序号 专利名 申请号 申请日 公开(公告)号 公开(公告)日 发明人
121 가죽시계 버클 KR1020130067541 2013-06-13 KR1020140145304A 2014-12-23 이유리; 박인철
시계가죽에 홈을파 버클을 이용하여 체결 가능 하게 한다.
허리벨트의 버클을 응용
122 라벨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버클 및 그 제조 방법 KR1020120120984 2012-10-30 KR1020140054912A 2014-05-09 이연철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ckle with the function of preventing the separation of a label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o increase the attachment and tightness of the label and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label due to external friction, etc.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anufacturing method for a decorative plate for a buckle with the function of preventing the separation of a label, and a buckle manufactured thereby. In a manufacturing method for a decorative plate attached to the upper side of a buckle body, the manufacturing method for a decorative plate for a buckle with the function of preventing the separation of a label comprises the steps of: attaching a metal label in the shape of a desired logo on the upper side of a decorative plate made of metal or plastic; spraying an urethane or rubber-based coating agent on the whole upper side of the decorative plate with the metal label attached to form a coating layer on the surface of the decorative plate; and polishing the surface of the metal label with the coating layer formed with a thinner or applying laser thereto to remove the coating layer on the upper side of the metal label. Therefore, non-glossy property and soft texture can be imparted to the whole decorative plate at the same time while maintaining the glossy property of the metal label, thereby enhancing the sophistication and decoration of the buckle and improving the assembly and durability of the decorative plate for the buckle.
123 버클 연결용 어셈블리 KR1020120110355 2012-10-04 KR101336334B1 2013-12-06 송광수; 송나라; 송지나
Provided is an assembly for connecting a buckle capable of easily separating a belt from the buckle. A connection unit (10) of the assembly for connecting a buckl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to the buckle. A storage unit (20) is extended from the connection unit, and one part and a top part of the storage unit are open to insert a belt. A first layer (30) is formed upwards from the bottom part of the storage unit (20). A second layer (40) is formed upwards from the first layer (30). The second layer is formed on both edges of the first layer (30). This specification shows that the assembly for connecting a buckle is easy to use and contributes to the reduction of production costs and exceeds the limits to the conventional assembly for connecting a buckle. [Reference numerals] (AA) Buckle
124 개방형 버클 KR2020120005803 2012-07-03 KR200464977Y1 2013-01-28 최원기
본 고안은 앞쪽 부분에 복수개의 구멍이 길이 방향으로 정렬된 벨트의 선단이 사각형 프레임이 형성하는 오픈된 공간을 하부에서 상부로 지나도록 하며, 사각형 프레임의 앞쪽 프레임 하부에 설치되어 힘을 가하지 않으면 위로 스윙되는 스윙돌기가 벨트에 형성된 특정 구멍에 꿰어져 벨트가 후퇴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안쪽이 비어 있는 사각형 프레임을 버클에 적용함에 따라 자재비가 절약되고 벨트가 고정되는 상태를 사용자가 직접 볼 수 있어 벨트 기능의 신뢰성도 향상되도록 하기 위한 개방형 버클에 관한 것으로,
앞쪽 부분에 복수개의 구멍(210)이 길이 방향으로 정렬된 벨트(200)를 죄어 고정시키는 버클(100)으로서,
상기 벨트(200)의 선단이 중앙의 오픈된 공간을 하부에서 상부로 지나도록 하는 사각형 프레임(110);
상기 사각형 프레임(110)의 뒤쪽 프레임을 축으로 스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벨트(200)의 뒷부분을 고정시키는 벨트 뒷부분 고정부(175);
상기 사각형 프레임(110)의 앞쪽 프레임 하면 양단에 각각 연장된 각 연장부를 구비하여 상기 벨트(200)의 선단이 인입되어 상기 오픈된 공간으로 향하도록 하는 벨트 인입부(140);
상기 각 연장부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힘을 가하지 않으면 원위치로 회전되는 원기둥 형태의 회전장치(150); 및
상기 회전장치(150)의 외면 특정 부분에 일 단이 고정되고 타 단부가 상기 앞쪽 프레임의 내면에 걸쳐져 상기 벨트(200)가 선단부터 지나감에 따라 먼저 오는 구멍(210)에 꿰어져 상기 벨트(200)가 후퇴하지 못하도록 하는 스윙돌기(1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25 곡선형 버클 KR2020110008958 2011-10-07 KR2020120007711U 2012-11-08 민석기
곡선형 버클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곡선형 버클은, 탄성 밴드의 아래면에서 상기 탄성 밴드를 받쳐주며 가이드하는 하단 버클부; 상기 하단 버클부의 가로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함에 의하여 생성된 밴드 삽입 공간을 통과하는 상기 탄성 밴드의 윗면을 눌러 고정시키는 상단 버클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단 버클부는 상기 하단 버클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하단 버클부가 상기 탄성 밴드를 가이드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탄성 밴드를 고정시킨다.
126 Buckle KR20120037227 2012-04-10 KR101181593B1 2012-09-10 SONG KWANG SOO; SONG JI NA; SONG NA RA
PURPOSE: A buckle is provided to improve the beauty and use convenience thereof by changing the position of a lever up and down. CONSTITUTION: A buckle comprises a first hole(10), a second hole, a handle unit(30), a gap, a lever member(60), a spring(70), a frame(80), and a shaft(90). The second hole is extended from the first hole and has a radius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hole. The handle unit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hole. The gap is extended from the second hole. The lever member receives the first hole and second hole. The spring is mounted inside the lever member. The shaft passes through a first hole and a second hole in order to fixe the lever member to the frame.
127 장갑용 반도 걸이 끼우게 KR2020090010582 2009-08-14 KR2020110001752U 2011-02-22 이재경
장갑 반도 걸이 ( 반도 끼우게)로 장갑 착용 후 반도의 너덜거림을 줄여 장갑의 편리성을 증대 시키는데 있다. 장갑 반도 걸이, 반도 끼우게, 고리
128 S라인 바지 KR2020070011125 2007-07-06 KR200442009Y1 2008-09-29 김영범
허리단에 와이어를 삽입하여 바지가 흘러내리지 않게 하고 허리통이 S라인으로 유지되게 하는 S라인 바지에 관한 것으로, 바지의 밑위길이가 엉덩이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허리단의 정면 또는 후면이 U라인형 또는 V라인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바지의 허리단에 와이어가 형성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S라인 바지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와이어로 허리단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고정시키고 심미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청바지, S라인, 와이어, 허리라인
129 버클 부착 밴드 및 그 버클 KR1020007011704 1999-04-15 KR100480669B1 2005-03-31 시라이쇼지; 무샤고헤이
본 발명은, 착탈작업이 신속하고 확실하며, 간편한 구조의 버클부착 밴드 및 그 버클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한 끝단부에 걸어맞춤볼록부를 가지며, 다른 끝단부에 걸어맞춤오목부를 가지는 밴드의 해당 양 끝단부를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주위길이를 조절하고, 상기 양 걸어맞춤부의 걸어맞춤에 의해 고리형상으로 접속되는 밴드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볼록부가 상기 걸어맞춤오목부에 걸어멈춤한 상태에서는, 다른 끝단부는 한 끝단부에 대하여 진출이 자유롭지만, 후퇴가 불가능하게 되고, 상기 양 끝단부의 각 바깥표면에, 해당 양 끝단부를 한쪽손의 손가락 끝으로 가까이 당길 수 있는 한 쌍의 걸림부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버클은, 대향하는 바닥판과 천정프레임 및 양자를 접속하는 양 측판으로 이루어지며, 내부가 걸어맞춤홈을 가지는 밴드의 끼워 넣어지는 공간이 된 버클본체와, 상기 천정프레임의 안쪽에 수평설치하여, 한 끝단부 아랫면에 상기 밴드의 걸어맞춤홈에 걸어맞춤가능한 걸어맞춤조를 가지며, 다른 끝단부 윗면을 가압부로 하는 조작판으로 구성되며, 해당 조작판을 상기 걸어맞춤조와 상기 가압부의 중간점에서 대향하는 천정프레임의 두 변에 각각 연결함으로써 해당 중간점을 지점으로 하여 요동 자유롭도록 한 것이다.
130 부분적 교체 또는 양면 사용이 가능한 허리벨트 KR1020160049330 2016-04-22 KR101779291B1 2017-09-18 이정완
본발명은착용자의허리둘레를감싸는벨트몸체부와후크체결구멍이형성되는벨트자투리부를각각다른몸체로분리구성하여, 부분적교체또는양면사용이가능하게하기위한것이다.이를위하여본 발명은일측단부에버클이결합되고착용자의허리둘레를감싸는벨트몸체부와, 버클과체결되기위한다수개의후크체결구멍이형성되고일측단부가자유단으로형성되는벨트자투리부가각각별개의몸체로분리구성되되, 벨트몸체부와벨트자투리부가각각독립적으로분리및 회전가능하게결합되는벨트몸체; 및벨트몸체부와벨트자투리부사이에탈부착가능하게체결되며, 외력에의해벨트몸체부와벨트자투리부를탄성적으로인출또는결속시키거나회전시켜, 벨트몸체부와벨트자투리부를각각독립적으로분리또는체결또는회전시켜, 벨트몸체부로부터벨트자투리부를분리및 교체하거나벨트자투리부의양면선택을가능하게하는제1회전식벨트조임쇠;를포함하여, 장시간사용에따라벨트자투리부의후크체결구멍의직경이확장되거나낡은경우또는착용자의의도에따라회전식벨트조임쇠를이용하여벨트몸체부또는벨트자투리부를다른것으로부분교체하거나사용하고자하는벨트표면을선택할수 있게한다.
131 허리벨트 KR1020160130947 2016-10-10 KR101767048B1 2017-08-10 임준영; 임다영
본발명은허리벨트이다. 그구체적인구성은, 버클(10)에는줄(16)의일단이연결되고, 줄(16)의타단에는헤드(17)가형성되며, 버클(10)의좌우측면에는입구(11)와출구(12)가형성되고, 버클(10)의내측면에는셔츠압착면(14)이형성되며, 상기셔츠압착면(14)의측방에는고정유닛(20)이장착되도록개구부(13)가형성되고, 상기개구부(13)의내측상하부에는끼움공(15)이형성되며, 상기고정유닛(20)은벨트고정구(21)와셔츠고정구(22)가일측에형성된누름구(23)를기준으로서로접합되되, 벨트고정구(21)와셔츠고정구(22)의타측은서로일정간격이격된상태로접합되고, 상기누름구(23)의하방벨트고정구(21)쪽에는장착공(24)이형성되며, 상기장착공(24)에는비틀림스프링(26)이끼워진회전축(25)이끼워지고, 상기회전축(25)의양단은상기개구부(13)의끼움공(15)에회동가능하게끼워짐으로써, 상기고정유닛(20)이상기벨트에장착되면서, 상기고정유닛(20)의벨트고정구(21)는상기셔츠압착면(14)의직하방에위치되고, 상기고정유닛(20)의셔츠고정구(22)는상기셔츠압착면(14)의상면에위치되는구성이다.
132 와치 타입 단말기 KR1020150095394 2015-07-03 KR1020170004695A 2017-01-11 이용호; 안광현; 양준호
본발명은와치타입단말기에관한것으로, 본체와, 상기본체에연결되는스트랩을포함하고, 상기스트랩은, 특정기능을갖는하나이상의모듈과, 상기하나이상의모듈이각각수용되는하나이상의분할스트랩을포함하고, 상기모듈과분할스트랩은전기적으로연결되는것을특징으로하는와치타입단말기가제공된다.
133 혁대 버클 KR2020130006424 2013-08-01 KR200473562Y1 2014-07-09 조홍덕
본 고안은 혁대를 착용하는 결속부위가 튀어나와 옷맵시를 떨어뜨리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혁대의 안정된 착용감을 제공하여 혁대의 착용에 따른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혁대 버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구멍을 갖는 혁대 띠와; 상기 혁대 띠의 일선단부가 고정되기 위한 고정부와, 상기 혁대 띠의 타선단부가 인입되기 위한 소켓부와, 상기 소켓부에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혁대 띠의 구멍에 관통되면서 상기 혁대 띠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도록 형성되는 결속핀을 가지는 버클을 포함하고, 상기 결속핀은 일단에 상기 소켓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기 위한 회전부와; 타단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소켓부의 선단부에 간섭되도록 형성되기 위한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에서 소정의 경사각을 이루면서 연장되는 경사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이므로, 혁대를 착용하는 혁대 버클의 결속부위가 튀어나와 옷맵시를 떨어뜨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34 의복벨트용 일체형 버클 어셈블리 KR1020130096377 2013-08-14 KR101400786B1 2014-05-29 송광수; 송나라; 송지나
Disclosed is an integral buckle assembly for a garment belt, which is formed without individually manufacturing and assembling a belt head part and a belt catching part, unlike a typical hook type buckle, so as to provide a buckle structure which minimizes the number of parts used to manufacture the buckle. Accordingly, competitiveness in manufacturing products is increased by about 40%, and a defect rate of buckle products is significantly decreased. An integral buckle assembly for a garment be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tegral buckle (100) in which a belt catching part (40) and a belt head part (80) extending from the belt catching part (40) are formed as a single body; a compression piece (200) coupled to the belt catching part (40) by a coupling member (P) and having sawteeth; and a hook (300) coupled to the belt head part (80). The above described configuration of the integral buckle assembly for a garment be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ucture formed without individually manufacturing and assembling the belt head part and the belt catching part, unlike a typical hook type buckle structure, so as to minimize the number of parts used to manufacture the buckle, thereby saving manufacturing costs by about 40%.
135 무릎 보호장치 KR1020130043697 2013-04-19 KR101377421B1 2014-03-25 김석규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nee protector, comprising: a lower part protector (110) which protects, by covering at once, a knee joint part and the half of the front part of the shank under the knee joint part; an upper part protector (120) which protects, by covering, the thigh above the knee joint part and the upper end part of the lower protector; a cushion pad (160) which is detachably combined to the inner wall of the lower part protector to buffer the external shock; lower part fixing band means (300) which fixes the lower part protector on the shank; and upper part fixing band means (400) which fixes the upper part protector (120) on the thigh. The upper part protector is pivot-connected to the lower part protector by pivot connection pin means (200) to be able to rotate to the lower part protector.
136 혁대의 길이를 자동으로 조절해 주는 장치 KR1020110139052 2011-12-21 KR1020130071692A 2013-07-01 조용연
PURPOSE: A device automatically adjusting the length of a belt is provided to enable the length of a belt to be automatically increased and decreased, thereby preventing pants bearing the belt from falling down even when there is a change, for example, the posture of a wearer is changed or the belly of the wearer is inflated by having a meal, etc. CONSTITUTION: A device automatically adjusting the length of a belt includes the following parts: a strap-shaped belt (11) having multiple length-adjustment holes (12) to adjust the length of the belt; a fixing clip (14) fixed to one end of the belt and having a mobile object to adjust the length of the belt; and a buckle (18) equipped with a frame (17) forming a moving path where the mobile object can move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belt and having a fixing hook (16) to be combined with the length-adjustment hole of the belt.
137 버클 KR1020130018368 2013-02-21 KR101274672B1 2013-06-17 류양석
PURPOSE: A buckle is provided to omit a process of assembling a plate spring on a buckle body, thereby simplifying manufacturing processes and saving materials when forming the plate spring with cutting and bending the rear side of the buckle body. CONSTITUTION: A buckle comprises a buckle body(100), a plate spring(200), and a buckle switch(300). The buckle switch includes a rotational pressing piece(310) and a manipulating lever(320). The rotational pressing piece is hinged at the buckle body so that the rotational pressing piece is placed between a band(4) and the plate spring. The manipulating lever is connected to the rotational pressing piece and is exposed to one side of the buckle body. When the rotational pressing piece presses the plate spring, the front end of the plate spring is separated from the band and slide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band is unfastened.
138 구멍벨트 버클 KR1020100035242 2010-04-16 KR1020110115743A 2011-10-24 단흥덕
본 발명은 " " 자상버클의 전방횡간 중앙부 내면에 돌기후크를 돌설하고, 중앙횡간의 중앙부를 절결하여 2개의 돌기횡간을 형성하고, 후방횡간에 구멍벨트의 선두를 계결하고, 돌기횡간에 푸래스틱재 또는 고무재호오스를 삽승시킨 구멍벨트버클이다.
139 클로저 시스템 KR1020107018362 2009-01-16 KR1020100129278A 2010-12-08 소더버그,마크; 얼윈,에릭,크래이그
일부 실시예에서, 물품의 2개의 측부를 묶기 위해 나선을 이용하는 캠 조립체 및 스트랩 기반의 클로저 시스템이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스트랩을 캠 조립체 내로 삽입하고 노브를 돌릴 때, 스트랩은 캠 조립체 내로 이동되고 스트랩 핀은 하나 이상의 캠 나선과 결합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시스템은 스트랩 핀이 자체-잠금일 수 있는 일정한 각도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시스템은 무한으로 조정가능할 수 있고 노브에 의해 감지되는 토크가 일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시스템은 신속 해제 시스템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더 빠른 작동을 위한 스트랩의 빠른 삽입을 허용할 수 있다.
140 보릿대를 이용하여 제조된 장식판 KR2020080000236 2008-01-07 KR2020090007011U 2009-07-13 이상수
본 고안은 문양의 입체감과 심미감을 현저하게 향상시키면서 제작시간을 단축시키고, 또한 제작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보릿대를 이용하여 제조된 장식판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본 고안은 표현하고자 하는 문양이 복수 개로 분할된 문양조각과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도료함침색지의 상면에 복수 개의 보릿대가 접착되어 상기 문양조각이 형상화된 보릿대 문양과, 각각의 상기 문양조각으로 형상화된 상기 보릿대 문양들이 표현하고자 하는 문양의 형상을 갖도록 부착되어 상면에 표현하고자 하는 문양이 형상화된 지지판과, 상기 보릿대 문양의 상면과 둘레에 코팅되어 상기 보릿대 문양을 보호하는 코팅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 개의 보릿대는 상기 문양조각이 도안된 모형지에 도시된 배열 키의 방향에 따라 배열되되, 동일 문양조각 내에서는 결 방향이 동일 방향으로 배열되고, 다른 문양조각끼리는 결 방향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열된 보릿대를 이용하여 제조된 장식판을 제공한다. 보릿대, 무늬지, 장식판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