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식농사장치용 롤러농기구

申请号 KR1020140184701 申请日 2014-12-19 公开(公告)号 KR101560346B1 公开(公告)日 2015-10-19
申请人 성경애; 发明人 성경애;
摘要 본발명은펜스상면을따라이동하는브라켓에경작부재가설치되어펜스내부의흙을경작할수 있는입식농사장치용롤러농기구에관한것이다.
权利要求
  • 흙이 채워지는 펜스 위에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흙을 경작하는 경작부재;
    상기 경작부재의 양측에 설치된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어 상기 펜스의 상면에 놓이는 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브라켓은 제1상판 및 제1측판을 포함하고 하부가 개방된 외부 브라켓과, 상기 외부 브라켓의 내부에 설치되어 제2상판 및 제2측판을 포함하고 하부가 개방된 내부 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 브라켓의 내부에는 상기 롤러가 설치되는 입식농사장치용 롤러농기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작부재는 상기 브라켓에 설치된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에 설치되는 경작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입식농사장치용 롤러농기구.
  • 삭제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측판에는 상기 연결바가 설치되고,
    상기 제2측판의 내측 하부에는 상기 펜스의 상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식농사장치용 롤러농기구.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는 상기 제1측판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하 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식농사장치용 롤러농기구.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경작툴은 보습 또는 써레이고,
    상기 경작툴은 상기 연결바에 대해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식농사장치용 롤러농기구.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측판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식농사장치용 롤러농기구.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의 양측은 다각 형상인 입식농사장치용 롤러농기구.
  • 说明书全文

    입식농사장치용 롤러농기구{ roller farming tool for Standing type farming apparatus }

    본 발명은 펜스 내부에 흙이 채워진 입식농사장치에 설치되어 흙을 경작할 수 있는 입식농사장치용 롤러농기구에 관한 것이다.

    밭농사에 있어서는 거의 전부 인력에 의존하여 왔었으며, 이러한 밭농사의 작업자세는 어쩔 수 없이 작업자가 등을 구부리고 주저 않은 상태에서 농기를 사용하여 밭작물을 관리 및 수확해왔었기 때문에 몸이 쉽게 피로해지게 됨은 물론 작업성이 떨어지게 되고, 오랫동안 농사를 지어온 사람들은 관절염이나 디스크 및 각종 농부병에 시달리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펜스를 세우고 내부에 흙을 채운 입식농사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입식농사장치의 흙을 경작하기 위한 종래의 입식농사장치용 농기구로는 일본공개특허 평8-33429호에 기재된 것이 있다.

    종래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람이 옆에 선 채로 작물의 손질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구형재(1)의 단부에 사로(10)를 형성한다. 그래서 경운기(5)가 이 사로(10)를 사용해 구형재(1) 위에 올라가 토양(2)을 경작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흙을 경작하는 농기구를 사용하기 위해 사로를 추가로 설치해야 하고, 경운기를 조작해야 하므로 누구나 손쉽게 사용하기에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일본공개특허 평8-33429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펜스 상면을 따라 이동하는 브라켓에 경작부재가 설치되어 펜스 내부의 흙을 경작할 수 있는 입식농사장치용 롤러농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입식농사장치용 롤러농기구는, 흙이 채워지는 펜스 위에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흙을 경작하는 경작부재; 상기 경작부재의 양측에 설치된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어 상기 펜스의 상면에 놓이는 롤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경작부재는 상기 브라켓에 설치된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에 설치되는 경작툴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브라켓은 제1상판 및 제1측판을 포함하고 하부가 개방된 외부 브라켓과, 상기 외부 브라켓의 내부에 설치되어 제2상판 및 제2측판을 포함하고 하부가 개방된 내부 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내부 브라켓의 내부에는 상기 롤러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측판에는 상기 연결바가 설치되고, 상기 제2측판의 내측 하부에는 상기 펜스의 상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바는 상기 제1측판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하 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작툴은 보습 또는 써레이고, 상기 경작툴은 상기 연결바에 대해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바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측판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바의 양측은 다각 형상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흙이 채워진 펜스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며 경작부재로 흙을 경작할 수 있어, 입식농사장치 내부의 흙을 뒤집거나 부수는 등의 경작이 용이하다.

    또한, 브라켓은 외부 브라켓 및 내부 브라켓을 포함하고, 내부 브라켓, 즉 제2측판의 내측에는 펜스의 상부가 삽입되므로, 제2측판은 롤러가 펜스의 상면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또한, 연결바는 제1측판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펜스 내부의 흙 높이에 따라 연결바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경작툴은 연결바에 대해 착탈 가능하여, 작업자의 목적에 따라 경작툴의 종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연결바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제1측판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연결바의 양측을 다각 형상으로 하여 회전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입식농사장치에 형성된 사로 및 경운기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입식농사장치용 롤러농기구의 사시도.
    도 3은 도 2가 입식농사장치에 설치된 사시도.
    도 4a는 도 3의 평면도.
    도 4b는 경작툴로 써레를 사용한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도 3의 AA 단면도.
    도 6은 도 3의 BB 단면도.
    도 7은 연결바, 원형소켓 및 다각소켓의 사시도.
    도 8은 도 3에 퇴비박스가 놓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입식농사장치용 롤러농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가 입식농사장치에 설치된 사시도이고, 도 4a는 도 3의 평면도이고, 도 4b는 경작툴로 써레를 사용한 도 3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AA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BB 단면도이고, 도 7은 연결바, 원형소켓 및 다각소켓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3에 퇴비박스가 놓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입식농사장치용 롤러농기구(100)가 설치되는 입식농사장치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흙이 채워지는 사각 루프 형상의 펜스(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펜스(200)는 하부에 형성되어 받침대에 놓이는 제1펜스(210)와, 제1펜스(210) 위에 놓이는 제2펜스(230)가 적층되어 형성된다. 입식농사장치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술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입식농사장치용 롤러농기구(1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흙이 채워지는 펜스(200) 위에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흙을 경작하는 경작부재(150);와, 경작부재(150)의 양측에 설치된 브라켓(101);과, 브라켓(101)에 설치되어 펜스(200)의 상면에 놓이는 롤러(170);를 포함한다.

    경작부재(150)는 도 2 내지 도 5,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흙이 채워지는 펜스(200) 위에 횡방향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경작부재(150)의 양측은 브라켓(101), 즉 외부 브라켓(110)의 제1측판(113)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경작부재(150)는 원형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브라켓(101)에 설치되는 연결바(151)와, 연결바(151)의 외주에 돌출 형성된 경작툴(1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바(151)는 펜스(200)에 대해 횡방향으로 2개가 나란히 설치된다. 그러나 입식농사장치가 소규모일 경우에는 연결바(151)를 하나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연결바(151)는 하나의 봉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복수 개의 원형 봉이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연결바(151)의 양측은 외부 브라켓(110)의 제1측판(113)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된다. 즉, 연결바(151)는 외부 브라켓(110)에 형성된 삽입구(115)에 삽입되어 착탈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바(151)는 양측에 원형소켓(154a) 또는 다각소켓(154b)이 결합된 후 삽입구(115)에 삽입된다. 원형소켓(154a)이 결합되면 연결바(151)는 외부 브라켓(1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다각소켓(154b)이 결합되면 연결바(151)는 회전되지 않는다.

    그리고 연결바(151)는 외부 브라켓(110)에서 상하 방향으로 높이 조절되어 설치 가능하다. 연결바(151)의 높이 조절 및 회전에 대해서는 뒤에서 다시 상술하도록 한다.

    경작툴(160)은 연결바(151)의 외부 둘레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경작툴(160)은 나사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작툴(160)은 흙을 부수고, 뒤집고, 고랑을 파는 등의 기능을 한다. 경작툴(160)은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삼각 형상의 보습, 또는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성되어 흙을 부드럽게 갈아주는 써레가 바람직하다.

    경작툴(160)은 연결바(151)에 대해 착탈 가능하여, 작업자의 목적에 따라 경작툴(160)의 종류를 다양하게 변경하여 설치 가능하다. 예를 들어, 흙을 깊이 파야 할 때는 경작툴(160)의 크기가 큰 것을 사용하고, 흙을 얕게 파야 할 때는 경작툴(160)의 크기를 작은 것을 사용한다.

    또한, 경작툴(160)은 연결바(151)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가 설치된다. 경작툴(160)은 10cm간격 등으로 이격되어 나사 결합된다. 경작툴(160)의 이격간격은 작업자가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힘이 약한 노약자들은 경작툴(160)의 이격간격을 크게 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는 브라켓(101)에 대해 상술한다.

    브라켓(101)은 도 2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바(151)의 양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펜스(200), 즉 제2펜스(230)의 상측에 위치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라켓(101)은 제1상판(111) 및 제1측판(113)을 포함하고 하부가 개방된 외부 브라켓(110)과, 외부 브라켓(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제2상판(121) 및 제2측판(123)을 포함하고 하부가 개방된 내부 브라켓(120)과, 외부 브라켓(110)의 상면에 설치된 손잡이(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외부 브라켓(110)의 제1상판(111)은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측판(113)도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1측판(113)은 제1상판(111)의 전후단에 각각 연결되어 하측으로 수직으로 형성된다. 그래서 외부 브라켓(110)의 단면은 門형상을 이룬다.

    외부 브라켓(110)의 내부에는 내부 브라켓(120)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상판(111)의 상면 중앙에는 손잡이(130)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손잡이(13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문고리 형상뿐 아니라,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작업자는 손잡이(130)를 잡고 브라켓(101)을 밀어 제2펜스(230)의 상면을 따라 이동시킨다.

    또한, 손이 불편한 사람은 손잡이(130)에 줄을 연결한 후 발에 묶어 발로 브라켓(101)을 이동시킬 수 있다.

    내부 브라켓(120)은 외부 브라켓(110)의 내부에서 좌우 방향, 즉 펜스(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2개가 이격되어 형성된다.

    내부 브라켓(120)의 제2상판(121)은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측판(123)도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2측판(123)은 제2상판(121)의 전후단에 각각 연결되어 하측으로 수직으로 형성된다. 그래서 내부 브라켓(120)의 단면은 門형상을 이룬다.

    또한, 제1상판(111)의 하면과 제2상판(121)의 상면 사이에는 지지대a(122)가 형성되어 제1상판(111)과 제2상판(121)을 연결한다.

    내부 브라켓(120)의 내부에는 롤러(170)가 설치된다. 롤러(170)는 원형 바퀴로서, 브라켓(101)을 제2펜스(230)의 상면을 따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롤러(170)는 門형상의 지지대b(172)에 의해 제2상판(121) 하면에 고정된다.

    또한, 내부 브라켓(120)의 내측, 즉 제2측판(123)의 내측 하부에는 제2펜스(230)의 상부가 삽입된다. 그래서 제2측판(123)의 하부 내측면은 제2펜스(230)의 상부 외측면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이로 인해, 제2측판(123)은 롤러(170)가 제2펜스(230)의 상면을 벗어나지 않고, 용이하게 상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한편,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브라켓(110)의 2개의 제1측판(113) 중 어느 하나에는 연결바(151)가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구(115)가 형성된다.

    삽입구(115)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1측판(113)에서 좌우 길이 방향으로 2개씩, 그리고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가 형성된다.

    연결바(151)는 삽입구(115)에 착탈 가능하므로, 연결바(151)의 설치 높이를 상하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그래서 펜스(200) 내부의 흙 높이에 따라서 연결바(151)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연결바(151)는 외부 둘레가 원형으로 형성되어 외부 브라켓(110), 즉 제1측판(113)에 직접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연결바(151)의 외부 브라켓(110)에 대한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연결바(151)의 양측을 다각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삽입구(115)는 사각 형상이므로 사각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연결바(151)는 연결바(151)의 양측에 원형소켓(154a) 또는 다각소켓(154b)이 결합된 후에, 제1측판(113)의 삽입구(115)에 삽입한다.

    원형소켓(154a)은 도 5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연결바(151)가 나사 결합되는 원형 홈이 형성되고, 외측 둘레가 원형으로 형성된다.

    다각소켓(154b)은 내부에 연결바(151)가 나사 결합되는 원형 홈이 형성되고, 외측 둘레가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연결바(151)의 양측에 원형소켓(154a)을 결합하면 연결바(151)는 외부 브라켓(110), 즉 제1측판(113)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연결바(151)의 양측에 다각소켓(154b)을 결합하면 연결바(151)는 외부 브라켓(110), 즉 제1측판(113)에 대해 회전되지 않는다. 삽입구(115)는 사각 형상이므로, 다각소켓(154b)을 통해 연결바(151)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펜스(230)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는 브라켓(101)에 2 개의 경작부재(150)가 나란히 설치되고, 연결바(151)와 경작툴(160)을 포함하는 경작부재(150)는 회전용과 고정용이 있다.

    즉, 회전용 경작부재(150)는 외주 둘레가 원형인 연결바(151)가 그대로 삽입구(115)에 삽입되거나, 양측에 원형소켓(154a)이 결합된 후 삽입된다. 그래서 브라켓(101)의 이동시 연결바(151)가 회전되고, 그와 함께 경작툴(160)이 회전되며 흙을 경작하게 된다.

    고정용 경작부재(150)는 연결바(151)의 양측에 다각소켓(154b)이 결합된 후 삽입구(115)에 삽입된다. 그래서 브라켓(101)의 이동시 연결바(151)가 회전되지 않아 경작툴(160)이 고정된 상태에서 흙을 경작하게 된다.

    회전용 또는 고정용 경작부재(150)는 작업자의 작업 목적에 따라 적절히 조합하여 설치하도록 한다.

    한편,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작부재(150)의 상부에 퇴비박스(190)를 얹어 사용할 수 있다. 즉, 경작부재(150) 양측에 다각소켓(154b)이 결합된 고정용 경작부재(150) 2개를 나란히 설치한 후, 그 위에 퇴비가 담긴 퇴비박스(190)를 얹는다.

    퇴비박스(190)는 하부에 다수 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브라켓(101)이 제2펜스(230)의 상면을 따라 이동할 때 구멍을 통해 퇴비가 흙에 공급된다.

    이상과 같은 입식농사장치용 롤러농기구(100)를 통해 퇴비를 뿌린 후, 입식농사장치 내부의 흙을 뒤집고 부수어 단단한 흙 내부에 퇴비가 골고루 섞이고, 흙에 영양분과 산소를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씨뿌리고 모종하기 위해 흙을 갈고 골을 파는 등의 경작이 용이하고, 입식농사장치의 크기, 흙의 깊이, 용도에 따라 연결바의 길이 및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경작툴도 보습 또는 써레 등을 교체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래서 흙에 심겨진 고구마, 감자, 양파, 마늘, 채소 등을 캘 때에도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입식농사장치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입식농사장치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흙이 채워지는 펜스(200); 와, 펜스(200)의 하면과 지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250);을 포함한다.

    공간(250)은, 지면에 설치되어 펜스(200)의 하면을 지지하는 받침대(300)에 의해 형성된다.

    펜스(200)는 사각 루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내부에 흙이 채워진다.

    펜스(200)는 하부에 형성되어 받침대(300)에 놓이는 제1펜스(210)와, 제1펜스(210) 위에 놓이는 제2펜스(230)가 적층되어 형성된다.

    제1펜스(210)의 하면은 지면에서 상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1펜스(210)는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져 받침대(300)의 받침부(310) 위에 올려진다.

    즉, 제1펜스(210)는 긴 사각 막대 형상의 콘크리트가 전후방 및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어 사각형을 이루도록 결합된다.

    더 자세히 설명하면, 제1펜스(210)는 좌측부 및 우측부의 내측면에는 홈a(미도시)가 형성되고, 전방부 및 후방부의 양단에는 돌출부a(미도시)가 형성된다. 그래서 홈a가 돌출부a에 삽입되어 결합이 완료된다.

    제1펜스(210)는 받침대(300)의 기둥부(330)에 나사로 결합된다.

    제1펜스(210)는 콘크리트와 같이 무거운 부재로 형성되기 때문에 큰 하중도 버틸 수 있어 견고하다. 또한, 제1펜스(210)는 콘크리트 내부에 철근이 삽입된 철근 콘크리트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펜스(210) 위에는 제2펜스(230)가 적층되어 형성된다.

    제2펜스(230)는 긴 사각 형상의 나무막대가 전후방 및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어 사각형을 이루도록 결합된다.

    제2펜스(230)에 사용되는 나무 막대는 상하 방향으로 다수 개가 적층된다.

    제2펜스(230)도 좌측부 및 우측부의 내측면에는 홈b(232)가 형성되고, 전방부 및 후방부의 양단에는 돌출부b(234)가 형성된다. 그래서 홈b(232)가 돌출부b(234)에 삽입되어 결합이 완료된다.

    그리고 제2펜스(230)는 받침대(300)의 기둥부(330)에 나사로 결합된다.

    제2펜스(230)는 나무와 같이 가벼운 부재로 적층되기 때문에 분해 조립이 용이하여 작업자에게 적합하게 높이를 조절하기 쉽다.

    즉, 제2펜스(230)의 상하로 적층된 나무 막대의 개수를 조절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펜스(200)의 좌우 길이를 증가시켜 입식 농사 장치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어 증설이 용이하다.

    또한, 받침대(300)는 제1펜스(210) 및 제2펜스(230)의 외측 둘레에 배치된다.

    받침대(300)에는 제1펜스(210) 및 제2펜스(230)가 올려진다.

    본 실시예에서 받침대(300)는 펜스(200)의 4개의 모서리와, 전방면과 후방면에 각각 하나씩 형성되어 총 6개가 형성된다.

    펜스(200)의 좌우 길이에 따라 전방면과 후방면의 배치된 받침대(300)의 개수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받침대(300)는 적어도 펜스(200)의 모서리에는 설치된다.

    받침대(300)는 제1펜스(210)가 올려지는 받침부(310)와, 받침부(310)의 일측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제1펜스(210) 및 제2펜스(230)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기둥부(331,3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받침대(300)는 철강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부(310)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면에 6개가 배치된다. 그리고 그 위에 제1펜스(210)가 올려진다.

    받침부(310)는 펜스(200)를 지지하여 펜스(200), 즉 제1펜스(210)의 하면과 지면 사이에 작업자가 발을 집어 넣을 수 있는 공간(250)을 형성시킨다.

    기둥부(331,333)는 받침부(310)의 일측에 배치되어 받침부(310)와 일체로 형성된다.

    기둥부(330)는 펜스(200)의 모서리를 감싸도록 형성된 제1기둥(331)과, 펜스(200)의 중앙 전방부 및 후방부에 형성된 제2기둥(333)으로 이루어진다.

    제1기둥(331)은 횡단면이 ㄱ자형으로 절곡된 형상을 갖는다. 그래서 제1펜스(210) 및 제2펜스(230) 외측 모서리를 감싼다.

    4개의 모서리에 설치된 제1기둥(331)은 제1펜스(210) 및 제2펜스(230)에 나사(335)로 결합된다.

    제2기둥(333)은 사각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래서 제1펜스(210) 및 제2펜스(230)의 중앙 전방부 및 후방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나사로 결합 된다.

    이상과 같이 형성된 입식농사장치는 제1펜스(210)의 하면과 지면 사이에 공간(250)을 형성하여, 작업자가 그 공간(250)에 발을 넣고 서서 제2펜스(230)에 배를 붙이고 편안하게 작업할 수 있어 허리의 부담 없이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됨을 부언한다.

    100: 입식농사장치용 롤러농기구 101: 브라켓
    110: 외부 브라켓 111: 제1상판
    113: 제1측판 115: 삽입구
    120: 내부 브라켓 121: 제2상판
    122: 지지대a 123: 제2측판
    130: 손잡이 150: 경작부재
    151: 연결바 154a: 원형소켓
    154b: 다각소켓 160: 경작툴
    170: 롤러 172: 지지대b
    190: 퇴비박스 200: 펜스
    210: 제1펜스 230: 제2펜스
    232: 홈b 234: 돌출부b
    250: 공간 300: 받침대
    310: 받침부 331: 제1기둥(기둥부)
    333: 제2기둥(기둥부)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