序号 专利名 申请号 申请日 公开(公告)号 公开(公告)日 发明人
221 AN ELECTROMAGNETIC SHIELD FOR A DENTAL LASER HAND PIECE PCT/IL2013000038 2013-04-14 WO2013160888A4 2014-03-06 WEINBERGER YOSSI
Presented is a laser energy dental hand piece, the housing of which encases a laser energy emitter and an electromagnetic radiation shield. The electromagnetic radiation shield reduces the electromagnetic emission and location of the laser energy emitter in the hand piece eliminates a need in frequent readjustment of the laser optical path.
222 LIGHT GUIDE FOR DENTISTRY APPLICATIONS PCT/US2005023602 2005-06-30 WO2006014370A3 2007-03-29 ROSE ERIC P; KARTEN STUART; SCHROEDER DENNIS; HAYMAN ROBER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guide for a lamp for dentistry procedures. The light guide provides an optical channel between a light source and a dental substrate. The light guide may be a one-patient use light guide including a recording medium to record the time used. The light guide further provides protection for a patient's soft tissues during treatment.
223 AUTOMATIC CONTROL FOR DENTAL APPLICATIONS PCT/US2005023600 2005-06-30 WO2006014368A2 2006-02-09 ROSE ERIC P; HAYMAN ROBERT; SARGEANT BRUCE
A dental lamp includes a control system adapted to control operation of a light source within the dental lamp. The control system requires that an unexpended light guide including a recordable medium be coupled to a lamp head of the dental lamp, in order to illuminate the light source. The control system records a first data signal on the recordable medium during illumination of the light source indicating that the light guide has been expended. The control system also records a second data signal onto a second recordable medium so that a particular duration of use of the light source may be indicated.
224 틀니 착용자의 생체 특성 확인용 타액 측정체와 정보식별체의 틀니 매립방법 KR1020170022075 2017-02-20 KR1020180096007A 2018-08-29 한훈섭
본발명은틀니착용자의생체특성확인용타액측정체와정보식별체의틀니매립방법에관한것으로인체의타액특성을파악하여생체특성을인지할수 있도록함과아울러, 틀니를착용하는고령자및 치매환자는물론잠재적치매환자, 병원이력이있는일반인등의위급상황발생시 착용자의건강정보를즉각확인할수 있고, 또한실종사고발생시 위치및 신상정보를즉각확인할수 있는정보식별체를틀니또는부분틀니의불투명레진부위에선명하면서도안정적으로내장부착할수 있도록하기위하여, 완성된틀니또는부분틀니의불투명레진부(3) 상에함몰형태의부분삭제부(10)를형성하고, 상기부분삭제부(10)에인체의타액특성을파악하여생체특성을인지하는타액측정체(120) 및, 건강정보와신상정보가인식되는식별수단이포함된정보식별체(20)를삽입내장한다음, 상기타액측정체(120) 및정보식별체(20)가삽입내장된부분삭제부(10)에교정용파우더와리퀴드를주입하여화학반응에의해투명레진부(30)를형성하여경화한후, 가압기에넣고가압하여투명레진부(30) 내부의기포(32)를제거하고, 강도를증가시키고, 상기가압된투명레진부(30)의돌출부(31)를연마기로연마한다음, 상기연마된투명레진부(30)의상부표면에광택제를도포하여광택층(40)을형성함을포함하여이루어지는것을특징으로한다.
225 전자디바이스 내장 모듈, 그 모듈이 설치된 치과보철물 및 그 치과보철물의 제조 방법 KR1020170057887 2017-05-10 KR101880573B1 2018-07-24 정일도; 이서준
전자디바이스내장모듈, 그모듈이설치된치과보철물및 그치과보철물의제조방법이개시된다. 본발명의일 실시예에따른전자디바이스내장모듈은, 치과보철물에설치되는전자디바이스내장모듈(electronic device embedded module)(100)로서, 전자디바이스(110); 상기전자디바이스를수용하는하우징파트(120); 및상기하우징파트의일측에구비되는픽스처파트(150);를포함한다.
226 틀니 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실종방지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틀니 매립방법 KR1020160068073 2016-06-01 KR101716091B1 2017-03-13 한훈섭
본발명은틀니착용자의위급상황및 실종방지를위한정보식별체의틀니매립방법에관한것으로틀니를착용하는고령자및 치매환자는물론잠재적치매환자, 병원이력이있는일반인등의위급상황발생시 착용자의건강정보를즉각확인할수 있고, 또한실종사고발생시 위치및 신상정보를즉각확인할수 있는정보식별체를틀니또는부분틀니의불투명레진부위에선명하면서도안정적으로내장부착할수 있도록하기위하여, 완성된틀니또는부분틀니의불투명레진부(3) 중일부분을밀링기로수차례절삭가공하여함몰형태의부분삭제부(10)를형성하는제1단계(S1); 상기부분삭제부(10)에건강정보및 신상정보가인식되는식별수단이포함된정보식별체(20)를삽입내장하되, 상기정보식별체(20)의상부표면이불투명레진부(3)의표면보다낮게위치되도록하고, 정보식별체(20)의측부와부분삭제부(10)의내측벽사이에이격공간이형성되도록하는제2단계(S2); 상기정보식별체(20)가삽입내장된부분삭제부(10)에교정용파우더와리퀴드를주입하여화학반응에의해투명레진부(30)를형성하되, 상기투명레진부(30)가정보식별체(20)의상부면이덮히도록정보식별체(20)와부분삭제부(10) 사이에침투되도록하고, 정보식별체(20) 상부의투명레진부(30)에불투명레진부(3)의표면보다높게볼록한돌출부(31)가형성되어경화되도록하는제3단계(S3); 상기투명레진부(30)의돌출부(31)가불투명레진부(3)의표면보다높게볼록한돌출형태로경화된틀니또는부분틀니를가압기에넣고 30∼40℃상에서 20∼40분동안가압하여투명레진부(30) 내부의기포(32)를제거하고, 강도를증가시키는제4단계(S4); 상기가압된투명레진부(30)의돌출부(31)를연마기로연마하여불투명레진부(3)의표면과수평선상일치되도록하는제5단계(S5); 상기연마된투명레진부(30)의상부표면에광택제를도포하여광택층(40)을형성하는제6단계(S6);를포함하여이루어지며, 상기정보식별체(20)는고령자또는치매환자등의이름, 혈액형,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병원이력을포함하는개인신상정보가저장된 NFC칩이거나, 그대상의위치를파악하는아이비콘(iBeacin)으로구성되고, 상기 NFC칩및 아이비콘(iBeacin)은방수성확보를위해외부표면전체를보호층(21)으로코팅형성되고, NFC칩및 아이비콘(iBeacin)의감지하는리더부의감지범위를제외한나머지부분은전자파가차단되도록구성되며, 정보데이터가바뀌거나, 고장나는경우를대비하여개폐가능한뚜껑(26)을갖는케이스(25) 구조로형성되도록구성하는것을특징으로한다.
227 처리 챔버 또는 처리 캐리어 그리고 적어도 1개의 의료 기구 더 구체적으로 치과 기구를 처리하는 장치 KR1020157016112 2013-12-19 KR1020150096670A 2015-08-25 비머슈테판
본 발명은, 적어도 1개의 의료 기구 더 구체적으로 치과 기구를 처리하는 장치에서 사용되는 처리 챔버 또는 처리 캐리어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의료 기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위하는 하우징으로서, 하우징은 전기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하도록 전기 전도성 재료로 제조된 적어도 1개의 전도체 경로 그리고 적어도 1개의 전도체 경로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적어도 2개의 전기 접촉부를 갖는, 처리 챔버 또는 처리 캐리어, 그리고 이러한 처리 챔버 및/또는 이러한 처리 캐리어를 갖는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228 레이저 치료 기기용 핸드피스 조립체 KR1020157010238 2013-10-23 KR1020150079619A 2015-07-08 부트소브드미트리; 고지마롤프지
타겟표면을레이저치료하기위한핸드피스조립체는전력공급및 제어모듈에착탈식으로결합된케이블커넥터를포함한다. 케이블커넥터는전력공급및 제어모듈로부터전력및 제어신호를수신하도록구성된다. 핸드피스조립체는케이블커넥터로부터전력및 제어신호를수신하고수신된전력및 제어신호에기초하여전자기에너지를발생하도록구성된레이저모듈을포함한다. 레이저모듈은케이블커넥터및 핸드피스에착탈식으로결합된교체형모듈이다. 교체형모듈은특정레이저모듈이핸드피스조립체로부터제거되어다른레이저모듈로교체되게한다. 핸드피스조립체는레이저모듈로부터전자기에너지를수신하고전자기에너지를타겟표면에지향하도록구성된핸드피스를더 포함한다.
229 픽스츄어의 방향성 및 위치 식별가능한 힐링 어버트먼트 KR1020140068562 2014-06-05 KR101472570B1 2014-12-16 김희준
본 발명의 픽스츄어의 방향성 및 위치 식별가능한 힐링 어버트먼트에 따르면, 일체로 형성된 몸체부로 이루어진 힐링 어버트먼트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다각형상의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상부로 연장돌출되되,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상부로 연장돌출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상측면과 상기 고정부의 하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공; 및 상기 연장부의 상측면에 상기 고정부의 외형상이 투영되어 표시된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츄어의 상부에 형성된 다각형상의 고정홈에 삽입고정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픽스츄어의 고정홈 상측에 형성된 안착홈에 안착고정되고, 상기 표시부를 통해 상기 픽스츄어로부터 상기 몸체부를 제거하지 않고, 상기 픽스츄어의 방향성을 식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연장부의 상측면에 고정부의 외형상이 투영된 표시부를 표시함으로써, 인상채득시 픽스츄어로부터 몸체부를 제거하지 않고, 곧바로 인상채득할 수 있으며, 표시부를 통해 픽스츄어의 방향성을 식별할 수 있는 픽스츄어의 방향성 및 위치 식별가능한 힐링 어버트먼트를 제공할 수 있다.
230 개선된 진동 치과 장치들 KR1020127011633 2010-05-11 KR1020120099666A 2012-09-11 스파울딩,글렌; 링,제레미; 카우프맨,마이클이.; 로우,마이클케이.
치아 리모델링을 위한 진동 장치들에 대한 다양한 개선들이 제공되며, 이는, 공통 환자 교합 구조를 수용하는 개선된 교합판의 설계, 교합판용 커넥터, 그의 사이즈 측정 트레이뿐만 아니라 구강외 진동기용의 개선된 성능 특성을 제공하는 보다 우수한 모터 및 매우 박형의 단면을 가지는 완전한 구강내 진동 의치판을 포함한다.
231 개인 케어 시스템, 제품 및 방법 KR1020117026517 2010-05-06 KR1020120013369A 2012-02-14 오틴스마크필립; 첸배누알렉스티모시; 파렐마크에드워드; 웬젤리스베트; 데카스트로호세타데오베르가라
개인 위생 제품 및 사용자를 돕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개인 케어 시스템이 기술된다. 개인 케어 시스템은 개인 케어 제품(예컨대, 전동 칫솔), 개인 케어 제품과 데이터 통신하는 인터랙티브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개인 케어 요법의 복수의 특성과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디스플레이는 네트워크와 데이터 통신하고 네트워크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도록 작동가능하며, 디스플레이는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도록 작동가능하다.
232 인공치아 식립용 기구 인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20080002228 2008-01-08 KR1020090076336A 2009-07-13 윤지훈
An apparatus for recognizing the artificial tooth planting tool is provided, which enables to automatically convert the high speed operation and low speed operation. A method for using an apparatus for recognizing the artificial tooth planting tool comprises: a surgical instrument connection step(P1) connecting the tool for implant to the artificial tooth operation machine; a drill connection decision step(P2) which determines whether the tool for implant is a drill or not; a tool recognition step(P3) which recognizes the tool in case the tool for implant is the drill; a fast motion setting step(P4); a drilling step(P5) for performing drilling work; a driver connection decision step(P6); a tool recognition step(P7) which recognizes the tool in case the tool for implant is a driver; a low speed movement setting step(P8); and an artificial tooth planting step(P9).
233 치아 세정 장치 및 방법 KR1020037011951 2001-03-14 KR1020040025668A 2004-03-24 힐숴알렉산더; 만네바흐호르스트; 라이크한스외르그; 슈바르츠-하르트만아르민; 트라윈스키페터; 슈트라트만마르틴; 포르벡볼프강
본 발명은 치아를 세척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람의 특성에 맞는 치아의 세척을 위한 상이한 세척 장비들이 공통의 작동 부재에 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은 특히 상이한 세척 장비들이 결합되어 있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전동 치아 세척 장치의 손잡이부와, 세척 장치 자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손잡이부는 각각 결합된 세척 장비 상에 마련된 코딩을 검출한다. 치아 세척 장치의 상이한 기능들은 각각 검출된 코딩에 따라 제어된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