序号 专利名 申请号 申请日 公开(公告)号 公开(公告)日 发明人
21 휴대용 온수보일러 KR1020100105470 2010-10-27 KR101033636B1 2011-05-16 권희완; 장동현
PURPOSE: A portable hot water boiler is provided to facilitate the circulation of water using dual vacuum pressure created in a heating tank and a storage tank. CONSTITUTION: A portable hot water boiler(10) comprises a heating unit(20), a heating tank(30), a storage tank(40), a vacuum chamber(50), and a circulating unit(60). A heating rod of a heating unit is installed inside a heating case(21) and heats water using electricity. The heating tank comprises side and upper connection portions and a curved guide(32). The curved surface guide guides the water provided through the side connection portion. The upper connection portion discharges water flowing along the curved surface guide. The storage tank has a water supply unit(42) and a water discharge unit(44). A stopper(43) of the water supply unit supplies or blocks the water. The vacuum chamber has a vacuum discharge unit(52) and a vacuum cover(53). The vacuum discharge unit discharges the water provided through a lower connection portion(51). The vacuum cover forms a vacuum inside with cutting off and circulating the water. One side of the circulating unit is coupled with the water discharge unit of the storage tank. The other side of the circulating unit connects to the supply path of the heating unit.
22 하이브리드 타입 보일러 KR1020080094721 2008-09-26 KR1020100035367A 2010-04-05 김규원; 최성환; 정만수; 이상세
PURPOSE: A hybrid boiler is provided to operate the boiler using firewood and oil by forming a combustion chamber, and to put an amount of firewood at once. CONSTITUTION: A hybrid boiler(100) comprises lower and upper housings(110,120), combustion chambers(111,121) for firewood and oil, an opening and closing unit(113), an oil burner(122), flue tubes(123,124) for firewood and oil, a connection pipe(130), a water tube(125), and exhaust ports(126,127). The firewood combustion chamber is installed in the lower housing, and the oil combustion chamber is installed in the upper housing. Firewood is put into the firewood combustion chamber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The oil burner burns oil in the oil combustion chamber. The oil flue tubes is connect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combustion chamber for oil, and installed in the upper housing. The connection pipe is installed between the lower and upper housings. The firewood flue tube is installed in the upper housing. The water tube is installed in the upper housing to surround the oil and firewood fuel tubes. The exhaust ports are protruded from the upper housing.
23 석탄 및 기름을 이용하는 보일러 겸용 온풍기 KR1020040053847 2004-07-12 KR1020060005024A 2006-01-17 김규화; 권영도
본 발명은 코크스, 석탄 갈탄 등의 고체연료와 기름 등의 액체연료를 열원으로 사용하는 겸용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고체연료를 연소시킬 때에 고체연료의 연소시간을 감안하여 1회전하는 동안 고체연료가 완전 연소되는 정도의 시간으로 저속 회전하는 화상을 몸체(연소실)내에 구비하고, 연소가 완료된 돌멩이 형태의 재는 실시간으로 자동으로 배출되도록 하며, 관리자의 부주의에 의해 석탄을 정상적으로 투입시키지 못하였을 때에는 온도감지 수단에 의해 내부온도를 감지하여 기름을 연료로 하는 버너를 가동시켜 계속적으로 보일러의 기능을 유지하도록 하고, 특히 화상에 투입되는 석탄은 화상의 가장자리에서 연소되도록 하여 연소열은 몸체 내에서 보다 오래 머물도록 하여 열효율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에 있어서, 화상의 상면에는 통공을 형성하지 않고 내화재로 채워 구성하며, 공기공급수단은 화상의 상면 일측에서 공기를 불어 넣어 주도록 하여 고체연료와 화상의 상면과 접하는 부분까지 골고루 연소시키도록 하고, 아울러 완전연소를 되도록 하는 석탄 및 기름을 이용하는 보일러 겸용 온풍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석탄, 코크스, 갈탄, 기름, 보일러, 온풍기, 겸용
24 석탄 및 기름을 이용하는 보일러 겸용 온풍기 KR2020040019727 2004-07-12 KR200364750Y1 2004-10-16 김규화; 권영도
본 고안은 코크스, 석탄 갈탄 등의 고체연료와 기름 등의 액체연료를 열원으로 사용하는 겸용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고체연료를 연소시킬 때에 고체연료의 연소시간을 감안하여 1회전하는 동안 고체연료가 완전 연소되는 정도의 시간으로 저속 회전하는 화상을 몸체(연소실)내에 구비하고, 연소가 완료된 돌멩이 형태의 재는 실시간으로 자동으로 배출되도록 하며, 관리자의 부주의에 의해 석탄을 정상적으로 투입시키지 못하였을 때에는 온도감지 수단에 의해 내부온도를 감지하여 기름을 연료로 하는 버너를 가동시켜 계속적으로 보일러의 기능을 유지하도록 하고, 특히 화상에 투입되는 석탄은 화상의 가장자리에서 연소되도록 하여 연소열은 몸체 내에서 보다 오래 머물도록 하여 열효율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에 있어서, 화상의 상면에는 통공을 형성하지 않고 내화재로 채워 구성하며, 공기공급수단은 화상의 상면 일측에서 공기를 불어 넣어 주도록 하여 고체연료와 화상의 상면과 접하는 부분까지 골고루 연소시키도록 하고, 아울러 완전연소를 되도록 하는 석탄 및 기름을 이용하는 보일러 겸용 온풍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25 유류 겸용 화목보일러 KR2020040006221 2004-03-08 KR200351371Y1 2004-05-20 조희대
본 고안은 연소실의 상부공간과 주벽을 통한 수조의 흡열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킴과 동시에 가열순환 및 연소가 원활하게 이루어져 연료소비를 절감토록 하는 유류 겸용 화목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연소실과, 상기 연소실을 감싸며 형성되는 수조와, 수조 내에 설치되고 연소실로부터 외부연통을 연결하며 우회 형성되는 열교환연도가 형성된 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 상부공간에는 수조의 일측에서 연소실을 가로질러 수조의 타측으로 연통되며 외표면에는 흡열핀이 일체로 구비된 흡열관이 다수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상기 흡열관은 기울기를 갖도록 설치되고, 상기 연소실 바닥과 주벽에는 추가로 흡열 및 화염 유도로 형성을 위한 다수의 대흡열핀이 소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다.
26 다목적 보일러 KR2020030007473 2003-03-13 KR200316389Y1 2003-06-18 장수현
코크스 등의 고체 연료와 석유 등의 액체 연료를 선택적으로 연소함과 아울러 연소열 및 배기 가스에 의해 물을 가열하도록 하여 더욱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목적 보일러가 개시된다. 종래의 보일러는 내부에 저장된 물이 연소열에 의해서만 가열되도록 하여 열효율이 저하되고 사용이 매우 번거로우며 유지 관리비가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가장자리 및 하측 내부에 물(W)이 저장되고 내측에는 고체 연료(21)가 저장되는 연료 저장부(22)를 갖는 물탱크(20)와, 상기 고체 연료(21)를 점화하여 연소시키는 버너(24)와, 상기 연료 저장부(22)의 내측에는 연소부(30)에서 발생된 연소열 및 배기 가스에 의해 가열되어 상기 물탱크(20) 내의 물과 순환되도록 접속된 물가열탱크(40)와, 상기 연소부(30)에서 연소된 고체 연료(21)의 재를 처리하는 재처리부(50)를 포함하는 다목적 보일러가 제공된다. 따라서 연소부에서 발생된 연소열이 배기구 및 배기관을 통하여 물가열탱크 및 물탱크 내의 물을 가열함으로써 열효율이 향상되고, 버너에서 발생되는 바람에 의해 개폐되는 버너 보호판이 버너 측으로 재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버너의 고장이 발생되지 않으며, 고체 및 액체 연료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사용이 매우 편리하게 된다.
27 온수 온풍 보일러 KR2020120011432 2012-12-06 KR2020140003645U 2014-06-16 유효상
본 고안은 온수 온풍 보일러로 기존의 보일러는 물을 전도를 이용 데워서 따뜻한 물을 관을 통해 집안으로 보내 집안 바닥에 깔려 있는 관을 이용 전도에 의해서 방바닥의 콘크리트(전도율 0.95-1.4 m·h·℃)를 데우고 방바닥의 콘크리트가 다시 전도에 의해 방안의 공기(0.02 Kcal/m·h·℃)를 대류 현상을 이용 데우고 방안의 공기가 사람의 체온과 온도차를 줄여 따뜻함을 느끼게 하다 보니 여기에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문제점 중 하나는 전도율이 낮은 재료로 전도를 하여 내부의 온도를 올리다 보니 전도가 잘 안되어 빨리 내부의 온도를 올릴 수 없으며 에너지 손실도 아주 많이 일어났다. 그 다음 문제점은 물이라는 매체를 사용하다보니 부식과 같은 문제점이 많이 발생하였다. 그래서 본 고안은 전도율이 아주 낮은 공기를 보일러에서 직접 가열 실내로 강제로 보내 실내에서 대류 현상이 일어나게 하여 공기의 온도를 높여 사람이 실내에서 따뜻함을 느끼게 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28 후면이 개방된 아궁이에 삽입되는 보일러 KR1020120139334 2012-12-04 KR1020140071599A 2014-06-12 안병연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iler inserted into a fireplace and having open a rear side and, more specifically, to a boiler inserted into a fireplace and having open a rear side capable of heating a room by making a fire in a furnace, dually heating a room by quickly circulating water in a pipe arranged apart at a predetermined distance using incineration heat generated on a front surface of a fireplace, and also using the water heated in the pipe as water for living. The boiler inserted into a fireplace and having open rear side comprises: an upper door which vertically stands and is opened and closed based on a hinge to put fuel wood and oil into a fireplace; a front frame which includes a lower door opened and closed by sliding laterally on the upper door; a side frame which is provided as a frame vertically coupled to both side of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frame and has a ��shape on respective front side and rear side; and a main body which is mounted on the front frame, is provided to be inserted into the front frame and drawn while sliding, and has a heating water pipe provided to flow a heating water which has a large pipe extending from an inlet provided on a lower side of the front frame and is connected to an outlet provided on an upper side of the front frame and has a small pipe connected with the large pipe in the upper and side parts of the large pipe forming a rectangular frame and is arranged to be bent in zigzags at regular intervals.
29 조립식 보일러 KR1020120128854 2012-11-14 KR1020140062653A 2014-05-26 고종길
Disclosed is an assembly type boiler. The assembly type boiler includes a heating unit, a hot water heating unit, a heating water heating unit, and a connection heating unit. The heating unit comprises a support member; a center member which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member by being formed in a hollow form to accommodate a briquette mounted on the support member; and an upper member which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center member and has an installation hole on one side. The hot water heating unit comprises a hot water tank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and a cover hot water tank. The heating water heating unit is formed of a heating water tank. The connection heating unit comprises a heating water heating tank and a hot water circulation tank.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user to separately use the hot water from the heating water and keeps the heating water at a fixed temperature.
30 조립식 보일러 KR1020120128852 2012-11-14 KR1020140062652A 2014-05-26 고종길
Disclosed is an assembly type boiler. The assembly type boil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heating unit, a hot water heating unit, a heating water heating unit, a heating water heating tank, and a connection heating unit. The heating unit comprises a support member including an ashpan; a center member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member by including a lower space for accommodating briquette mounted on the support member; and an upper member including a cover, an upper space, and an installation groove on one side. The hot water heating unit comprises an outer hot water tank and one or more inner hot water tanks and includes a hot water inlet and an outlet. The heating water heating unit is formed of a heating water tank. The connection heating unit is connected to the inner hot water tank and the outer hot water tank and formed of a hot water circulation tank.
31 다목적 보일러 KR1020100121598 2010-12-01 KR1020120060038A 2012-06-11 정순석
PURPOSE: A warning sensor device is provided to separately replace a bumper and sensor mounting member because the bumper and sensor mounting member are installed to be separable. CONSTITUTION: A warning sensor device comprises a sensor, a sensor mounting member(20), and a bumper. The sensor is projected through the sensor mounting member and an elastic joining unit is formed in the sensor mounting member. The sensor is inserted into a sensor insertion hole and exposed to outside. A joining unit(32) is elastically joined to the elastic joining unit.
32 Pellet and oil boiler KR20090012169 2009-02-14 KR20100092999A 2010-08-24 LEE MYOUNG RYUL
PURPOSE: A pellet oil boiler is provided to improve heat absorption rate by storing between water tube type three-passes, a main body, and a flue. CONSTITUTION: A pellet oil boiler heats water inside a boiler by absorbing inner heat and uses the heated water for hot water and heating. The water flows along the outside of the flue to discharge exhaust gas with low temperature. If a pellet fuel container(7) is out of order, an oil burner(8) is operated. If the supply of the pellet fuel is stopped, switches for pellet and oil are operated.
33 취사겸용 가열기구교체 온수보일러 KR2020080013096 2008-09-30 KR2020100003747U 2010-04-08 김흥중
본 고안은 취사겸용 가열기구를 교체하면서 온수를 동시 가열하는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보일러 본체 저면에 가열기구를 내장 설치하여 코일형 수관에 열을 효율적으로 가열하도록 수관을 감싸게 가열통을 설치 천공된 가열공으로 열을 일정하게 배열 가열하므로 열효율을 높여주며 집열된 열기로 솥밑을 가열 취사 겸용으로 온수를 가열하는 보일러에 관한것이다.
34 기름 겸용 연탄 보일러 KR1020050045345 2005-05-30 KR1020060123792A 2006-12-05 이영순
A boiler is provided to reduce fuel costs and continuously use the boiler even when an oil boiler or a charcoal boiler has trouble, by connecting the oil boiler and the charcoal boiler into a single unit. A boiler comprises an oil boiler(1) arranged in a lower portion of the boiler; a charcoal boiler(3) arrang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boiler; an oil boiler combustion pipe(2) interposed between the oil boiler and the charcoal boiler; a heating pipe(4), a hot water pipe(5) and a water supply pipe(6) connected to the oil boiler and the charcoal boiler; a gas discharge pipe for discharging gas generated from the activation of the oil boiler and the charcoal boiler; a circulation pump(16) for automatically circulating heating water; a water flow sensor for controlling water flowing into the oil boiler and the charcoal boiler; and a temperature sensor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water.
35 석탄 및 기름을 이용하는 보일러 겸용 온풍기 KR1020040047931 2004-06-25 KR1020050122575A 2005-12-29 김규화; 권영도
본 발명은 코크스, 석탄 갈탄 등의 고체연료와 기름 등의 액체연료를 열원으로 사용하는 겸용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고체연료를 연소시킴에 있어서, 고체연료의 연소시간을 감안하여 1회전하는 동안 고체연료가 완전 연소되는 정도의 시간으로 저속 회전하는 화상을 몸체(연소실)내에 구비하고, 연소가 완료된 돌멩이 형태의 재는 실시간으로 자동으로 배출되도록 하며, 관리자의 부주의에 의해 석탄을 정상적으로 투입시키지 못하였을 때에는 온도감지 수단에 의해 내부온도를 감지하여 기름을 연료로 하는 버너를 가동시켜 계속적으로 보일러의 기능을 유지하도록 하고, 특히 화상에 투입되는 석탄은 화상의 가장자리에서 연소되도록 하여 연소열은 몸체 내에서 보다 오래 머물도록 하여 열효율 향상시키도록 하는 석탄 겸용 기름보일러를 제공하고� �� 하는 것이다.
36 장작(長斫)을 땔감으로 하는 온수 보일러 KR2020040004645 2004-02-23 KR200350574Y1 2004-05-13 이집환
본 고안은 장작을 땔감으로 하여 온수를 얻을 수 있게 만든 온수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의 온수보일러(1)는 보일러 본체의 주벽에 형성되는 수실부(100)와 수실부(100) 내부에 형성되는 연소실(2)과 연소실 하측으로 형성되는 급기실(3)과 연소실 상측으로 형성되는 배기실(6)로 구성되어 이루어지고 급기실에는 외부의 공기를 강제 주입하는 전동 송풍기(4)와 급기실내부의 재를 처리하는 잠금장치가 부착된 개폐문(301)이 구비되며, 수실부(100)에는 내부에 열교환용 파이프(8)가 내장되고, 상측 외부에 온도계(105)와 온도감지기(106)가 장치되며 온수배출관(107)과 회수관(108)이 장치되어 회수관에는 온수순환펌프(109)가 장치되며, 급기실(3)과 연소실(2) 사이에 내부에 저수실(101)이 형성되어 주벽 수실부와 연통되게 구획판(5)(5a)을 설치하여 상하 구획판 사이에 통기관(5b)을 설치하여 통기관을 통해 급기실(3)과 연소실(2)이 소통되고 연소된 재가 급기실로 낙하하게 만든 저수구획부(a)가 형성되고 배기실(6)과 연소실(2) 사이에는 내부가 저수실(102)로되어 주벽수실부와 연통되게 구획판(7)(7a)을 설치하여 상하 구획판 사이에 수개의 배기관(7b)을 설치하여 배기관(7b)을 통해 연소실(2)과 배기실(6)이 소통되게 만든 저수구획부(b)가 형성되며, 배기실(6) 중앙에는 배연관(601)을 설치하여 그 저면에 타르 유출관(602)을 갖추어서 구성되고 연소실 외벽에 잠금장치가 있는 개폐문(201)이 장치되며, 개폐문 하측에는 뚜껑(203)이 있는석유버너장치관(202)을 갖추어서 구성되는 장작(長斫)을 땔감으로 하는 온수 보일러이다.
37 유류겸용연탄보일러장치 KR2020030012631 2003-04-23 KR200320285Y1 2003-07-22 우동수
본 고안은 유류겸용연탄보일러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대용량이 아닌 일반 가정등에 사용하는 소용량의 보일러를 구성함에 있어서, 별도의 구조를 개선하지 않고서도 유류와 연탄을 각각 또는 동시 가동할수 있는 보일러장치로 호환성과 사용및 열효율이 좋은 보일러장치를 제안하기 위하여, 유류에 의한 버버를 장착한 열교환체와 연탄에 의한 열교환체를 일체로 구성하되 상호 독립된 열관로를 형성해 보일러의 온수와 급탕수를 사용할수 있도록 한 것으로, 연탄이나 유류를 각각 또는 동시에 보일러의 에너지원으로 사용할수 있도록 하여, 종래와 같이 보일러를 별도로 교체하지 않고서도 연탄보일러의 기능과 유류보일러의 기능을 각각, 또는 동시 이용할수 있도록 하여, 난방비를 휠씬 절감할수 있었으며, 가동중에 연탄을 교체하는 시기가 늦 어져 보일러내의 온수 온도가 낮아질 경우에는 열교환체(200)내의 열교환체케이싱(200a)상단에 형성된 난방수온도센서공(11)에 의해 온수온도를 체크한후 버너(10)가 자동으로 가동되게 하여 보일러의 난방수 온도를 계속적으로 유지할수 있어서, 시간에 맞춰 연탄을 갈아줘야 하는 불편도 느끼지 않는 보일러장치로 연탄과 유류의 호환성과 사용 및 열효율면에 있어서도 좋은 고안인 것이다.
38 화덕부를 포함하는 연탄 보일러 KR1020170001873 2017-01-05 KR101758229B1 2017-07-14 장수영
화덕부및 이를포함하는연탄보일러가개시된다. 본발명의연탄보일러는, 베이스바디, 베이스바디에마련되는외부하우징, 베이스바디에마련되며외부하우징의내부에배치되는내부하우징및 내부하우징의벽부를둘러싸도록마련되는제1 배관이구비된본체; 내부하우징의내부에배치되도록베이스바디에마련되며제1 배관과연결되는제2 배관이구비된중간가열부; 및중간가열부의내부에배치되도록베이스바디에마련되며제2 배관과연결되는제3 배관이구비된화덕부를포함하고, 제1 배관과제2 배관과제3 배관의최하단은화덕부에마련되는최하단배치연탄의최상단높이보다높게마련되고, 본체에결합되는연통의결합위치는최하단배치연탄의최상된높이보다낮게마련되는것을특징으로한다.
39 고체연료 보일러 KR1020130134294 2013-11-06 KR101498821B1 2015-03-05 김대겸
본 발명은 고체연료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볏짚, 낙엽, 나무 등을 포함하는 고체연료를 열원으로 하는 한편, 불이 꺼지지 않도록 기름연료와 가스연료를 공급받을 수 있는 고체연료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40 온수기가 부착 된 화목보일러 KR2020120008643 2012-09-26 KR2020140001923U 2014-04-03 윤재화
본 고안은 순간 온수기가 부착된 화목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난방용으로 사용 할 때는 온수도 함께 나와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없지만 늦은 봄이나 여름철, 이른 가을에 난방이 필요 없을 때 온수만 필요 할 때도 보일러에 불을 때서 사용하는 지금까지의 불편함에서 벗어나 전기,가스 온수기를 화목보일러 몸체 온수 라인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화목보일러를 가동하여 불을 지피는 번거로움과 필요 없는 땔감의 소모, 인력낭비, 보일러의 마모,더운 날씨에 난방수를 순환시켜 방을 더웁게 하는 일이 없게 하며, 여름에도 필요한 만큼의 온수만 간단히 쓸 수 있는 고안인 것이며 특히 한여름에도 찬물로 목욕이나 샤워를 못하는 사람에게 간단하게 원하는 온도의 온수를 얻게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방에 있는 화목 보일러 자동 온도 조절 장치를 통하여 순간, 저장식 온수기도 조절 하는 것이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