뎅기 바이러스 백신 조성물 |
||||||||||||||||||||||||||||||||||||||||||||||||||||||||||||||||||||||||||||||||||||||||||||||||||||||||||||||||||||||||||||||||||||||||||||||||||||||||||||||||||||||||||||||||||||||||||||||||||||||||||||||||||||||||||||||||||||||||||||||||
申请号 | KR1020157015888 | 申请日 | 2013-12-16 | 公开(公告)号 | KR1020150100660A | 公开(公告)日 | 2015-09-02 | |||||||||||||||||||||||||||||||||||||||||||||||||||||||||||||||||||||||||||||||||||||||||||||||||||||||||||||||||||||||||||||||||||||||||||||||||||||||||||||||||||||||||||||||||||||||||||||||||||||||||||||||||||||||||||||||||||||||||
申请人 | 센트로 데 인제니에리아 제네티카 와이 바이오테크놀로지아; | 发明人 | 헤르미다크루즈,리세트; 길곤잘레스,라자로; 이스키에르도올리비아,알리에니스; 마르코스로페즈,에르네스토; 수자르테포르탈,에디쓰; 구일렌니에토,제랄도,엔리큐; 구즈만티라도,마리아,구아다루페; 발데스프라도,아이리스; 라조바즈큐즈,라우라; 가르시아아르차바레타,엔젤리카,데라카리다드; 알바레즈베라,메이링; 카스트로베라즈코,조르제; 로페즈페르난데스,라자로; 라미레즈바르투티스,로사,리셋; 페레즈푸엔테스,유스레이디,데라카리다드; 페레즈,구에바라,올가,리디아; 로메로페르난데스,야레미; | |||||||||||||||||||||||||||||||||||||||||||||||||||||||||||||||||||||||||||||||||||||||||||||||||||||||||||||||||||||||||||||||||||||||||||||||||||||||||||||||||||||||||||||||||||||||||||||||||||||||||||||||||||||||||||||||||||||||||||||
摘要 | 뎅기 바이러스 (DV) 캡시드 단백질을 기초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항원 및 서열번호 1로 확인된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포함된 백신 조성물. 서열번호 1로 확인된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함께, 동일한 혈청형의 외막 단백질의 DV2 캡시드 및 도메인 III에 의해 생성되는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백신 조성물은, 동일한 항원의 제형에 의해 생성되는 것과 비교하여, 종래 보고된 잠재적 아쥬반트 능력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함께, 마우스에서 더 높은 수준의 세포성 면역 반응 및 방어를 발생시킨다. 서열번호 1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효능은 비인간 영장류에서 입증된 바 있다. 이들 조성물은 1가, 2가 또는 4가일 수 있고, 4 가지 바이러스 혈청형에 대한 기능적 면역 반응을 유도한다는 관점에서, 상이한 면역 체계로 조합된다. | |||||||||||||||||||||||||||||||||||||||||||||||||||||||||||||||||||||||||||||||||||||||||||||||||||||||||||||||||||||||||||||||||||||||||||||||||||||||||||||||||||||||||||||||||||||||||||||||||||||||||||||||||||||||||||||||||||||||||||||||
权利要求 | a) 뎅기 바이러스 (DV)의 캡시드 단백질의 서열의 적어도 50%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항원 및 b) 서열번호 1로 확인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신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V의 캡시드 단백질의 서열의 적어도 50%를 포함하는 항원이 상기 단백질의 1번부터 99번까지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재조합 항원인 백신 조성물.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캡시드 단백질의 1번부터 99번까지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재조합 항원이 서열번호 5 (항원 DIIIC-1), 서열번호 6 (항원 DIIIC-2), 서열번호 7 (항원 DIIIC-3), 및 서열번호 8 (항원 DIIIC- 4)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키메라 항원인 백신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서열번호 5, 서열번호 6, 서열번호 7 및 서열번호 8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키메라 항원 중 2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신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서열번호 5, 서열번호 6, 서열번호 7 및 서열번호 8로 확인되는 4개의 키메라 항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신 조성물. 서열번호 1로 확인된 서열을 특징으로 하는 핵산. DV의 캡시드 단백질의 서열의 적어도 50%를 포함하는 백신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을 증가시키시 위한, 서열번호 1로 확인된 핵산의 용도. 제7항에 있어서, 상기 DV의 캡시드 단백질의 서열의 적어도 50%를 포함하는 항원이 상기 단백질의 1번부터 99번까지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재조합 항원인 용도. 제8항에 있어서, 상기 DV의 캡시드 단백질의 1번부터 99번까지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재조합 항원이 서열번호 5, 서열번호 6, 서열번호 7 및 서열번호 8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키메라 항원인 용도. a) DV의 캡시드 단백질의 서열의 적어도 50%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항원 및 b) 서열번호 1로 확인된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백신 조성물을 대상체에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V에 대한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방법.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DV의 캡시드 단백질의 서열의 적어도 50%를 포함하는 항원이 상기 단백질의 1번부터 99번까지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재조합 항원인 방법.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캡시드 단백질의 1부터 99번까지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재조합 항원이 서열번호 5, 서열번호 6, 서열번호 7 및 서열번호 8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키메라 항원인 방법. 제12항에 있어서, 서열번호 5, 서열번호 6, 서열번호 7 및 서열번호 8로 확인된 키메라 항원을 2가 조성물로 순차적으로 투여되는 것인 방법. 제13항에 있어서, 서열번호 5, 서열번호 6, 서열번호 7 및 서열번호 8로 확인된 4개의 키메라 항원을 포함하는 4가 조성물을 부스터 투여량으로 추가로 투여하는 것인 방법. 제10항에 있어서, a) DV의 캡시드 단백질의 서열의 적어도 50%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항원 및 b) 서열번호 1로 확인된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백신 조성물이 피하, 피내 또는 근육내 경로에 의해 투여되는 것인 방법. |
|||||||||||||||||||||||||||||||||||||||||||||||||||||||||||||||||||||||||||||||||||||||||||||||||||||||||||||||||||||||||||||||||||||||||||||||||||||||||||||||||||||||||||||||||||||||||||||||||||||||||||||||||||||||||||||||||||||||||||||||
说明书全文 |
|
그룹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GMT | 153 | 121 | 149 | 73 | 149 | 98 | 107 | 111 | <10 | 69 |
다른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갖는 응집 단백질 DIIIC-2의 세포-매개성 면역 반응을 발생시키는 능력을 이 계획에서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각각의 변이체에 의해 면역화된 동물의 지라 세포를 추출하고, 지라세포의 배양 상청액에서 IFN-γ 분비를, 감염성 DV2에 의한 자극 후에 측정하였다. 도 2는 각 그룹에 의한 사이토킨 분비 값 및 반응동물의 백분율을 나타낸다. 상당한 수준의 분비가 모든 그룹에서 얻어졌지만, 서열번호 1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갖는 응집 단백질에 의해 면역화된 그룹만이 음성 대조군 그룹과 비교하여, 통계적 유의차를 나타내었다. 또한, 이 그룹내의 동물의 100%에서 양성 반응이 나타났다. 세포성 면역 반응 테스트에서 IFN-γ 농도의 평균치 및 반응 동물의 백분율 둘 모두를 고려하면, 응집 단백질 DIIIC-2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혼합 (서열번호 1), 2216 (서열번호 3), K3 (서열번호 2), 및 Ori C (서열번호 4)의 제형이 방어 분석을 위해 선택되었다.
본 연구에서, 15 마리의 마우스의 하기 그룹이 구성되었다:
그룹 1: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서열번호 1) 혼합 DIIIC-2(5 μg 단백질 + 0.5 μg 올리고뉴클레오티드)
그룹 2: 올리고뉴클레오티드 2216 (서열번호 3) 혼합 DIIIC-2 (5 μg 단백질 + 0.5 μg 올리고뉴클레오티드)
그룹 3: 올리고뉴클레오티드 K3 (서열번호 2) 혼합 DIIIC-2 (5 μg 단백질 + 0.5 μg 올리고뉴클레오티드)
그룹 4: 올리고뉴클레오티드 OriC (서열번호 4) 혼합 DIIIC-2 (5 μg 단백질 + 0.5 μg 올리고뉴클레오티드)
그룹 5: 혼합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서열번호 1) 혼합 위약 (0.5 μg)
그룹 6: 102 pfu의 감염성 DV2
모든 변이체는 아쥬반트 베이스로서 명반 상에 제형화하고, 동물은 복강내 경로에 의해 15일 마다 3회 투여를 받았다. 면역화 개시로부터 2 개월 후, 각 그룹 당 10 마리의 동물은, 상동 신경-적응 바이러스의 50 반치사량 (LD 50 )으로 유발시키고, 생존율을 측정하기 위해, 21일 동안 관찰하였다. 도 3A는 얻어진 생존율을 기술한다. 관찰된 바와 같이, 서열번호 1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갖는 제형 DIIIC-2가 제공받은 마우스 중 80% 이상이 바이러스 유발에서 생존하였고, DV2에 의해 면역화된 양성 대조군 그룹과 비교하여,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다 (p>0.05). 다음으로, 음성 대조군 그룹의 동물 중 단지 10%만이 바이러스 유발에서 생존하였으며, 양성 대조군 및 서열번호 1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DIIIC-2에 의해 면역화된 그룹 간에 통계적 유의차가 존재하였다 (p <0.05). 또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 2216, K3 및 OriC가 포함된 제형에 의해 면역화된 동물들은 위약 그룹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차가 있는 생존 수준에 도달하지 못했다.
각 그룹의 나머지 5 마리의 동물은 동일한 바이러스의 500 LD 50 이 제공되었고, 바이러스 유발 이후 7일째에, 뇌를 제거하기 위해, 모든 동물들을 도살하였으며, VERO 세포에서, 바이러스 양을 측정하였다. 도 3A에서 관찰되는 생존율과 일치되게, 서열번호 1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갖는 제형 DIIIC-2에 의해 면역화된 마우스는 뇌에 소량의 바이러스 양을 가지고 있었고 (<10 2 pfu/mL), 양성 대조군 그룹과 비교하여 통계적 차이는 없었으며, 위약 제형을 투여받은 그룹의 마우스는 평균 값으로, 10 4 pfu/mL 이상의 바이러스 양을 나타내었다 (도 3B). 올리고뉴클레오티드 2216, OriC 및 K3가 포함된 제형에 의해 면역화된 동물들은, 위약 제형에 의한 경우와 서열번호 1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포함된 DIIIC-2의 제형에 의한 경우 사이의 중간 수준의 바이러스 양을 나타내었으며, 이들 사이에는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다.
실시예 2. 재조합 캡시드 단백질 DV2로부터 얻어진 뉴클레오캡시드형 입자 및 응집 단백질 DIIIC-2에 의해 면역화된 비인간 영장류의 의미의 입증.
마우스에서의 임상전 연구를 토대로, 본 발명자들은 DV에 대해 음성인 비인간 영장류에서 명반에 의해 보강된, 서열번호 1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갖는 응집 단백질 DIIIC-2를 평가하였다. 또한, NLP-2 (서열번호 1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함유)가 제공된 일 그룹을 평가하였다. 다음에, 위약 그룹은, 명반에 보강된 재조합 단백질의 응집 과정에 이용된, 최대량의 서열번호 1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포함된 제형이 제공되었다. 3 마리의 동물이 상기 면역화 계획의 모든 그룹에 포함되었다.
DIIIC-2의 선택된 투여량은 100 μg의 단백질 및 10 μg의 서열번호 1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이었고, NLP-2의 경우에는, 50 μg의 단백질 및 10 μg의 서열번호 1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이었다. 2개월마다, 원숭이에 4 회 투여를 피하로 제공하였다. 각각의 투여시 및 그로부터 15일 후에, 유도된 체액성 면역 반응을 측정하기 위해, 혈액을 수집하였다. 도 4는 항-DIIIC-2 항체의 출현 운동학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형 DIIIC-2가 제공된 원숭이에서, 최초 투여량 투여 후 15일째에, 항체가 검출되기 시작하였다. 제2 투여량 접종 후, 10,000을 초과하는 값으로 역가가 증가하였다. 제3 투여 후, 역가가 소폭 증가하였고, 제4 투여 후에는, 동일한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평균: 80,000). N
LP-2에 의해 면역화된 그룹에서, 항-캡시드 항체의 반응은 유사하였다 (도 4). 캡처 ELISA법에 의해, 반응성 항-DV2 항체의 검출을 측정하여, 이들 동물의 혈청의 한계 희석에 의한 역가를 측정하였다. 항바이러스 항체 개발의 운동학적 연구 결과가 도 5에 나타낸다. 서열번호 1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포함된 제형 DIIIC-2가 제공된 원숭이에서, 제2 용량 투여 후 15일째에, 항바이러스 항체가 검출되기 시작하였고 (평균치: 6,000), 제3 투여 시점, 즉, 면역원의 제2 접종으로부터 2 개월 후에는 검출 불가능한 수준이었다. 그 후, 제3 용량 투여 후, 역가가, 제2 투여 후 15일째에 얻어진 수준과 유사한 수준으로 증가하였으나, 제3 투여로부터 2 개월 후에 해당하는, 제4 투여시에는, 검출가능하였다 (평균: 800). 또한, 제4 접종 제공시, 동물들은, 투여 당시 검출된 수준 보다 다소 큰 값으로 항체를 생성하였고, 이는, 평균치가 5,000인 바이러스 유발 기간까지 유지되었다. 상기 바이러스 투여의 제공시, 유발 후 20일 및 27일째에, 항체 역가의 소폭 증가가 검출되었고, 평균치는 12,000이었다.
또한, 이 바이러스에 대한 방어와 관련 가능성이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 중화 항체 반응을 측정하였다. 표 2는 Vero 세포주 및 균주 SB8553 DV2를 이용하여, 지정된 시간에 각 샘플에서 얻어진 값을 나타낸다.
관찰된 바와 같이, 중화항체는 DIIIC-2의 제2 용량 투여 후에 검출될 수 있다. 제3 접종 후 15일째에, 더욱 높은 역가가 검출되었고, 이것은 제4 투여 시점에도 유지되었다. 15일 후, 역가가 증가하였으며, 이것은 분명한 부스터 효과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최종 투여로부터 1개월 후인, 바이러스 유발 당시, DIIIC-2에 의해 면역화된 모든 동물에서 높은 수준의 중화 항체가 검출되었다. NLP-2가 제공된 그룹의 경우, 바이러스 유발 이전에 평가된 어떤 시점에도, 중화 반응이 검출되지 않았다 (10 미만의 중화 역가, 데이타 미제시). 위약 그룹은 10 미만의 중화 역가와 유사하게 반응하였다 (데이타 미제시).
투여 2 2 개월 | 15일 | 투여 3 4 개월 | 15일 | 투여 4 6 개월 | 15일 | 유발 7 개월 | |
DIIIC-2 | <10 | 150.4 | <10 | 620.5 | 207.1 | 888.1 | 1219.8 |
<10 | <10 | <10 | 23.6 | 26.2 | 79.8 | 57.7 | |
<10 | 13 | <10 | 146.2 | 146.5 | 297.7 | 670.3 | |
GMT | <10 | 26.9 | <10 | 128.9 | 92.6 | 276.3 | 361.3 |
혈청 전환율 | 0% | 66.7% | 0% | 100% | 100% | 100% | 100% |
최종 투여로부터 1 개월 후, DIIIC-2의 그룹의 경우, 3종의 바이러스 균주 및 3종의 다른 세포주를 이용하여, 중화 항체를 또한 측정하였다. 모든 경우에, 100% 혈전전환이 검출되었고, 이것은 강력한 중화 반응의 유도를 나타낸다 (표 3).
세포주 | BHK-21 | Vero | LLC-MK2 | ||
균주 DV-2 | A15 | SB8553 | WHO | SB8553 | SB8553 |
DIIIC-2 | 110 | 415.2 | 3861.4 | 1219.8 | 1143.8 |
55 | 14.9 | 169.6 | 57.7 | 62.1 | |
150 | 156.2 | 669.7 | 670.3 | 216.1 | |
CMT | 96.8 | 98.9 | 759.8 | 361.3 | 248.5 |
혈전전환 | 100% | 100% | 100% | 100% | 100% |
사용된 실험 시스템에서 획득된 혈전전환 백분율 및 GMT뿐만 아니라, 각각의 독립 동물의 중화 역가가 제시된다.
세포성 면역 반응은 본 연구에서 측정된 파라미터 중 또 다른 것이다. 제4 투여일, 제4 투여 후 15일째, 바이러스 유발일 및 바이러스 유발 후 27일째의 4 회 시점에서 분리된 모세혈 림프구를 감염성 DV2에 의해 자극하고, IFN-γ의 분비를 배양 상청액에서 측정하였다. 도 6은 시험된 각 시점에서 얻어진 값을 나타낸다. DIIIC-2 및 서열번호 1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에 의해 면역화된 3 마리의 동물 중, 한 마리 (원숭이 6)가, 바이러스 유발 전에, 논의된 세 시점에 IFN-γ의 분비를 유도하였다. 다음으로, 감염 후, 27일째에, 이 그룹의 다른 원숭이가 또는 양성이었으며, 이는 기왕성 세포 반응 (anamnestic cellular response)의 측정을 나타낸다.
또한, NLP-2가 제공된 세 마리 중 두 마리가 바이러스 유발일에 IFN-γ에 대해 양성이었다. 다음으로, 감염 후 27일째에, 이 그룹의 세 마리 원숭이가 양성이었고, 이는 또한 이 경우에 기왕성 세포반응의 측정을 나타낸다. 중요하게는, 위약 제형이 제공된 동물중 어느 것도 바이러스 유발 후에 항바이러스 사이토킨을 분비하지 않았다.
DV2에 대한 방어를 측정하기 위해, 모든 실험 동물은 최종 투여로부터 1 개월 후, 바이러스의 감염성 투여에 의해 유발시켰다. 혈액 내 바이러스의 존재는 VERO 세포주에서 직접적 측정에 의해 측정하였다. 도 7은 얻어진 결과를 나타낸다; 위약 제형이 제공된 동물은 3.6일 동안 평균 값으로 바이러스 혈증을 발생시켰고, 평균 바이러스 양은 10 2 pfu/mL이었다. 반대로, 서열번호 1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갖는 DIIIC-2 단백질 제형이 제공된 원숭이 중 2 마리에서, 바이러스 혈증이 발생하지 않았고, 따라서 완전히 방어된 것으로 분류된다. 한 마리 동물 (원숭이 5)에서, 5일째에 바이러스가 검출되었고, 바이러스 양은 매우 낮은 값이었으며 (<10 pfu), 이는 또한 상당한 수준의 방어를 나타낸다.
NLP-2가 제공된 그룹의 경우에, 모든 원숭이에서 바이러스의 존재가 검출되었으나, 바이러스 양은, 대조군 그룹에서 검출된 것과 비교하여, 더 작은 양이었다. 사실, 원숭이 9는 매우 작은 바이러스 양을 나타내었고 (<10 pfu), 이는 또한 상당한 수준의 방어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서열번호 1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갖는 바이러스 캡시드에 기초한 응집 단백질이 원숭이에서 방어 반응을 유도한다고 말할 수 있다.
실시예 3. 단백질 DIIIC-1. DIIIC-3 및 DIIIC-4의 획득 및 특성화
DV 혈청형 1, 3 및 4의 외피 단백질의 DomIII을 포함하는 유전자 단편 BamHI/HindIII (아미노산 286-426)을, 동일한 바이러스의 캡시드 단백질에 융합된, 플라스미드 pET28의 다중 클로닝 위치에 클로닝하였다. 클로닝된 단백질과 관련되지 않은 아미노산의 번역을 제외하기 위해, 히스티딘 태그를 제외하고, NcoI과 BamHI 위치 사이의 유전자 서열을 제거하여, 이 발현 벡터를 사전에 변형시켰다. 플라스미드의 유전적 작제물은 도 8에 도시된다.
모든 경우에, 단백질을 N-말단에서 히스티딘 태그에 융합시키고, T7 lac 프로모터의 조절 하에 발현시킨다. 이것은, 일단 발현하면, 금속 킬레이트에 의한 친화 크로마토그래피 및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의 조합에 의한 상기 단백질의 정제 과정의 진행을 가능하게 하였다. 사전에 얻어진 단백질 DIIIC-2의 정제를 위해,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였다. 4 가지 재조합 단백질의 정제시, 이들의 특성화를 진행하였다. 우선, 각 단백질의 반응성을, 각각의 바이러스 제제, 구체적으로, 각 혈청형의 과면역 복수액 (hyperimmune ascitic fluid, HMAF)에 의해 면역화된 마우스의 폴리클로날 혈청에 대해 분석하였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동 바이러스 혈청형의 HMAF 대 각 단백질의 ELISA에 의해 반응성을 얻었으며, 이는, 바이러스 외피 단백질에 대해 생성된 항체 대부분이 구조결정기 (conformational)이므로, 캡시드 내 영역 DomIII의 올바른 제시를 시사한다. 또한, 각각의 키메라 분자에 존재해야 하는, DomIII 영역의 이황화 결합 (SS)의 상태를 연구하였다. 우선, 질량 분광 분석법에 의해, 각각의 단백질을 확인하고, 결합이 바르게 형성되었는지를 확인하였다. 그 후, SS 결합이 폴리클로날 혈청 항-DV 대 DomIII의 반응성에 직접 포함된다는 사실을 토대로, 상동 혈청형의 HMAF에 대한 각 재조합 단백질의 반응성을 환원 및 비환원 조건에서 재분석하였다. DIIIC-1, 2 및 4 단백질의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백질이 알킬화에 의해 비가역적으로 환원된 경우, 상동 HMAF에 대한 반응성이 감소되었다. DIIIC-3의 경우, 감소가 관찰되지만, 나머지 단백질에서 보다 현저하지는 않았다. 이들 결과는, SS 결합의 정확한 형성 및 폴리클로날 항-DV 항체에 대한 DomIII의 반응성에서 역할 가능성을 확인시킨다.
실시예 4. 마우스에서 1가 및 4가 제형 DIIIC의 면역학적 평가
이미 응집된 4 가지 분자의 4가 혼합물 및 서열번호 1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에 의해 이미 응집된 각각의 키메라 단백질을 BALB/c 마우스에서 평가하였다. 모든 제제를 아쥬반트 베이스로서 명반 상에 제형화하고, 15일 마다 동물에 3회 용량으로 복강내 투여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서, 각각의 바이러스 혈청형에 의해 면역화된 4개의 그룹이 포함되었다. 음성 대조군으로서, 1개의 그룹에, 명반 상에 보강되고 4가 제형에 포함된 동량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갖는 위약을 제공하였다. 4가 제형의 경우 단백질의 양은 각각 20 μg이었으며, 총 8 μg의 서열번호 1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포함되었다. 1가 제형에는 20 μg의 단백질 및 2 μg의 서열번호 1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포함되었다.
제3 투여 후, 각각의 바이러스에 반응성인 항체의 검출을 캡처 ELISA법에 의해 측정하였고 (도 10), 이를 통해, 이들 동물의 혈청의 한계 희석(end-point dilution)에 의해 역가를 측정하였다. 1가 제형이 제공된 동물은 혈청형 1, 2 및 3 대 항바이러스 항체의 높은 역가를 가졌으나, DIIIC-4에 의해 면역화된 동물은 상동 혈청형 (DV4)에 대해 역가를 갖지 않았다. 그러나, 4가 제형 테트라-DIIIC가 제공된 동물은 DV4에 대한 항체를 생성시켰으나, 다른 혈청형과 비교하여 역가가 낮았다. 이러한 결과는, 4 가지 단백질의 혼합물이, 가능하다면, 동일한 수준의 다른 혈청형에 대한 교차 반응성을 통해, DV4에 대한 항체의 유도를 촉진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4가 제형 테트라-DIIIC에 의한 면역화에 의해 생성된 항체의 기능성을 측정할 목적으로, 혈청형 1, 2, 3 및 4에 대한 시험관내 바이러스 중화 분석 (표 4)을 수행하였다. 상기 분석은 참조 균주를 사용하여, 세계보건기구 (WHO)의 지침에 따라 수행하였다. DIIIC-1, 2 및 3 단백질에 의해 면역화된 마우스는 대조군 그룹의 마우스의 복제 바이러스에 의해 유도된 경우와 비교하여, 상동 바이러스에 대한 중화 항체의 역가가 높았다. DIIIC-4 단백질에 의해 면역화된 동물은 반응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항바이러스 반응의 결과와 일치되게, DV4에 대한 중화 항체가 검출되지 않았다. 그러나, 4가 제형은 혈청형 1, 2 및 3에 대한 중화 항체를 유도하였고, 이에 더하여 DV4에 대한 기능성 항체를 또한 유도하였다.
DV 중화 | ||||
그룹 | DV1 | DV2 | DV3 | DV4 |
DIIIC-1 | >500 | - | - | - |
CIIIC-2 | - | >500 | - | - |
DIIIC-3 | - | - | >500 | - |
DIII-4 | - | - | - | <10 |
테트라 DIIIC | 347.1 | >1000 | >1000 | 166.34 |
대조군 DV1 | 188.6 | - | - | - |
대조군 DV2 | - | >500 | - | - |
대조군 DV3 | - | - | >500 | - |
대조군 DV4 | - | - | - | >250 |
모든 경우에, 마우스의 혈청 혼합물을 분석하였다. (-): 비측정
세포성 면역 반응은 본 연구에서 측정된 또 다른 파라미터이었다. 이를 위해, 최종 투여 후 30일째에, 4가 제형 테트라-DIIIC에 의해 면역화된 동물의 지라 세포를 추출하고, 4가지 재조합 단백질에 의한 자극 후, 지라세포의 배양 상청액에서 IFN-γ의 분비를 측정하였다. 음성 대조군으로서, 위약 제형이 접종된 마우스의 지라세포를 사용하였다. 얻어진 결과는 도 11에 나타낸다. 관찰된 바와 같이, 4 가지 재조합 단백질에 의한 자극 후, 높은 수준의 IFN-γ가 검출되었으며, 이는 각 혈청형에 대해 얻어진 세포성 반응에서 동일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마우스에서, 바이러스 뇌염 모델에서, 방어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 실험을 위해, 4가 제형 테트라-DIIIC, 1가 제형 DIIIC-1 및 DIIIC -4에 의해 면역화된 동물, 양성 대조군 동물 (각각 DV1 및 DV4에 의해 면역화됨) 및 위약 제형에 의해 면역화된 동물이 선택되었다. 다음으로, 사용된 유발 바이러스는 동물의 치사를 야기할 수 있는 DV1 및 DV4이었다. 도 12에 제시된 바와 같이, 1가 및 4가 제형 두 경우 모두에서, 혈청형 1 및 4에 대해 높은 수준의 방어가 얻어졌고, 모든 경우에, 바이러스 대조군 그룹과 비교하여 통계적 차이가 없었다 (p>0.05). 이들 결과는, 서열번호 1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갖는 응집 단백질 DIIIC를 기초로 하여, 혈청형 1 및 4에 대해 시험된 제형의 방어 능력을 나타낸다.
실시예 5. 4가 제형 테트라-DIIIC의 비인간 영장류에서 면역학적 평가
마우스에서 평가된 4가 제형 테트라 DIIIC를 비인간 영장류에서 유사한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3가지의 다른 항원 투여 경로를 통해, 4가 제형이 제공되는 3 마리의 동물의 3개의 시험그룹을 각각 구성하였다: 그룹 1: 피하, 그룹 2: 피내 및 그룹 3: 근육내. 그룹 1 및 3은, 사전에 5 μg의 서열번호 1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에 의해 응집되고, 모두 혼합되고, 명반에 보강된 각각의 키메라 단백질 50 μg이 제공되었다. 그룹 2는 다른 두 경로가 아닌 피내 경로에 의해 10 배 적은 면역원이 제공되었다; 각각의 단백질 5 μg 및 총 2 μg의 서열번호 1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서, 모두 혼합되고, 명반에 보강됨. 위약 그룹은 명반에 보강된, 그룹 1 및 3과 동량의 서열번호 1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근육내로 제공되었다. 유도된 체액성 및 세포성 면역 반응을 측정하기 위해, 각각의 투여 시점 및 이로부터 1 개월 후에, 혈액을 수집하였다.
캡처 ELISA법에 의해, 각각의 바이러스 혈청형에 대한 반응성 항체의 검출을 측정하여, 이들 동물의 혈청의 한계 희석에 의한 역가를 측정하였다. 도 13은 원숭이에서, 서열번호 1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갖는 테트라-DIIIC 제형의 3회 투여 후, 생성된 항바이러스 항체 반응을 나타낸다. 관찰된 바와 같이, 항원 투여 경로와 무관하게, 원숭이에서, 캡처 ELISA 시스템에서 4 가지 바이러스 혈청형을 인식할 수 있는 항체 반응이 유도되었다. 또한, 이러한 반응은 4 가지 DV에 대해 동종성 패턴을 나타내었고, 이것은 이러한 인간 병원균에 대한 백신의 개발을 위해 중요한 단계로서, 균형적 면역 반응이 요구된다.
바이러스 균주 Jamaica DV1, SB8553 DV2, Nicaragua DV3 및 Dominica DV4를 사용하여, VERO 세포에서, 플레이트 환원 중화 테스트 (plate reduction neutralization test, PRNT)를 이용하여, 중화 항체의 측정을 수행하였다. 제3 면역화 후 얻어진 값이 표 5에 나타낸다.
DV 중화 | ||||
경로 | DV1 | DV2 | DV3 | DV4 |
피하 | 77.4 | 215.9 | 146.5 | 46.7 |
253.7 | 186.9 | 138.3 | 102 | |
88.5 | 192.9 | 668.1 | 86.1 | |
GMT | 120.2 | 198.2 | 238.3 | 74.3 |
피내 | 57.1 | 153.1 | 617.8 | 35.6 |
44.6 | 184.3 | 165.2 | 42.5 | |
49.3 | 88.6 | 200 | 494.2 | |
GMT | 50.1 | 135.7 | 273.3 | 90.8 |
근육내 | 247.2 | 472.7 | 254.3 | 113.1 |
47.7 | 111.4 | 390.3 | 121.6 | |
231.6 | 215.9 | 577.5 | 798.5 | |
GMT | 139.8 | 224.9 | 385.6 | 222.3 |
제형 테트라 DIIIC에 의해 면역화된 모든 동물에서, 항원 투여 경로와 무관하게, 시험관 내에서 바이러스 감염을 중화시킬 수 있는 항체 반응이 발생되었다. 4가지 혈청형 모두에 대해 반응하는 동물의 100%에서 중화 항체 반응의 발생은 현재 뎅기에 대한 백신 개발의 전제이다. 위약 그룹에서, 중화 역가는 면역화된 모든 동물에서 20보다 낮았다.
세포성 면역 반응은 측정된 파라미터 중 하나이다. 각각의 재조합 단백질 DIIIC에 의해 PBMC를 자극하고, IFN-γ 생성 세포 빈도를 ELISPOT 분석에 의해 측정하였다. 도 14는 얻어진 값들을 나타낸다. 4가 제형 테트라-DIIIC의 3 회 용량 투여 후, 동물에서, 재조합 단백질에 의한 자극에 대해, 항바이러스 사이토킨을 분비할 수 있는 세포가 생성되었고, 그 반응은 근육내로 면역화된 동물의 경우 보다 상대적으로 더욱 컸다. 평가된 모든 그룹에서, 동물 100%가 시험된 4 가지 단백질에 대해 반응하였다.
실시예 6. 주요-부스터 계획에서, 단백질 DIIIC 및 서열번호 1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2가 및 4가 제형을 조합 투여한 마우스에서의 면역학적 평가
동일한 면역화 계획에서 각각의 단백질 제형 DIIIC의 2 회 투여만을 제공하기 위해, 하기 실험 설계를 수행하였다:
순차 그룹 I 투여 1: 2가 제형 DIIIC-1/DIIIC-2
투여 2: 2가 제형 DIIIC-3/DIIIC-4
투여 3: 4가 제형 테트라 DIIIC
순차 그룹 II 투여 1: 2가 제형 DIIIC-1/DIIIC-3
투여 2: 2가 제형 DIIIC-2/DIIIC-4
투여 3: 2가 제형 테트라 DIIIC
그룹 테트라 DIIIC: 4가 제형 테트라 DIIIC의 전체 투여
2가 및 4가 제형을 생성하기 위해, 사전에 서열번호 1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에 의해 응집된 키메라 단백질 DIIIC를 혼합하였다. 면역원에는 2가 제형마다 각 단백질 20 μg 및 4 μg의 서열번호 1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포함된다. 4가 제형에서 단백질의 양은 각각 20 μg 및 총 8 μg의 서열번호 1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이었다. 모든 변이체는 아쥬반트로서 명반에 제형화되었고, 매 15일 마다 복강내로 투여되었다. 양성 대조군으로서, 4가 제형 테트라-DIIIC만이 제공된 그룹이 이용되었고, 음성 대조군으로서 위약 그룹이 이용되었다.
제3 투여 후, 캡처 ELISA법에 의해, 각 바이러스에 반응성인 항체의 검출을 측정하였고 (도 15), 이를 통해, 이들 동물의 혈청의 한계 역가에 의한 역가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4가지 바이러스 혈청형 모두에서, 시험된 그룹 간의 통계적 유의차는 존재하지 않았으며, 이는, 2가 제형의 순차 투여 및 4가 테트라-DIIIC에 의한 부스터를 통해, 4가 제형의 3 회 용량 투여와 동일한 수준의 면역원성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 외에, 세포성 면역 반응을 측정하였다. 최종 투여 후 30일째에, 본 연구의 각 그룹의 면역화된 동물의 지라세포를 추출하고, 4가지 재조합 단백질에 의한 자극 후, 지라세포의 배양 상청액에서 IFN-γ의 분비를 측정하였다. 음성 대조군으로서, 위약 제형이 접종된 마우스의 지라세포가 사용되었다. 얻어진 결과는 도 16에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그룹 (위약의 경우 제외)에서, 4 가지 재조합 단백질에 의한 자극 후, 높은 수준의 IFN-γ이 검출되었고, 이는, 처음 2 회 투여에서 투여된 2가 제형 및 사용된 면역화 계획과 상관없이, 동일한 세포성 반응이 얻어졌다는 것을 시사한다.
<110> Center for Genetic Engineering and Biotechnology <120> VACCINE COMPOSITION AGAINST DENGUE VIRUS <130> Dengue-tetravalent <160> 8 <170> PatentIn Ver. 2.1 <210> 1 <211> 3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ix Oligonucleotide <400> 1 atcgactctc gagcgttctc gggggacgat cgtcggggg 39 <210> 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Oligonucleotide K3 <400> 2 atcgactctc gagcgttctc 20 <210> 3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Oligonucleotide 2216 <400> 3 gggggacgat cgtcggggg 19 <210> 4 <211> 39 <212> DNA <213> Escherichia coli <400> 4 catacctcgc tctgctaatc ctgttaccag tggctgctg 39 <210> 5 <211> 25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himeric protein DIIIC-1 <400> 5 Met Gly His His His His His His Gly Ser Arg Leu Lys Met Asp Lys 1 5 10 15 Leu Thr Leu Lys Gly Met Ser Tyr Val Met Cys Thr Gly Ser Phe Lys 20 25 30 Leu Glu Lys Glu Val Ala Glu Thr Gln His Gly Thr Val Leu Val Gln 35 40 45 Val Lys Tyr Glu Gly Thr Asp Ala Pro Cys Lys Ile Pro Phe Ser Thr 50 55 60 Gln Asp Glu Lys Gly Val Thr Gln Asn Gly Arg Leu Ile Thr Ala Asn 65 70 75 80 Pro Ile Val Thr Asp Lys Glu Lys Pro Val Asn Ile Gl u Thr Glu Pro 85 90 95 Pro Phe Gly Glu Ser Tyr Ile Val Val Gly Ala Gly Glu Lys Ala Leu 100 105 110 Lys Leu Ser Trp Phe Lys Lys Gly Ser Ser Ile Gly Lys Met Phe Glu 115 120 125 Ala Thr Ala Arg Gly Ala Arg Arg Met Ala Ile Leu Gly Asp Thr Ala 130 135 140 Trp Asp Phe Gly Ser Ile Gly Gly Gly Ser Asn Gln Arg Lys Lys Thr 145 150 155 160 Ala Arg Pro Ser Phe Asn Met Leu Lys Arg Ala Arg Asn Arg Val Ser 165 170 175 Thr Val Ser Gln Leu Ala Lys Arg Phe Ser Lys Gly Leu Leu Ser Gly 180 185 190 Gln Gly Pro Met Lys Leu Val Met Ala Phe Ile Ala Phe Leu Arg Phe 195 200 205 Leu Ala Ile Pro Pro Thr Ala Gly Ile Leu Ala Arg Trp Gly Ser Phe 210 215 220 Lys Lys Ser Gly Ala Ile Lys Val Leu Arg Gly Phe Lys Lys Glu Ile 225 230 235 240 Ser Asn Met Leu Asn Ile Met Asn Arg Arg Lys Arg 245 250 <210> 6 <211> 25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himeric protein DIIIC-2 <400> 6 Met Gly His His His His His His Gly Ser Arg Leu Arg Met Asp Lys 1 5 10 15 Leu Gln Leu Lys Gly Met Ser Tyr Ser Met Cys Thr Gly Lys Phe Lys 20 25 30 Ile Val Lys Glu Ile Ala Glu Thr Gln His Gly Thr Ile Val Ile Arg 35 40 45 Val Gln Tyr Glu Gly Asp Gly Ser Pro Cys Lys Ile Pro Phe Glu Ile 50 55 60 Met Asp Leu Glu Lys Arg His Val Leu Gly Arg Leu Ile Thr Val Asn 65 70 75 80 Pro Ile Val Thr Glu Lys Asp Ser Pro Val Asn Ile Glu Ala Glu Pro 85 90 95 Pro Phe Gly Asp Ser Tyr Ile Ile Ile Gly Val Glu Pro Gly Gln Leu 100 105 110 Lys Leu Asn Trp Phe Lys Lys Gly Ser Ser Ile Gly Gln Met Phe Glu 115 120 125 Thr Thr Met Arg Gly Ala Lys Arg Met Ala Ile Leu Gly Asp Thr Ala 130 135 140 Trp Asp Phe Gly Ser Leu Gly Gly Gly Ser Asn Asn Gln Arg Lys Lys 145 150 155 160 Ala Arg Ser Thr Pro Phe Asn Met Leu Lys Arg Glu Arg Asn Arg Val 165 170 175 Ser Thr Val Gln Gln Leu Thr Lys Arg Phe Ser Leu Gly Met Leu Gln 180 185 190 Gly Arg Gly Pro Leu Lys Leu Phe Met Ala Leu Val Ala Phe Leu Arg 195 200 205 Phe Leu Thr Ile Pro Pro Thr Ala Gly Ile Leu Lys Arg Trp Gly Thr 210 215 220 Ile Lys Lys Ser Lys Ala Ile Asn Val Leu Arg Gly Phe Arg Lys Glu 225 230 235 240 Ile Gly Arg Met Leu Asn Ile Leu Asn Arg Arg Arg Arg 245 250 <210> 7 <211> 25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himeric protein DIIIC-3 <400> 7 Met Gly His His His His His His Gly Ser Arg Leu Lys Met Asp Lys 1 5 10 15 Leu Glu Leu Lys Gly Met Ser Tyr Ala Met Cys Thr Asn Thr Phe Val 20 25 30 Leu Lys Lys Glu Val Ser Glu Thr Gln His Gly Thr Ile Leu Ile Lys 35 40 45 Val Glu Tyr Lys Gly Glu Asp Val Pro Cys Lys Ile Pro Phe Ser Thr 50 55 60 Glu Asp Gly Gln Gly Lys Ala His Asn Gly Arg Leu Ile Thr Ala Asn 65 70 75 80 Pro Val Val Thr Lys Lys Glu Glu Pro Val Asn Ile Glu Ala Glu Pro 85 90 95 Pro Phe Gly Glu Ser Asn Ile Val Ile Gly Ile Gly Asp Asn Ala Leu 100 105 110 Lys Ile Asn Trp Tyr Lys Lys Gly Ser Ser Ile Gly Lys Met Phe Glu 115 120 125 Ala Thr Ala Arg Gly Ala Arg Arg Met Ala Ile Leu Gly Asp Thr Ala 130 135 140 Trp Asp Phe Gly Ser Val Gly Gly Gly Ser Asn Gln Arg Lys Lys Thr 145 150 155 160 Gly Lys Pro Ser Ile Asn Met Leu Lys Arg Val Arg Asn Arg Val Ser 165 170 175 Thr Gly Ser Gln Leu Ala Lys Arg Phe Ser Lys Gly Leu Leu Asn Gly 180 185 190 Gln Gly Pro Met Lys Leu Val Met Ala Phe Ile Ala Phe Leu Arg Phe 195 200 205 Leu Ala Ile Pro Pro Thr Ala Gly Val Leu Ala Arg Trp Gly Thr Phe 210 215 220 Lys Lys Ser Gly Ala Ile Lys Val Leu Lys Gly Phe Lys Lys Glu Ile 225 230 235 240 Ser Asn Met Leu Ser Ile Ile Asn Lys Arg Lys Lys 245 250 <210> 8 <211> 25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himeric protein DIIIC-4 <400> 8 Met Gly His His His His His His Gly Ser Lys Val Arg Met Glu Lys 1 5 10 15 Leu Arg Ile Lys Gly Met Ser Tyr Thr Met Cys Ser Gly Lys Phe Ser 20 25 30 Ile Asp Lys Glu Met Ala Glu Thr Gln His Gly Thr Thr Val Val Lys 35 40 45 Val Lys Tyr Glu Gly Ala Gly Ala Pro Cys Lys Val Pro Ile Glu Ile 50 55 60 Arg Asp Val Asn Lys Glu Lys Val Val Gly Arg Ile Ile Ser Ser Thr 65 70 75 80 Pro Leu Ala Glu Asn Thr Asn Ser Val Thr Asn Ile Glu Leu Glu Pro 85 90 95 Pro Phe Gly Asp Ser Tyr Ile Val Ile Gly Val Gly Asn Ser Ala Leu 100 105 110 Thr Leu His Trp Phe Arg Lys Gl y Ser Ser Ile Gly Lys Met Phe Glu 115 120 125 Ser Thr Tyr Arg Gly Ala Lys Arg Met Ala Ile Leu Gly Glu Thr Ala 130 135 140 Trp Asp Phe Gly Ser Val Gly Gly Gly Ser Asn Gln Arg Lys Lys Val 145 150 155 160 Val Arg Pro Pro Phe Asn Met Leu Lys Arg Glu Arg Asn Arg Val Ser 165 170 175 Thr Pro Gln Gly Leu Val Lys Arg Phe Ser Thr Gly Leu Phe Ser Gly 180 185 190 Lys Gly Pro Leu Arg Met Val Leu Ala Phe Ile Thr Phe Leu Arg Val 195 200 205 Leu Ser Ile Pro Pro Thr Ala Gly Ile Leu Lys Arg Trp Gly Gln Leu 210 215 220 Lys Lys Asn Lys Ala Ile Lys Ile Leu Ile Gly Phe Arg Lys Glu Ile 225 230 235 240 Gly Arg Met Leu Asn Ile Leu Asn Gly Arg Lys Arg 245 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