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반 천공로드의 교정수단을 구비한 건축현장 지반개량장치

申请号 KR2020040011563 申请日 2004-04-26 公开(公告)号 KR200356975Y1 公开(公告)日 2004-07-21
申请人 최병진; 发明人 최병진;
摘要 본 고안은 지반 천공로드의 교정수단을 구비한 건축현장 지반개량장치에 관한 것으로, 크롤러 주행장치의 선단에 기복작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리더와, 리더에 설치된 승강용 체인의 구동에 의하여 상,하로 승강작동을 하는 기어박스와, 기어박스의 상부에 장착되어 천공로드의 관통을 허용하면서 삽입된 천공로드를 물어주는 유압척과, 상기 기어박스의 하부 양측에 각각 장착되어 유압척의 중심을 관통하는 천공로드를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켜주는 유압모터로 구성된 지반개량장치에 있어서, 상기 크롤러 주행장치의 좌,우 양측에 수평상으로 고정 설치된 양측 메인프레임 각각의 선단 하부에 고정 부착된 실린더형 수평프레임과; 상기 실린더형 수평프레임 내부에 출몰가능하게 장착되는 피스톤형 수평프레임과; 상기 실린더형 수평프레임 내부에 실린더몸체가 고정상태로 장착된 채 피스톤로드는 피스톤형 수평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한 피스톤로드의 전후진작동으로 피스톤형 수평프레임을 실린더형 수평프레임에서 수평상으로 출몰작동시켜주는 전후진용 유압실린더와; 상기 피스톤형 수평프레임 선단에 고정 부착된 채 수직상으로 설치되는 실린더형 수직프레임과; 상기 실린더형 수직프레임 내부에 출몰가능하게 장착되는 피스톤형 수직프레임과; 상기 실린더형 수직프레임 내부에 실린더몸체가 고정상태로 장착된 채 피스톤로드는 피스톤형 수직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한 피스톤로드의 전후진작동으로 피스톤형 수직프레임을 실린더형 수직프레임에서 하향을 향해 수직상으로 출몰작동시켜주는 승강용 유압실린더와; 상기 피스톤형 수직프레임의 선단에 고정 부착된 채중심에는 전방측이 개구된 절개공이 형성된 교정판재와; 상기 교정판재의 저부 양측 각각에는 실린더몸체가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양측 실린더몸체 각각의 피스톤로드 선단에는 상기한 절개공에 수직상으로 관통하는 상태로 위치하는 천공로드를 양측에서 협지할 수 있는 협지구가 고정 부착되어 있는 협지용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진 천공로드 교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안이다.
权利要求
  • 크롤러 주행장치의 선단에 기복작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리더와, 리더에 설치된 승강용 체인의 구동에 의하여 상,하로 승강작동을 하는 기어박스와, 기어박스의 상부에 장착되어 천공로드의 관통을 허용하면서 삽입된 천공로드를 물어주는 유압척과, 상기 기어박스의 하부 양측에 각각 장착되어 유압척의 중심을 관통하는 천공로드를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켜주는 유압모터로 구성된 지반개량장치에 있어서,
    상기 크롤러 주행장치의 좌,우 양측에 수평상으로 고정 설치된 양측 메인프레임 각각의 선단 하부에 고정 부착된 실린더형 수평프레임과;
    상기 실린더형 수평프레임 내부에 출몰가능하게 장착되는 피스톤형 수평프레임과;
    상기 실린더형 수평프레임 내부에 실린더몸체가 고정상태로 장착된 채 피스톤로드는 피스톤형 수평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한 피스톤로드의 전후진작동으로 피스톤형 수평프레임을 실린더형 수평프레임에서 수평상으로 출몰작동시켜주는 전후진용 유압실린더와;
    상기 피스톤형 수평프레임 선단에 고정 부착된 채 수직상으로 설치되는 실린더형 수직프레임과;
    상기 실린더형 수직프레임 내부에 출몰가능하게 장착되는 피스톤형 수직프레임과;
    상기 실린더형 수직프레임 내부에 실린더몸체가 고정상태로 장착된 채 피스톤로드는 피스톤형 수직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한 피스톤로드의 전후진작동으로 피스톤형 수직프레임을 실린더형 수직프레임에서 하향을 향해 수직상으로 출몰작동시켜주는 승강용 유압실린더와;
    상기 피스톤형 수직프레임의 선단에 고정 부착된 채 중심에는 전방측이 개구된 절개공이 형성된 교정판재와;
    상기 교정판재의 저부 양측 각각에는 실린더몸체가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양측 실린더몸체 각각의 피스톤로드 선단에는 상기한 절개공에 수직상으로 관통하는 상태로 위치하는 천공로드를 양측에서 협지할 수 있는 협지구가 고정 부착되어 있는 협지용 유압실린더;
    로 이루어진 천공로드 교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지반 천공로드의 교정수단을 구비한 건축현장 지반개량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판재의 상면에는 두개로 분리 형성된 채 절개공으로 삽입된 천공로드를 감싸주는 반원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전,후측 보호판 각각을 착탈가능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보호판 고정테두리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천공로드의 교정수단을 구비한 건축현장 지반개량장치.
  • 说明书全文

    지반 천공로드의 교정수단을 구비한 건축현장 지반개량장치{Ground improving device in the construction site}

    본 고안은 건축현장의 터파기 공사시 지반이 붕괴되지 않도록 지하에 시멘트풀을 주입하여 그라우팅 지중벽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천공로드를 삽입시키는 작동과 더불어 지하에 삽입된 천공로드 속으로 그라우팅용 튜브가 정상적으로 삽입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지하에 삽입된 천공로드가 경사지게 변형되었을 때 그 경사진 천공로드를 수직상으로 교정할 수 있도록 개선된 지반 천공로드의 교정수단을 구비한 건축현장 지반개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건축물을 건설할 때에는 지하에 파일을 박아주는 공법이나 또는 지하에 시멘트풀을 주입하여 그라우팅 지중벽을 구축하는 공법이 적용되고 있다.

    상기에서 지하에 그라우팅 지중벽을 구축하는 공법은 도 1의 도와 같이 건설현장 주위의 건물과는 충분히 이격된 위치에 철제빔(주로 H형 빔)을 박아준 다음 그 철제빔과 인접한 건물 사이의 지반에 비교적 작은 직경 예를 들면, 외경 89mm 의 천공로드를 지하에 설정된 깊이로 박아주고, 그 천공로드 속으로 플라스틱으로 된 그라우팅용 튜브를 삽입시킨 다음 지하에 박힌 천공로드를 인출하여 그라우팅용 튜브만 지하에 매설된 상태가 되게 한 후 그 그라우팅용 튜브로 시멘트풀을 압입하여 그라우팅용 튜브 주위의 지층에 시멘트풀에 의하여 지중벽이 형성되게 하는 공법이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서 천공로드를 지하에 박아주는 장치에는 지하에 박힌 천공로드 속으로 삽입된 그라우팅용 튜브가 설정된 깊이로 삽입되었는지의 여부, 그리고 천공로드를 인출할 때 그라우팅용 튜브가 함께 상승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없었기 때문에 지하에 그라우팅 지중벽을 설계대로 구축하지 못해 터파기 공사시 지층이 붕괴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었으며, 또한 지하에 박힌 천공로드가 똑바르게 있지 못하고 경사진 상태로 변형될 때에는 지하에 박힌 천공로드를 빼내기 위해 지상으로 노출된 천공로드에 다른 천공로드를 나사결합시키는 작업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지하에 박아놓은 천공로드가 경사지게 변형될 경우에는 그 경사상으로 변경된 천공로드를 수직상으로 똑바르게 교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지하에 박힌 천공로드를 빼내기 전에 천공로드 속에 삽입되어 있는 그라우팅용 튜브가 천공로드를 따라 올라오는지의 여부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지반개량장치를 개량 고안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크롤러 주행장치의 선단에 기복작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리더와, 리더에 설치된 승강용 체인의 구동에 의하여 상,하로 승강작동을 하는 기어박스와, 기어박스의 상부에 장착되어 천공로드의 관통을 허용하면서 삽입된 천공로드를 물어주는 유압척과, 상기 기어박스의 하부 양측에 각각 장착되어 유압척의 중심을 관통하는 천공로드를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켜주는 유압모터로 구성된 지반개량장치에 있어서,

    상기 크롤러 주행장치의 좌,우 양측에 수평상으로 고정 설치된 양측 메인프레임 각각의 선단 하부에 고정 부착된 실린더형 수평프레임과;

    상기 실린더형 수평프레임 내부에 출몰가능하게 장착되는 피스톤형 수평프레임과;

    상기 실린더형 수평프레임 내부에 실린더몸체가 고정상태로 장착된 채 피스톤로드는 피스톤형 수평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한 피스톤로드의 전후진작동으로 피스톤형 수평프레임을 실린더형 수평프레임에서 수평상으로 출몰작동시켜주는 전후진용 유압실린더와;

    상기 피스톤형 수평프레임 선단에 고정 부착된 채 수직상으로 설치되는 실린더형 수직프레임과;

    상기 실린더형 수직프레임 내부에 출몰가능하게 장착되는 피스톤형 수직프레임과;

    상기 실린더형 수직프레임 내부에 실린더몸체가 고정상태로 장착된 채 피스톤로드는 피스톤형 수직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한 피스톤로드의 전후진작동으로 피스톤형 수직프레임을 실린더형 수직프레임에서 하향을 향해 수직상으로 출몰작동시켜주는 승강용 유압실린더와;

    상기 피스톤형 수직프레임의 선단에 고정 부착된 채 중심에는 전방측이 개구된 절개공이 형성된 교정판재와;

    상기 교정판재의 저부 양측 각각에는 실린더몸체가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양측 실린더몸체 각각의 피스톤로드 선단에는 상기한 절개공에 수직상으로 관통하는 상태로 위치하는 천공로드를 양측에서 협지할 수 있는 협지구가 고정 부착되어 있는 협지용 유압실린더;

    로 이루어진 천공로드 교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교정판재의 상면에는 두개로 분리 형성된 채 절개공으로 삽입된 천공로드를 감싸주는 반원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전,후측 보호판 각각을 착탈가능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보호판 고정테두리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하여 건축현장의 지반을 개량하는 것으로 보여주는 평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및 정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로 나타낸 천공로드의 삽입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요부인 천공로드 교정수단 발췌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도 5의 BB선 단면도로 나타낸 천공로드 교정수단의 협지장치 작동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으로 경사진 천공로드를 수직상태가 되게 교정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9 및 도 10은 본 고안으로 천공로드의 삽입상태를 확인하는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크롤러 주행장치 11 : 메인프레임

    12 : 지지프레임 13 : 받침다리

    14 : 기복용 유압실린더 2 : 리더

    21,22 : 체인기어 23 : 연동축

    24 : 구동축 25 : 체인

    26 : 레일 3 : 기어박스

    31 : 유압척 32,33 : 유압모터

    4 : 천공로드 41 : 천공비트

    5 : 천공로드 교정수단 6 : 전후진용 유압실린더

    61 : 실린더형 수평프레임 62 : 피스톤형 수평프레임

    7 : 승강용 유압실린더 71 : 실린더형 수직프레임

    72 : 피스톤형 수직프레임 8 : 교정판재

    81 : 절개공 82,83 : 전,후측 보호판

    84 : 보호판 고정테두리 85 : 누름간

    86 : 고정핀 9 : 협지용 유압실린더

    91 : 협지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하여 건축현장의 지반을 개량하는 것으로 보여주는 평면도이며,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및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로 나타낸 천공로드의 삽입상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요부인 천공로드 교정수단 발췌 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5의 BB선 단면도로 나타낸 천공로드 교정수단의 협지장치 작동상태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으로 경사진 천공로드를 수직상태가 되게 교정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고안으로 천공로드의 삽입상태를 확인하는 작동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부호 1은 크롤러 주행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크롤러 주행장치(1)의 좌,우 양측에 수평상으로 설치된 메인프레임(11)의 선단 및 후단 각각의 양측에는 수직상으로 고정설치된 지지프레임(12)과 이 지지프레임의 내부에는 하단에서 하향을 향해 출몰가능하게 받침다리(13)가 장착되어 있는데, 상기한 받침다리(13)는 지지프레임(12)의 내부에 설치된 지지용 유압실린더(도시 생략)의 피스톤로드에 연결되어 크롤러 주행장치(1) 자체를 지상에 고정 상태로 지지하고자 할 때 지지프레임(12)의 하단에서 출현하여 지상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어 지반천공작업시 크롤러 주행장치(1)를 안정되게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양측 메인프레임(11) 각각의 선단측에는 기복용 유압실린더(14)에 의하여 수직상으로 기립설치되거나 또는 수평상으로의 눕힘설치가 가능하도록 리더(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리더(2)의 상,하측에는 각기 두개씩의 체인기어(21)(22)가 형성된 연동축(23)과 구동축(24)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하측의 체인기어(21)(22)에는 체인(25)이 연결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한 체인(25)의 양단은 기어박스(3)의 상,하부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기어박스(3)를 상,하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있다.

    또한 상기한 구동축(24)은 체인(25)을 정방향(도면상으로 볼 때 시계방향) 또는 역방향(도면상으로 볼 때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기어박스(3)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작용을 담당한다.

    상기 기어박스(3)의 상부 중심부에는 원통형으로 된 유압척(31)이 장착되어 있고, 하부 양측에는 유압모터(32)(33)가 장착되어 있는데, 상기한 유압척(31)은 그 양측에 설치된 척작동용 실린더(311)가 피스톤로드를 상향으로 출현작동시켰을 때에는 유압척의 중심을 관통하게 설치된 천공로드(4)를 놓아주는 한편, 피스톤로드가 실린더 내부로 몰입작동할 때에는 천공로드(4)를 물어주는 척장치가 내장되어 있는바, 이러한 유압척(31)은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장치를 그대로 적용한 것이므로 유압척이 천공로드(4)를 놓아주고 또 물어주는 데 따른 구체적인 구성 및 설명은 생략하였다.

    또한 상기 기어박스(3)의 하부 양측에 설치된 유압모터(32)(33)가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는 양측 유압모터(32)(33)의 회전축 각각에 장착된 양측 구동기어와 이들 양측 구동기어 사이에 치합된 아이들기어가 장착되어 있는데, 상기한 아이들기어의 중심에는 천공로드(4)가 관통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유압척(31) 중심으로 삽입 설치되는 천공로드(4)가 기어박스(3)의 중심을 관통하여 지하로 삽입될 수 있게 되는데, 이러한 기어박스(3)와 양측 유압모터(32)(33)의 구성은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것(국내 실용신안등록 제 160424 호의 고안 참조)과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 및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리더(2)의 양측 기둥 각각의 내측에는 기어박스(3)의 승강작동을 안내하는 레일(26)이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특징은 상기 크롤러 주행장치(1)의 선단측에 천공로드 교정수단(5)을 구비한 것에 있다.

    상기 천공로드 교정수단(5)은 양측 메인프레임(11) 각각의 선단 하부에 고정 설치된 실린더형 수평프레임(61)에 출몰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형 수평프레임(62)을 수평상으로 출몰작동시켜주기 위한 전후진용 유압실린더(6)와, 상기 피스톤형 수평프레임(61)의 선단에 고정 부착된 실린더형 수직프레임(71)에 출몰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형 수직프레임(72)을 수직상으로 출몰작동시켜주기 위한 승강용 유압실린더(71)와, 상기 피스톤형 수직프레임(72)의 선단에 고정 부착된 교정판재(8)와, 상기 교정판재(8)의 저부 양측에 서로 마주하게 설치되어 천공로드(4) 양측을 협지하는 협지용 유압실린더(9)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후진용 유압실린더(6)는 실린더형 수평프레임(61) 내부에 장착된 채 그의 실린더몸체는 실린더형 수평프레임(61)의 후단측에 고정 연결되어 있고, 피스톤로드(62)의 선단은 피스톤형 수평프레임(62)의 선단측에 고정 연결되어 있다.

    상기 승강용 유압실린더(7)는 실린더형 수직프레임(71) 내부에 장착된 채 그의 실린더몸체는 상기 실린더형 수직프레임(71)의 상단측에 고정 연결되어 있고, 피스톤로드는 피스톤형 수직프레임(72)의 하단측에 고정 연결되어 있다.

    상기 교정판재(8)의 중심부분에는 전방측으로 개구된 절개공(8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절개공(81)의 주위에는 천공로드(4)를 감싸줄 수 있도록 두개로 분할 형성된 전,후측 보호판(82)(83)을 착탈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게 하는 보호판 고정테두리(84)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한 보호판 고정테두리(84)의 전단측에는 전측 보호판(82)의 양측 상면이 걸림되게 하는 돌출부(841)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 상기한 전측 보호판(82)에는 후측 보호판(83)의 상면으로 길게 돌출되어 후측 보호판(83)의 이탈을 방지하는 누름간(85)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한 보호판 고정테두리(84)의 안쪽에 위치하는 교정판재(8)의 전방 양측과 전측 보호판(82) 양측에는 고정핀(86)을 삽탈가능하게 끼워줄 수 있는 핀조립공(87)(8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협지용 유압실린더(9)는 교정판재(8)의 저부 양측에 서로 대칭상으로 고정 설치된 채 피스톤로드의 출현작동시 그 선단에 고정 부착된 협지구(91)를 절개공(81)으로 삽입된 천공로드(4) 양측을 동시에 협압하여 물어주거나 또는 후진작동시에는 천공로드(4)를 놓아주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으로 천공로드의 삽입시키는 작용과, 지하에 삽입된 천공로드가 경사지게 변형될 때 똑바르게 교정하는 작용 및 천공로드를 빼낼 때 그라우팅용 튜브가 올라오느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천공로드(4)를 지하에 삽입시키는 천공작동을 개시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기어박스(3)를 리더(2)의 상단측으로 상승이동시킨 다음 유압척(31) 양측의 척작동용 실린더(311)를 작동시켜 그의 피스톤로드를 상향으로 출현시키게 되면 유압척(31)의 내부에 장착된 척이 벌어지게 되어 상,하 다단상으로 나사결합된 천공로드(4)를 기어박스(3)와 유압척(31)의 중심을 관통하는 상태로 삽입시킬 수 있게 되며, 천공로드를 유압척(31)의 중심으로 삽입시킨 후 척작동용 실린더(311)의 피스톤로드를 몰입작동시키게 되면 유압척(31)이 천공로드(4)를 꽉 물어주게 되며, 최하단측 천공로드의 하단에는 천공비트(41)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한편, 다단으로 연결된 채 기어박스(3)의 하측에 있는 천공로드(4)는 천공로드 교정수단(5)의 교정판재(8)에 형성된 절개공(81)에 삽입된 상태에서 보호판 고정테두리(84)에 조립된 전,후측 보호판(8)(83) 각각에 형성된 반원형 홈에 의해 원형을 이루게 되는 원형홈을 관통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다단으로 연결된 천공로드(4)를 유압척(31)으로 물어준 상태에서 기어박스(3)의 하부 양측에 설치된 유압모터(32)(33)를 동시에 구동시키게 되면 천공로드(4)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서 천공비트(41)가 지반을 천공하게 되는데, 천공비트(41)가 회전작동으로 지반을 천공함에 따라서 기어박스(3)를 서서히 하강작동시키게 되면 천공로드(4)는 지반을 천공하면서 지하에 삽입되는 것이며(도 4 참조), 이렇게 천공로드(4)를 지하에 삽입시킬 때에는 천공로드 내부로 수압을 공급하여 천공로드(4)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토사를 수압으로 배출시키게 되므로서 천공로드(4)의 내측에는 토사가 유입되지 않는 상태로 천공로드(4)를 설정된 깊이로 박아주게 된다.

    상기 천공로드(4)를 설정된 깊이로 삽입시킨 후에는 유압모터(32)(33)를 천공로드 삽입시킬 때의 회전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시키게 되면 천공로드 교정수단(5)의 교정판재(8)와 기어박스(3) 사이에서 연결된 채 유압척(31)에 물려있는 상단측 천공로드는 그 밑에 있는 천공로드에서 나사풀림되어 분리되는 것이며, 이어서 교정판재(8)의 보호판 고정테두리(84) 내측에 조립되어 있던 전측 보호판(82)을 고정시키고 있던 고정핀(86)을 빼내고 전측 보호판(82)을 보호판 고정테두리(84)에서 분리하게 되면 절개공(81)은 전방측으로 개구된 상태가 되며, 이어서 크롤러 주행장치(1)를 후진시키게 되면 천공로드 교정수단(5)은 지하에 삽입된 천공로드(4)를 놔둔채 후진하는 크롤러 주행장치(1)와 함께 천공로드에서 벗어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은 지하� � 삽입되어 있는 천공로드(4) 속으로 플라스틱제 그라우팅용 튜브(도시 생략)를 삽입시키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지하에 박힌 천공로드(4) 속으로 삽입되는 그라우팅용 튜브는 그 하단이 최하단측 천공로드(4)의 하단까지 삽입시키게 되며, 상단은 지상으로 돌출된 상단측 천공로드(4)의 상단부에서 절단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지하에 박힌 천공로드(4) 속으로 삽입된 그라우팅용 튜브가 천공로드를 빼낼 때 천공로드와 함께 올라오지 않아야만 그라우팅작업이 올바르게 진행할 수 있게 되는데,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지하에 박힌 천공로드(4)를 일정 높이로 빼보는 작동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앞에서 설명한 바 있듯이 그라우팅용 튜브를 천공로드(4)에 삽입시키기 위해 크롤러 주행장치(1)를 후진이동시켰을 때에는 천공로드(4)를 놓아준 상태가 되어 천공로드가 박힌 지하층이 유동하게 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붕괴되는 현상으로 인하여 천공로드(4)가 삽입당시의 수직상태로 있지 못하고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으며, 만일 지하에 삽입된 천공로드(4)가 도 8의 도시와 같이 일측으로 경사진 상태로 변형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천공로드(4)를 일정 높이로 상승시키는 작업이 곤란해질 뿐 아니라 천공로드(4)를 빼내기 위해 유압척(31)의 중심으로 삽입되는 인출용 천공로드의 하단을 지상에 노출된 천공로드의 상단에 나사결합시킬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앞서 후진이동시켰던 크롤러 주행장치(1)를 원위치로 전진이동시켜 교정판재(8)의 절개공(81) 속으로 천공로드(4)가 삽입되게 하여 교정판재(8)의 저부 양측에 장착된 협지용 유압실린더(9)의 피스톤로드 선단에 형성된 양측 협지구(91)가 도 6의 도시와 같이 천공로드(4)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하는데, 이때에는 승강용 유압실린더(7)의 피스톤로드를 출현(하강)작동시켜서 교정판재(8)가 지상에 닿은 정도로 하강이동(도 9 참조)되게 한 상태이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협지용 유압실린더(9)를 작동시켜 양측의 협지구(91)가 도 7의 도시와 같이 천공로드(4)의 양측에서 압착하는 협지토록 한 다음 전후진용 유압실린더(6)의 피스톤로드를 경사진 천공로드(4)를 수직상으로 똑바르게 교정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전진(출현)시키거나 또는 후진 (몰입)시키게 되면 기울어져 있는 천공로드(4)를 수직상으로 똑바르게 교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도 8 참조)

    상기와 같이 전후진용 유압실린더(6)의 전,후진 작동으로 천공로드(4)를 똑바르게 교정시킨 다음에는 양측의 협지용 유압실린더(9)의 협지구(91)가 지상에 인접한 위치에서 천공로드(4) 양측을 압착 협지하고 상태에서 승강용 유압실린더(7)가 작동하여 피스톤로드를 실린더몸체로 몰입(상승)시키게 되면 교정판재(8)와 함께 상승하게 되는 협지용 유압실린더(9)의 양측 협지구(91)가 천공로드(4)를 일정 높이로 빼내게 되는데, 이와 같이 천공로드(4)를 일정 높이로 빼낼 때 작업자는 천공로드(4) 속에 삽입되어 있던 그라우팅용 튜브가 천공로드와 함께 상승하는지 또는 상승하지 않는지를 육안으로 확인하게 된다. 즉, 천공로드(4)를 일정 높이로 빼낼 때 그라우팅용 튜브가 올라오지 않게 되면 그라우팅용 튜브가 올바르게 삽입된 것이고, 이와 반대로 그라우팅용 튜브가 천공로드(4)를 따라 올라오게 되면 그라우팅용 튜브의 삽입 상태가 불량한 상태이다. 따라서 그라우팅용 튜브가 불량상태로 삽입된 것이 확인되었을 때에는 천공로드(4)롤 회전작동시키면서 조금더 깊게 박아주면서 수압을 주입하는 작동으로 천공로드의 내부에 존재하게 되는 토사를 제거한 후 다시 앞에서 언급한 확인작업 즉, 천공로드(4)를 일정 높이로 상승시켰을 때 그라우팅용 튜브가 올라오지 않는 것을 확인한 다음 다른 천공로드를 나사결합시킨 후 천공로드를 회전작동시키면서 기아박스(3)를 서서히 상승이동시키는 작동으로 그라우팅용 튜브는 지하에 삽입시켜놓은 상태로 놔두고 천공로드만을 인출하게 된다.

    그리고 지하에 삽입된 천공로드의 길이가 리더(2)의 길이보다 더 길기 때문에 기어박스(3)를 리더(2)의 상단측까지 상승이동시켰을 때에도 천공로드(4)가 지하에서 완전히 빠져나오지 않게 되는데, 이때에는 유압모터(32)(33)를 나사풀림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유압척(31)에 물려있는 천공로드를 그 아래에 있는 천공로드에서 분리시킬 수 있게 되며, 유압척에 물려있던 천공로드를 분리한 후에는 다시 기어박스(3)를 하강이동시켜 지상에 돌출되어 있는 천공로드(4)를 유압척(31)이 물어주도록 한 상태에서 기어박스(3)를 다시 상승이동시키는 작동과 유압모터(32)(33)를 나사풀림방향으로 회전작동시켜 천공로드(4)를 나사풀림하여 분리시키는 작동을 반복하여 지하에 삽입시켰던 천공로드를 인출하게 되면 그라우팅용 튜브만 지하에 설정된 매설되어 있게 되는 � ��이며, 이후 지하에 삽입된 상태로 매설되어 있는 그라우팅용 튜브에 시멘트풀을 주입하게 되면 지하에 지중벽을 구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지하에 설정된 깊이로 삽입된 천공로드가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이 발생될 때에는 경사진 천공로드를 수직상으로 똑바르게 교정할 수 있으며, 천공로드 속으로 그라우팅용 튜브를 삽입시킨 후에는 지하에 박힌 천공로드를 일정 높이로 상승이동시키는 방법으로 그라우팅용 튜브가 천공로드와 함께 올라오는지의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건설현장의 터파기 공사 전에 지하층을 시멘트풀로 그라우팅시키는 방법으로 지중벽을 구축하는 지반개량공사를 정확하게 실행할 수 있으므로서 건축물을 설계대로 건설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유용한 고안이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