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진열장

申请号 KR1020020061946 申请日 2002-10-07 公开(公告)号 KR1020020082194A 公开(公告)日 2002-10-30
申请人 (주)진우하이텍; 发明人 강윤호;
摘要 PURPOSE: A book display stand installed in a bookstore or other public places is provided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management and arrangement of books by keeping an opening state of a display section. CONSTITUTION: The book display stand(B) is comprised of a display case(1) formed with an inner receiving chamber(11); a front panel(2) rotatably coupled to the front side of the display case; a guiding device(3)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th side surfaces of the display case to face each other, which consists of a guide rail and a stopper(31) provided at the front distal end of the rail; and a guide member(4) having a casing(41) installed at the upper both end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panel, a guide shaft(42) received in the casing so as to be extruded elastically and a button(43) for releasing the insertion condition of the guide shaft.
权利要求
  • 내부에 수납실(11)이 형성된 진열장(1)과, 전면에 거치대(21)가 형성되어 상기 진열장(1)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진열판(2)으로 구성된 책진열장(B)에 있어서,
    상기 진열장(1)의 내부상단 양측에 전후방향으로 대향 설치되고 전방 끝단에 스톱퍼(31)를 구비한 "ㄷ" 형의 안내레일(32)로 구성된 안내수단(3)과;
    상기 진열판(2)의 내면 상단 양측에 대향 설치된 케이싱(41)과, 상기 케이싱(41) 내에 탄성부재에 의해 출몰 가능하게 수납 설치된 안내축(42)과, 상기 안내축(42)의 몰입상태를 해지시키는 버튼(43)으로 구성된 안내부재(4)와; 상기 안내부재(4)를 갖추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 진열장.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3)이, 측벽(12)의 상단 양측에 전방이 높고 후방이 낮도록 경사상으로 형성된 안내홈(33)과, 상기 안내홈(33)의 전방에 고정된 걸림돌기(3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 진열장.
  • 说明书全文

    책 진열장{BOOK SHOWCASE}

    본 발명은 서점이나 가판대 또는 공공장소에 각종 책을 전시할 수 있도록 한책 진열장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진열판의 개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되어 내부 정리와 관리가 용이하게 된 것이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일반적인 책 진열장은 각종 책, 잡지, 신문등을 전시판매하기 위한 것으로, 사각 함체의 전면에 진열판을 경첩으로 연결하여 상. 하 방향으로 회동개폐 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음은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책 진열장은 진열판을 상하로 개폐시키게 되므로 구조적으로 책 진열장 내부에 책을 보관하거나 보관된 책을 꺼내기가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는 진열판을 개방시킬 경우 개방된 진열판을 개방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가 없으므로 작업자가 한 손으로 진열판을 들어 개방상태로 유지시키고 다른 한 손으로 책을 넣거나 꺼내야 되며 진열장이 높아 손이 미치지 않는다면 한사람은 진열판을 개방시키고 나머지 한사람이 진열장의 내부를 정리하여야하는 관리에 있어 매우 불편해지는 등의 구조적 문제점에 기인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진열판을 개방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책의 수납과 인출 또는 내부정리를 신속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게된 책 진열장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진열판의 내측 상단양측에 안내부재를 설치하고, 진열장의 내부 양 측벽 상단에는 상기 안내부재의 미끄럼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수단을 설치하여 줌으로써 개폐의 용이함과 함께 개방상태의 유지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도 1은 본 발명 책 진열장의 상판을 제거한 상태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책 진열장의 진열판 폐쇄상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책 진열장의 진열판 개방상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책 진열장의 부분정면도.

    도 5는 본 발명 책 진열장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측단면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진열장 2 : 진열판

    3 : 안내수단 4 : 안내부재

    11 : 수납실 31 : 스톱퍼

    32 : 안내레일 33 : 안내홈

    34 : 걸림돌기 B : 책진열장

    이하에서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책 진열장(B)을 분해 도시한 것으로, 도 2 및 도 2에서는 책 진열장(B)의 개, 폐상태를 측단면도로 나타내었다.

    상기 책 진열장(B)은, 내부에 수납실(11)이 형성된 진열장(1)과, 전면에 거치대(21)가 형성되어 다수개의 수납실(11)이 용도와 규모에 따라 상, 하, 좌, 우로 설치되며, 상기 진열장(1)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진열판(2)으로 구성됨은 통상과 같다.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 진열장(1)의 내부상단 양측에 안내수단(3)이 전후방향으로 대향 설치되고, 상기 진열판(2)의 내면 상단에는 상기 안내수단(3)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는 안내부재(4)를 설치한 부분이다.

    상기 안내수단(3)은 전방 끝단에 진열판(2)이 수납실(11)로 부터 이탈되지 않게 스톱퍼(31)를 구비한 안내레일(32)로 구성되어 도시되지 않은 나사못과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진열장(1)의 측벽(12) 상단의 양측에 대향 설치되며, 그 단면은 ㄷ자 형으로 구성된다.

    상기 안내부재(4)는 진열판(2)의 내면 상단 양측에 대향 설치된 케이싱(41)과, 상기 케이싱(41) 내에 탄성부재에 의해 출몰 가능하게 수납 설치된 안내축(42)과, 상기 안내축(42)의 몰입상태를 해지시키는 버튼(43)으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싱(41)은 도시되지 않은 나사못과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도 5는 상기 안내수단(3)의 다른 실시예를 분해 도시한 것으로, 도 6에서는 그 측단면 구성을 나타내었다.

    여기서는 상기 안내수단(3)을, 측벽(12)의 상단 양측에 전방이 높고 후방이 낮도록 경사상으로 형성된 안내홈(33)과, 상기 안내홈(33)의 전방에 고정된 걸림돌기(34)로 구성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 책 진열장(B)은 조립 시에 우선, 진열장(1)의 내면에 안내홈(33)을 가공하여 안내수단(3)을 형성시키고, 진열판(2)의 내면에 고정시킨 안내부재(4)는 안내축(42)이 몰입된 상태로서 조립을 대기하게 된다.

    이러한 조립대기 상태에서 작업자가 진열판(2)을 진열장(1)의 안내수단(3)에 맞추어 삽입시킨 후 버튼(43)을 눌러주게 되면, 안내축(42)은 탄성부재의 탄발력에 의해 케이싱(41)의 외면으로 돌출되어 안내수단(3)을 구성하는 안내레일(32) 또는 안내홈(33)에 삽입되어 조립을 완료하게 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본 발명 책 진열장(B)은 사용 시에 도 2에서와 같이, 진열판(2)이 폐쇄된 상태에서 그 전면의 거치대(21)에 책을 전시하게 되고, 진열장(1)의 수납실(11) 내부에는 판매대상 책등을 수납 보관하게 된다.

    이러한 진열판(2)의 폐쇄상태에서 해당 책자가 판매될 경우, 또는 책을 수납/인출 할 경우, 내부를 정리할 경우에 작업자가 진열판(2)을 전방 상부로 당겨 올리게 되면, 진열판(2)은 그 내부 양측의 안내축(42)을 힌지로 회동 개방된다.

    이때 안내수단(3)을 구성하는 안내레일(32)에는 스톱퍼(31)가 구비되어 안내축(42)의 전방 이탈이 방지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진열판(2)을 후방으로 밀어 주게되면, 안내푹(42)이 안내레일(32)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게 되어 도 3에서와 같이 진열판(2)이 진열장(1)의 상단 내부로 몰입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진열판(2)의 폭이 안내레일(32)의 간격보다 넓으므로 진열판(2)의 내면 양측단은 안내레일(32)의 상면에 얹혀진 상태가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진열판(2)을 놓을 수 있게 되어 양손으로 신속히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되며, 작업 완료 후 진열판(2)의 원 위치 복귀는 진열장(1)의 상단 내부로 몰입된 상태에서 진열판(2)을 외측으로 당긴 상태에서 안내축(42)을 축으로 원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안내수단(3)을 안내홈(33)으로 구성한 도 5의 경우에도 진열판(2)의 개방은 안내레일(32)에서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진열판(2)이 개방된 상태에서 진열판(2)의 끝단은 도 6에서와 같이 진열장(1)의 측벽(12)에 고정된 걸림돌기(14)에 얹혀지게 된다.

    이경우, 안내홈(33)의 내측은 전방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진열판(2)은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따라서 작업자가 손을 놓아도 진열판(2)은 개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진열장(1)은 상, 하, 좌, 우 다단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내부의 수납실(11)은 격벽에 의해 다단으로 구획하는 등의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 책 진열장(B)은 안내수단(3)에 의해 진열판(2)을 회동개폐 및 미끄럼 출몰시키게 되어 작업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신속함과 관리의 용이함을 구현할 수 있게 된 유용한 발명이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