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프

申请号 KR1020160045580 申请日 2016-04-14 公开(公告)号 KR1020170117767A 公开(公告)日 2017-10-24
申请人 (주)케이에스블레이드; 发明人 위성수;
摘要 본발명은원통형으로세로방향으로길이를갖는손잡이와, 상기손잡이의하단에가로방향으로연결된그리프블럭, 및상기그리프블럭의하부에길이방향으로따라일정한간격으로배치되고, 상기손잡이를통해전달된물리적인힘으로피가공물을가공하는공구팁을각각고정하는복수개의고정부를포함하여, 공구팁의낱개교체가가능하여, 어느하나의공구팁이휘거나깨져도종래와같이그리프전체를교체할필요가없이교체할공구팁만교체하면되기에경제성이높고, 그리프블럭의길이방향을따라고정부를구비하면서복수개의공구팁이상기고정부에고정결합함에따라공구팁의낱개교체가가능하여, 공구팁의배열변화가자유로우며, 공구팁및 공구팁이고정되는고정공을다각형으로형성함에따라공구팁을다양한방향으로고정할수 있고, 다양한형태의공구팁을교체사용가능하여, 다양한디자인을창출할수 있는그리프를제공한다.
权利要求
  • 세로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바 형태의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일단에 형성한 그리프블럭; 및
    상기 그리프블럭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손잡이를 통해 전달된 물리적인 힘으로 피가공물을 가공하는 공구팁을 각각 고정하는 복수 개의 고정부를 포함하는 그리프.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공구팁의 상단이 삽입되도록 그리프블럭의 하단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형성한 복수 개의 고정공 각각과 직교하도록 상기 그리프블록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형성한 복수 개의 나사홀에 나사결합되어 공구팁을 고정공에 고정하는 복수 개의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그리프.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공을 다각형으로 형성하고, 그에 삽입되는 공구팁의 상단도 그에 상응하는 다각형으로 형성하는 그리프.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및 그리프블럭의 전방 및 후방면을 면취하는 그리프.
  • 说明书全文

    그리프{Griffe}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손잡이 상단을 타격하여 피가공물인 가죽에 실을 매듭짓기 위한 타공을 가공하는 그리프에 관한 것으로, 피가공물을 가공하는 공구팁의 교체가 가능하게 손잡이와, 그리프블럭을 구비하고, 상기 그리프블럭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부에는 피가공물인 가죽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타공을 가공하는 복수 개의 공구팁이 고정되도록 한 그리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죽제품과 같은 것에 구멍을 뚫을 때 펀치를 이용한다.

    이러한 종래의 펀치는 봉형상으로 되어 하부에 펀치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구멍의 하단부에 펀칭날이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부에는 펀치 구멍과 연통된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펀치로 구멍을 뚫을 때에는 펀치의 몸체를 손으로 잡고 구멍을 뚫어야할 부분에 펀칭날을 위치시킨 후 펀치의 상단부를 망치로 타격하여 구멍을 뚫었었다. 이와 같이 구멍을 천공하면 천공날이 가죽에 구멍을 뚫으면서 구멍 내부에 형성되는 피가공부재인 가죽의 부스러기들을 펀치 구멍을 통하여 배출구로 배출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166348호(1999.10.26)에서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가죽제품에 천공(타공)을 형성하는 도구로는 상기한 펀치 말고, 가죽에 손바늘질을 위해 선행 작업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타공을 형성하는데, 이때 타공을 가공하는 도구를 그리프라고 한다.

    상기 그리프는 포크와 같이 타공을 형성하는 복수의 팁이 일정한 간격을 배치되어, 상단에 망치로 타격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타공을 형성한다.

    상기한 그리프는 잦은 타공 작업으로 비교적 내구성이 낮은 복수 개의 팁 중 어느 한 팁이 휘거나, 깨어지게 되면 그리프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가죽 제품의 디자인에 따라 타공의 형태를 달리하기 위해 팁의 형태가 다른 그리프를 사용해야 할 필요가 있는데, 이때 그리프는 특수강으로 이루어지기에 자체 단가가 높아 모든 종류의 그리프를 갖추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피가공물을 가공하는 공구팁의 교체가 가능하게 손잡이와, 그리프블럭을 구비하고, 상기 그리프블럭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부를 구비하면서 복수 개의 공구팁이 상기 고정부에 고정 결합함에 따라 공구팁의 낱개 교체가 가능하여, 어느 하나의 공구팁이 휘거나 깨져도 종래와 같이 그리프 전체를 교체할 필요가 없이 교체할 공구팁만 교체하면되기에 경제성이 높고, 공구팁의 배열 변화가 자유로워 다양한 디자인을 창출할 수 있는 그리프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그리프는 원통형으로 세로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하단에 가로 방향으로 연결된 그리프블럭, 및 상기 그리프블럭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손잡이를 통해 전달된 물리적인 힘으로 피가공물을 가공하는 공구팁을 각각 고정하는 복수 개의 고정부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공구팁의 상단이 삽입되도록 그리프블럭의 하단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형성한 복수 개의 고정공 각각과 직교하도록 상기 그리프블록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형성한 복수 개의 나사홀에 나사결합되어 공구팁을 고정공에 고정하는 복수 개의 고정볼트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고정공을 다각형으로 형성하고, 그에 삽입되는 공구팁의 상단도 그에 상응하는 다각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그리프는 상기 손잡이 및 그리프블럭의 전방 및 후방면을 면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그리프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피가공물을 가공하는 공구팁의 교체가 가능하게 손잡이와, 그리프블럭을 구비하고, 상기 그리프블럭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부를 구비하면서 복수 개의 공구팁이 상기 고정부에 고정 결합함에 따라 공구팁의 낱개 교체가 가능하여, 어느 하나의 공구팁이 휘거나 깨져도 종래와 같이 그리프 전체를 교체할 필요가 없이 교체할 공구팁만 교체하면되기에 경제성이 높아지는 효과를 가진다.

    둘째, 그리프블럭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부를 구비하면서 복수 개의 공구팁이 상기 고정부에 고정 결합함에 따라 공구팁의 낱개 교체가 가능하여, 공구팁의 배열 변화가 자유로워 다양한 디자인을 창출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셋째, 공구팁 및 공구팁이 고정되는 고정공을 다각형으로 형성함에 따라 공구팁을 다양한 방향으로 고정할 수 있어, 다양한 디자인을 창출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그리프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그리프블럭에 적용되는 공구팁들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다각형의 고정공에 공구팁을 적용하는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균등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그리프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그리프블럭에 적용되는 공구팁들을 보인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다각형의 고정공에 공구팁을 적용하는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피가공물을 가공하는 공구팁의 교체가 가능하게 손잡이와, 그리프블럭을 구비하고, 상기 그리프블럭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부에는 피가공물인 가죽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타공을 가공하는 복수 개의 공구팁이 고정되도록 한 그리프에 관한 것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그리프는 손잡이(10)와, 그리프블럭(20)과, 고정부(30)를 포함하는데, 먼저 손잡이(10)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을 이루고, 세로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상,하측 방향으로 길게 형성한다.

    이때, 상기 손잡이(10)의 최상단에는 평평한 타격면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타격면은 사용자가 고무, 우레탄, 나무, 금속 등으로 이루어진 망치로 타격하면, 상기 타격면을 타격함에 따라 발생한 물리적 힘이 상기 손잡이(10)의 상부에서 하부로 전달되어 타공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10)의 하단에는 가로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그리프블럭(20)이 상기 손잡이(10)와 일체를 이루는데, 상기 그리프블럭(20)은 측단면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상광하협의 형태를 이루는 역마름모 형태로 형성하는데, 상기 손잡이도 전,후면이 면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그리프블럭(20)의 하부에는 복수 개의 고정부(30)를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하는데, 상기 고정부(30)에는 상기 손잡이(10)를 통해 전달된 물리적인 힘으로 피가공물을 타공 가공하는 공구팁(40)을 각각 고정한다.

    이때, 상기 공구팁(40)의 상단에는 상기 고정부(30) 중 고정공(31)에 삽입되는 결합심(41)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심(41)의 하부에는 상기 고정부(30)에 결합된 공구팁(40)의 삽입을 깊이를 단속하면서 공구팁(40)의 결합 깊이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단턱부(42)를 형성하며, 상기 단턱부(42)의 하부에는 피가공물에 타공을 형성하는 팁(43)을 형성하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가공물이 가공되는 타공의 형상에 따라 도트(‥‥), 라인(- - - -), 사선(\ \ \ \), 다각형(◇ ◇ ◇ ◇), 원형(○, ○, ○, ○)의 공구팁(4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30)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상기 고정부(30)는 고정공(31)과, 나사홀(32)과, 고정볼트(33)를 포함하는데, 상기 고정공(31)은 상기 공구팁(40)의 상단이 삽입되도록, 상기 그리프블럭(20)의 하단면에 복수 개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형성한다.

    상기 고정공(31)의 단면은 원형을 기본으로 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선택적으로 다각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공(31)에 삽입되는 공구팁(40)의 상단인 결합심(41) 역시, 고정공(31)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고정공(31)은 상기 그리프블럭(20)의 중심을 따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그리프블럭(20)의 전방 또는 후방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편향되게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공(31)을 다각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공구팁(40)에 의한 가공된 타공의 형태를 변화시킬 수 있는데, 라인(- - - -) 공구팁(40)을 이용한 일 예로 고정공(31)을 정육각형으로 형성할 경우, 상기 그리프블럭(20)의 중심을 따라 정육각형의 고정공(31)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 형성되면, 상기 라인(- - - -) 공구팁(40)의 결합심(41) 역시, 상기 고정공(31)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정육각형으로 형성한다.

    이때,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육각형인 상기 라인(- - - -) 공구팁(40)의 결합심(41) 중 어느 한 변에서 시계방향 다음 변까지의 내각이 60°이므로, 상기 라인(- - - -) 공구팁(40)을 시계방향으로 60° 회전시켜 고정공(31)에 삽입하면, 상기 라인 공구팁(40)에 의해 가공되는 타공은 \ \ \ \를 이루고, 한번 더 시계방향으로 60° 회전시켜 고정공(31)에 삽입하면, / / / /의 타공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공(31)을 다각형으로 형성함에 따라 그에 삽입되는 공구팁(40)의 결합심(41) 회전 방향을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사용자가 공구팁의 고정방향만으로 타공의 형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리프블록(20)의 그 일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공(31)들 각각과 직교하게 형성된 복수 개의 나사홀(32)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 개의 나사홀(32) 각각에는 복수 개의 고정볼트(33)를 나사 결합하여 상기 공구팁(40)을 고정공(31)에 고정한다.

    이때 상기 고정볼트(33)는 육각 렌치를 이용하는 육각무두볼트를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고정볼트(33)의 끝단이 상기 공구팁(40)의 결합심(41)에 면접되어, 상기 공구팁(40)이 고정공(31)에 단단히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해 복수 개의 공구팁이 상기 고정부에 고정 결합함에 따라 공구팁의 낱개 교체가 가능하여, 어느 하나의 공구팁이 휘거나 깨져도 종래와 같이 그리프 전체를 교체할 필요가 없이 교체할 공구팁만 교체하면되기에 경제성이 높아지고, 그리프블럭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부를 구비하면서 복수 개의 공구팁이 상기 고정부에 고정 결합함에 따라 공구팁의 낱개 교체가 가능하여, 공구팁의 배열 변화가 자유로워 다양한 디자인을 창출을 추구할 수 있고, 공구팁 및 공구팁이 고정되는 고정공을 다각형으로 형성함에 따라 공구팁을 다양한 방향으로 고정할 수 있어, 다양한 디자인을 창출을 추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손잡이
    20: 그리프블럭
    30: 고정부
    31: 고정공
    32: 나사홀
    33: 고정볼트
    40: 공구팁
    41: 결합심
    42: 단턱부
    43: 팁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