序号 专利名 申请号 申请日 公开(公告)号 公开(公告)日 发明人
101 l reber US72539D US72539A 1867-12-24
102 BODY EXERCISE DETECTING DEVICE CAPABLE OF PROPERLY MANAGING WALKING STEP NUMBER INFORMATION IN WALKING EXERCISE EP07828978.2 2007-10-02 EP2055234B1 2017-03-08 TAKEISHI, Naoki; EDA, Kenji; HASHINO, Kenji; SATO, Taiga; TOGOE, Yasuyuki
103 WALKING STICK AND WALKING ASSISTANCE DEVICE EP16178976.3 2016-07-12 EP3135148A1 2017-03-01 SATO, Yoshikuni; NAKADA, Toru

A walking stick (100) includes a main part (110) that is stick-like, a sensor (130) that detects at least one of an acceleration of the main part (110) and an angular velocity of the main part (110), a light emitter (150) that emits light on a ground, a balance evaluator (142) that evaluates a user's walking balance stability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detected acceleration and the detected angular velocity, and an emitting controller (144) that controls a light emitting direction of the light based on a result of the evaluation and an inclination angle of the main part (110).

104 BODY EXERCISE DETECTING DEVICE CAPABLE OF PROPERLY MANAGING WALKING STEP NUMBER INFORMATION IN WALKING EXERCISE EP07828978 2007-10-02 EP2055234A4 2014-07-23 TAKEISHI NAOKI; EDA KENJI; HASHINO KENJI; SATO TAIGA; TOGOE YASUYUKI
105 WHITE CANE WITH INTEGRATED ELECTRONIC TRAVEL AID USING 3D TOF SENSOR EP11764452.6 2011-09-26 EP2629737A2 2013-08-28 GASSERT, Roger; KIM, Yeongmi; OGGIER, Thierry; RIESCH, Markus; DESCHLER, Mathias; PROTT, Cornelia; SCHNELLER, Stefan; HAYWARD, Vincent
The invention describes an electronic travel aid (ETA) for blind and visually impaired persons implemented in a detachable handle of a white cane. The device enhances the functionality of the white cane giving the user more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environment within a defined corridor of interest in front of the user with an extended range of a few meters up to 10 m. It provides a reliable warning if there is a risk of collision with obstacles including those at trunk or head height, which are not recognized by a conventional white cane. Additional sensors are integrated to delimit the defined corridor during the cane sweeping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information that is transmitted to the user via the tactile interface. Alternatively, the device can be used independently from the cane as an object recognition and orientation aid.
106 INSTRUMENTED MOBILITY ASSISTANCE DEVICE EP05769998 2005-07-07 EP1774300A4 2008-07-02 ALWAN MAJD; WASSON GLENN S; SHETH PRADIP N; LEDOUX ALEXANDRE; HUANG CUNJUN
The walker instrumented mobility assistance instrumented walker device (102) includes the attached sensor operable to convert an operational action of a user of the mobility assistance device into a sensor signal (106). The use analyzer is operable to relate the sensor signal to a contact attribute associated with a contact of the user of the device with an underlying surface. The use analyzer is further operable to determine a gait characteristic of the user based on the contact attribute. The sensor includes a force or moment sensor. The contact attribute includes a foot initial contact or an off foot contact. In this way, the gait characteristics of the user may be determined during normal operation of the instrumented device (112). Also the sensor may be used to determine a stable measure associated with the device.
107 INSTRUMENTED MOBILITY ASSISTANCE DEVICE EP05769998.5 2005-07-07 EP1774300A2 2007-04-18 ALWAN, Majd; WASSON, Glenn, S.; SHETH, Pradip, N.; LEDOUX, Alexandre; HUANG, Cunjun
The walker instrumented mobility assistance instrumented walker device (102) includes the attached sensor operable to convert an operational action of a user of the mobility assistance device into a sensor signal (106). The use analyzer is operable to relate the sensor signal to a contact attribute associated with a contact of the user of the device with an underlying surface. The use analyzer is further operable to determine a gait characteristic of the user based on the contact attribute. The sensor includes a force or moment sensor. The contact attribute includes a foot initial contact or an off foot contact. In this way, the gait characteristics of the user may be determined during normal operation of the instrumented device (112). Also the sensor may be used to determine a stable measure associated with the device.
108 Ergonomische Ski- und Wanderstockschlaufe mit eingebautem Pulsmesser EP04031060.9 2004-12-30 EP1550488A2 2005-07-06 Brückl, Franz

Die Erfindung betrifft eine ergonomische Ski - und Wanderstockschlaufe mit eingebautem Pulsmesser. Durch eine vorzugsweise einteilige erfindungsgemäße Schlaufengestaltung mit Daumenloch, ist ein unkompliziertes Öffnen und Schießen der Schlaufe möglich.

109 POLE EP02751214.4 2002-06-28 EP1404421A1 2004-04-07 OLKKKONEN, Kari
The invention relates to a walking or ski pole used in Nordic walking or skiing. To a prior art pole comprising a body part (1), a grip part (2), and a tip part (3), is connected a power sensor (6), a user interface (7), and means (9) for transmitting the data from the power sensor to the user interface for the purpose of measuring the physiological effect of the pole-assisted exercice and for controlling the exercise performance.
110 스마트 지팡이를 이용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KR20160124513 2016-09-28 KR20180034822A 2018-04-05 윤장원
본발명은사용자의안정적인보행을보조하고, 사용자의심박수또는동작상태를판단하여사용자의안전및 건강을모니터링할수 있음은물론어플리케이션을통해사용자의두뇌자극과유연성향상을위한콘텐츠를포함하는어플리케이션이포함된스마트지팡이를이용한안전모니터링시스템에관한것이다.
111 높낮이 측정이 가능한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및 이를 이용한 안내방법 KR1020140003288 2014-01-10 KR101488132B1 2015-01-29 김정무; 김보경; 박찬희; 고승계; 한용신; 심성민; 이연수
본 발명은 높낮이측정이 가능한 시작장애인용 지팡이 및 이를 이용한 안내방법에 관한 것으로, 시각장애인이 계단이나 구덩이 등 급격한 높낮이변화가 이루어지는 지형에서 지팡이와 지면과의 높낮이 정보를 사용자에게 미리 전달하여 지형상태를 파악할 수 있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높낮이측정이 가능한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및 이를 이용한 안내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막대형으로 이루어지고 일측에 손잡이부가 형성된 지팡이몸체와,상기 손잡이부에 작동버튼이 구비되고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전원공급부와,상기 지팡이몸체에 설치되는 거리감지부와, 상기 지팡이몸체에 설치되는 각도감지부와, 상기 거리감지부와 각도감지부를 통해 측정된 값으로 지팡이의 하단부에서 지면까지 높낮이를 연산하는 연산부와, 상기 연산부를 통해 얻어진 실시간 높낮이정보와 미리 설정된 위험기준값을 비교 판단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를 통해 판단된 전방의 위험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경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측정이 가능한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112 금고와 휴대단말용 충전모듈을 구비한 파라솔 KR1020130040642 2013-04-12 KR1020140034679A 2014-03-20 김기범
A parasol having a safe and a charging module for a mobile terminal is disclosed. The paras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illar; an umbrella stretched at the top of the pillar for awning; a safe coupled with the pillar; a solar panel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mbrella; and a charging module which is installed in the safe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olar panel and converts electrical energy generated in the solar panel into charging power for the mobile terminal and provides the charging p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luables can be easily kept in the safe coupled with the parasol even in outdoors such as a summer resort, and the mobile terminal can be charged by using the charging module installed in the safe, thereby greatly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use. [Reference numerals] (20) Locking unit; (30) Vibration detecting sensor module; (40) Speaker; (50) Control unit; (83) Solar panel; (86) Charging module for a mobile terminal
113 엘이디 발광램프가 구비된 램프우산 KR2020090007479 2009-06-10 KR200447435Y1 2010-01-25 임용태
본 고안은 우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우산을 가지고 놀거나 우산 상부로 땅을 짚어 발광램프가 손상되더라도,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램프컨트롤러모듈은 손상되지 않기 때문에, 손상된 발광램프만 교체하면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도록 하는 엘이디 발광램프가 구비된 램프우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특징은 우산손잡이(11) 상부의 우산살(12)과 우산막(13)이 결합되는 우산상결합부(14)가 구비되고, 상기 우산살(12) 일측과 연결된 우산접이살(15)이 절첩되도록 하는 우산접이손잡이(16)에 결합되는 램프우산에 있어서, 상기 우산상결합부(14)의 외측 상부측으로 내부에 램프(22)가 구비된 발광램프부(21); 상기 발광램프부(21)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램프컨트롤러모듈(23); 상기 램프컨트롤러모듈(23)이 설치되고 상기 우산상결합부(14)의 내부 아래측에 위치된 램프컨트롤러설치부(24)가 포함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우산, 램프, 컨트롤러, 전원, 배터리, 우산손잡이, 우산살
114 WHITE CANE WITH INTEGRATED ELECTRONIC TRAVEL AID USING 3D TOF SENSOR PCT/US2011053260 2011-09-26 WO2012040703A3 2012-11-22 GASSERT ROGER; KIM YEONGMI; OGGIER THIERRY; RIESCH MARKUS; DESCHLER MATHIAS; PROTT CORNELIA; SCHNELLER STEFAN; HAYWARD VINCENT
The invention describes an electronic travel aid (ETA) for blind and visually impaired persons implemented in a detachable handle of a white cane. The device enhances the functionality of the white cane giving the user more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environment within a defined corridor of interest in front of the user with an extended range of a few meters up to 10 m. It provides a reliable warning if there is a risk of collision with obstacles including those at trunk or head height, which are not recognized by a conventional white cane. Additional sensors are integrated to delimit the defined corridor during the cane sweeping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information that is transmitted to the user via the tactile interface. Alternatively, the device can be used independently from the cane as an object recognition and orientation aid.
115 INSTRUMENTED MOBILITY ASSISTANCE DEVICE PCT/US2005024072 2005-07-07 WO2006014533A2 2006-02-09 ALWAN MAJD; WASSON GLENN S; SHETH PRADIP N; LEDOUX ALEXANDRE; HUANG CUNJUN
Various implementations are disclosed for an instrumented mobility assistance device, such as an instrumented walker. The device includes an attached sensor that is operable to convert an operational action of a user of the mobility assistance device into a sensor signal. A use analyzer is operable to relate the sensor signal to a contact attribute associated with a contact of the user of the mobility assistance device with an underlying surface. The use analyzer is further operable to determine a gait characteristic of the user, based on the contact attribute. The sensor may include a force or moment sensor. The contact attribute may include a foot-initial contact, or a foot-off contact. In this way, gait characteristics of the user may be determined during normal operation of the instrumented device. Also, the sensor may be used to determine a stability measure associated with the device.
116 기능성 안전 지팡이 KR1020130153203 2013-12-10 KR1020150067584A 2015-06-18 김영창
본발명은지팡이에관한것으로서, 특히사용자의안전을향상시켜주는기능성안전지팡이에관한것이다. 본발명에의하면, 내부에수용공간이마련된상부프레임; 상기상부프레임의일단부에결합된하부연장막대; 상기상부프레임의타단부에결합된손잡이부; 상기상부프레임, 상기하부연장막대및 상기손잡이부중 어느하나에설치된지피에스모듈; 상기지피에스모듈로부터파악된현재위치를외부로송신하는통신부; 및상기지피에스모듈과상기통신부에필요한전력을제공하는이차전지를포함하는기능성안전지팡이가제공된다.
117 전동 접이식 파라솔 KR1020130105255 2013-09-03 KR101492038B1 2015-02-10 유재춘
본 발명은 전동 접이식 파라솔에 관한 것으로; 지면에 지지되는 지주과, 상기 지주의 상측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보부재와, 상기 보부재에 설치되어 모터에 의해 차양막이 접철되는 전동 접이식 차양수단과, 상기 전동 접이식 차양수단의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판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동 접이식 파라솔은 자동으로 차양막을 자동으로 접철이 가능해 차양용이나 비가림용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기상 여건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는 그 상황에 따라 차양막을 자동으로 접어 파라솔의 파손을 최소화 함으로서 파고라의 유지 보수에도 유리하다.
118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및 이를 이용한 위치 인식 방법 KR1020130087224 2013-07-24 KR101471642B1 2014-12-11 최형준; 한화수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및 이를 이용한 위치 인식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각장애인이 사용하는 지팡이에 GPS 수신 장치 및 RFID 수신 장치를 설치하여 시각장애인이 지팡이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GPS 정보를 통하여 자동으로 실내와 실외를 구분하여 배터리 소모까지 줄일 수 있는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및 이를 이용한 위치 인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팡이에 설치되어 GPS 정보를 수신받는 GPS 수신 장치; 상기 지팡이에 설치되어 RFID 태그로부터 RFID 신호를 수신받는 RFID 수신 장치; 및 상기 GPS 수신 장치가 수신받은 GPS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GPS 정보의 북위 및 동경 숫자 정보가 일정 숫자와 일치하는 경우 실외로 판단하여 GPS 수신 장치에만 전력에 공급되고, 일정 숫자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실내로 판단하여 RFID 수신 장치에만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119 시각장애인 길안내를 위한 지팡게이션 장치 KR1020130048023 2013-04-30 KR101459542B1 2014-11-07 김종형; 김정도; 박치영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시각장애인을 위한 내비게이션 시스템이 건물내부에 들어가면 GPS수신이 어려워 먹통이 되는 문제점, 응급상황이 발생되었을 때 보호자나 외부 도우미센터로의 통보가 어려운 문제점, 장애물과의 거리 및 종류 인식이 어려워, 시각장애인의 감에 의존해서 장애물을 탐지해서 길을 걸어야하므로, 장애물과 신체 일부가 부딪치거나, 넘어져서 다치는 문제점, 지팡이의 RFID 리더기 인식을 위해 인도 및 보도에 복수개의 RFID 태그들로부터 일일이 설치해야 하므로, 기간설비 구축비용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본체(10), 스피커부(20), 바이브레이션부(30), 마이크부(40), 층상형 적외선센서부(50), GPS수신모듈(60), 데이터송수신모듈(70), 로드제어부(80)로 구성됨으로서, GPS 수신모듈로부터 현재위치를 수신받아 목적지까지 블럭단위별로 로드 안내 음성메시지를 나눠서 설정한 후, GPS 수신이 없어도 설정된 실시간 로드 안내 음성메세지를 블럭단위별로 스피커부를 통해 출력시킬 수 있고, 응급버튼이 구성되어 원격지의 로드 맵 관리서버로 통보할 수 있어, 보호자 및 위탁기관으로 하여금 응급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보도 및 인도에 별도의 RFID 태그설치 없이도, 목적지까지의 정확한 길안내와 장애물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기간설비 구축비용을 기존에 비해 60%로 떨어뜨릴 수 있고, 무엇보다 층상형 적외선센서부를 통해 장애물과의 거리 및 종류를 정확하게 인식시켜 시각장애인의 장애물 접촉사고 및 낙상사고율을 기존에 비해 70%로 떨어뜨릴 수 있는 시각장애인 길안내를 위한 지팡게이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120 자동 접이식 파라솔 KR1020120056256 2012-05-25 KR1020130132121A 2013-12-04 김성진
Disclosed is an automatically folding parasol.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tomatically folding parasol comprising a support frame for fixing the parasol to the ground; a column frame extending from the support frame; an upper frame folded to extend from the column frame; an awning connected to the end of the upper frame to be unfolded in the shape of a bamboo hat; main awning ribs and supplementary awning ribs for supporting the awning; and a winding lever for folding and unfolding the awning by winding and unwinding a wire. Damage to a parasol induced by a strong wind is prevented by folding the awning in the process of automatically unwinding a wire with a winding motor in case of measuring a wind speed above a predetermined speed with an additional anemometer included to measure the speed of the wind.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