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플란트 시술용 토오크 렌치

申请号 KR1020090009648 申请日 2009-02-06 公开(公告)号 KR1020100090399A 公开(公告)日 2010-08-16
申请人 이도상; 发明人 이도상;
摘要 PURPOSE: A torque wrench for implant surgery is provided to transplant fixture more easily, to alleviate post-operative pain and to shorten surgery time. CONSTITUTION: A torque wrench for implant surgery includes: a head(10) which is combined with the standardized head unit of a fixture; a body(20) of a bar shape which is formed to be expanded form the head; and a joint region(40) which is bent to cope with the implanting angle for user's implant surgery in the state that the head is connected to the head unit of the fixture. The joint region includes: a hinge-binding part(41) which is connected to the lateral side of the head; and a combination controller(42) which is used to fix or unfasten the hinge-binding part.
权利要求
  • 픽스츄어(1)의 규격화된 머리부(2)에 결합되는 헤드(10), 헤드(10)에서 연장형성된 바(bar) 형태의 몸체(20)로 된 기본 구성을 가지며, 상기 몸체(20)에는 픽스츄어(1)의 머리부(2)에 헤드(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시술자가 몸체(20)를 잡는 각도를 자유롭게 유지할 수 있도록 절곡되는 1이상의 관절부(4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토오크 렌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부(40)는
    헤드(10)의 몸체(20) 측 끝단부에 힌지단부(43)가 형성되고, 힌지단부(43)가 대응결합되기 위한 몸체(20)의 끝단에는 힌지단부(43)가 끼워지도록 절개된 수납절개부(44)가 형성되며, 상기 헤드(10)와 몸체(20)가 상호 힌지회전되기 위해 힌지단부(43)와 수납절개부(44)에 힌지핀(46)이 결합된 힌지결합부(41)와;
    상기 몸체(20)에는 수납절개부(44)의 절개홈(45)이 몸체(20)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절개되고, 연장되어 절개된 지점의 몸체(20) 외주면에는 일측으로 테이퍼 형성된 나사부(47)가 형성되며, 상기 나사부(47)에 단속부재(48)가 나사결합되어 단속부재(48)를 회전시킴에 의해 힌지결합부(41)를 고정 및 고정해제 시키는 결합단속부(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토오크 렌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핀(46) 둘레의 힌지단부(43) 및 수납절개부(44) 접면에는 원주상으로 배치된 톱니형태의 마찰돌기(49)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토오크 렌치.
  • 제 1 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10)와 관절부(40)의 사이의 몸체(20)에는 헤드부(10)의 토오크를 조절하기 위한 토오크 조절부(50)가 설치되며,
    상기 토오크 조절부(50)는;
    상기 헤드부(10)와 일단이 결합되고 몸체(20)의 내부에 직선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면에 나사부(51a)가 형성된 조절로드(51)와;
    상기 조절로드(51)의 외면에 나사결합되고 몸체(20)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몸체(20)의 노출홈(52)을 통해 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된 조절노브(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토오크 렌치.
  • 说明书全文

    임플란트 시술용 토오크 렌치{torque lench for Implant fixture}

    본 발명은 임플란트 시술용 토오크 렌치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임플란트 시술시 나사형태의 조임부를 가지며 제작된 픽스츄어를 회전시켜 매식할 때, 환자의 구강구조 및 치아의 종류별 위치에 따라 가장 적합한 시술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픽스츄어가 보다 쉽게 매식될 수 있도록 하고, 환자의 통증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한 임플란트 시술용 토오크 렌치에 관한 것이다.

    치아가 빠진 경우 기존에는 틀니를 끼우거나, 주변의 치아를 기둥으로 하여 빠진 부분을 금속 등으로 씌우는 브릿지 시술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시술과정은 틀니나 브릿지 시술된 인공치아가 음식물을 씹는 힘이 약하고 주변의 치아에 악영향을 끼치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발전된 치과의료의 한 시술로 임플란트 시술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임플란트 시술은 치조골에 인공적인 치아뿌리를 형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실 제 치아와 흡사하게 제작된 인공치아를 결합하여 환자가 실제치아를 사용하는 효과를 얻게 된다.

    상기 임플란트 시술과정은 치아가 빠진 치조골에 픽스츄어(fixture)를 매식하기 위해 드릴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매식홈을 형성하고, 매식홈 내부에 픽스츄어를 매식한 후 픽스츄어에 어버트먼트(abutment)를 결합하고, 어브트먼트에 인공치를 결합하여 임플란트 시술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은 임플란트 시술과정에서 치조골에 매식된 픽스츄어는 치아의 뿌리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상기 어버트먼트는 인공치아와 픽스츄어를 일체화하는 연결구성이 된다. 상기 픽스츄어와 어버트먼트는 인공치아를 정위치에 견고히 고정시키기 위한 임플란트 구조물이 되며, 이와 같은 임플란트 구조물은 주로 물리적/화학적 강성이 우수한 티타늄 등의 금속재질로 제작된다.

    이와 같은 임플란트 시술과정에서 상기 픽스츄어는 몸체의 외면에 나사형태의 조임부를 가지며 제작되어 치조골에 조임부를 회전시켜 매식하는데, 이때 상기 픽스츄어를 회전시켜 매식시키기 위해서는 토오크 렌치를 이용하여 매식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토오크 렌치는 규격화된 픽스츄어의 머리부에 결합되는 헤드(10)구간과, 상기 헤드에 결합되어 연장된 바(bar) 형태의 몸체(20)구간과, 상기 몸체구간의 끝단부에서 시술자가 손으로 잡고 헤드구간과 몸체구간을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30)구간으로 구분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토오크 렌치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정 힘으로 나사를 조일 수 있도록 하는 토오크 조절부(50)가 구비되어 있다.

    토오크 조절부는 텐션바 타입 및 조절로드 타입 2가지로 제시되는 바, 먼저 도면 (가)에서와 같이 몸체 및 손잡이 쪽으로 텐션바를 결합하여 나사가 조여지면 텐션바를 당김으로써 토오크 값을 조절하도록 된 것이 있으며, 또한 도면 (나)에서와 같이 손잡이 후측으로 헤드부와 연계된 조절로드를 구비하여 토오크 값을 설정한 후 일정 힘이 되면 헤드부가 젖혀지도록 하는 타입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 픽스츄어를 매식하기 위한 토오크 렌치는 헤드구간, 몸체구간, 손잡이구간이 전체적으로 직선형태로 제작되기 때문에 픽스츄어의 매식구간이 환자 구강의 내측, 즉, 송곳니 또는 어금니의 위치에 픽스츄어를 매식할 경우 픽스츄어와 토오크 렌치가 수평하지 않은 상태(기울어진 상태)로 시술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토오크 렌치가 기울어진 상태로 픽스츄어가 회전될 경우, 토오크 전달이 불균일하여 픽스츄어를 회전시키는 행위가 대단히 번거롭게 되며, 픽스츄어의 머리부에서 토오크 렌치의 헤드가 쉽게 이탈하여 시술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노출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기울어진 상태로 매식되는 픽스츄어는 환자의 치조골 측면에서 픽스츄어가 매식되는 상, 하측 및 회전에 따른 응력 외에 매식선상에서 기울어진 응력이 발생되어 상당한 통증을 유발시키게 되며, 특히, 시술 지연에 의해 환자가 받는 통증이 더욱 가중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특히, 픽스츄어가 거의 매식되는 시점에서 강한 토오크의 힘이 필요하게 되는데, 이때 조임부에 결합되는 헤드구간과 손잡이구간이 거의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조임시 손잡이구간의 회동에 따른 옆의 다른 치아의 상단부와 자주 충돌하게 되어 조임작업이 원할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환자의 구강구조 및 치아의 종류별 위치에 따라 토오크 렌치가 픽스츄어와 결합되는 가장 적합한 시술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픽스츄어가 보다 쉽게 매식되도록 함과 동시에 환자의 통증을 완화 및 시술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토오크 렌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아래의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은, 픽스츄어의 규격화된 머리부에 결합되는 헤드, 헤드에서 연장형성된 바(bar) 형태의 몸체로 된 기본 구성을 가지며, 상기 몸체에는 픽스츄어의 머리부에 헤드가 결합된 상태에서 시술자가 몸체를 잡는 각도를 자유롭게 유지할 수 있도록 절곡되는 1이상의 관절부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관절부는, 헤드의 몸체 측 끝단부에 힌지단부가 형성되고, 힌지단부가 대응결합되기 위한 몸체의 끝단에는 힌지단부가 끼워지도록 절개된 수납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헤드와 몸체가 상호 힌지회전되기 위해 힌지단부와 수납절개부에 힌지핀이 결합된 힌지결합부와; 상기 몸체에는 수납절개부의 절개홈이 몸체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절개되고, 연장되어 절개된 지점의 몸체 외주면에는 일측으로 테이퍼 형성된 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나사부에 단속부재가 나사결합되어 단속부재를 회전시킴에 의해 힌지결합부를 고정 및 고정해제 시키는 결합단속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힌지핀 둘레의 힌지단부 및 수납절개부 접면에는 원주상으로 배 치된 톱니형태의 마찰돌기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헤드부와 관절부의 사이의 몸체에는 헤드부의 토오크를 조절하기 위한 토오크 조절부가 설치되며,

    상기 토오크 조절부는;

    상기 헤드부와 일단이 결합되고 몸체의 내부에 직선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조절로드와;

    상기 조절로드의 외면에 나사결합되고 몸체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몸체의 노출홈을 통해 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된 조절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픽스츄어와 결합되는 가장 적합한 시술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관절부의 구성에 의해 환자의 구강구조 및 치아의 종류별 위치 등의 요인에 대해 픽스츄어가 보다 쉽게 매식되도록 하여 시술자의 시술 편의제공 및 시술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적합한 시술각도에 의해 픽스츄어 매식시 환자가 받는 통증을 완화시켜 환자의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하고, 시술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토오크 렌치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토오크 렌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토오크 렌치의 작동상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토오크 렌치는 헤드(10), 몸체(20), 손잡이(30)로 이루어진 기본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헤드(10)는 픽스츄어(1)의 규격화된 머리부(2)와 대응하는 렌치홈(11)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20)와 손잡이(30)는 전체적으로 바(bar) 형태를 유지하여 구성됨은 주지된 것과 같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토오크 렌치는 몸체(20)에 관절부(40)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관절부(40)는 픽스츄어(1)의 머리부(2)에 헤드(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시술자가 몸체(20)를 잡는 각도를 자유롭게 유지할 수 있도록 절곡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기 관절부(40)는 힌지결합부(41), 결합단속부(42)로 구성된다.

    상기 힌지결합부(41)는 힌지단부(43), 수납절개부(44), 힌지핀(4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힌지단부(43)는 헤드(10)의 몸체(20) 측 끝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수납절개부(44)는 힌지단부(43)가 대응결합되기 위한 몸체(20)의 끝단에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수납절개부(44)는 힌지단부(43)가 끼워지기 위한 절개홈(45)이 내측으로 길게 형성되어 "슬릿" 형태의 홈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힌지핀(46)은 헤드(10)와 몸체(20)가 상호 힌지회전되기 위해 힌지단부(43)가 끼워진 수납절개부(44)의 외측에서 삽입되어 힌지단부(43)와 수납절개부(44)를 일체화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힌지핀(46) 둘레의 힌지단부(43) 및 수납절개부(44)의 접면에는 원주상으로 배치된 톱니형태의 마찰돌기(49)가 각각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단속부(42)는 나사부(47), 단속부재(48)로 이루어진다.

    상기 나사부(47)는 몸체(20)에 형성된 수납절개부(44)의 절개홈(45)이 몸체(20)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절개된 지점의 몸체(20) 외주면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나사부(47)는 일측으로 테이퍼 형성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테이퍼는 나사부(47)에 단속부재(48)가 끼워진 후, 단속부재(48)를 회전시켜 조이면 수납절개부(44)의 절개홈(45)을 좁아지도록 하거나, 반대로 절개홈(45)을 원상태의 간격으로 복귀시키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 경사구성이다.

    상기 단속부재(48)는 그 내측에 나사부(47)와 대응하는 나사구성이 형성되어 나사부(47)와 나사결합구성을 유지함은 당연하며, 전술한 절개홈(45)의 간격을 좁히거나 복귀시키는 구성에 의해 힌지결합부(41)의 각도유지된 상태를 고정 및 고정해제 시키도록 한 구성이다. 특히, 상기 단속부재(48)는 외면에 너얼링 가공을 수행하여 시술자가 힌지결합부(41)의 고정 및 고정해제를 보다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단속부재(48)가 조여짐에 따라 힌지단부(43) 및 수납절개부(44)의 접면에 형성된 톱니형태의 마찰돌기(49)는 상호 견고하게 맞물려 각도 이동된 헤드가 유동하지 않게 된다.

    <다른 실시예 1>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예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작동상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의 토오크 렌치는 몸체(20)에 관절부(40)가 2지점에 설치된 구성을 제시한다. 이 때, 상기 각각의 관절부(40)는 전술한 원 실시예의 구성에서와 같으며, 절곡되는 각도는 원 실시예와 동일한 각도 및 원 실시예와 일정각도 이격된 각도로 절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토오크 렌치는 더욱 다양한 시술각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가장 내측의 어금니에 대한 픽스츄어의 매식이 보다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으며, 여러 환자의 다양한 구강구조에 대응할 수 있는 범위를 확장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실시예 2>

    도 6과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예시도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토오크 조절부(50)의 다른 구성을 보여준다.

    이를 위한 조절 로드 타입으로서, 상기 헤드부(10)와 관절부(40)의 사이의 몸체(20)에는 헤드부(10)의 토오크를 조절하기 위한 토오크 조절부(50)가 설치된다.

    상기 토오크 조절부(50)는, 상기 헤드부(10)와 일단이 결합되고 몸체(20)의 내부에 직선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면에 나사부(51a)가 형성된 조절로드(51)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조절로드(51)는 기존과 같이 헤드내의 토오크 조절 수단과 연계되어 그 조임 및 풀림에 따라 토오크 값을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조절로드(51)는 조절노브(53)에 의해 조정된다. 여기서 조절노브(53)는 상기 조절로드(51)의 후단부 외면에 나사결합되고 몸체(20)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몸체(20)의 상하면에 형성된 노출홈(52)을 통해 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조절노브(53)를 돌리면 조절로드(51)가 회전되면서 토오크 값을 조절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토오크 렌치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토오크 렌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토오크 렌치의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예시도

    도 5는 도 4의 작동상태도

    도 6과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8은 종래 토오크 렌치를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헤드 20: 몸체

    30: 손잡이 40: 관절부

    41: 힌지결합부 42: 결합단속부

    43: 힌지단부 44: 수납절개부

    45: 절개홈 46: 힌지핀

    47: 나사부 48: 단속부재

    49: 마찰돌기 50: 토오크 조절부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