序号 专利名 申请号 申请日 公开(公告)号 公开(公告)日 发明人
201 Liquid drain unit for mattress JP11711386 1986-05-20 JPS6226059A 1987-02-04 RATSUSERU EFU RITSUTAA
202 JPS5950331B2 - JP1062477 1977-02-01 JPS5950331B2 1984-12-07 UIRIAMU KAIRU; BURUUSU HAABAATO RII
203 JPS50684A - JP4969073 1973-05-07 JPS50684A 1975-01-07
204 JPS4941894U - JP8473072 1972-07-14 JPS4941894U 1974-04-12
205 중증환자용 또는 와상환자용 스마트침대시스템 KR1020180071609 2018-06-21 KR1020180080153A 2018-07-11
중증환자또는와상환자를돌보는것이무척힘들다특히대소변을처리하는것이힘들다. 스마트침대시스템을이용하여대소변시침대기울기를자동으로조정하여환자가편하게대소변을보게하고보호자에게대소변을알려주어환자를좀 더편하게돌보게하는방법이다
206 침대 KR1020167016724 2015-01-20 KR1020160127718A 2016-11-04 사손,알버트
요양침대는침대에서환자를내보내지않고, 침대에누워있는환자를세정하기위한수단을포함한다. 이는복수의베이스에고정적으로장착된팽창가능한쿠션, 및환자를세정하기위한수단을포함한다. 적어도쿠션의일부는, 세정물과비누가침대밖으로흘러내리도록하기위하여형성된하나이상의배수채널들을구비한다. 베이스는일반적으로평평한표면이다. 쿠션이장착된베이스는침대의매트리스를형성한다. 각각의쿠션은사용가능한쿠션을팽창시키고수축시키기위한출구를구비한다.
207 배변 처리장치 장착 전동침대 KR1020140092092 2014-07-21 KR1020160011074A 2016-01-29 김영건
본발명은배변처리장치장착전동침대에관한것으로, 스위치조작으로실린더모터가작동하여등판(13), 허벅지판(17)이둔부판(15)에대해축봉(a)을기점으로굴절되고다리판(19)이허벅지판(17)에대해축봉을기점으로굴절되면서환자개개인에적합한굴절각도조절이가능한매트리스프레임(11)과, 상기둔부판(15)과상기허벅지판(17) 일부가절개되어형성되며도어매트리스(21a)에의해차폐되어있는배변구(21)와, 상기매트리스프레임(11)을굴절시상기도어매트리스(21a)를상기다리판(19) 방향으로이동시켜상기배변구(21)를개방하는이동수단(23)과, 상기배변구(21)의하부로배치되며승강수단(41)에의해상승하며상기배변구(21)에배치되는배변용기(53)를포함한다. 본발명은전동침대의굴절동작을이용하여최대한앉는자세와유사한자세로침대에서배변활동을할 수있으므로요양을필요로하는환자나거동이불편한환자의청결한배변처리가가능한이점이있다.
208 환자용 침대 KR1020140074040 2014-06-18 KR1020150144956A 2015-12-29 김진일
본발명은거동이불편한환자가침대에누운상태에서용변을간편하게볼 수있도록하는환자용침대를제공함에그 목적이있다. 이를구현하기위한본 발명은, 환자의엉덩이부위에대응하는위치에상하로관통된통공(H)이형성되고, 상기통공(H)을개폐하는뚜껑(C)이탈착가능하게구비된매트리스(M); 상기뚜껑(C) 또는상기뚜껑(C)의위치에교체되어장착되는변기통(T)을지지하며상하높이가조절되도록승강되는승강부(900);를포함하되, 상기승강부(900)는, 핸들(913)의회전에의해회전되는웜 축(911)에결합된웜(910); 상기웜 축(911)에직교하며수직으로배치되는웜휠축(921)에결합되고, 상기웜(910)에기어연결되어상기핸들(913) 및웜(910)의회전에연동하여상기웜휠축(921)과일체로회전되는웜휠(920); 상기웜휠축(921)의상부에형성된나사부에암수나사연결되어, 상기핸들(913)의정방향또는역방향회전에따른상기웜휠축(921)의회전에연동하여승강되는승강봉(930); 상기승강봉(930)의상단에결합되어상기뚜껑(C) 또는변기통(T)을지지하는받침판(940); 및상기승강봉(930)과받침판(940)의승강을안내하는승강가이드(950)를포함한다.
209 간호용 침대 KR1020137007663 2011-10-25 KR1020130122731A 2013-11-08 이시다,타카유키
본 발명과 관련된 간호용 침대(1)는 요간호자(P)의 둔부를 지지하는 둔부 받침부(6)와, 상기 둔부부터 상반신 부분을 지지하는 상반신 받침부(7)와, 상기 둔부부터 하반신 부분을 지지하는 하반신 받침부(8)를 가진 매트몸체(2)와, 매트몸체(2)를 지지하는 침대틀(3)과, 둔부 받침부(6)이 하부에 수납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부로 이동 가능한 변기장치(4)를 갖추며, 하반신 받침부(8)는 요간호자(P)의 대퇴부를 지지하는 대퇴 받침부(14)를 갖추되, 대퇴 받침부(14)가 상승함으로써 상기 대퇴부를 들어올리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10 의료용 침대 KR1020090069104 2009-07-28 KR100947374B1 2010-03-15 변덕규
PURPOSE: A medical bed is provided to prevent diseases for a patient is suffer from the diseases caused by staying on a bed for a long time, and to improve convenience for washing a body of the patient by discharging cleaned water to the outside of the bed. CONSTITUTION: A medical bed includes the following: a bed frame(100) with a plurality of yellow soil bed units; a support board(111) supporting the yellow soil bed unit and installed on the yellow soil bed unit; an elevating unit(120) moving the support board with the constant height; an elevating member(130) vertically moving the elevating unit and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bed frame; a water table part(190) having an incline and located on an inner space of the bed frame; and an angle adjusting unit adjusting an angle and installed on the bed frame.
211 환자용 침대 KR1020040056597 2004-07-20 KR100610584B1 2006-08-14 박신택
본 발명은 침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양변기 및 탈의 장치가 설치된 환자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매트를 받치는 침상의 하부에 양변장치가 설치된 환자용 침대에 있어서, 상기 매트의 변기가 설치된 부분의 상부에는 변기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변기구멍의 일측에는 인체의 둔부 및 음부를 가리기 위한 가림장치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침대, 탈의 장치, 변기, 뚜껑, 바지이송대, 코브라 모양의 음부 가림편
212 의료용 공기 부양 매트리스 KR2020050021093 2005-07-20 KR200398978Y1 2005-10-18 최경자
본 고안은 의료용 공기 부양 매트리스에 관한 것으로, 공기펌프와 매트와 이에 연결된 공기공급호스 및 다수의 공기튜브로 구성된 의료용 공기 부양 매트리스에 있어서, 상기 매트의 소정 위치에 배설용 통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 매트리스를 제거하거나 이동시킬 필요없이 배설용 통공을 통해 대소변을 처리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213 욕조 기능을 갖는 침대 KR2020040023040 2004-08-12 KR200368165Y1 2004-11-17 김영식
본 고안은 중환자가 항상 침대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 머리감기 등을 포함하는 목욕과 배설물 처리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욕조 기능을 갖는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거동이 불편한 환자용 침대에 있어서, 일단부 및 타단부에 적어도 하나의 배수구(20A,30A)가 구비된 방수베드(10)와; 방수베드(10)의 4면 둘레부를, 볼트체결에 의해 일정높이를 갖도록 에워싸는 복수개의 방수벽체(10A,10B,10C,10D)와; 방수벽체(10A,10B,10C,10D)의 네모서리를 수밀시키는 방수부재와; 방수베드(10)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다리(70A,70B,70C,70D)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서, 방수 베드를 사용하여 통상적으로 환자가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침대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옮기지 않고 그대로 침대에 누워 있는 상태에서 머리감기 등을 포함한 목욕과 배설물을 손쉽게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환자의 몸을 자주 씻길 수가 있는 것이어서, 환자의 청결 상태를 항상 깨끗하게 유지시킬수 있다.
214 분리가능한 침대 KR2019990016682 1999-08-13 KR200172762Y1 2000-03-15 남병성
본 고안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부분으로 분리가 가능한 매트와, 매트가 각각 이격없이 접촉 고정될 수 있도록 각각의 매트의 접합부위에 설치되는 소정의 결합수단과, 작은 매트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작은 매트의 저면에 롤러수단이 선택적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침대로서, 분리매트를 고정매트로부터 분리하여 의자 또는 수납기구로써 사용할 수 있음에 의해 침대가 놓여진 좁은 실내 공간을 넓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쿠션재의 변형이 가장 심한 매트 중간부만을 분리 교체할 수 있음에 의해 자원의 낭비를 감소할 수 있게 된다.
215 入浴装置及び介護ベッド JP2018057306 2018-03-23 JP6417491B2 2018-11-07 飯田 一喜; 飯田 祥穂; 味岡 淳二; 宮本 茂紀; 杉田 浩一
216 人体対向開口部が形成された男性用モジュールを含む排泄物処理装置 JP2017528990 2015-07-27 JP2017536188A 2017-12-07 イ・フンサン; チェ・ソンピル; イ・ドンフン; イ・ビョンウン
本発明による人体対向開口部が形成された男性用モジュールを含む排泄物処理装置は、人体の臀部方向に開放されて人体から排出される大便を受ける第1処理空間が形成され、内部に収容空間が形成された本体、内部には人体から排出される小便を受ける第2処理空間が形成され、前記第2処理空間の一側には使用者の身体に対向するように開放された開口部が形成されて男性性器の少なくとも一部が挿入できるように形成され、前記本体に備えられる男性用モジュール及び前記収容空間に備えられ、前記第1処理空間及び前記第2処理空間の中で少なくともいずれか一つと連通されて排泄物を前記本体の外部へ排出させる吸入口を含む。
217 落下式自動排泄物処理装置 JP2015527071 2013-07-16 JPWO2015008319A1 2017-03-02 利光 小野田
装着対象者の身体の拘束度合いが低くなるように構成した落下式自動排泄物処理装置に関し、老人等の使用対象者の臀部及び陰部をカバーするおむつカバー部(1)と、これにセットする排便受け部(2)及び尿取りパッド(3)と、排便受け部(2)を通じて排出された便等を受け取って汚物容器4中に導くための排便排尿等導入管(5)と、その途中に挿入した弁部(6)と、臀部等の洗浄用の浄を保管する浄水タンク(7)と、洗浄後の臀部等の乾燥に使用する温風を発生させる温風発生手段(8)と、各部の動作を制御する制御手段(9)とで構成したものであり、おむつカバー部(1)から突出する排便受け部(2)の排便管(2b)が、ベッド(10)の排便穴(10h)を通じてベッド(10)下に突出し、排便排尿等導入管(5)の上部の漏斗状部(5a)に昇降自在及び傾斜可能に接続するところに特徴を有する。
218 自動排泄物処理装置を装着した電動ベッド(AUTOBEDWITHAPPARATUSFOREVACUATION) JP2014225607 2014-11-05 JP2016022371A 2016-02-08 金 永健
【課題】療養を必要とする患者や挙動が不便な患者の清潔な排便処理を可能にするベッドを提供する。
【解決手段】排便処理装置を装着した電動ベッド1に関するもので、スイッチの操作によってシリンダーモーターが作動し、背板13、腿板17が臀部板15に対して、軸棒aを基点として屈折し、脚板が腿板に対して軸棒を基点に屈折しながら、患者個々人に適切な屈折度の調節が可能なマットレスフレーム11と、臀部板と脚板の一部が切り開かれて形成され、ドアマットレス21aによって遮蔽している排便口21とマットレスフレームを屈折させるとき、ドアマットレスを脚板方向に移動させ、排便口を開放する移動手段と、排便口の下部に配置されており、昇降手段によって上昇し、排便口に配置される排便容器を含む。
【選択図】図1
219 Mesh-type health nursing bed JP2013522093 2011-08-04 JP2013533060A 2013-08-22 シャディン ワン
メッシュ式衛生看護ベッドであって、メッシュ織物(2)と、支持フレーム(1)からなり、メッシュ織物は経糸と緯糸(21)の交織により形成され、経糸と緯糸の交叉部位は互いに固定連接し、メッシュ織物の網孔の直径または網孔の内接円の直径が網孔を構成する経糸と緯糸の直径の2−6倍であり、1つの網孔ユニットの開口面積が網孔ユニットの全体面積の35%−78%であり、網孔の直径または網孔の内接円の直径が1.5mmより小さく、網孔を構成する経糸と緯糸の直径が0.55mmより小さく、メッシュ織物の厚みが1.1mmより小さく、メッシュ織物の少なくとも2つの端部が支持フレームの対向する2つの対応する端部の間に懸掛され、相互位置決め構造を形成し、織物の経糸及び緯糸が皮膚を損傷しないことが保証され、皮膚が良好な通気性を保持し、長期の褥瘡が防止され、また火傷の患者に対し皮膚の良好な復元環境を創出する。
【選択図】図1
220 Negative pressure care bed of the cradle-type JP2010550014 2008-06-16 JP5179599B2 2013-04-10 胡▲鳳▼彬; 朱金滔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