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틸와이어 인발용 건식 폐윤활제 재생장치

申请号 KR1020110116627 申请日 2011-11-09 公开(公告)号 KR1020130051336A 公开(公告)日 2013-05-20
申请人 주식회사 청하; 发明人 문부현; 신경호;
摘要 PURPOSE: A dry drawing lubricant recycling machine for steel wire is provided to supply a magnetic element which derives behaviors of metal particle and lubricant particle different from each other. CONSTITUTION: A housing comprises a first space part(102) and a second space part(104). A supply unit is arranged in one side of the housing. A crusher(106) has one side of the second space part and has an open top. A sorting unit(140) sorts receives waste lubricant and sorts the lubricant particle and impurity particle per size. An exhaust unit exhausts the sorted impurity particle and lubricant. A storage unit accommodates the impurity particle and lubricant. A transfer conveyer(108)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crusher. A driving motor(116) is arranged in one location of the upper part of a horizontal plate(112). A connection pipe(138) is arranged in a specific position of the opposite end of the transfer pipe.
权利要求
  • 제1 공간부(102)와 제2 공간부(104)를 구비하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에 일정 간격 이격하여 마련된 공급수단(120);
    상기 제2 공간부(104)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고 상부가 개구된 파쇄기(106);
    상기 제1 공간부(102)의 내부 소정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파쇄기(106)로부터 파쇄된 폐윤활제를 공급받아 불순물철분입자와 재생윤활제를 입자 크기별로 선별하는 선별수단(140);
    상기 선별수단(140)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선별수단(140)으로부터 선별된 불순물철분입자와 윤활제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수단(160);
    상기 배출수단(160)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배출수단(160)을 통해 배출된 불순물철분입자와 윤활제를 수용하는 저장수단(180): 및
    일측이 상기 공급수단(120)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하우징(100)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파쇄기(106)의 상부 일측에 연결된 이송컨베이어(108)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공간부(102)의 내부 소정 위치에는 수평 및 수직플레이트(112, 114)가 설치되고, 상기 수평플레이트(112)의 상부 일측 소정 위치에 구동모터(116)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와이어 인발용 건식 폐윤활제 재생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급수단(120)은,
    받침대(122)와, 상기 받침대(122)의 하부 일측 소정 위치에 마련되는 구동모터(124)와, 상기 받침대(122)의 상부에 결합된 호퍼(126)와, 상기 호퍼(126)의 하부에 결합된 이송수단(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와이어 인발용 건식 폐윤활제 재생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130)은,
    상기 호퍼(126)의 하부에 연통되게 결합된 이송관(132)과, 상기 이송관(132)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구동모터(124)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이송스크류(134)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관(132)의 타단 소정 위치에는 연결관(138)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와이어 인발용 건식 폐윤활제 재생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호퍼(126)의 내부 소정 위치에는 다수의 강철 와이어에 의하여 형성된 메쉬망(128)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와이어 인발용 건식 폐윤활제 재생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별수단(140)은,
    상기 제1 공간부(102)의 소정 위치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제1 회전축(148)에 결합된 체(142)와, 상기 제1 회전축(148)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하여 설치된 제2 회전축(150)에 결합된 마그네틱부재(144)와, 상기 제2 회전축(150)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하여 설치된 제3 회전축(152)에 결합된 브러쉬(1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와이어 인발용 건식 폐윤활제 재생장치.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부재(146)는,
    원통형의 케이스(142a)와, 상기 케이스(142a)의 내부에 수용되는 다수개의 자석(144b)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와이어 인발용 건식 폐윤활제 재생장치.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체(142)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다수의 구간(142a, 142b, 142c, 144d)으로 구획된 원뿔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각의 구간은 서로 다른 규격의 메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와이어 인발용 건식 폐윤활제 재생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160)은,
    상기 수평플레이트(112)의 상부면 일측에 마련된 제1 배출수단(160a)과, 상기 수평플레이트(112)의 상부면 타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배출수단(160a)에 인접되게 마련된 제2 배출수단(160b)과, 상기 수평플레이트(112)의 상부면 소정 위치에 마련된 감속모터(16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와이어 인발용 건식 폐윤활제 재생장치.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출수단(160a)은,
    상기 수평플레이트(112)의 상부면 일측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된 배출관(162a)과, 상기 배출관(162a)의 내부에 수용되며, 일단부가 상기 감속모터(168)의 일측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배출스크류(164a)와, 하부가 상기 배출관(162a)의 일측에 연통되게 결합되고 상부가 개구된 저장호퍼(166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와이어 인발용 건식 폐윤활제 재생장치.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 배출수단(160b)은,
    상기 수평플레이트(112)의 상부면 타측에 마련된 배출관(162b)과, 상기 배출관(162b)의 내부에 수용되고, 일단부가 상기 감속모터(168)의 일측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배출스크류(164b)와, 하부가 상기 배출관(162b)의 일측에 연통되게 결합되고 상부가 개구된 저장호퍼(166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와이어 인발용 건식 폐윤활제 재생장치.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단(180)은,
    상기 제1 배출수단(160a)의 일측에 결합된 제1 저장부재(180a)와, 상기 제2 배출수단(160b)의 일측에 결합된 제2 저장부재(180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와이어 인발용 건식 폐윤활제 재생장치.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장부재(180a)는,
    상기 제1 배출수단(160a)의 일측에 결합된 다수개의 체결관(182a)과, 상기 체결관(182a)의 일측에 결합된 다수개의 덮개(184a)와, 상기 덮개(184a)에 결합된 다수개의 저장용기(186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와이어 인발용 건식 폐윤활제 재생장치.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2 저장부재(180b)는,
    상기 제2 배출수단(160b)의 일측에 결합된 체결관(182b)과, 상기 체결관(182b)의 일측에 결합된 덮개(184b)와, 상기 덮개(184b)에 결합된 저장용기(186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와이어 인발용 건식 폐윤활제 재생장치.
  • 청구항 12 또는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덮개(184a, 184b)와 저장용기(186a, 186b) 사이에는 필터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와이어 인발용 건식 폐윤활제 재생장치.
  • 说明书全文

    스틸와이어 인발용 건식 폐윤활제 재생장치{Dry Drawing Lubricant Recycling Machine For steel Wire}

    본 발명은 스틸(steel) 와이어의 인발 가공시 냉각 및 윤활을 위해 순환 공급되는 건식용 폐윤활제에 함유된 불순물의 제거방법 및 폐윤활제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와이어의 건식 인발 공정에 사용되는 건식윤활제에 축적되는 불순물 및 철분입자(산화철)을 제거함으로써 스틸와이어 인발용 건식 폐윤활제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이 급격히 변형 가공되는 와이어의 인발 작업시에는 와이어와 인발 다이의 접촉면에서 가혹한 조건의 압축, 마찰상태가 유지되면서 많은 열이 발생하게 되고, 다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연질의 와이어 표면에 스크래치 등의 표면 결함이 발생하게 된다.

    즉, 와이어 표면과 다이 표면의 접촉면에서는 가혹한 마찰 상태가 되는 바, 이때 발생되는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와이어와 다이의 표면 경계면에 윤활제를 공급하게 되며, 공급되는 윤활제에 의하여 와이어와 다이 표면 사이의 마찰상태는 유체 윤활과 경계 윤활의 두 형태로 구분된다.

    유체 윤활은 와이어와 다이의 표면이 윤활제층을 매개로하여 간접 접촉하고 있는 상태로서 이상적인 마찰 상태가 되나, 와이어와 다이 표면의 마찰 상태는 두 접촉면에 부여되는 높은 압력에 의하여 상기 유체 윤활 상태가 깨어져 유체윤활과 무윤활 상태가 혼재하는 경계 윤활 상태가 된다.

    따라서, 경계 윤활 상태의 인발시 급격한 압력 상승과 마찰열에 의하여 발생되는 경계 윤활막 파손에 의한 픽업(pickup) 즉, 와이어의 표면 결함을 방지하고, 인발 다이와 와이어 접촉면의 마찰계수 및 열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인발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와이어와 인발 다이의 접촉면에 공급되는 윤활제는, 인발 대상 와이어의 특성에 따라 윤활제 공급 방법이 다르게 되는 바, 크게 윤활제 공급 방법에 따라 건식 인발과 습식 인발로 대별된다.

    건식 인발은, 인발 다이로 진행하는 와이어 이동 경로 상의 한 지점에서 와이어 표면에 윤활제를 떨어뜨리거나, 와이어가 인발 다이를 통과하기전 와이어를 윤활제에 침적 통과시킴으로써 표면에 윤활제가 도포된 상태의 와이어를 인발하는 방법으로 와이어 표면에 도포된 윤활제는 회수되지 않는다.

    철강선재의 스틸 와이어 인발(wire drawing)에서 생기는 와이어산화층 제거 방법에는 기계적 방법과 화학적 방법이 있다. 그중에 스틸 와이어 인발후 선재의 품질과 성능면에서 기계적제거 방법이 선호되고 있지만 동시에 윤활제의 사용은 늘어날 수 밖에 없다. 이에 윤활제의 재활용은 자원재활용 측면에서 그 경제적 가치는 크다할 수 있다.

    이에 세계적인 경기불황을 감안하면 기계적 과용은 부담이 크므로 초도비용이나 지출비용의 절감 차원에서 스틸 와이어 인발 윤활제 재생기에 의한 재생윤활제의 활용은 큰 경제적 이익이 된다. 기존 스틸 와이어 인발 윤활제의 재생방법에 있어서는 철강선재 스틸 와이어 인발(Wire Drawing) 과정에서 철이 일부 남아있는 오염된 윤활제를 새윤활제와 혼합하여 열을 가하고 믹스하여 이의 입자를 만들어 내는 자기스크린방법으로 철분 물질을 제거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가열과정이 두드러져 윤활제의 윤활특성이 반대 방향으로 가져오게 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오염된 윤활제와 새윤활제를 혼합하는 기존방법이 아닌 윤활입자(soap)와 철분입자(metal particle)를 각기 다른 거동을 유도하는 마그네틱부재(자성분리기)를 통해 윤활입자와 철입자가 서로 다른 배출수단을 통해 저장수단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때, 용융 응고된 폐 스틸 와이어 건식윤활제 덩어리를 파쇄하여 일정한 입도를 갖게 하는 선행공정을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폐 스틸 와이어 인발 건식윤활제에 포함된 산화철분리기술은 화학적 제거방식이 아닌 물리적 제거 방식으로써 유용한 비자기물질에서 무용한 자기물질을 분리해 내는 방법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산화철(iron oxide)로 오염된 윤활제에서 물리적으로 산화철을 제거하면 순수 윤활제만 남게 된다. 일반적으로 철분만 자성체에 작용한다고 알고 있지만 윤활제가 탄화되면서 강한 자성을 나타내게 되는데 상기의 원리를 이용하여 자성입자와 비자성입자를 분리한다. 즉 윤활입자(soap)와 철분입자(metal particle)를 각기 다른 거동을 유도하는 마그네틱부재(magnetic tube)를 통해 윤활입자와 철입자가 서로 다른 출구로 흘러가도록 하는 공정을 가진다. 이로 통해 불순물입자를 제거하는 방법이므로 시간당 50리터의 비용으로 철오염 물질을 98%까지 제거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상기 및 기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공간부와 제2 공간부를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일정 간격 이격하여 마련된 공급수단과, 상기 제2 공간부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고 상부가 개구된 파쇄기와, 상기 제1 공간부의 내부 소정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파쇄기로부터 파쇄된 폐윤활제를 공급받아 불순물철분입자와 재생윤활제를 입자 크기별로 선별하는 선별수단과, 상기 선별수단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선별수단으로부터 선별된 불순물철분입자와 재생윤활제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수단과, 상기 배출수단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배출수단을 통해 배출된 불순물철분입자와 재생윤활제를 수용하는 저장수단과, 일측이 상기 공급수단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하우징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파쇄기의 상부 일측에 연결된 이송컨베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공간부의 내부 소정 위치에는 수평 및 수직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수평플레이트의 상부 일측 소정 위치에 구동모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와이어 인발용 건식 폐윤활제 재생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공급수단은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하부 일측 소정 위치에 마련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결합된 호퍼와, 상기 호퍼의 하부에 결합된 이송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호퍼의 하부에 연통되게 결합된 이송관과, 상기 이송관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이송스크류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관의 타단 소정 위치에는 연결관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호퍼의 내부 소정 위치에는 다수의 강철 와이어에 의하여 형성된 메쉬망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별수단은 상기 제1 공간부의 소정 위치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제1 회전축에 결합된 체와, 상기 제1 회전축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하여 설치된 제2 회전축에 결합된 마그네틱부재와, 상기 제2 회전축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하여 설치된 제3 회전축에 결합된 브러쉬를 포함한다.

    상기 마그네틱부재는 원통형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는 다수개의 자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다수의 구간으로 구획된 원뿔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각의 구간은 서로 다른 규격의 메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수단은 상기 수평플레이트의 상부면 일측에 마련된 제1 배출수단과, 상기 수평플레이트의 상부면 타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배출수단에 인접되게 마련된 제2 배출수단과, 상기 수평플레이트의 상부면 소정 위치에 마련된 감속모터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배출수단은 상기 수평플레이트의 상부면 일측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된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의 내부에 수용되며, 일단부가 상기 감속모터의 일측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배출스크류와, 하부가 상기 배출관의 일측에 연통되게 결합되고 상부가 개구된 저장호퍼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배출수단은 상기 수평플레이트의 상부면 타측에 마련된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의 내부에 수용되고, 일단부가 상기 감속모터의 일측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배출스크류와, 하부가 상기 배출관의 일측에 연통되게 결합되고 상부가 개구된 저장호퍼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수단은 상기 제1 배출수단의 일측에 결합된 제1 저장부재와, 상기 제2 배출수단의 일측에 결합된 제2 저장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저장부재는 상기 제1 배출수단의 일측에 결합된 다수개의 체결관과, 상기 체결관의 일측에 결합된 다수개의 덮개와, 상기 덮개에 결합된 다수개의 저장용기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저장부재는 상기 제2 배출수단의 일측에 결합된 체결관과, 상기 체결관의 일측에 결합된 덮개와, 상기 덮개에 결합된 저장용기를 포함한다.

    상기 덮개와 저장용기 사이에는 필터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첫째, 건식 인발용 윤활제에 축적되어 있는 불순물 철분입자를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폐윤활제의 재생율을 높일 수 있고 , 폐윤활제의 폐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건식용 폐윤활제에 축적되어 있는 불순물 철분입자를 제거함으로써 와이어의 인발성을 향상시켜 생산성을 높여주고, 윤활제의 윤활성 저하 속도를 억제시켜 인발 작업시 발생되는 픽업 등과 같은 와이어 표면 결함을 감소시켜 인발 와이어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상기 발명의 건식용 폐윤활제 재생장치에 있어서, 시간당 50리터의 비용으로 건식용 폐윤활제의 오염 물질을 80%까지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틸와이어 인발용 건식 폐윤활제 재생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틸와이어 인발용 건식 폐윤활제 재생장치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틸 와이어 인발용 건식 폐윤활제 재생장치의 측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II의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틸와이어 인발용 건식 폐윤활제 재생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틸와이어 인발용 건식 폐윤활제 재생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틸와이어 인발용 건식 폐윤활제 재생장치의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틸와이어 인발용 건식 폐윤활제 재생장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II의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틸와이어 인발용 건식 폐윤활제 재생장치(10)는 제1 공간부(102)와 제2 공간부(104)를 가지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에 마련된 공급수단(120)과, 상기 제2 공간부(104)의 내부에 마련된 파쇄기(106)와, 상기 제1 공간부의 내부에 마련된 선별수단(140)과, 상기 선별수단(140)의 하측에 마련된 배출수단(160)과, 상기 배출수단(160)의 일측에 결합된 저장수단(180)과, 일측이 상기 공급수단(120)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하우징(100)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파쇄기(106)의 상부 일측에 연결된 이송컨베이어(108)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다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1 공간부(102)와 제2 공간부(104)를 구하며, 상부 일측 소정 위치에는 다수개의 조작버튼과 게이지가 전면에 구비된 컨트롤패널(110)이 마련된다.

    여기서, 제1 공간부(102)의 내부 소정 위치에는 후술하는 선별수단(140)과, 배출수단(160)이 마련되고, 제2 공간부(104)의 내부 일측에는 후술하는 파쇄기(106)가 구비된다.

    또한, 제1 공간부(102)의 내부 소정 위치에는 수직 및 수평플레이트(112, 114)가 설치되고, 수평플레이트(112)의 상부 일측 소정 위치에 구동모터(116)가 마련된다.

    공급수단(120)은 하우징(100)의 일측에 일정 간격 이격하여 마련되며, 폐윤활제를 하우징(100)의 제2 공간부(104) 내부에 파련된 파쇄기(106)에 공급한다.

    또한, 공급수단(120)은 다수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받침대(122)와, 받침대(122)의 하부 일측 소정 위치에 마련된 구동모터(124)와, 받침대(122)의 상부에 결합되고 하부가 받침대(122)의 내부 소정 위치까지 연장되고, 상부가 받침대(122)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호퍼(126)와, 호퍼(126)의 하측에 결합된 이송수단(130)을 포함한다.

    여기서, 호퍼(126)의 내부 소정 위치에는 다수의 강철 와이어에 의하여 형성된 메쉬망(128)이 마련되며, 이 메쉬망(128)은 호퍼(126)의 내부에 투입되는 폐윤활 중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한다.

    이송수단(130)은 일단이 구동모터(124)의 일측에 결합된 동력전달부재(136)에의 일단에 상호 연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구동모터(124)에서 발생된 동력을 동력전달부재(136)를 통해 전달받아 구동된다.

    또한, 이송수단(130)은 호퍼(126)의 하부와 연통되게 결합된 이송관(132)과, 이송관(132)의 내부에 마련되며, 구동모터(124)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이송스크류(134)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송관(132)의 타단 소정 위치에는 일단이 이송관(132)에 연통되도록 결합된 연결관(138)이 마련되고, 이 연결관(138)은 타단이 이송컨베이어(108)의 일측에 연결되어 이송수단(130)을 통해 배출되는 폐윤활제가 이송컨베이어(108)로 공급되어 파쇄기(106)로 공급될 수 있게 한다.

    선별수단(140)은 제1 공간부(102)의 소정 위치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제1 회전축(148)에 결합된 체(142)와, 제1 회전축(148)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하여 설치된 제2 회전축(150)에 결합된 마그네틱부재(144)와, 제2 회전축(150)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하여 설치된 제3 회전축(152)에 결합된 브러쉬(146)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회전축, 제2 회전축 및 제 3회전축(148, 150, 152)은 동력전달부재(154)를 통해 구동모터(116)에 연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동력전달부재(154)는 체인 또는 벨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142)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다수의 구간(142a, 142b, 142c, 142d)으로 구획된 원뿔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이 각각의 구간(142a, 142b, 142c, 142d)은 서로 다른 규격의 메쉬가 형성되어 있으며, 파쇄기(106)를 통해 파쇄된 폐윤활제를 크기별로 분류한다.

    마그네틱부재(144)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진 중공원 원통(142a)과, 원통(142a)의 내부에 삽입되는 다수개의 자석(144b)으로 구성되며, 체(140)에서 크기별로 분리되어 배출되는 폐윤활제를 재생된 윤활입자와 불순물철분입자로 분리한다.

    여기서, 원통(142a)의 내부에 삽입되는 자석(144b)의 개수는 5 ~ 6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1 공간부(102)의 내부 소정 위치에는 일단부가 제1 공간부(102)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마그네틱부재(144)의 외주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커버(156)가 마련되는데, 이 커버(156)는 회전하고 있는 체(142)로부터 배출되는 폐윤활제가 마그네틱부재(144)에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한다.

    브러쉬(146)는 마그네틱부재(144)의 일측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마그네틱부재(144)의 외주면에 붙어 있는 불순물철분입자를 제거한다.

    배출수단(160)은 수평플레이트(112)의 상부면 일측에 마련된 제1 배출수단(162a)과, 수평플레이트(112)의 상부면 타측에 위치하며 제1 배출수단(160a)과 인접되게 마련된 제2 배출수단(160b)과, 수평플레이트(112)의 상부면 소정 위치에 마련된 감속모터(168)를 포함한다.

    제1 배출수단(160a)은 수평플레이트(112)의 상부면 일측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된 배출관(162a)과, 배출관(162a)의 내부에 수용되며, 일단부가 상기 감속모터(168)의 일측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배출스크류(164a)와, 하부가 상기 배출관(164a)의 일측에 연통되게 결합되고 상부가 개구된 저장호퍼(166a)로 구성된다.

    제2 배출수단(160b)은 수평플레이트(112)의 상부면 타측에 마련된 배출관(162b)과, 배출관(162b)의 내부에 수용되고, 일단부가 상기 감속모터(168)의 일측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배출스크류(164b)와, 하부가 상기 배출관(162b)의 일측에 연통되게 결합되고 상부가 개구된 저장호퍼(166b)로 구성된다.

    저장수단(180)은 제1 배출수단(160a)의 일측에 결합된 제1 저장부재(180a)와, 제2 배출수단(160b)의 일측에 결합된 제2 저장부재(180b)로 이루어진다.

    제1 저장부재(180a)는 제1 배출수단(160a)의 일측에 일단부가 연통되도록 결합된 체결관(182a)과, 체결관(182a)의 타단부에 결합된 다수개의 덮개(184a)와, 덮개(184a)에 결합된 다수개의 저장용기(186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 저장부재(180b)는 제2 배출수단(160b)의 일측에 일단부가 연통되도록 결합된 체결관(182b)과, 체결관(182b)의 타단부에 결합된 덮개(184b)와, 덮개(184b)에 결합된 저장용기(186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술한 제1 및 제2 저장부재(180a, 180b)의 덮개(184a, 184b)는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중심 소정 위치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체결부(188a, 188b)를 구비한다. 이 체결부(188a, 188b)는 체결관(182a, 182b)의 단부에 체결된다.

    여기서, 체결관(182a, 182b)에 체결되는 체결부(188a, 188b)를 탄성력을 가지는 플랙시블부재로 구성하여 저장용기(186a, 186b)가 덮개(184a, 184b)에 체결되었을 때 체결부(188a, 188b)가 저장용기(186a, 186b)의 무게에 의해 탄성변형을 하여 저장용기(186a, 186b)의 바닥면이 자중에 의해 지면에 닿도록 할 수 있으며, 덮개(184a, 184b)로부터 저장용기(186a, 186b)를 탈거했을 경우에는 체결부(188a, 188b)가 탄성력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체결부(188a, 188b)의 원주방향 소정 위치에 체결부재(미도시)를 마련하여, 덮개(184a, 184b)가 체결관(182a, 182b)의 단부에 체결할 때 체결부(188a, 188b)가 체결관(182a, 182b)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아울러, 덮개(184a, 184b)는 원주방향을 따라 가장자리에 플랜지부(190a, 190b)가 형성되고, 이 플랜지부(190a, 190b)의 일측면에는 후술하는 저장용기(186a, 186b)와 나사결합이 가능하도록 나사부(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스틸와이어 인발용 건식 폐윤활제 재생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와이어의 인발시 와이어의 표면으로부터 이탈된 불순물철분입자들이 축적된 폐윤활제를 수거하여 공급수단(120)으로 공급하면, 공급수단(120)의 내부 소정 위치에 마련된 메쉬망(128)에 의해 폐윤활제 중에 섞여 있는 이물질이 메쉬망(128)에 의해 1차적으로 걸러지게 된다.

    이때, 공급수단(120)으로 공급되는 폐윤활제는 와이어 인발 공정 중에 발생되는 고온의 열로 인해 덩어리진다.

    이와 같이, 메쉬망(128)을 통과한 폐윤활제는 호퍼(126)의 하부에 연통되게 마련된 이송수단(130)을 통해 배출되어, 이송컨베이어(108)로 공급된다. 이송컨베이어(108)로 공급된 폐윤활제는 파쇄기(106)로 공급된다.

    이후, 파쇄기(106)로 공급된 폐윤활제는 일정 크기로 파쇄되어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다수의 구간(142a, 142b, 142c, 144d)으로 구획된 원뿔대 형상의 체(142)로 공급된다.

    파쇄기(106)에서 파쇄되어 체(142)로 공급되는 폐윤활제는 입자의 크기별로 체(142)의 원주방향을 따라 마련된 메쉬를 통해 체(142)의 외부로 배출되고, 체(142)를 통해 배출된 폐윤활제는 커버(156)의 내면을 통해 마그네틱부재(144)로 공급된다. 마그네틱부재(144)로 공급된 폐윤활제는 마그네틱부재(144)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다수개의 자석(144b)에 의해 재사용이 가능한 윤활제와 불순물철분입자로 분리된다.

    이때, 불순물철분입자는 마그네틱부재(144)의 외주면에 붙게되고, 재사용이 가능한 윤활제는 제1 공간부(102)의 일측에 마련된 제1 배출수단(160a)의 저장호퍼(166a)로 공급된 후 저장호퍼(166a)의 하부에 연통되게 마련된 배출관(162a)을 통해 제1 저장부재(180a)로 공급된다.

    반면에, 마그네틱부재(144)의 외주면에 부착된 불순물철분입자는 마그네틱부재(144)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마련된 브러쉬(146)에 의해 제1 공간부(102)의 타측에 마련된 제2 배출수단(160b)으로 공급된 후 제2 저장부재(180b)로 공급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에 의하면, 페윤활제 속에 축적되어 있는 불순물철분입자를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냉각윤활제의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으며 냉각윤활제의 폐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하우징 130: 이송수단
    102: 제1 공간부 140: 선별수단
    104: 제2 공간부 142: 체
    106: 파쇄기 144: 마그네틱부재
    108: 이송 컨베이어 146: 브러쉬
    110: 컨트롤패널 160: 배출수단
    116: 구동모터 160a: 제1 배출수단
    120: 공급수단 160b: 제2 배출수단
    122: 받침대 180: 저장수단
    126: 호퍼 180a: 제1 저장부재
    128: 메쉬망 180b: 제2 저장부재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