 업을 하지 않고 삽입할 수 있는 극간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의 기초대.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 저부 평면에 마주하는 위치의 기초대 바닥면을 상기 다리판이 설치되는 기초대 바닥면보다 낮게 함으로써 상기 극간의 일부 또는 전부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의 기초대.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 저부 평면에 마주하는 위치의 기초대 바닥면에, 발전기가 이동하는 수평 방향으로 상기 반송 장치의 폭 이상의 폭을 갖는 홈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의 기초대.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의 수평 방향 이동시에 상기 발전기와 간섭하는 구조가 없거나, 혹은 상기 발전기와 간섭하는 부품이 용이하게 제거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의 기초대.
  • 说明书全文

    발전기, 발전기의 기초대, 및 발전기의 보수 방법{GENERATOR, GENERATOR BASE, AND GENERATOR REPAIR METHOD}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발전기, 발전기의 기초대, 및 발전기의 보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스 터빈 및 증기 터빈에 의해 하나의 발전기를 구동하는 일축형(一軸型) 복합 사이클 발전 플랜트에는, 가스 터빈과 증기 터빈이 발전기를 사이에 두고 하나의 축으로 접합되는 형태가 있다.

    발전기는, 보수를 행할 경우에 발전기 고정자로부터 회전자를 빼낸 후에 회전자와 고정자의 내부 점검이나 보수가 행해진다. 그 때, 발전기의 일축단측에 회전자를 축방향으로 빼내기 위한 스페이스가 필요하지만, 상기와 같은 양단(兩端)에 원동기가 접속되는 발전기의 경우에는, 양단 모두 원동기가 존재하기 때문에, 회전자를 빼낼 스페이스를 얻을 수 없다. 그 때문에, 발전기의 보수를 행할 때에는, 가스 터빈이나 증기 터빈 중 어느 한쪽의 원동기를 분해해야만 한다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양축단에 원동기를 접속하는 발전기의 보수에 관하여, 원동기를 분해할 필요가 없는 방법이 나타나 있다. 이 방법으로는, 어느 하나의 원동기의 상방에 가설 작업 플로어를 구축하여, 문형(門型) 크레인에 의해 발전기를 리프트 업(lift up)하고, 상기 가설 작업 플로어 위에 발전기 회전자를 발출(拔出)하여, 발전기의 점검을 행한다.

    특허문헌 2에는, 양축단에 원동기를 접속하는 발전기의 보수에 관하여, 원동기를 분해할 필요가 없는 다른 방법이 나타나 있다. 이 방법으로는, 증기 터빈의 상방에 플랫폼을 마련한 후, 발전기를 가설 갠트리 크레인 등에 의해 플랫폼 레벨까지 리프트 업한 후, 발전기를 가설 지지 칼럼(column) 위에 설치하고, 회전자를 플랫폼 위로 인출하여, 발전기의 점검을 행한다.

    특허문헌 3에는, 양축단에 원동기를 접속하는 발전기의 보수에 관하여, 원동기를 분해할 필요가 없는 다른 방법이 나타나 있다. 이 방법으로는, 발전기를 잭 업(jack up)하여 기초대와의 사이에 극간(隙間)을 만들고, 발전기 기초에 축직각 방향의 가설 레일을 마련함과 함께, 레일 위를 주행하는 롤러 대차(台車)를 발전기 하부에 설치하여, 발전기 회전자의 빼냄시에 원동기에 간섭하지 않는 위치까지 발전기를 가로 이동시킨 후, 회전자의 인출을 행하여, 발전기의 보수를 행한다.

    일본국 특허4039165호 공보

    일본국 특개2009-250234호 공보

    일본국 특개2015-89225호 공보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방법으로는, 발전기 보수를 위해, 가설 작업 플로어(플랫폼)나 가설 크레인의 설치 등 많은 부대 작업이 수반되기 때문에, 비용과 작업 시간이 늘어나는데다, 발전기를 높게 리프트 업하기 위한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증기 터빈의 상부에 가설 작업 플로어(플랫폼)를 마련하기 위해 증기 터빈의 보수에 제약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3에 기재된 방법으로는, 발전기의 축직각 방향 이동을 위해, 발전기 잭 업, 가설 레일 설치, 롤러 대차 부착 등 많은 부대 작업이 수반되기 때문에, 비용과 작업 시간이 늘어나는데다, 하중이 집중하는 가설 레일의 강도 등 안전에 대하여 확인해야 할 사항도 늘어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발전기의 보수 비용 및 작업 시간을 삭감하면서 보수 작업을 안전하게 행할 수 있는 발전기, 발전기의 기초대, 및 발전기의 보수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실시형태에 따른 발전기의 보수 방법은, 발전기의 양축단이 각각 회전기에 접합되는 발전 설비에 적용되는 발전기의 보수 방법으로서, 상기 발전기에 당해 발전기를 기초대 바닥면 위에 설치하기 위한 다리판을 마련하며, 또한 상기 다리판 이외의 발전기 저부(底部)에 발전기 자중(自重)을 지지 가능한 발전기 저부 평면을 갖도록 구성함과 함께, 상기 발전기를 상기 기초대 바닥면 위에 상기 다리판을 개재(介在)하여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발전기 저부 평면과 당해 발전기 저부 평면에 마주하는 위치의 기초대 바닥면 사이에 상기 발전기의 리프트 업 및 수평 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반송 장치를 상기 발전기의 잭 업을 하지 않고 삽입할 수 있는 극간을 갖도록 구성하고, 상기 극간에 대하여 상기 반송 장치를 상기 발전기의 잭 업을 하지 않고 삽입� ��여, 상기 반송 장치에 의해 상기 발전기의 리프트 업 및 수평 방향 이동을 행한 후에, 상기 발전기의 보수를 행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발전기의 보수 비용 및 작업 시간을 삭감하면서 보수 작업을 안전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양단 구동 발전기를 이용한 일축형 복합 사이클 발전 플랜트(콤바인드 사이클 발전 플랜트(combined cycle power generation plant))의 축계(軸系)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동(同) 실시형태에 따른 발전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동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발전기 저부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하면도.
    도 4는 동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발전기 저부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하면도.
    도 5는 동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발전기 저부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하면도.
    도 6은 동 실시형태에 따른 발전기의 보수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7은 동 실시형태에서 사용하는 반송 장치(공기압 부상식(浮上式) 반송기를 이용했을 경우)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하면도.
    도 8은 동 실시형태에서 사용하는 공기압 부상식 반송기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9는 동 실시형태에 따른 발전기의 보수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상면도.
    도 10은 동 실시형태에 따른 발전기의 보수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11은 동 실시형태에 따른 발전기의 보수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12는 동 실시형태에서 사용하는 반송 장치 가이드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3은 동 실시형태에 따른 기초대의 구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상면도.
    도 14는 동 실시형태에 따른 발전기의 구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상면도.
    도 15는 동 실시형태에 따른 발전기의 보수 방법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16은 동 실시형태에서 사용하는 반송 장치의 변형예(공기압 또는 수압 또는 유압에 의한 리프트 업 기구와 롤러 대차를 조합한 반송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7은 동 실시형태에서 사용하는 반송 장치의 다른 변형예(공기압 또는 수압 또는 유압에 의한 리프트 업 기구와 롤러를 조합한 반송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8은 동 실시형태에 따른 발전기의 보수 방법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상면도.

    이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점검 대상인 발전기를 구비하고 있는 플랜트의 축계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양단 구동 발전기를 이용한 일축형 복합 사이클 발전 플랜트(콤바인드 사이클 발전 플랜트)의 축계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 플랜트는 가스 터빈과 증기 터빈에 의해 발전기를 구동하는 콤바인드 사이클 발전 플랜트이며,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전기(34)의 양단에 각각 가스 터빈(32)과 중고압 증기 터빈(36)/저압 증기 터빈(37)을 배치하고, 그것들이 중간축(33)이나 클러치(35) 등을 개재하여 결합되어, 하나의 축 위에 직선 형상으로 나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가스 터빈(32), 중고압 증기 터빈(36), 저압 증기 터빈(37), 발전기(34)는, 각각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철근 콘크리트제의 기초대(38 및 6)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이후의 설명에서는, 발전기 회전축에 대하여 직각이며 또한 수평인 방향을 「가로 방향」이라고 칭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발전기의 구조를 도 2에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발전기에는 발전한 전력을 취출하는 터미널의 취출 방향이나 쿨러의 배치나 다리판을 설치하는 기초대 레벨부터 회전자축 중심까지의 거리(센터 높이) 등에 대하여 각종 형식이 존재하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발전기(34)를 약간의 리프트 업만으로 가로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터미널(3)이나 쿨러, 프레임 등의 발전기(34)의 주요 구조가 가로 방향 이동시에 기초대와 간섭하지 않는 구조인 것이 전제가 된다. 도 2는 그러한 전제 조건을 충족시키는 발전기(34)의 일례로서 나타내고 있으며, 터미널(3)의 취출 방향을 발전기 상부로 하고 있다.

    발전기(34)는 네 귀퉁이에 배치한 다리판(4)에 의해 기초대(6) 위에 설치되어 기초 볼트나 키 구조(도시 생략)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발전기(34)의 네 귀퉁이의 다리판(4)으로 둘러싸이는 발전기 저부 평면(5)은 다리판(4)의 저면(底面)보다 높은 위치에 구성되어, 발전기(34)를 가로 방향에서 봤을 때에 기초대 바닥면(7)과의 사이에 극간(8)을 갖고 있다.

    발전기(34)를 아래에서 봤을 때의 발전기 저부 평면(5)의 예를 도 3∼도 5에 나타낸다.

    발전기 저부 평면(5)은, 후술하는 반송 장치에 대하여 발전기 자중을 균등하게 전달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도 3∼도 5에 있어서 사선으로 나타내도록 평판 구조나 격자(格子) 형상이나 선반 형상 등의 불연속적인 구조체의 면으로서 구성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보수를 실시할 때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전기 저부 평면(5)과 기초대 바닥면(7) 사이에 형성된 극간(8)에, 반송 장치(9)를 가로로부터 삽입한다. 반송 장치(9)는 발전기(34)의 리프트 업 및 수평 방향 이동을 행할 수 있는 장치로서, 도 6 중에 나타나는 반송 장치(9)는, 공기압 부상식 반송기를 이용한 반송 장치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에 공기압 부상식 반송기를 이용한 반송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7의 (a)는 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7의 (b)는 하면도(도 7의 (a) 중에 있어서의 A 화살표의 방향에서 본 A 화살표 도면)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8에 공기압 부상식 반송기의 동작 원리를 나타낸다. 또한, 도 8 중의 화살표는, 압축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도 6 중에 나타나는 반송 장치(9)는, 도 7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기압 부상식 반송기(22)를 복수개 하중 받침판(21) 아래에 고정함과 함께, 공기압 미작동시에 접지하는 캐스터(26)를 구비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공기압 부상식 반송기(22)는 주로 기반(23)과 백(24)으로 구성되어 있고,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백(24)의 내측에 공기 공급구(25)로부터 압축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백 내 공기압에 의해 하중을 실은 기반(23)을 리프트 업한다. 그 때, 백(24)과 바닥면(27) 사이에 약간의 공기막이 형성되기 때문에, 반송시의 마찰력이 매우 작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반송 장치(9)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발전기 저부 평면(5)과 기초대 바닥면(7) 사이에 형성되는 극간(8)은, 반송 장치(9)의 공기압 미작동시에는 반송 장치(9)의 높이보다 높아져 있다. 이에 따라 반송 장치(9)는 발전기(34)의 잭 업 작업 없이 반송 장치(9)에 부수되는 캐스터(26)에 의해 극간(8)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미리 발전기(34)의 회전자축의 양단에 있어서의 다른 회전축과의 결합이나, 발전기 구조물과 기초 구조물의 결합을 분해함과 함께, 발전기(34)를 가로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간섭하는 발전기 배관이나 기초 구조물 등을 분해해 둔다.

    또한, 발전기 배관류는, 기초대 바닥면(7)과 동일 레벨로 플랜지 접속되거나, 기초대 바닥면(7)의 레벨로 플랜지 부착 단관(短管)을 마련하는 등 하여, 가로 이동시에 간섭을 피하도록 용이하게 분해 가능한 구조로 해 둔다. 기초 볼트 등 기초 구조물에 대해서도, 기초대 바닥면(7)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스터드(stud) 구조를 배제하고, 기초대(6)측에 탭(tap)을 갖고 다리판(4)의 상부측으로부터 조이는 기초 볼트의 채용이나, 기초대(6)의 하부로부터 기립되는 여자(勵磁) 부스바(busbar) 등, 가로 이동시에 발전기(34)와 간섭하는 부품은 용이하게 분해 가능한 구조로 해 둔다.

    다음으로, 반송 장치(9)에 대하여 공기압을 작동시켜 발전기(34)를 리프트 업시켜, 다리판(4)을 기초대(6)로부터 띄운 상태로 한다.

    그 후, 반송 장치(9)에 의해 발전기(34)를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초대 바닥면(7) 위를 가로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발전기(34)의 가로 이동 방법의 2가지 예를 도 10, 도 11에 나타낸다. 도 10은 반송 장치(9)에 부수시킨 반송 구동 장치(10)를 이용한 예를 나타내고, 도 11은 가로 이동의 동력으로서 기초대 앵커(13)와의 사이에서 체인 블록(12)과 와이어(11)를 이용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그 외 윈치(winch)나 크레인을 사용하는 방법 등을 이용해도 좋다.

    가로 이동시에는, 도 12에 나타내는 반송 장치의 이동 가이드(14) 또는 스토퍼를 마련함으로써, 가로 이동의 작업성과 안전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이 이동 가이드(14)나 스토퍼는 기초대 바닥면 위에 항구적으로 설치된 것이어도 되고, 작업시에만 체결 등의 수단에 의해 설치되는 것이어도 된다.

    발전기(34)는, 회전자(1)를 타 기기와 간섭시키지 않고 빼내는 위치까지 가로 이동한 후, 반송 장치(9)의 공기압을 부하 제거하여 리프트 다운함으로써, 발전기(34)는 다리판(4)을 개재하여 기초대(6) 위에 설치되고, 이 위치에서 발전기(34)의 분해와 회전자의 빼냄을 수반하는 보수 작업을 실시한다.

    상술한 발전기(34)의 보수 작업의 실시에 이르기까지의 각 공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발전기(34)의 양축단에 체결되어 있는 회전기와의 접속을 끊는 축접속단절 공정

    ·발전기(34)의 기초대(6)와 다리판(4) 사이의 체결을 끊는 기초 접속단절 공정

    ·발전기(34)의 축직각 방향 이동시에 기초대(6)와의 사이에서 간섭하는 발전기(34)측 및 기초대(6)측의 구조물을 분해하는 분해 공정

    ·반송 장치(9)를 극간(8)에 삽입하는 반송 장치 삽입 공정

    ·반송 장치(9)의 작동에 의해 발전기(34)를 리프트 업하여 가로 방향으로 기초대 바닥면(7) 위를 소정의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반송 공정

    ·발전기(34)를 소정의 위치에서 기초대(6) 위에 다리판(4)을 개재하여 설치시키는 발전기 설치 공정

    발전기(34)의 보수 작업 종료 후에는, 상술한 보수 개시 전의 각 공정을 역순으로 실시함으로써, 발전기(34)를 원래의 위치로 되돌릴 수 있다. 그 경우, 반송 장치(9)의 압력을 다시 작동시켜 발전기(34)의 리프트 업과 가로 이동을 행하여, 소정의 고정 위치까지 되돌린 후, 반송 장치(9)의 압력을 부하 제거하고, 다리판(4)을 개재하여 발전기(34)를 기초대(6) 위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하여, 양축단의 회전기와 접합시킨다.

    이 발전기(34)의 재고정시에는, 발전기(34)의 양단의 결합해야 할 회전축과의 얼라인먼트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이 작업에서는 상하 방향에는 다리판(4) 아래에 삽입하는 심(shim)의 두께를 조정하며, 또한 발전기(34)의 수평 방향 위치의 미세 조정을 행하지만, 결국 발전기(34)의 잭 업이 필요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작업에 대해서도 상기 반송 장치(9)의 리프트 업 기능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발전기(34)의 가로 이동 후에 셋업 변경 없이 얼라인먼트 조정을 행하면서 발전기(34)의 고정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즉, 얼라인먼트 조정 작업에 대하여, 반송 장치(9)를 그대로 발전기(34)의 잭 업 장치로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잭 장치 셋업이 불필요해져, 재고정 작업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발전기(34)를 리프트 업(잭 업)하지 않고 반송 장치(9)를 발전기(34)와 기초대(6) 사이에 형성되는 극간(8)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발전기 이동의 준비가 갖추어지며, 또한 용이하게 발전기(34)의 이동을 행할 수 있다. 발전기(34)를 리프트 업하기 위한 가설 크레인이나 작업 가대(架台)나 가로 이동시키기 위한 가설 설비의 설치 작업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보수 비용과 작업 시간을 삭감할 수 있는데다, 발전기(34)의 리프트 업량이 작기 때문에 작업의 안전성도 향상된다. 또한, 반송중의 발전기(34)의 하중은, 기초대 바닥면(7)의 광범위한 면적으로 받기 때문에, 기초대(6)에 대한 부하도 작게 할 수 있어, 건설시의 기초 비용 삭감에도 공헌한다.

    [변형예 1] 다음으로, 상술한 실시형태의 변형예 1에 대해서 도 1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3의 (a), (b)는 주로 기초대(6)의 구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상면도이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발전기 저부 평면(5)과 기초대 바닥면(7) 사이의 극간(8)은 발전기 저부 평면(5)을 다리판(4)의 저면보다 높게 구성함으로써 형성되어 있었다. 이에 대하여 도 13에 나타내는 변형예 1에서는, 극간(8)은 당해 부분의 기초대 바닥면(15)을 다리판(4)이 설치되는 기초대 바닥면(7)보다 낮게 구성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즉, 발전기 저부 평면(5)에 마주하는 위치의 기초대 바닥면을, 다리판(4)이 설치되는 기초대 바닥면보다 낮게 구성하고 있다.

    또한, 이 낮은 기초대 바닥면(15)은, 발전기 축방향으로 반송 장치(9)의 폭 이상의 폭을 갖고, 발전기 축직각 방향으로 발전기(34)의 이동 범위나 반송 장치에 부수되는 구동 기구의 크기 등을 고려한 길이를 갖는 홈(16)의 저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보수를 실시할 때에는, 홈(16) 내에 반송 장치(9)를 두고, 당해 발전기(34)의 저부 평면(5) 아래에 반송 장치(9)를 삽입한 후, 이 반송 장치(9)에 의해 발전기(34)를 리프트 업함과 함께 홈(16) 내를 가로 방향으로 소정의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본 변형예에 의하면, 발전기(34)의 회전축 중심의 기초대 바닥면(7)으로부터의 높이(소위 센터 높이)를 상술한 실시형태보다 극간만큼 낮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는데다, 홈(16)의 측면이 반송 장치의 반송시의 이동 가이드나 스토퍼가 되기 때문에, 별도 이동 가이드나 스토퍼를 마련할 필요가 없는 것이나, 반송 장치의 이동면이 명확해져, 반송 장치에 요구되는 바닥면의 평활함의 형성이나 그 보수에 대해서도 용이해진다는 이점이 있다.

    [변형예 2] 다음으로, 상술한 실시형태의 변형예 2에 대해서 도 1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4의 (a), (b)는 주로 발전기(34)의 구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상면도이다.

    상술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반송 장치(9)의 하중 용량은 발전기 저부 평면(5)의 면적에 의존하고 있어, 이 발전기 저부 평면(5)의 크기에 비해 발전기 중량이 큰 발전기일 경우, 반송 장치(9)의 하중 용량이 부족할 경우가 상정된다. 그와 같은 경우에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전기 고정자(2)의 측면에 발전기 저부 평면(5)의 면적을 발전기 축직각 방향으로 확장시키는(발전기 저부 평면(5)과 동일 평면이 되는) 확장 하중 받침대(17)를 추가 설치한다.

    확장 하중 받침대(17)는, 발전기 고정자(2)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혹은 발전기 고정자(2)에 대하여 체결 등에 의한 분할형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변형예에 의하면, 확장 하중 받침대(17)를 마련함으로써 발전기 저부 평면(5)의 면적은 임의로 확장할 수 있기 때문에, 반송 장치(9)의 하중 제한이 없어져, 반송 장치의 설계 여유도를 증가시킬 수 있음과 함께, 적용 가능한 발전기(34)의 중량을 확대할 수도 있다.

    [변형예 3] 다음으로, 상술한 실시형태의 변형예 3에 대해서 도 1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발전기(34)의 보수 방법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상술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발전기(34)를 가로 이동시킬 때에는 반송 장치(9)로 발전기(34)를 지지하게 된지만, 발전기(34)의 구조나 이동시의 형태에 따라서는, 발전기(34)의 무게 중심에 상당하는 발전기 무게 중심축(18)과, 반송 장치(9)의 중심 위치(수하(受荷) 무게 중심)에 상당하는 반송 장치 중심축(19)이 어긋날 경우가 상정된다. 이와 같은 경우, 반송 장치(9)에는 불균일한 하중이 작용하여, 당초 성능을 발휘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반송 장치(9)의 축방향 위치를 조정하여 반송 장치 중심축(19)을 발전기 무게 중심축(18)에 근접시키는 것이 유효하지만, 반송 장치(9)나 발전기(34)나 기초의 치수 제약으로 충분히 조정할 수 없을 경우도 상정된다. 그와 같은 경우에 반송 장치(9)를 가동시키기 전에 발전기(34)의 부품의 일부를 분해하여 하중을 줄임으로써 발전기 무게 중심축(18)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지만, 다른 방법으로서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전기에 대하여 필요한 카운터 웨이트(20)를 부가함으로써, 발전기 무게 중심축(18)과 반송 장치 중심축(19)을 근접시켜, 반송 장치에의 하중을 균등화시키도록 해도 된다.

    본 변형예에 의하면, 발전기(34)의 무게 중심과 반송 장치(9)의 수하 무게 중심이 허용치 이상으로 어긋나 있을 경우에, 발전기(34)의 일단(一端)에 카운터 웨이트(20)를 부가하거나 발전기 구조의 일부를 분해하거나 하여 발전기(34)의 무게 중심의 조정을 반송 작업 전에 실시함으로써, 발전기 무게 중심축(18)과 반송 장치 중심축(19)을 근접시킬 수 있으므로, 반송 장치(9)의 부하의 균일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변형예 4] 다음으로, 상술한 실시형태의 변형예 4에 대해서 도 16, 도 1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반송 장치(9)의 변형예(공기압 또는 수압 또는 유압에 의한 리프트 업 기구와 롤러 대차를 조합한 반송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또한, 도 17은 반송 장치(9)의 다른 변형예(공기압 또는 수압 또는 유압에 의한 리프트 업 기구와 롤러를 조합한 반송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보수 작업을 행하는데 제공되는 반송 장치로서는, 상술한 제1 실시형태에서 서술한 도 8에 나타내는 공기압 부상식 반송기(22)를 이용한 반송 장치(9) 외에,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러 대차(29) 위에 공기압 또는 수압 또는 유압에 의한 잭(28)을 실은 반송 장치(9A)나,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러(31)에 잭 대(30)를 싣고 공기압 또는 수압 또는 유압에 의한 잭(28)을 더 실은 반송 장치(9B)를 채용해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압 부상식 반송기(22)는, 미소한 공기막에 의해 장치가 부상하고 있기 때문에, 가로 이동시의 마찰 저항이 매우 작아, 가로 방향 이동을 위한 구동 기구나 셋업이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는데다, 다른 방식에 비해 높이 방향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한편, 하중 용량이 비교적 작다. 한편, 도 16, 도 17에 나타내는 잭을 이용하는 방식으로는, 공기압 부상식 반송기(22)보다 높이 방향 치수는 증가하지만, 특히 압력 매체를 수압이나 유압으로 함으로써 하중 용량을 크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변형예 5] 다음으로, 상술한 실시형태의 변형예 5에 대해서 도 1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발전기(34)의 보수 작업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반송 장치(9)에 의해 발전기(34)를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초대 바닥면(7) 위를 가로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보수 점검을 행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발전기(34)의 보수 점검은, 가로 이동만으로 한하지 않고,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평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회전자(1)를 빼내, 회전자(1)와 고정자(2)의 내부 점검을 실시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변형예에 있어서 발전기(34)의 보수 작업을 실시하기 위한 순서는, 발전기(34)를 수평으로 회전시키는 순서를 제외하면, 상술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순서가 된다.

    본 변형예에 의하면, 발전기(34)를 수평으로 회전시키는 방법에 의해 발전기(34)의 이동 범위가 작아지기 때문에, 요구되는 기초대(6) 및 기초대 바닥면(7)의 크기도 작아져, 건설시의 기초 비용 삭감에 공헌한다.

    본 발명의 몇 가지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이들 실시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고 있지 않다. 이들 신규의 실시형태는, 그 밖의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들 실시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됨과 함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된다.

    1: 회전자 2: 고정자
    3: 터미널 4: 다리판
    5: 발전기 저부(底部) 평면 6: 기초대
    7: 기초대 바닥면 8: 극간(隙間)
    9, 9A, 9B: 반송 장치 10: 반송기 구동 장치
    11: 와이어 12: 체인 블록
    13: 앵커 14: 이동 가이드
    15: 낮은 기초대 바닥면 16: 홈
    17: 확장 하중 받침대 18: 발전기 무게 중심축
    19: 반송 장치 중심축 20: 카운터 웨이트
    21: 하중 받침판 22: 공기압 부상식(浮上式) 반송기
    23: 기반 24: 백
    25: 공기 공급구 26: 캐스터
    27: 바닥면 28: 잭
    29: 롤러 대차(台車) 30: 잭 가대
    31: 롤러 32: 가스 터빈
    33: 중간축 34: 발전기
    35: 클러치 36: 중고압 증기 터빈
    37: 저압 증기 터빈 38: 기초대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