序号 专利名 申请号 申请日 公开(公告)号 公开(公告)日 发明人
141 Schirm EP97103832.8 1997-03-07 EP0796572A3 1999-11-03 Becker, Johannes

Bei einem Schirm mit einer in Form eines nach oben offenen Trichters aufspannbaren Dachhaut, die an Schwenkarmen (5) festlegbar ist, die an einer auf einem zentralen, in einem Ständer (22) aufnehmbaren Mast (1) verschiebbaren und feststellbaren Muffe (2) gelagert und durch Lenker (6) mit dem Mast (1) verbunden sind, wobei der innere Rand der Dachhaut gegenüber dem Mast (1) frei ist, ergeben sich dadurch eine hohe Bedienungsfreundlichkeit und Leckagefreiheit, daß zur Bildung der Dachhaut die Zwischenräume zwischen den Schwenkarmen (5) ausfachende Segmente (7) vorgesehen sind, deren innerer, gegenüber der Muffe (2) freier Rand von einem an der Muffe (2) befestigten Teller (13) unterfaßt ist, dessen Innenraum durch in der Spannstellung miteinander fluchtende Radialausnehmungen (14,15) der Muffe (2) und des durch ein Rohr gebildeten Masts (1) mit dessen als Regenwasserablaufkanal (16) fungierendem Innenraum verbunden ist, und daß der Ständer (22) eine einen unteren Abschluß (32) mit einer Auslaßbohrung (33), an die ein Drainageschlauch (37) ansetzbar ist, aufweisende, dem den Regenwasserablaufkanal (16) enthaltenden Mast (1) zugeordnete Einsteckbüchse (24) aufweist.

142 다용도 공기 막대 및 기둥 KR1020140055769 2014-05-09 KR1020150128416A 2015-11-18 최재용
공기막대및 공기기둥은합성섬유나탄소섬유, 합성고무등의탄력이강한재료로제작되어외부와내부가완전히분리되어내부에공기가유입되고보존될수 있는형태로만들어진기둥형외피부(10)와외피부(10)의일측면에연결되어내부에공기를주입할수 있는공기주입구(20)와공기막대를연결하는공기막대연결부(30) 중적어도한 부분이상을포함하도록구성한다. 또한공기막대는외피부(10) 내측일면과다른쪽 내측일면에연결된다수의낚시줄같은외피부내측연결끈(11)이부착되어내부공기압이커지더라도모양이나크기에변형을주지않고원래의모양이나크기를유지할수 있도록구성된외피부내측연결끈(11)을포함한다. 또한공기막대는두 개이상의다용도공기막대를병렬또는종렬로연결하여사용할수 있도록공기막대연결부(30)를포함하는것을특징으로한다.
143 양산 KR1020100021988 2010-03-11 KR101131203B1 2012-03-28 이부일
본 발명은 햇볕을 가려 신체 중 특히 얼굴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하는 양산에 관한 것으로서, 양산살 어셈블리의 외측살을 별도로 손으로 일일이 펴고 접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는 사용편리성을 보장하는 양산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손잡이(2)가 하단에 결합된 하부대(3)와, 하부대(3)에서 슬라이드 신축되는 상부대(4)로 양산대(5)가 구성되고, 상기 하부대(3)의 상단부분과 상부대(4)의 하단부분에 각각 걸림턱(3a)(4a)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턱(3a)(4a)의 위쪽에 각각 겹쳐지는 걸림구멍(3b)(4b)을 형성하여 하부대(3)의 걸림턱(3a)의 위쪽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6)에 탄성 지지되는 걸림돌기(7)에 의하여 양산대(5)가 신장된 상태에서 고정되게 하고, 상기 상부대(4)의 상단에 고정되는 고정부재(8)에 다수개의 내측살(11)이 회동가능하게 방사상으로 결합되고, 상기 각 내측살(11)의 단부는 외측살(12)에 형성된 핀결합부(13)에 핀으로 결합되며, 상기 외측살(12)은 접은 상태에서 외측살(12)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성되고, 외측살(12)의 내단부에 상기 핀결합부(13)에서 길게 연장된 받침� ��(14)를 형성하여 외측살(12)을 편 상태에서 내측살(11)의 하단부분에 받침부(14)가 지지될 수 있게 하며, 내측살(11)의 중간 부분과 양산대(5)의 상부대(4)를 따라서 승강하는 승강부재(9)에 각각 지지살(15)의 양단을 방사상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한 양산살 어셈블리(10)로 구성된 양산(1)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9)의 아래쪽에 상부대(4)를 따라서 슬라이드 작동하며 양산살 어셈블리(10)를 접은 상태에서 양산대(5)를 축소시킬 때 손잡이(2)에 내입되도록 제2승강부재(16)를 설치하되; 상기 제2승강부재(16)와 외측살(12)의 내단부에 형성된 받침부(14)에는 각각 고리부(17a)(18a)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내측당김쇠(17)와 외측담김쇠(18)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제2승강부재(16)에는 스프링(23)의 탄지력에 의해 상부대(4)쪽으로 가압되는 상걸림구(21)와 하걸림구(22)를 원주방향으로 90˚의 간격을 두고 설치하되; 상기 상걸림구(21)는 하단부분에 걸림턱(21a)이 형성되어 양산살 어셈블리(10)를 편 상태에서 양산대(5)의 상부대(4) 상측에 형성된 고정구멍(4c)에 내입되고, 하걸림구(22)는 상단부분에 걸림턱(22a)이 형성되어 양산살 어셈블리(10)를 접은 상태에서 상부대(4) 하측에 형성된 고정구멍(4d)에 내입되게 하였다.
또한 상기 승강부재(9) 하측에 스페이스부(9a)를 형성하여, 양산살 어셈블리(10)가 접힌 상태에서 상기 제2승강부재(16)가 상승하여 승강부재(9)의 스페이스부(9a)의 하단에 접할 때 외측살(12)이 90˚정도 회동하여 반쯤 펴진 상태가 되도록 하여, 양산살 어셈블리(10)의 외측살(12)이 제2승강부재(16)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사용자의 손에 접촉되지 않게 하였다.
또한 상기 상부대(4)와 승강부재(9) 사이에 위치되며 상부대(4)가 감싸여지도록 관 형상의 슬라이드관(24)을 더 설치하되; 상기 슬라이드관(24)의 상,하단부분에는 각각 승강부재(9)가 상승하여 접한 상태에서 고정부재(8)와의 간격이 유지되게 상부턱(24a)을 형성하고, 승강부재(9)가 하강할 때 승강부재(9)의 하단이 접하는 하부턱(24b)을 형성하며; 상기 슬라이드관(24)의 상단과 외측살(12)의 내단부에 형성된 받침부(14)에 당김쇠(25)의 양단을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승강부재(9)에는 스프링(23)의 탄지력에 의해 상부대(4)쪽으로 가압되는 1개의 상걸림구(21)와 서로 마주보는 2개의 하걸림구(22)를 원주방향으로 90˚의 간격을 두고 설치하되; 상기 상걸림구(21)는 하단부분에 걸림턱(21a)이 형성되어 양산살 어셈블리(10)가 펴진 상태에서 연통되도록 슬라이드관(24)과 상부대(4)의 상측에 각각 형성된 고정구멍(24c)(4e)에 내입되고; 상기 2개의 하걸림구(22)는 상단부분에 걸림턱(22a)이 형성되어 양산살 어셈블리(10)가 접어진 상태에서 연통되도록 슬라이드관(24)과 상부대(4)의 하측에 각각 형성된 고정구멍(24d)(4f)에 내입되어 고정되게 하였다.
144 우산 프레임용 러너 조립체 KR1020090061042 2009-07-06 KR101088803B1 2011-12-01 첸시아-후이
본 발명은 우산 프레임의 중앙 샤프트 (100)용 러너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상기 중앙 샤프트 (100)의 축 (L)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방향 (X)에서 튜브형 러너 (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이 가능한 튜브형 유지 블록 (20) 및 상기 축 (L)을 따라 이동 가능한 튜브형 밀대 요소(30)를 포함한다. 상기 밀대 요소 (30)의 내부 슬리브 표면은, 상기 밀대 요소 (30)가 해제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눌려질 때, 상기 우산 프레임을 개방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유지 블록 (20)이 첫 번째 위치로부터 두 번째 위치로 이동되어져, 그 위에 배치되어진 유지 요소 (26)가 상기 중앙 샤프트 (100)의 맞물림 면 (110)에 맞물려지도록 허용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우산, 프레임, 러너, 조립체
145 우산 KR1020090120344 2009-12-07 KR101080748B1 2011-11-07 송주홍
전술한본 발명의특징은, 손잡이(40)를갖는우산대(10)의상단고정구(20)에는방수용천(11)들이씌워진우산살(21)들이힌지결합되고, 우산대(10)에결합되어승강되는승강관(30)과우산살(21)들사이에는받침살(31)들의양단이각각힌지결합되어승강관(30)을밀어올리면받침살(31)들이상승되면서우산살(21)이완전히펼쳐짐과동시에받침살(31)들이고정구(20)에근접되면서고정되는우산(1)에있어서, 상기고정구(20)와승강관(30)이각각상하부고정구(20a)(20b)와상하부승강관(30a)(30b)으로분리형성되고, 상부고정구(20a)의하부원주면에는다수개의반구형의제1홈(22)이형성되며, 하부고정구(20b)의원주면에는상기제1홈(22)과대응되는가이드공(24)이형성되어상하부고정구(20a)(20b)가결합고정되며, 상부승강관(30a)의원주면에는다수개의가이드홈(32)이형성되고, 하부승강관(30b)의상부원주면에는상기가이드홈(32)과대응되는반구형의제2홈(34)이형성되어상하부승강관(30a)(30b)이결합고정되며, 제1홈(22)과가이드공(24)사이와제2홈(34)과가이드홈(32) 사이에는일측에구상의결합구(50a)가형성된연결구(50)의결합구(50a)를유동가능되게끼워형성되고, 연결구(50)의타측은우산살(21) 또는받침살(31)이끼워지는끼움공(50b)이형성되어상하부고정구(20a)(20b)에끼워진연결구(50)의끼움공(50b)에는우산살(21)이끼워지고상하부승강관(30a)(30b)에끼워진연결구(50)의끼움공(50b)에는받침살(31)이끼워져구성됨을특징으로하는우산에 의하여달성될수 있는것이다.
146 분해조립가능한 친환경 우산구조 KR2020110000715 2011-01-25 KR2020110007955U 2011-08-10 린치-샨
본 고안은 분해조립가능한 친환경 우산구조에 관한 것으로, 아래 슬라이더와 연결살을 포함하는데, 아래 슬라이더는 우산대에 끼워 접하며 아래 슬라이더 상단과 가운데 슬라이더 사이에는 압축 스프링의 지탱이 있고, 연결살 바깥 끝은 펼침살에 경첩연결되며, 연결살 안쪽 끝에는 걸이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아래 슬라이더 상단 주변에는 열림이 아래로 향한 걸이 홈이 설치되어 있으며 연결살의 걸이 연결부는 걸이홈에 걸어 조립된다. 때문에 금속으로 된 묶음 선을 끼워 묶는 것을 감소하여 조립속도가 빠르고 효율이 높으며 구조가 합리하고 결합부분의 회전이 원활하여 우산의 사용성을 높이는데 유리하다.
147 우산 KR1020090120344 2009-12-07 KR1020110063958A 2011-06-15 송주홍
PURPOSE: An umbrella is provided to improve assembly thereof, to facilitate mass production, and to reduce cost according to the assembly thereof. CONSTITUTION: An umbrella comprises: an umbrella post(10) having a handle; waterproof cloth covered on the upper end fixture(20) of the umbrella post; umbrella ribs which are hinge-coupled with the waterproof cloth; and an ascent and descent tube(30) which is combined with the umbrella post and ascends sand descends. Between the umbrella ribs, both ends of the support frame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hinge. When the support frame gets near to the fixture, the ascent and descent tube is fixed.
148 우산살어셈블리 및 접이식 우산 KR1020090084644 2009-09-08 KR1020110026833A 2011-03-16 이부일
PURPOSE: An umbrella rib assembly and a foldable umbrella are provided to enable a user to conveniently fold the umbrella by manipulation from the handle of the umbrella. CONSTITUTION: An umbrella rib assembly comprises: an inside member(12a) in which one end thereof is combined with a main rib fixing member by a pin; an intermediate member(12b) in which one end thereof is combined with an upper part and another end of the inside member by a pin; a plurality of main ribs(12) which are formed in the other end of the intermediate member in order to fold an external member; a plurality of first assistant ribs(13) in which one end thereof is combined with a first assistant rib fixing member by pins; and a plurality of second assistant ribs(14) combined with a second assistant rib fixing member by pins.
149 Umbrella for golfers KR20090045040 2009-05-22 KR20100126016A 2010-12-01 YIM SOO HEE; I CHUNG HEON
PURPOSE: An umbrella for a golfer is provided, which improves insertion into a golf bag and keeping, and portability and provisionally keeps golf gloves. CONSTITUTION: An umbrella for a golfer comprises: a cover(10); a rain water guard(30) of a strap shape which is attached crossing a plurality of cover segments separated by umbrella ribs; and a rain water guard unit(G) having a guard standing part(40) having a slit capable of keeping the strap flat. Rain water is discharges to the side of an umbrella by being guided by the rain water guard.
150 자동우산 KR1020090002676 2009-01-13 KR1020100083336A 2010-07-22 신상열
PURPOSE: An automatic umbrella is provided to enable a user to fold and unfold an umbrella automatically by pressing a button once. CONSTITUTION: An automatic umbrella includes: an umbrella rod(10); umbrella ribs(1) which are united with one end of the umbrella rod; a sliding part(20) which is combined to be slid elastically along the umbrella rod; a support stretcher(3) in which one end of the support stretcher is rotatably combined to one end of the ribs and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stretcher is rotatably combined to one end of the sliding part; a secondary support stretcher(5) in which one end of the second support stretcher is rotatably combined to one end of the support stretcher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pport stretcher is rotatably combined to the other end of the sliding part; and an operation platform which expands and contracts the sliding part to make the ribs rotate around one end of the umbrella rod.
151 1단 전자동 개폐방식 우산형 그늘막 KR2020070010309 2007-06-22 KR200440720Y1 2008-06-27 손규호
본 고안은 와이어를 권취하는 권취기에서 와이어를 권취하거나, 탈리시킴으로서, 와이어의 끝단부에 설치되고 그늘막 지붕의 보조살의 끝단부에 고정된 제1이동식삽입고정구를 상하 작동시켜, 상부에 고정설치된 우산연결대의 끝단부에 내장된 숫연결보조구와 결합되도록 하여 펼쳐지고, 반대일 경우에는 상기 방법의 역순으로 탈리되어 그늘막 지붕의 무게에 의해 접철하도록 구조를 개량한 1단 전자동 개폐방식 우산형 그늘막에 관한 것이다. 우산형 그늘막. 전자동 개폐방식 우산형 그늘막
152 수평적으로 버클링된 멀티 폴드 우산용 수동식 펴기 및접기 구조 KR1020070011962 2007-02-06 KR100798512B1 2008-01-28 장수민
A manual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for a horizontally buckled multi-fold umbrella is provided to have a simple structure, to be conveniently controlled, and to be opened and closed by being pulled and pushed. A manual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for a horizontally buckled multi-fold umbrella includes a lower cover(2), a pulling hook(4) and a buckling structure disposed on a lower recess. The pulling hook is connected to the lower cover. The cross section of the buckling structure has the shape of an arch that is curved inwardly and is horizontally curved on the lower cover. The moving direction of the buckling structure and an umbrella rod(1) of the lower cover are at a right angle with each other. The pulling hook is installed on the outer sides of the buckling structure and the lower cover.
153 프리 암 차양막 KR1020000065757 2000-11-07 KR100681732B1 2007-02-15 슈테이너,발터
프리 암 차양막은 방사형 차양 리브(6), 지지 리브(7), 및 지지 리브(7)에 자유롭게 부착되는 차양 로드 슬라이드(8)를 포함한다. 또한, 프리 암 차양막은 차양막 외부에서 직립하는 분산폴(1)을 포함한다. 차양 리브 중 하나는 차양 리브의 외부단에 의해 폴(1)에 수직으로 이동가능하게 부착되며, 사이드 암(2)으로서 기능한다. 차양 리브의 최상부 상에서 관절식 리브(4)를 통하여 폴 팁(11)에 차양 리브(2)가 연결되며, 이러한 차양 리브(2)는 차양 섬유의 에지와 폴 사이에 피벗 조인트(13)를 가진다. 관절식 리브(4)는 피벗 힌지(12)를 통하여 차양 리브(2)에 연결된다. 전체 차양막이 폴(1)에 관하여 측면으로 편향될 수 있도록 차양 리브(2)는 피벗 조인트(13)와 피벗 힌지(12) 사이의 축 둘레를 회전할 수 있다.
154 강성을 개선한 우산살과 중간살의 결합구조 KR1020050030246 2005-04-12 KR1020050110576A 2005-11-23 박봉래
본 발명은 우산살과 중간살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우산포를 지지하는 우산살과, 우살살과 우산대를 연결하는 중간살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일단부가 상기 중간살의 단부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우산살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지는 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우산살의 일부분에 걸쳐서 장착되며, 일단부는 우산살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중간살에 힌지결합되는 보강살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우산살과 중간살의 연결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우산살 중 중간살이 연결된 지점 이후를 이중으로 하여 강성을 증가시키게 되므로 종래의 우산살의 구조를 크게 변형시키지 않을 뿐만 아니라 중량의 증가도 크지 않은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중간살이 우산살이 아닌 보강살에 장착됨으로써 중간살에 의한 지지력이 보강살을 통해 간접적으로 우산살에 전달되므로 우산살의 휨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기간의 사용으로 인해 보강살이 휘어도 상대적으로 작고 저렴한 보강살 만을 교체하면 되므로 유지 보수 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을 갖는다.
155 회전우산용 하걸쇠 KR2020050001521 2005-01-18 KR200381337Y1 2005-04-12 정해구
본 고안은 우산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하걸쇠의 구조를 간단하게 개선하여 원가를 절감하고, 또한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이 용이하므로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그리고 회전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회전우산용 하걸쇠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손잡이(11)와 축(12) 사이에 받침턱(13)이 구비되고, 축(12)의 외경에는 수나사(14)가 형성되어 우산대(B)에 승강가능하게 끼워지는 슬라이더(10); 상기 축(12)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받침턱(13)에 지지되고, 외주연에는 우산살이 연결되는 다수개의 요홈(21)들이 방사상으로 절개된 회전살집(20); 상기 축(12)과 회전살집(20)의 축공(22) 사이에 끼워지는 고정관(31)이 구비되고, 고정관(31)의 내경에는 수나사(14)에 나사체결로 고정되는 암나사(32)가 형성된 이탈방지링(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156 자동으로 접는 우산 KR1020020069950 2002-11-12 KR1020040041863A 2004-05-20 윤규석; 김지훈
PURPOSE: An automatically folded umbrella with an improved structure is provided to improve users' convenience so that an umbrella user does not have to fold the umbrella by himself. CONSTITUTION: The automatically folded umbrella includes a fixed upper rib case(20), a middle rib case(30), and a lower rib case(40). Between the middle rib case(30) and the lower rib case(40) is a coil spring(50). Upper ribs(60) of the umbrella are coupled to the upper rib case(20); middle ribs(70) of the umbrella are coupled to the body of the upper ribs(60) and the lower rib case(40); and lower ribs(80) of the umbrella are coupled to the body of the middle ribs(70) and the middle rib case(30). Also, a hook-shaped lock(90) is installed at the upper rib case(20) which is connected to a switch of a handle(100) through a wire rod located inside the ribs. The lock(90) is hooked on a lock hole(31) formed on the body of the middle rib case(30).
157 우산 KR1020160065630 2016-05-27 KR101706225B1 2017-02-13 서준영
본발명은우산에관한것으로, 본발명에따른우산은외주부분에포켓이마련된우산포, 우산대에고정되는상부걸쇠에힌지결합되는우산살, 상기우산대에이동가능하게결합되는하부걸쇠, 양단각각이상기하부걸쇠와상기우산살각각에힌지결합되는받침살및 상기포켓의내부에배치되는스프레더를포함하는우산에있어서, 상기스프레더는, 상기우산살의끝단에결합된본체; 일단이상기본체에회동가능하게결합되는날개; 상기우산살에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결합되는구동부재; 양단각각이상기구동부재와날개각각에힌지결합되는펼침부재; 및양단각각이상기구동부재와상기받침살각각에연결되어, 상기우산살이펼쳐지는경우, 상기구동부재를상기본체쪽으로이동시켜, 상기펼침부재가상기날개를펼치게하는실을포함한다.
158 텐트 겸용 우산 KR1020130122712 2013-10-15 KR101504586B1 2015-03-20 방승호
본 발명은 텐트 겸용 우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우천시에는 우산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야외 활동시 우산을 펼친 후 우산의 테두리에 텐트천을 결합하여 텐트로 사용이 가능한 텐트 겸용 우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주기둥의 상단에 고정된 상부살통과, 상기 주기둥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중간살통 및 하부살통과, 상기 상부살통에 각각 상하로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고 우산천이 고정되는 다수개의 주우산살 및 보조우산살과, 일단은 상기 중간살통에 상하로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주우산살과 힌지 결합된 주우산살받침살과, 일단은 상기 하부살통에 상하로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보조우산살에 힌지 결합된 보조우산살지지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보조우산살의 하단에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결합고리가 구비되고, 상기 주우산살받침살의 하단에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결합고리가 구비되고, 양단이 상기 제1결합고리 및 제2결합고리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보조우산살과 주우산살받침살을 연결하며, 텐트천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사이드살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159 복합 우산 KR2020140000783 2014-02-04 KR200472021Y1 2014-03-31 권봉선
복합 우산이 개시된다. 복합 우산은, 우산을 지지하는 샤프트 상에서 상하 슬라이드 유동되는 러너와, 러너와 연결되어 러너의 이동에 따라 샤프트 상에서 함께 슬라이딩되는 노치와, 노치의 일측에 일단이 방사상으로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1 리브와, 일단은 러너의 일측에 복수개가 방사상으로 피벗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제1 리브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되며 제1 길이를 갖는 제1 지지대와, 제1 리브에 지지되며 노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구획된 제1 구획부들이 형성되며 제1 구획부들에는 제1 관통공이 교번되게 형성되는 제1 커버와, 노치의 타측에 일단이 피벗가능하게 방사상으로 연결되며 제1 리브와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제2 리브와, 일단은 러너의 타측에 복수개가 방사상으로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제2 리브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1 길이보다 긴 제2 길이를 갖는 제2 지지대와, 제1 커버에 이격된 상태로 제2 리브에 의해 지지되며 노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구획된 복수개의 제2 구획부들에 교번되게 형성된 제2 관통공을 포함하고 제2 관통공은 제1 관통공과 엇갈리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 커버를 포함한다.
160 자동우산의 스프링 덮개 제작 KR2020110001456 2011-02-18 KR2020120006033U 2012-08-28 서준영
본고안의결과물인덮개(7)를사용하여조립한우산은스프링(3)이외부에노출되지않아녹스는것을방지할수 있고하걸쇠(2)및상걸쇠(5)와같은재질로제작할수 있어조립후 미적으로깔끔하여고급우산의느낌을준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