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복의 아플리케 자수방법

申请号 KR1020080111651 申请日 2008-11-11 公开(公告)号 KR1020100052794A 公开(公告)日 2010-05-20
申请人 백태화; 发明人 백태화;
摘要 PURPOSE: An applique embroidering method of Korean traditional clothes is provided to improve productivity by simplification of processes, and to efficiently express patterns on the Korean traditional clothes by protruding the surface of the fabric from fabric. CONSTITUTION: An applique embroidering method of Korean traditional clothes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forming a film sheet which is identical with the patterns cut to a predetermined shape; preparing fabric to penetrate the light(S10); attaching the cut pattern on a projected drawing(S20); forming and sewing the patterns on the fabric(S30); and embroidering the patterns on a constant location(S40).
权利要求
  • 한복지 등에 아플리케 문양을 자수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형상으로 재단된 문양과 동일하게 도안한 필름지를 형성하고, 상기 필름지의 저면에서 상측으로 투광되도록 설치하는 준비단계(S10);
    상기 유리의 상면에 한복지를 올리고 투영된 도안에 상기의 재단된 문양을 부착하는 투영 및 부착단계(S20);
    상기 한복지 상에 부착된 문양을 설정된 위치에 재봉하는 문양봉재 및 형성단계(S30); 및
    상기 설정 위치에 고정된 문양에 대하여 개별적인 자수를 처리하는 손자수단계(S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복의 아플리케 자수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준비단계(S10)는 필름지를 유리의 저면에 부착하고 하방향에서 조명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복의 아플리케 자수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영 및 부착단계(S20)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투영된 도안과 일치하도록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복의 아플리케 자수방법.
  • 说明书全文

    한복의 아플리케 자수방법{Applique embroidering method for traditional Korean cloth}

    본 발명은 아플리케 자수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문양의 입체감을 살리는 것은 물론 공정의 단순화를 통하여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한복의 아플리케 자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플리케는 바탕천 위에 작은 조각의 천ㆍ가죽ㆍ레이스 등을 다양한 문양으로 오려 붙이고 가장자리를 실로 꿰매는 자수법으로서 의복을 비롯하여 다양한 형태로 일상생활에 자주 활용된다.

    일예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7-0093924호 에 의하면 『밑그림(2)을 도안지(3)에 그려넣는 제1단계; 도안지(3)를 오려내어 부분자수감틀(5)을 형성하는 제2단계와; 접착풀(6)을 도포한 후 자수감원단(7)의 내면에 접착하는 제3단계; 시접부(8)가 생기도록 여유 있게 오려내는 제4단계; 고온으로 다림질하여 시접부(8)를 정착시키는 제5단계; 아플리케 자수감(100)에 대한 부분자수감(9)을 형성하는 제6단계; 손바느질하여 전체무늬를 갖는 아플리케 자수감(100)을 형성하는 제7단계; 최하층 시접부(8)를 잘라내어 아플리케 자수감(100)을 완성하는 제8단계』를 개시 한다.

    다른 예로,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86-0012712호에 의하면 『도면에 표시한 것과 같이 한복원단(1)의 일측으로 부속재료에 수반되는 원단부(A)를 구획하거나 덧붙여 직성하는 등의 방법으로 원단(1)과 공존되게 형성하고, 공존시킨 부속원단부(A) 표면에 각각 끝동조새부(2)와 옷고름소재부(3)및 깃수재부(4)에 맞도록 나염, 수화, 자수 등의 방법으로 임의의 무늬(2')(3')(4')를 현출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하면 문양의 입체감을 형성하는 측면의 효과는 기대되지만 그 작업공정이 너무 복잡하여 작업자의 숙련도에 의존해야 하고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

    종래기술의 문헌정보

    [문헌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7-0093924호 “입체감을 갖는 아플리케 자수감의 제조 방법”

    [문헌2]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86-0012712호 “한복지”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문양의 입체감을 살리는 것은 물론 공정의 단순화를 통하여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한복의 아플리케 자수방법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한복지 등에 아플리케 문양을 자수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형상으로 재단된 문양과 동일하게 도안한 필름지를 형성하고, 상기 필름지의 저면에서 상측으로 투광되도록 설치하는 준비단계(S10); 상기 유리의 상면에 한복지를 올리고 투영된 도안에 상기의 재단된 문양을 부착하는 투영 및 부착단계(S20); 상기 한복지 상에 부착된 문양을 설정된 위치에 재봉하는 문양봉재 및 형성단계(S30); 및 상기 설정 위치에 고정된 문양에 대하여 개별적인 자수를 처리하는 손자수단계(S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준비단계(S10)는 필름지를 유리의 저면에 부착하고 하방향에서 조명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투영 및 부착단계(S20)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투영된 도안과 일치하도록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 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한복의 아플리케 자수방법은 문양의 입체감을 살리는 것은 물론 공정의 단순화를 통하여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수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준비단계를 예시하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투영 및 부착단계를 예시하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문양봉제 및 형성단계를 거쳐 손자수 단계에 이르는 과정을 예시하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한복지 등에 아플리케 문양을 자수하는 방법에 관련되어 바람직하게 적용된다. 그러나 비단 한복지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아플리케 문양도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후술하는 것처럼 필름지(10), 유리(20), 자수원단(30)을 기본적 구성으로 하면서, 필름지(10) 상에 도안(15)이 형성되고 자수원단(30)으 로부터 문양(35)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의 형상으로 재단된 문양과 동일하게 도안한 필름지를 형성하고, 상기 필름지의 저면에서 상측으로 투광되도록 설치하는 준비단계(S10)를 거친다. 필름지(10)는 소정의 패턴을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서 투명한 수지제를 사용한다. 자수원단(30)은 아플리케의 모체가 되는 것으로서 너무 얇지 않고 적절한 두께를 지니면서 무모양의 투명한 직물이지만 연한 색상이 있는 것도 무방하다. 자수원단(30)으로 위사와 경사의 굵기가 같은 것이 좋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즉, 촘촘하게 짠 화섬ㆍ무명ㆍ인견이 좋으나 가죽이나 펠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자수원단(30)의 문양(35)과 필름지(10)의 도안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생성하고, 재단 과정에서 열재단기를 이용하면 재단된 문양(35)의 절단면이 매끄럽다. 즉, 컴퓨터 레이저기구를 이용하여 하나씩 열재단하며 모양을 자르는 방식으로서 특히 컴퓨터에 입력된 도안대로 재단기가 지나가며 재단하므로 정확한 문양을 신속하게 얻을 수 있다. 열재단 방식에 의하면 잘린 부분이 매끄러우면서도 실이 풀어지지 않아 의복에 부착시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준비단계(S10)는 필름지를 유리의 저면에 부착하고 하방향에서 조명을 조사한다. 본 발명에서 유리(20)와 조명등(25)을 사용하는 것은 작업을 편리하게 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소정의 설계 도안을 지닌 필름지(10)가 유리(20)의 저면에 부착되고 하방향에서 조명등(25)을 조사하면 유리(20)의 상면으로 도안이 선명하게 드러난다. 물론 유리(20)와 자수원단(30)의 종류에 따라 조명등(25)의 조도를 달리해야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유리의 상면에 한복지를 올리고 투영된 도안에 상기의 재단된 문양을 부착하는 투영 및 부착단계(S20)를 거친다. 유리의 하방향에서 조명등(25)의 빛이 필름지(10)를 통과하여 도안을 유리(20) 상면의 한복지(40)에 투영하면 이에 맞추어 문양(35)을 부착하기 용이하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투영 및 부착단계(S20)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투영된 도안과 일치하도록 부착한다. 접착제는 다양한 것을 선택할 수 있지만 스프레이 풀이 적절하다. 스프레이 풀을 사용하여 열재단된 문양(35)의 뒷면에 뿌린 다음 투영되는 도안을 기준으로 입체감있는 문양(35)으로 배열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한복지 상에 부착된 문양을 설정된 위치에 재봉하는 문양봉재 및 형성단계(S30)를 거친다. 이 경우 이미 전단계(S20)에서 문양(35)의 부착 상태가 유지되므로 재봉기로 재봉할 수도 있고 수작업으로 마무리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설정 위치에 고정된 문양에 대하여 개별적인 자수를 처리하는 손자수단계(S40)를 거친다. 한복지와 같은 피부착물에 문양(35)을 배열한 다음 위쪽으로 미싱을 이동하며 손자수가 들어가면 최종의 자수문양(45)이 완성된다. 물론 자수문양(45)은 가장자리를 실로 재봉하는 것이 보통인데 접착제로 붙이는 것도 배제하지 않는다. 자수문양(45)을 재봉하는 실은 면사ㆍ견사ㆍ금은사 등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재봉법으로는 지그재그 감치기, 걸어 감치기 등이 무난하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수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준비단계를 예시하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투영 및 부착단계를 예시하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문양봉제 및 형성단계를 거쳐 손자수 단계에 이르는 과정을 예시하는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필름지 15: 도안

    20: 유리 25: 조명등

    30: 자수원단 35: 문양

    40: 한복지 45: 자수문양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