序号 专利名 申请号 申请日 公开(公告)号 公开(公告)日 发明人
141 가변식 유아용 식탁의자 KR2020110006371 2011-07-13 KR2020130000534U 2013-01-23 최동섭
본 고안은 가변식 유아용 식탁의자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는 식탁의자에 있어서, 유아의 체형에 따라 식탁의자의 급식판 즉, 테이블과 지지암을 조립식으로 전후 이송 고정시켜 착석 공간부를 다양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하부 발판 역시 전방 지지다리를 기준으로 유아의 신장에 따라 발안착 높이를 상하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특히 상기 급식판의 테이블은 지지암에 형성된 힌지에 의해 상하향 회동되도록 함으로써, 사용 유무에 따라 테이블을 전방에 거치시키거나 들어올려 일반 테이블과 간섭없이 유아의 근접을 도모하도록 하되, 상기 테이블의 상향 회동(테이블의 불사용)시에는 좌대에 착석한 유아가 의자 밑으로 낙상하지 않도록 보조암으로 연결된 가이드바에 의해 안전이 확보되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142 소아용 의자 KR1020127009284 2010-08-30 KR1020120068903A 2012-06-27 케네디,브룩; 시더,조나단; 켈리,콜린; 핍스,트로이; 버넌,리안; 옥슬리,니콜라스; 프라이탁,에릭
가장 기본적인 형태에 있어서, 4개의 다리부를 구비한 프레임, 바닥 지지부와 등 지지부를 구비한 시트 및 트레이를 포함하는 소아용 의자가 개시되어 있다. 이들 기본적인 구성요소들에 대해서, 안전성과 편리성을 증대시키고/시키거나 부가적인 가능한 용도에 적응시키기 위하여 의자의 특성을 맞춤화하는 수많은 변형이 수행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형태의 각각은 조정 가능한 시트, 조정가능한 발판, 중심 기둥부 장착된 트레이, 다수의 위치, 한 손으로 조정가능한 트레이, 은폐된 해제 버튼 및 이러한 특성의 임의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143 식탁 겸용으로 사용되는 유아용 의자 KR1020100106985 2010-10-29 KR1020120045444A 2012-05-09 정해승
PURPOSE: A baby chair for table use is provided to solidly support a table and to facilitate the attachment/detachment thereof. CONSTITUTION: A baby chair for table use comprises a seat back(11), a seat plate(12), an armrest, a front leg(16), a rear leg(17), and a frame bar(20). The seat back and seat plate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through a folding unit. In both sides of the seat back and seat plate, the armrest, front leg, and rear leg are pivotally combined. In the rear of the armrest, the frame bar is detachably and pivotally combined. The table and seat plate are securely supported by a safety unit.
144 유아용 식탁 의자 KR2020060018071 2006-07-04 KR200428121Y1 2006-10-09 김상현
본 발명은 유아용 식탁 의자를 개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식탁 의자는 유아의 행동을 제한하도록 등받이와 양측벽판을 구비하고 각 측벽판의 하부는 하향 연장되면서 외측으로 레일 돌기와 위치 결정 돌기가 이격 형성되는 좌석 본체와, 상기 좌석 본체를 지면에서 일정높이에 위치되게 지지하는 것으로 한쌍의 전방 다리와 한쌍의 후방 다리로 구성되어 상호 상단부에서 힌지 결합되어 절첩 가능하게 구비되며 전방 다리의 내측면에는 레일 돌기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것으로 좌석 본체를 상·하 방향으로 안정되게 유동시키기 위한 가이드 레일홈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 레일홈의 일측으로 등간격을 두고 후방 다리측으로 구속홈이 연결 형성되는 위치 결정 레일홈이 형성되는 다리 프레임과, 상기 양측벽판의 외측에 나사부재로 고정되는 것으로 전방측을 향하여 돌출되게 구비되는 한쌍의 팔걸이와, 상기 팔걸이의 상측을 커버하는 식탁판 및 이 식탁판을 선택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유아용 식탁 의자는 유아의 성장시기에 맞춰 식탁판을 전·후 방으로 위치 이동시켜 좌석 본체의 공간을 가변적으로 확장시키면서 동시에 좌석 본체의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사용하는 유아에게 보다 편안한 안락감을 부여하면서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유아, 식탁, 의자, 높이, 조절
145 유아용 의자 KR2020030012818 2003-04-24 KR200321902Y1 2003-07-31 박기수
본 고안은 유아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 지지다리부에 높낮이 조절 가능한 가스 쇼바를 설치하고 좌판 프레임에 유아발판을 설치하며 의자 팔걸이 끝단에 탈 ·부착이 가능한 안전가드 겸용 식탁을 설치하고 좌석에는 안전띠를 설치함으로써 유아가 의자에서의 이탈을 방지하고 식사 및 TV시청, 컴퓨터 등 장시간 사용하는데 편의성을 도모한 유아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146 높은 식탁의자용 쟁반 착탈장치 KR1019860001144 1986-02-19 KR1019940003454B1 1994-04-22 와이즈로버트디.; 퀸란로버트엘.쥬니어; 라우로챨스윌리암
내용 없음.
147 KIT FOR CONSTRUCTING A HIGHCHAIR PCT/IB2008053649 2008-09-10 WO2009034529A3 2009-05-14 BUITENDACH JOHAN NICOLAAS
This invention relates to a collapsible highchair, and to a kit for constructing a collapsible highchair. The collapsible highchair comprises a baby chair, and a support structure for elevating and supporting the chair. The chair and the support structure have complementary engagement formations in order for the chair to be removably beatable on the support structure.
148 HIGH CHAIRS AND METHODS TO USE HIGH CHAIRS PCT/US2008050116 2008-01-03 WO2008086095A3 2008-11-06 TROUTMAN DAMON OLIVER CASATI; AVILA RAPHAEL TORION
High chairs and methods to use high chairs are disclosed An example high chair includes a frame, a seat, a tray positioned a distance above the seat, and an actuator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seat and the tray The invention describes various mechanisms to releasably secure the seat and tray to the chair.
149 HIGH CHAIR PCT/EP2007002686 2007-03-27 WO2007112883A3 2008-02-07 TOMASI LIVIANO
A high chair (1), comprising a supporting structure (2), which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supporting element (3) associated to at least one post (5) arranged along a first longitudinal direction (100) substantially starting from an end portion (3a) of the at least one supporting element (3) to define at least three resting regions, the at least one post (5) supporting a respective coupling element (6) which supports a seat (7) which forms a sitting surface (7a), means (8) being provided for blocking the coupling elements (6) with respect to the respective post (5) in order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seat (7) and the at least one supporting element (3); the at least one supporting element (3) being articulated so that it can rotate, substantially at said end portion (3a), to said at least one post (5) in order to pass from an extended condition, in which the at least one supporting element (3) is angularly spaced with respect to the respective post (5) to a folded condition in which the at least one supporting element (3) is angularly closer to the respective post (5).
150 유아의자 KR1020170070701 2017-06-07 KR101779077B1 2017-09-18 유병훈
본발명은발포우레탄으로이루어지는일체형유아의자에관한것으로, 특히그 유아의자에벨트또는식탁을용이하게결합할수 있게한 것을특징으로하는유아의자를제공하고자한다. 본발명에따른유아의자는유아가의자에앉은상태의외면과대응되는형태로형성된안착홈(11)과, 하단의내측에공간(13)을갖도록금형내 우레탄을주입하여일체형으로발포성형한유아의자(10); 상기유아의자(10)의양측하단의외면으로부터내측공간(13)을관통하여삽입할수 있는삽입구(31)를갖춘전면판(30); 상기유아의자(10)의내측공간(13)의내면에위치되어전면판(30)에의해관통삽입되는삽입구(31)가걸려지게하는삽입공(41)을갖춘후면판(40); 상기전면판(30)의표면으로부터전방으로돌출형성되는결속구(32); 상기결속구(32)에관통삽입되어회전가능하게결합되는결속공(51)을구비하고, 그결속공(51)의일측에벨트(53)의일단을연결할수 있는벨트홈(52)을갖춘벨트판(50);을포함하는것을특징으로한다. 또한, 본발명에따른유아의자는유아가의자에앉은상태의외면과대응되는형태로형성된안착홈(11)과, 유아의다리사이에솟아오른돌출기둥(12)을갖도록금형내 우레탄을주입하여일체형으로발포성형한유아의자(10); 상기유아의자(10)의돌출기둥(12)에삽입되는삽입면(21)과, 양단에걸림돌기(22)가구비되어유아의자(10)에고정되는식탁(20); 상기식탁(20)의삽입면(21) 내측저부로부터하방으로돌출되고, 하단의일측상부에걸림홈(71)이형성된걸쇠(70); 상기유아의자(10)의돌출기둥(12) 상면중앙저부로걸쇠(70)가삽입될수 있게하는삽입로(81)가형성되고, 그삽입로(81)에삽입되는걸쇠(70)의걸림홈(71)에스프링(83)의탄성력에의해전후로슬립되어걸림홈(71)을걸어서고정되게하는걸림턱(821)을갖춘걸림대(82)가구비되며, 그걸림대(82)의전면에형성되어돌출기둥(12)의전방에서표면을눌러서스프링(83)을압박하여걸쇠(70)의걸림을해제할수 있게하는버튼(822)을갖춘걸쇠고정모듈(80);을포함하는것을특징으로한다.
151 소아용 의자 KR1020127009284 2010-08-30 KR101727481B1 2017-04-17 케네디,브룩; 시더,조나단; 켈리,콜린; 핍스,트로이; 버넌,리안; 옥슬리,니콜라스; 프라이탁,에릭
가장기본적인형태에있어서, 4개의다리부를구비한프레임, 바닥지지부와등 지지부를구비한시트및 트레이를포함하는소아용의자가개시되어있다. 이들기본적인구성요소들에대해서, 안전성과편리성을증대시키고/시키거나부가적인가능한용도에적응시키기위하여의자의특성을맞춤화하는수많은변형이수행될수 있다. 개시된실시형태의각각은조정가능한시트, 조정가능한발판, 중심기둥부장착된트레이, 다수의위치, 한손으로조정가능한트레이, 은폐된해제버튼및 이러한특성의임의의조합중 적어도하나를포함한다.
152 다기능 유아용 식탁의자 KR20150001192 2015-02-24 KR20150002738U 2015-07-10
본고안은유아가유아용식탁의자는물론간단한변형으로유모차로용도전환하여사용할수 있고, 절첩되는등받이와신축되는다리부로인해부피를최소화시켜용이하게휴대및 보관할수 있는다기능유아용식탁의자에관한것이다. 상기다기능유아용식탁의자는소정의면적을갖는시트, 상기시트의후단에회동가능하게구비되는등받이, 상기시트의양측면이연장형성되어팔을올려놓을수 있는팔받이가구비되는의자부, 상기의자부저면에결합되며, 다단으로형성되어신축가능한다리부및 상기의자부의정면상부에착탈가능하게결합되는식판부로구성된다.
153 조절가능한 트레이 및 시트 높이를 갖는 하이체어 KR1020147009683 2013-05-29 KR101484289B1 2015-01-28 시디스,크리스토퍼; 스톨라즈,크리스챤; 온드레이,로날드; 워든,엘리; 파라다이스,찰리
하이체어는 시트 조립체, 상기 시트 조립체에 연결된 트레이, 상기 시트 조립체에 연결된 레그 조립체 및 조절 기구를 포함한다. 이 시트 조립체는 유아 또는 어린이를 지지하는 후방 지지면 및 하부 지지면을 포함한다. 레그 조립체는 바닥면에서 시트 조립체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조절 기구는 시트 조립체에 대해 트레이를 조절하거나 또는 레그 조립체에 대해 시트 조립체를 조절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조절 기구는 버튼, 링키지, 케이블 및 잠금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154 조절가능한 트레이 및 시트 높이를 갖는 하이체어 KR1020147009683 2013-05-29 KR1020140072889A 2014-06-13 시디스,크리스토퍼; 스톨라즈,크리스챤; 온드레이,로날드; 워든,엘리; 파라다이스,찰리
하이체어는 시트 조립체, 상기 시트 조립체에 연결된 트레이, 상기 시트 조립체에 연결된 레그 조립체 및 조절 기구를 포함한다. 이 시트 조립체는 유아 또는 어린이를 지지하는 후방 지지면 및 하부 지지면을 포함한다. 레그 조립체는 바닥면에서 시트 조립체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조절 기구는 시트 조립체에 대해 트레이를 조절하거나 또는 레그 조립체에 대해 시트 조립체를 조절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조절 기구는 버튼, 링키지, 케이블 및 잠금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155 미끄럼 놀이 기능을 갖는 유아용 식탁의자 KR1020120097001 2012-09-03 KR1020140030613A 2014-03-12 안준권; 안재한; 조재민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ble chair for an infant having a slide play function, and more specifically, to a table chair for an infant allowing the infant to sit down to a meal. The table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rame body including a pair of side plate parts each having a base panel and a shaft panel formed at one side of the base panel to be inclined upwards, and a back installed to connect upper portions of the shaft panels; a foot holder including a plurality of foot holder panels and connecting the base panels to each other; a support part including a plurality of support poles connecting the shaft panels and installed in a length direction; and a seat part detachably installed at the support part so as to allow an infant to sit down to a me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upport foot holder plate, a seat plate, and a eating plate are detachably installed at the support part provided at the frame body. Therefore, as the infant grows, the heights of the support foot holder plate, the seat plate, and the eating plate are adjusted, thereby allowing the infant to have a meal without difficulty despite the growing of the infant. Further, the support foot holder plate, the seat plate, and the eating plate are installed in a fitted type, thereby facilitating the repair and management therefor can be easily conducted at the time of the damage. Further, the end of the shaft panel and the end of the base panel are disposed to face the ground, and then the support foot holder plate and the seat plate are sequentially installed at the support part such that support foot holder plate and the seat plate face the back, so that the table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slide frame, thereby providing familiar playing equipment.
156 이동식 유아용 착석 기구 KR2020110011479 2011-12-23 KR2020130003999U 2013-07-03 김국천; 손복희
유아용 착석 기구가 개시된다. 본 고안은 후방에 등받이부가 형성되며 내측에 착석부가 형성되고, 전방부 중앙에 걸림부가 형성되며, 양측에 팔걸이부가 형성되어 유아를 착석시킬 수 있는 기구본체; 상기 걸림부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판과 버팀대로 구성된 받침대; 상기 기구본체의 하단부와 상기 받침대의 하부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에 다수의 바퀴가 형성된 구동대; 상기 기구본체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기 받침대의 하부를 상기 삽입부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가압시켜 고정력이 발휘되도록 하는 결합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유아를 앉혀둘 수 있으며 구동대에 의해 장소 이동이 용이하고, 아울러 구름동작에 의해 유아의 흥미를 배가시킬 수 있으며, 결합구를 이용하여 받침대를 용이하게 탈착 및 장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57 아기의자 및 아기의자용 카트 KR2020110002952 2011-04-08 KR2020120007142U 2012-10-17 서명득
본 고안은 아기의자 및 아기의자용 카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아기의자는 하면 지지부, 후면 지지부, 측면 지지부, 다리 지지부, 트레이 안착부를 포함하는 의자몸체부, 및 트레이, 상기 트레이를 지지하는 트레이 지지부, 및 상기 트레이 안착부와 결합되는 트레이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 지지부가 상기 트레이 안착부로부터 분리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트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아기의자용 카트는 의자몸체부 및 트레이부를 포함하는 아기의자를 이동시키는 아기의자용 카트에 있어서, 상기 아기의자가 안착되는 안착홈, 상기 안착홈 보다 높게 형성되는 카트후단부, 상기 카트후단부 보다 높게 형성되는 카트전단부를 포함하는 카트몸체부, 상기 카트후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아기의자용 카트를 후방에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손잡이� �, 및 상기 아기의자용 카트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2 이상의 바퀴를 구비하는 바퀴부를 포함한다.
158 거리가 조절되는 식탁이 탈부착 되는 유아용 의자 KR1020100014403 2010-02-18 KR1020110094785A 2011-08-24 우종선
PURPOSE: A chair for an infant equipped with a detachable table is provided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a table and a chair according to the growth state of an infant. CONSTITUTION: A chair for an infant equipped with a detachable table comprises a rod, a groove, and a fastener. A table is attached to a chair for an infant through a rod. The rod is extended through the hole of an armrest of the chair for an infant. The groove is equipped under the armrest. The fastener fixes the table through a saw tooth hole installed under the rod. Right and left supports prevent the chair from being inclined. A plurality of fixing holes are punched in the outer side of the armrest number. A distance control part is fixed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seat back of the table(6).
159 하이체어 조립용 키트 KR1020107007683 2008-09-10 KR1020100059963A 2010-06-04 부이텐다치조한니콜라스
This invention relates to a collapsible highchair, and to a kit for constructing a collapsible highchair. The collapsible highchair comprises a baby chair, and a support structure for elevating and supporting the chair. The chair and the support structure have complementary engagement formations in order for the chair to be removably beatable on the support structure.
160 유아용 식탁의자 KR2020060011528 2006-04-28 KR200421523Y1 2006-07-14 권기선
유아용 식탁은 물론이거니와 의자로 용도 전환이 가능하고, 특히 유아가 앉은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급식할 수 있는 유아용 식탁의자를 개시한다. 이러한 유아용 식탁의자는, 착석면을 가지는 좌대와, 상기 좌대 아래쪽에서 전후로 배치되어 바닥면에서 상기 좌대를 지지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지지용 다리들과, 상기 착석면을 사이에 두고 상기 좌대의 양측 후방에 각각 힌지 결합으로 연결되어 이 힌지 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좌대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급식용 받침대 그리고, 상기 급식용 받침대의 힌지 지점과 떨어져서 상기 좌대 양측 전방에 위치하고 걸림 접촉력에 의해 상기 급식용 받침대가 상기 좌대 전방에 수평하게 걸쳐질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되는 걸림 돌기를 포함한다. 유아용 식탁의자, 좌대, 급식용 받침대, 아암, 지지판, 걸림 돌기, 걸림 접촉에 의한 지지력 확보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