首页 / 国际专利分类库 / 纺织;造纸 / 织造 / 机织织物;织造方法;织机 / 布边 / 변부풀림현상이 없는 워터젯트직물

변부풀림현상이 없는 워터젯트직물

申请号 KR1020090021143 申请日 2009-03-12 公开(公告)号 KR1020100102862A 公开(公告)日 2010-09-27
申请人 엑스플로어(주); 发明人 박종희; 윤종기;
摘要 PURPOSE: A water jet fabric without the edge fraying phenomenon is provided to secure the high abrasion resistance similar to a fabric woven by a shuttle loom. CONSTITUTION: A water jet fabric includes a fusion portion with the width of 0.2~1 or 0.5~0.8 millimeters at the edge of both ends of the fabric. The water jet fabric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ster fabric, a nylon fabric, and a polypropylene fabric. The water jet fabric is for a robe or a hijab.
权利要求
  • 워터젯트직물에 있어서,
    직물양단의 변부에 폭 0.2~1㎜의 융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부풀림현상이 없는 워터젯트직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젯트직물은 폴리에스테르 직물, 나일론 직물, 폴리프로필렌직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부풀림현상이 없는 워터젯트직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부는 폭 0.5~0.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부풀림현상이 없는 워터젯트직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젯트직물은 로브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부풀림현상이 없는 워터젯트직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젯트직물은 히잡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부풀림현상이 없는 워터젯트직물.
  • 说明书全文

    변부풀림현상이 없는 워터젯트직물{Waterjet Fabrics Without disentangled selvage}

    본 발명은 워터젯트 직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직물양단의 셀비지를 융착절단하여 변부풀림현상이 없도록 한 워터젯트 직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물은 직기에서 위사와 경사를 엇갈리게 편직하여 제조된다. 상기 직기를 제조하는 직기는 위사를 공급하는 방법에 따라 크게 셔틀을 사용하는 셔틀 직기(Shuttle Loom)와, 셔틀을 사용하지 않는 셔틀리스직기(Shuttleless Loom)로 구분된다.

    셔틀은 경사의 개구부위 사이로 위사를 물고 운반하는 일종의 북으로써, 상기 셔틀을 사용하지 않는 직기로서는 셔틀 대신 그립퍼(Gripper)를 사용하는 레피어직기와, 워터를 이용하는 워터젯트직기등이 있다.

    셔틀직기로 제직된 직물은 직물양단의 셀비지에 위사가 빠져나오지 않아 매끄러운 외관을 가지고 있어 봉제공정에서 셀비지처리를 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으나, 직물이 고가인 문제점이 있다. 한편, 워터젯트직기로 제직된 직물은 가격이 저렴한 장점이 있으나 직물양단의 셀비지에 위사가 빠져나와 외관이 좋지 못하 고 봉제공정에서 셀비지처리를 해야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직물의 용도에 따라 셀비지를 절단하고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에는 셀비지절단을 하면서도 직물낭비를 최소한으로 하는 것이 중요하게 된다. 특히, 중동지역에서 착용하는 의복류인 히잡 제품은 우리나라 여성의 일상복에 해당하는 것으로써 그 지역의 기후와 생활 문화를 잘 반영하여야만 고급 제품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데, 히잡과 같은 중동여성의 쓰개제품은 원단상태 그대로 사용되는데,폭방향으로는 봉제를 하지 않고 길이방향만 커팅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히잡류의 원단은 주로 셔틀직기에서 생산되어 수출되고 있으나,전술한 바와 같이 단가가 높은 실정이었다.

    또한, 중동의 남성용 의류인 로브의 경우에도 워터제트에서 생산된 직물의 셀비지를 바이어의 요구에 따라 일반커터로 컷팅하여 수출되고 있다

    이러한 워터젯트 직물의 경우에 셀비지처리를 하기 위해 직조된 천을 절단하는 경우에 일반적인 커터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었으나 처리된 변부는 수회의 세탁에도 경사가 직물에서 이탈되어 위사일부가 직물양단으로 삐져나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여 워터젯트 직물의 근본적인 문제점인 변부풀림을 해결함과 동시에 셔틀직기로 제직된 직물과 같은 고급스러운 변부마감을 가지는 워터젯트 직물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과제로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워터젯트직물에 있어서, 직물양단의 변부에 폭 0.2~1㎜의 융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부풀림현상이 없는 워터젯트직물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워터젯트직물은 일반적인 워터젯트직물의 셀비지를 융착절단시켜 융착부를 형성시켜 직물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편, 특수용도로의 사용시 잦은 세탁에도 직물의 변부풀림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워터젯트직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워터젯트직물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물양단의 변부(1)에 폭 0.2~1㎜의 융착부(2)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존의 워터젯트직물은 직물양단에 도 1에서도 도시된 바와 같이 핀홀(3)이 형성되어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사가 돌출된 셀비지를 갖고 있어 최종용도로 사용하는 경우에 셀비지부분을 봉제처리하여 위사가 빠져나오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커터기로 핀홀까지 포함하는 부분을 절단하여 끝처리를 매끄럽게도 하고 있으나 수회의 세탁시 경사가 빠져나가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변부풀림현상이 없는 워터젯트직물은 직물양단의 변부(1)에 융착부(2)를 가짐으로써 봉제처리가 필요없을 뿐만 아니라 직물의 낭비까지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융착부의 폭이 0.2~1㎜이어야 하는데, 융착부 폭이 0.2㎜미만인 경우에는 융착부가 세탁에 의해 대부분이 파손되어 외관이 매끄럽지 못하게 될 우려가 있으며, 1㎜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의류와 같이 최종용도로 활용하는 경우에 질감 및 착용감이 나빠질 우려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직물은 특정용도에 따라, 특히 중동지역의 의류인 로브용이나 히잡용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착용시 촉감 및 외관의 고급스러움등을 고려할 때 상기 융착부가 폭 0.5~0.8㎜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워터젯트직물은 폴리에스테르 직물, 나일론 직물, 폴리프로필렌직물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직물은 일반사로 제직된 것이어도 좋으며, 극세사 또는 가연사로 제직된 것이어도 좋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직물, 나일론 직물, 폴리프로필렌직물 중 어느 하나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Tm보다 높은 180~230℃의 가열커터로 절단하는 것이 융착부의 균일성제고 및 직물의 열적변형방지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변부풀림현상이 없는 워터젯트직물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통상적인 워터젯트 직기에서는 직물이 완성된 후 이송롤러를 통과한 후 구동롤러를 지나 권취롤러에 직물이 감기게 된다. 본 발명의 변부풀림현상이 없는 워터젯트직물은 제직된 직물(4)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이송롤러(5)를 통과한 후 가열커터(6)로 직물양단의 셀비지부분이 용융절단되면서 직물절단부 즉, 변부(1)에 융착부가 생기도록 한다. 상기 가열커터의 후단에는 제2이송롤러(10)과 이에 인접하여 회전하는 연동롤러(7)를 설치하여 절단셀비지(8)와 절단된 직물을 이송시킨다.

    여기서 특히, 가열커터의 위치 및 상기 절단셀비지(8)의 처리가 중요한데, 제1이송롤러(5)의 직후에서 컷팅이 행해질 수 있도록 가열커터(6)를 형성시키고, 셀비지가이드(9)를 설치한다. 상기 가열커터(6)에 의해 절단셀비지(8)는 절단면이 아직 용융된 상태로서 충분한 냉각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절단된 직물의 융착부(2)와 재부착될 가능성이 높다. 본 발명의 직기에서는 상기 가열커터의 후단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셀비지가이드(9)를 설치하여 절단셀비지(8)의 절단면과 직물의 융착부(2)가 재부착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가열커터(6)는 열선만을 사용하여도 좋으나, 열선이 내장된 금속제 커터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열선만을 사용하여 셀비지를 용융절단하는 경우에는 융착부의 폭을 세밀히 조절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열선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특히,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선모양이 "U" 자형 또는 "V"자형인 것을 사용하여 직물과 처음 접촉하는 전단부는 절단 및 용융 작용을 하도록 하고, 후단부는 직물의 융착부(2)를 균일하게 하는 작용을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셀비지가이드(9)의 일단이 연동롤러(7)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하고 상기 셀비지가이드와 연동롤러의 외주면사이에 절단셀비지(8)가 끼워지도록 하고, 상기 연동롤러(7)와 제2이송롤러(10)의 접선에 장력조절바(11)를 설치하여, 상기 절단셀비지(8)와 절단된 직물이 동일한 선속도로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직물을 가열커터로 용융절단하는 구간에서의 절단셀비지(8)와 절단된 직물의 속도차 및 장력차를 최소화하여 절단된 직물의 융착부(2)의 균일성을 제고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제조장치에서는 직물의 종류에 따라 온도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온도조절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온도가 설정된 경우에는 일정하게 온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조정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워터젯트 직물의 근본적인 문제점인 변부풀림을 해결함과 동시에 셔틀직기로 제직된 직물과 같은 고급스럽고 내마모도가 높은 변부마감을 가지는 고품위 직물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직물은 변부풀림을 방지하면서도 직물의 촉감 및 착용감을 저해하지 않을 정도로 좁은 융착부폭을 가지고 있어 중동지역의 의복인 히잡이나 로브용으로 사용하는데 바람직하다.

    이하 다음의 실시 예에서는 본 발명의 변부풀림현상이 없는 워터젯트직물에 대한 비한정적인 예시를 하고 있다.

    [실시예 1]

    통상적인 워터젯트 직기에서 직물(폴리에스테르 평직)을 제직한 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롤러로 이송하기 전에 이송롤러를 통과시킨 후 200℃의 표면온도를 갖는 가열커터에 의해 직물양단의 셀비지를 용융절단하면서 직물변부의 절단부에 폭 0.6㎜의 융착부가 생기도록 하였다. 가열커터의 후단 13㎝지점에 형성된 셀비지가이드의 일단과 연동롤러의 외주면사이에 절단셀비지가 끼워지도록 한 후, 장력조절바,연동롤러 및 구동롤러의 접선으로 상기 절단된 직물과 절단셀비지를 0.19야드/분의 속도로 통과시킨 후, 절단셀비지는 별도로 회수하고 절단된 직물만을 권취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폴리에스테르 직물을 통상적인 비가열커터로 셀비지를 절단하여 처리를 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의 폴리에스테르직물을 셔틀직기를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도 7 내지 도 14는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처리된 직물을 각각 1회, 3회, 5회, 10회 세탁한 후 변부의 현미경사진으로서, 실시예 1의 직물은 10회의 세탁에도 변부의 올풀림이 없는데 반해, 비교예 1의 직물은 세탁 5회부터 극심한 올풀림이 발생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2의 직물을 내마모성시험(KS R 4027:1998)을 하여 외관판정을 한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마모횟수 실시예 1 비교예 2
    100회 변사빠짐없음 변사빠짐없음
    200회 변사빠짐없음 변사빠짐없음
    300회 변사빠짐없음 변사빠짐없음
    400회 변사빠짐없음 변사빠짐없음
    500회 변사빠짐없음 변사빠짐없음

    시험조건 : 적용하중 : (2.35± 0.05)㎏

    반복속도 : (30 ± 1)회/분

    행정 : (330 ± 30)㎜

    상기 표 1에 따르면 실시예 1의 처리된 직물은 내마모성 시험에서 셔틀직기로 제직된 직물과 동등한 정도의 내구성을 가지는 변부를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변부풀림현상이 없는 워터젯트직물의 변부를 도시한 모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변부풀림현상이 없는 워터젯트직물의 변부를 촬영한 사진이며,

    도 3은 일반 워터젯트직물의 변부사진이며,

    도 4는 일반 워터젯트직물을 일반 커팅한 변부를 촬영한 사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변부풀림현상이 없는 워터젯트직물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6은 상기 변부풀림현상이 없는 워터젯트직물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의 확대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변부풀림현상이 없는 워터젯트직물을 1회 세탁한 후의 변부사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변부풀림현상이 없는 워터젯트직물을 3회 세탁한 후의 변부사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변부풀림현상이 없는 워터젯트직물을 5회 세탁한 후의 변부사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변부풀림현상이 없는 워터젯트직물을 10회 세탁한 후의 변부사진이며,

    도 11은 비교예 1의 일반 커팅한 워터젯트직물을 1회 세탁한 후의 변부사진이며,

    도 12는 비교예 1의 일반 커팅한 워터젯트직물을 3회 세탁한 후의 변부사진이며,

    도 13은 비교예 1의 일반 커팅한 워터젯트직물을 5회 세탁한 후의 변부사진이며,

    도 14는 비교예 1의 일반 커팅한 워터젯트직물을 10회 세탁한 후의 변부사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변부 2 : 융착부

    3 : 핀홀 4 : 직물

    5 : 제1이송롤러 6 : 가열커터

    7 : 연동롤러 8 : 절단셀비지

    9 : 셀비지가이드 10 : 제2이송롤러

    11 : 장력조절바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