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기

申请号 KR1020040097974 申请日 2004-11-26 公开(公告)号 KR1020050061298A 公开(公告)日 2005-06-22
申请人 쯔다고마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发明人 구라야스히로; 묘기게이이치;
摘要 본 발명의 직기(織機)는, 부대(附帶) 장치의 이동 범위를 손상시키지 않고 부대 장치를 안정적으로 동작시키고, 또한 가이드 바가 꺾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직폭(織幅)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바에 대하여, 템플, 커터, 필러, 가연(假撚)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부대 장치가 직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직기에 있어서, 복수개의 분리 부재로 이루어지는 연결 부재와 직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 부재를 포함하며, 가이드 바와 베이스 부재 중 적어도 베이스 부재에 대하여 복수개의 분리 부재로 끼워 넣음으로써, 가이드 바와 베이스 부재를 연결하고, 또한 적어도 베이스 부재에 대하여 각 분리 부재가 이간(離間) 될 수 있다.
또, 좌우의 직기 프레임에 걸쳐 놓여진 빔에 볼트에 의한 체결력이 작용하여어 고정된, 직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 부재와 템플 바에 각각 연결시킨 연결 부재를 설치해도 된다.
权利要求
  • 직폭(織幅)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바에 대하여, 템플, 커터, 필러, 가연(假撚)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부대(附帶) 장치가 직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 되어 있는 직기(織機)에 있어서,
    복수개의 분리 부재로 이루어지는 연결 부재와 직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 부재를 포함하며, 가이드 바와 베이스 부재 중 적어도 베이스 부재에 대하여 복수개의 분리 부재로 끼워 넣음으로써, 가이드 바와 베이스 부재를 연결하고, 또한 적어도 베이스 부재에 대하여 각 분리 부재가 이간(離間)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바와 상기 베이스 부재 사이에 연장되는 분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 부재와 다른 분리 부재로 가이드 바와 베이스 부재를 끼워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직기는 직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정역(正逆) 회전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고 하방으로부터 직포를 지지하여 상하 이동시키는 직포 이동 부재를 가지는 바디 보호 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샤프트를 상기 베이스 부재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
  • 직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바에 대하여, 템플, 커터, 필러, 가연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부대 장치가 직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직기에 있어서,
    좌우의 직기 프레임에 걸쳐 놓여진 빔에 볼트에 의해 체결력에 의해 고정된, 직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 부재와 가이드 바에 각각 연결시킨 연결 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레일 부재와 가이드 바에 대하여 직폭 방향으로 이동 조정 가능하며, 또한 상기 볼트의 체결 위치를 통과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
  •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부대 장치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
  • 说明书全文

    직기 {WEAVING LOOM}

    본 발명은 템플, 커터, 필러, 가연(假撚)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부대(附帶) 장치가 직폭(織幅)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가이드 바를 구비한 직기(織機)에 관한 것이다.

    직기에 구비되어 있는 가이드 바에는 템플, 커터, 필러, 가연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부대 장치가 가이드 바에 따라, 즉 직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 가이드 바는 좌우의 직기 프레임에 걸쳐 놓여진 빔 등에 복수개의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지지 부재를 구비한 직기로서,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10(1998)-226946호 공보와 일본국 특개평 10(1998)-251944호 공보의 직기를 들 수 있다.

    일본국 특개평 10(1998)-226946호 공보의 직기는, 템플 장치 및 바디 보호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전폭(全幅) 템플 장치이다. 상세하게는, 좌우의 직기 프레임에 걸쳐 각각 단부(端部)가 고정된 스테이를 따라 서포트 부재가 복수개 설치되어 있고, 이 서포트 부재의 상부에는 서포트 샤프트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서포트 샤프트에는 템플 바 서포트, 즉 가이드 바 서포트의 일단측이 장착되고, 가이드 바 서포트의 중간 상부에는 템플 바, 즉 가이드 바가, 가이드 바 서포트의 타단측에는 펠 플레이트, 즉 직포 이동 부재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또, 가이드 바 서포트는 가이드 바 및 서포트 샤프트를 따라 복수개 설치되어 있다.

    부대 장치 각각에서는, 템플이 템플 브래킷을 통해 가이드 바에 설치되어 있고, 가이드 바를 따라 이동 조정 가능하다.

    또, 일본국 특개평 10(1998)-251944호 공보에 구비되어 있는 템플 장치는, 일본국 특개평 10(1998)-226946호 공보에 대하여 바디 장치를 제외한 전폭 템플 장치이다. 바디 보호 장치를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서포트 샤프트가 없고, 스테이를 따라 복수개 배치된 서포트 부재의 상부에는, 가이드 바와 전폭 템플만이 지지되어 있다.

    직포의 직폭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가이드 바에 지지되어 있는 부대 장치를 직폭에 맞추어, 즉 가이드 바를 따라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일본국 특개평 10(1998)-226946호 공보의 템플 장치에서는, 직폭 조정을 실행할 수 있도록, 반급사측(反給絲側) 부대 장치의 이동 범위에는 서포트 부재가 배치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반급사측의 부대 장치, 여기서는 템플의 장착 위치 근방에서는, 가이드 바 서포트 및 서포트 부재의 설치 개수가 제약되어, 각각의 배치 간격이 넓어진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제직(製織)을 행하면, 부대 장치는 가이드 바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부대 장치의 진동이나 특히 템플의 경우에는 직포에 의한 하중도 가해진 상태에서 진동이 가이드 바에 전달되어, 가이드 바가 휘어 진동되게 된다.

    또한, 가이드 바와 동일하게, 서포트 샤프트에 대해서도 서포트 부재의 배치 간격이 넓어져 있으므로, 서포트 샤프트도 휘어 진동되므로 가이드 바 서포트의 지지도 충분히 이루어질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부대 장치도 진동되게 되므로 부대 장치가 안정된 동작을 행할 수 없게 되어, 심한 경우에는 씨실 및 날실에 대하여 중대한 손상을 주게 된다. 최악의 경우, 가이드 바가 특히 부대 장치의 장착 위치 근방에서 파손되어 버려 막대한 피해를 미치게 된다.

    또, 필요 이상으로 부대 장치의 이동 범위 내에 가이드 바 서포트를 배치하면, 연속적인 직폭 조정을 행할 수 없고, 가이드 바 서포트의 두께만큼 직폭 조정이 제한되고, 또한 직폭 조정의 작업성이 손상된다.

    일본국 특개평 10(1998)-251944호 공보의 경우에도, 일본국 특개평 10(1998)-226946호 공보와 동일하게 반급사측의 부대 장치 장착 위치 근방에서는, 서포트 부재의 배치 간격을 넓히지 않으면 안되므로, 가이드 바(일본국 특개평 10(1998)-251944호 공보에서는 템플 바)의 진동에 의해 부대 장치가 오작동을 일으켜, 최악의 경우 가이드 바가 파손되어 버린다.

    또한, 가이드 바는 가이드 바 근방에 배치되는 부대 장치 등의 제약에 의해, 강성(剛性)을 높이기 위해 안이하게 굵게 할 수도 없다. 또, 미리 설치되어 있는 서포트 부재나 가이드 바 서포트는 본래 서포트 샤프트나 가이드 바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므로, 함부로 이동시킬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대 장치의 이동 범위를 손상시키지 않고 부대 장치를 안정적으로 동작시키고, 또한 가이드 바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제1 직기는 직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바에 대하여, 템플, 커터, 필러, 가연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부대 장치가 직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직기에 있어서, 복수개의 분리 부재로 이루어지는 연결 부재와 직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 부재를 포함하고, 가이드 바와 베이스 부재의 적어도 베이스 부재에 대하여 복수개의 분리 부재로 끼워 넣음으로써, 가이드 바와 베이스 부재를 연결하고, 또한 적어도 베이스 부재에 대하여 각 분리 부재가 이간될 수 있다.

    또 제1 직기는, 상기 가이드 바와 상기 베이스 부재 사이에 연장되는 분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 부내와 다른 분리 부재로 가이드 바와 베이스 부재를 끼워 넣어도 된다.

    또한 제1 직기는, 직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정역(正逆) 회전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고 하방으로부터 직포를 지지하여 상하 이동시키는 직포 이동 부재를 가지는 바디 보호 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샤프트를 상기 베이스 부재로 해도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제2 직기는, 직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바에 대하여 템플, 커터, 필러, 가연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부대 장치가 직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직기에 있어서, 좌우의 직기 프레임에 걸쳐 놓여진 빔에 볼트에 의한 체결력이 작용하여 고정된, 직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 부재와 가이드 바에 각각 연결되는 연결 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레일 부재와 가이드 바에 대하여 직폭 방향으로 이동 조정 가능하며, 또한 상기 볼트의 체결 위치를 통과할 수 있다.

    또 제1 및 제2 직기에 있어서의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부대 장치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부대 장치는 적어도 템플을 포함하고, 가이드 바는 템플을 지지하는 템플 바로 한다.

    도 1,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제1 직기의 템플 장치(1) 전체 상면도이며, 연결 부재(20)를 사용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1은 템플 장치(1)의 좌측, 도 2는 템플 장치(1)의 우측을 각각 나타내고, 좌측을 급사측(給絲側), 우측을 반급사측(反給絲側)으로 한다.

    템플 장치(1)는 공지의 바디 보호 장치(2)를 구비하고 있다. 좌우의 직기 프레임(3, 3)에 걸쳐 놓여진 스테이(4)의 상부에는 스테이(4)의 연장 방향에 걸쳐 복수개의 서포트 부재(5)가 간격을 두고 볼트(6)에 의해 각각 고정되어 있다. 서포트 부재(5)는 그 상부에서 바디 보호 장치(2) 구동용의 샤프트(7)(베이스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관통하여 지지하고 있다. 샤프트(7)는 양단에서, 좌우의 직기 프레임(3)에 각각 설치된 베어링(19)에 의해서도 지지되어 있다. 스테이(4)의 연장 방향으로 설치된 복수개의 지지 부재(8)는 분할 체결부가 형성된 일단부에서 볼트(9)에 의해 샤프트(7)에 고정되고, 또 지지 부재(8)의 중간 상부에서 템플 바(10)에 동일하게 볼트(11)에 의해, 또한 분할 체결부가 형성된 타단부에서 볼트(13)에 의해 바디 보호 장치(2)의 직포 이동 부재(12)에 동일하게 각각 고정되어 있다.

    템플 바(10)의 급사측 및 반급사측에는, 템플(14)이 상하 한쌍의 템플 브래킷(15, 15)에 의해 협지되어 볼트(16, 16)에 의해 각각 템플 바(10)에 지지되어 있다. 직포 이동 부재(12)의 각 템플측 단부는 볼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하측의 템플 브래킷(15)에 지지되어 있다.

    또, 템플 장치(1)의 반급사측(도 2)에는, 직폭 조정 시의 반급사측 템플 브래킷(15), 즉 템플(14)의 이동용으로 부대 장치의 이동 범위가 확보되어 있다. 부대 장치의 이동 범위 내의 템플(14)의 반급사측 근방에는 연결 부재(20)가 설치되어 있다. 연결 부재(20)는 샤프트(7)와 템플 바(10)를 연결하고 있다. 그리고, 부대 장치의 이동 범위 내의 템플(14)의 급사측에는, 일단이 템플 바(10)에 연결되고 타단에 직포 이동 부재(12)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17)가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직포 이동 부재(61)를 제1 분리 부재(62)와 제2 분리 부재(63)에 의해 끼워 넣어 볼트(64)에 의해 고정하고, 템플 바(10)를 제1 분리 부재(62)와 제3 분리 부재(65)에 의해 끼워 넣고 볼트(66)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구성된다. 그리고, 커터 구동 샤프트(67) 및 가연 장치 구동 샤프트(68)의 양단을 각각 지지하는 브래킷(69)이 스테이(4)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 템플 장치(1)의 급사측단 및 반급사측단에는 일단이 템플 바(10)에 연결되고 타단에 샤프트(7)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1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샤프트(7) 부대 장치의 이동 범위 내의 중앙에는, 샤프트(7)의 지지를 견고하게 하기 위해 서포트 부재(5)가 설치되어 있다.

    각 지지 부재(8, 17) 및 템플 브래킷(15)은 각각에 설치되어 있는 볼트를 느슨하게 함으로써, 템플 바(10)를 따라 직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지지 부재(18)는 템플 바(10)의 급사측단 및 반급사측단을 지지하는 것이므로 이동시키지 않는다.

    직포 이동 부재(12)는 직폭 방향에 대하여 복수개로 분할되어 있고, 직폭 조정을 위해 분할 부분에서 상하 2매 중첩되어 있다. 직폭을 변경할 때는 각 지지 부재(8, 14)를 템플 바(10)를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직포 이동 부재(12)의 직폭도 조정된다. 이 때, 템플 브래킷(15)도 적당히 직폭에 맞추어 부대 장치의 이동 범위 내에서 이동시킨다. 그리고, 템플 브래킷(15)의 이동에 맞추어, 템플 브래킷(15)의 장착 위치 근방으로 연결 부재(20)를 이동시킴으로써, 템플 바(10)의 지지가 견고하게 되어, 템플 바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연결 부재(20) 주변을 급사측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연결 부재(20)는 제1 분리 부재(21), 제2 분리 부재(22), 제3 분리 부재(23)의 3개의 분리 부재로 구성된다. 제1 분리 부재(21)는 템플 바(10)와 샤프트(7) 사이에 연장되어 있으며 연결 부재(20)의 본체에 상당한다. 제2 분리 부재(22), 제3 분리 부재(23)는 제1 분리 부재(21)와 독립하여 분리될 수 있다.

    샤프트(7)는 제1 분리 부재(21)와 제2 분리 부재(22)에 끼워져 볼트(24, 24)에 의해 고정되고, 템플 바(10)는 제1 분리 부재(21)와 제3 분리 부재(23)에 끼워 넣어져 볼트(25)에 의해 고정된다. 이에 따라, 연결 부재(20)는 템플 바(10)와 샤프트(7)를 연결하여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연결 부재(20)를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볼트(24, 25)를 각각 느슨하게 함으로써, 제2 분리 부재(22)와 제3 분리 부재(23) 각각에 대한 지지를 느슨하게 한 다음, 템플 바(10) 및 샤프트(7)를 따라 이동시킨다. 도 2에서 서포트 부재(5)에 걸쳐 이동시킬 때는 볼트(24, 25)를 느슨하게 하여 제1 분리 부재(21), 제2 분리 부재(22), 제3 분리 부재(23)를 완전히 분리시킨 다음, 템플 바(10) 및 샤프트(7)에 대하여 각 분리 부재를 이간시키고, 이동처의 위치에서 다시 이들 분리 부재를 연결시킨다. 따라서, 연결 부재(20)의 이동 범위가 제한되지 않으므로, 부대 장치의 이동에 맞추어 연결 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 템플 바(10) 측의 분리 부재, 즉 제1 분리 부재(21)와 제3 분리 부재(23)는 일체로 형성되어 템플 바(10)에 대하여 이간 불가능한 것으로 해도 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제1 템플 장치(81)에 있어서, 연결 부재(30)를 사용하여 커터(44) 및 가연 장치(47)의 각 브래킷을 연결한 실시예에 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연결 부재(30)의 주변을 반급사측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며, 도 6은 커터(44)나 가연 장치 등의 부대 장치 주변을 나타낸 상면도이다. 이하의 도면에서 도 1, 도 2의 템플 장치(1)와 동일 부재에는 동일 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도 5를 보면, 연결 부재(30)는 제1 분리 부재(31), 제2 분리 부재(32), 제3 분리 부재(33)의 3개의 분리 부재로 구성된다. 제1 분리 부재(31)는 연결 부재(20)와 동일하게 템플 바(10)와 샤프트(7) 사이에 연장되어 있으며, 제2 분리 부재(32), 제3 분리 부재(33)는 제1 분리 부재(31)와 독립하여 분리될 수 있다. 연결 부재(30)의 이동 방법은 연결 부재(20)와 동일하다.

    샤프트(7)는 제1 분리 부재(31)와 제2 분리 부재(32)에 끼워 넣어져 볼트(34, 34)에 의해 고정되고, 템플 바(10)는 제1 분리 부재(31)와 제3 분리 부재(33) 에 끼워 넣어져 볼트(35)에 의해 고정된다. 이에 따라, 연결 부재(30)는 템플 바(10)와 샤프트(7)를 연결하여 지지한다. 또, 제3 분리 부재(33)의 상부에는, 부대 장치의 브래킷과의 연결부(36)가 형성되어 있고, 연결 부재(30)는 제3 분리 부재(33)를 통해 커터(44) 및 가연 장치(47)와도 연결되어 있다.

    도 6을 보면, 연결 부재(30)의 급사측에는 템플(14)이 템플 브래킷(15)을 통해 템플 바(10)에 지지되어 있고, 동일하게, 씨실 필러(41)가 필러 브래킷(42)을 통해 템플 바(10)에 볼트(43)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커터(44)는 커터 브래킷(45)을 통해 제3 분리 부재(33)의 연결부(36) 급사측 측면에 볼트(46)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 가연 장치(47)는 브래킷(48)을 통해 제3 분리 부재(33)의 연결부(36) 바로 앞쪽에 볼트(49)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커터(44)와 가연 장치(47)는 각 브래킷을 통해 연결 부재(3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커터(44)와 가연 장치(47)를 이동시켜도 항상 커터(44)와 가연 장치(47)의 근방에 연결 부재(30)가 배치된다. 따라서 연결 부재(20)를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부대 장치도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부대 장치의 진동 억제 효과가 높고, 부대 장치와 연결 부재를 한번에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직폭 조정 시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물론, 템플(14)이나 씨실 필러(41) 등의 적어도 하나의 부대 장치에 대해서도, 각각의 브래킷을 통해 연결 부재(30)에 연결해도 된다. 또, 템플 바(10)와는 별개의 가이드 바에 부대 장치를 지지하고, 그 가이드 바와 샤프트(7)(베이스 부재)를 연결 부재(30)에 의해 연결해도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제2 템플 장치(82)에 있어서, 연결 부재(50)를 사용한 실시예를 나타낸 연결 부재(50) 주변을 급사측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제2 템플 장치(82)에는 제1 템플 장치(1, 81)에 설치된 바디 보호 장치(2) 대신에, 직물 지지 부재(60)가 설치되어 있다. 또, 제1 템플 장치에서는 샤프트(7)를 베이스 부재로 했으나, 제2 템플 장치에서는 새로이 빔에 설치한 레일(51)을 베이스 부재로 한다.

    좌우의 직기 프레임(3, 3)에 걸쳐 놓여진 스테이(4)의 상부에는, 직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51)이 직폭 전역에 걸쳐 복수개의 볼트(52)에 의해 간헐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볼트(52)의 체결력이 레일(51)에 작용하여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레일(51)의 단면은 연결 부재(50)를 이동시킬 때에 벗어나지 않도록, 상변이 하변보다 긴 사다리꼴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볼트(52)는 연결 부재(50)의 통과를 방해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다.

    연결 부재(50)는 제1 분리 부재(53), 제2 분리 부재(54), 제3 분리 부재(55)의 3개의 분리 부재로 구성된다. 제1 분리 부재(53)는 연결 부재(20)와 동일하게 템플 바(10)와 레일(51) 사이에 연장되어 있으며, 제2 분리 부재(54), 제3 분리 부재(55)는 제1 분리 부재(53)와 독립하여 분리될 수 있다.

    레일(51)은 제1 분리 부재(53)와 제2 분리 부재(54)에 끼워 넣어져 볼트(56)에 의해 고정되고, 템플 바(10)는 제1 분리 부재(53)와 제3 분리 부재(55)에 끼워 넣어져 볼트(57)에 의해 고정된다. 이에 따라, 연결 부재(50)는 템플 바(10)와 레일(51)을 연결하여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템플 바의 지지가 견고하게 되므로, 템플 바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연결 부재(50)의 이동 방법은 연결 부재(20, 30)와 동일하게, 템플 바(10) 및 레일(51)을 따라 이동시켜도 되고, 각 분리 부재를 완전히 분리시킨 다음 이동시켜도 된다. 그리고, 템플 바(10)의 지지 부재로서 모두 또는 일부에 대하여 연결 부재(50)를 적용해도 된다. 레일(51)은 직폭 전역에 걸쳐 연장되어 있어도 되고, 직폭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제2 템플 장치(83)에 있어서, 연결 부재(70)를 사용하여 커터 및 가연 장치의 각 브래킷을 연결한 실시예에 대하여 반급사측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연결 부재(70)는 연결 부재(50)와 동일하게, 제1 분리 부재(71), 제2 분리 부재(72), 제3 분리 부재(73)의 3개의 분리 부재로 구성되고, 템플 바(10)와 스테이(4)의 상부에 복수개의 볼트(74)에 의해 고정된 직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75)을 각각 연결하여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3 분리 부재(73)의 상부에는 제3 분리 부재(33)와 동일하게, 부대 장치의 브래킷과의 연결부(76)가 형성되어 있고, 도 5와 동일하게 연결 부재(70)는 제3 분리 부재(73)를 통해 커터(77) 및 가연 장치(78)도 연결하고 있다. 템플(도시하지 않음)이나 씨실 필러 등의 적어도 하나의 부대 장치에 대해서도, 각각의 브래킷을 통해 연결 부재(70)에 연결해도 된다. 또, 템플 바(10)와는 별개의 가이드 바에 부대 장치를 지지하고, 그 가이드 바와 레일(75)(레일 부재)을 연결 부재(70)에 의해 연결해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여러 가지로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직기에 의하면, 베이스 부재를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해 부대 장치의 이동 범위 내에 베이스 부재를 지지하는 서포트 부재를 설치했다고 해도, 연결 부재는 적어도 베이스 부재에 대하여 분리되어 이간 가능하며, 서포트 부재를 넘어 이동할 수 있으므로 이동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부대 장치의 이동 범위가 손상되지 않고, 부대 장치의 이동에 맞추어 연결 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 연결 부재의 설치 개수도 종래와 같은 제약을 받지 않는다.

    또한, 부대 장치의 이동 범위 내에 서포트 부재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이에 의해 견고해 진 베이스 부재와 가이드 바를 연결 부재에 의해 연결하면, 결과적으로 가이드 바의 지지가 충분히 견고하게 되어, 가이드 바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대 장치의 진동이 억제되고 부대 장치의 동작이 안정되어 가이드 바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진동 및 하중이 집중되는 부대 장치의 장착 위치 근방으로 연결 부재를 이동시키면 효과적이다.

    또, 제1 직기에 있어서, 연결 부재에 가이드 바와 베이스 부재 사이에 연장되는 분리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가이드 바와 베이스 부재의 연결을 보다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직기에 있어서, 바디 장치를 구비한 경우, 직포 이동 부재를 구동시키는 샤프트를 베이스 부재로 하고, 연결 부재에 의해 샤프트와 가이드 바를 연결시켜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바디 보호 장치를 구비한 경우라도, 서포트 부재의 배치에 관계 없이 부대 장치의 이동 범위를 손상시키지 않고, 가이드 바의 지지를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직기에 의하면, 연결 부재는 볼트에 의해 빔에 설치된 레일 부재와 가이드 바에 대하여 직폭 방향으로 이동 조정 가능하며, 또한 볼트의 체결 위치를 통과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직기와 동일하게 레일을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해 부대 장치의 범위 내에 레일 부재를 복수개의 볼트에 의해 체결했다고 해도, 연결 부재는 볼트의 체결 위치를 넘어 이동할 수 있으므로, 볼트에 방해받지 않고 연결 부재의 이동 범위가 제한되지 않아, 부대 장치의 이동에 맞추어 연결 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 동일하게 연결 부재의 설치 개수도 종래와 같은 제약을 받지 않는다.

    또, 레일 부재는 볼트에 의한 체결력이 작용하여 빔에 고정되고 있으므로, 레일 부재의 지지는 견고하게 된다. 따라서, 레일 부재와 가이드 바를 연결 부재로 연결함으로써, 제1 직기와 동일하게, 결과적으로 가이드 바의 지지가 견고하게 되므로, 가이드 바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레일 부재는 레일 부재 전폭에 걸쳐 볼트의 체결력에 의해 빔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직기에 있어서, 연결 부재에 부대 장치도 지지시켜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연결 부재에서의 부품수가 적어져 간소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제1 템플 장치(1) 전체의 상면도이며, 좌측[급사측(給絲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제1 템플 장치(1) 전체의 상면도이며, 우측[반급사측(反給絲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지지 부재(17) 주변을 급사측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연결 부재(20) 주변을 급사측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제1 템플 장치(81)에서, 연결 부재(30)의 주변을 반급사측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제1 템플 장치(81)에서, 커터(44)나 가연(假撚) 장치(47) 등의 부대 장치 주변을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제2 템플 장치(82)에서, 연결 부재(50)의 주변을 급사측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제2 템플 장치(83)에서, 연결 부재(70)의 주변을 반급사측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템플 장치, 2: 바디 보호 장치,

    3: 직기 프레임, 4: 스테이,

    5: 서포트 부재,

    6, 9, 11, 13, 16, 24, 25, 34, 35, 43, 46, 49, 52, 56, 57, 64, 66, 74: 볼트,

    7: 샤프트, 8, 17, 18: 지지 부재,

    10: 템플 바, 12, 61: 직포 이동 부재,

    14: 템플, 15: 템플 브래킷,

    19: 베어링, 20, 30, 50, 70: 연결 부재,

    21, 31, 53, 62, 71: 제1 분리 부재,

    22, 32, 54, 63, 72: 제2 분리 부재,

    23, 33, 55, 65, 73: 제3 분리 부재,

    36, 76: 연결부, 41: 씨실 필러,

    42: 필러 브래킷, 44, 77: 커터,

    45: 커터 브래킷, 47, 78: 가연 장치,

    48, 69: 브래킷, 51, 75: 레일,

    67: 커터 구동 샤프트, 68: 가연 장치 구동 샤프트,

    81, 82, 83: 템플 장치.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