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아방지용시계장치

申请号 KR1019930026910 申请日 1993-12-08 公开(公告)号 KR1019950015204B1 公开(公告)日 1995-12-23
申请人 삼성시계 주식회사; 发明人 하왕준;
摘要 The parent watch generates warning sound if the parent are apart from a child with a predefined distance so as not to receive the signal from the child watch. The pair of watches comprises microprocessor(100A,B) controlling the signal transmission with a regular frequency and generation of the warning sound; key input panels(200A,B) for inputting mode change, secret codes and others; displays(400A,B) displaying the current time and the mode states; a wireless receiver(500A); a wireless transmitter(500B); a warning sound generator(600B).
权利要求
  •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제어되는 소정주파수의 기준신호를 계수하여 현재시간을 표시하는 한쌍의 시계장치에 있어서, 시계기능을 수행하면서 모니터 온명령이 입력될 경우 모니터모드에서 입력되어 저장된 비밀번호를 고주파에 실어 일정한 주기로 송신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와, 각종 기능선택버튼들로 구성되어 마이크로컴퓨터에 모드변환이나 데이타수정에 관한 명령, 비밀번호등을 입력시키는 키입력부와, 마이크로컴퓨터의 제어에 따라 현재의 시간이나 각 모드의 내용을 절환, 표시하는 표시부와, 마이크로컴퓨터에서 출력되는 데이타를 변조하여 고주파신호로서 안테나를 통해 송출하는 무선송신부를 상기 자시계장치에 내장하고 ; 시계기능을 수행하면서 자시계장치로부터 전송된 비밀번호를 모니터모드에서 입력되어 저장된 비밀번호와 비교하고 두 비밀번호가 다르거나 일정시간동안 비밀번호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에는 경보음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와, 각종 기능선택버튼들로 구성되어 마이크로컴퓨터에 모드변환이나 데이타수정에 관한 명령, 비밀번호등을 입력시키는 키입력부와, 마이크로컴퓨터의 제어에 따라 현재의 시간이나 각 모드의 내용을 절환, 표시하는 표시부와,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고주파신호를 복조하여 검파된 데이타를 상기 마이크로컴퓨터로 인가하는 무선수신부와, 마이크로컴퓨터의 제어에 따라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음 발생부를 상기 모시계장치에 내장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방지용 시계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컴퓨터는 중앙처리장치와 키입력부 또는 경보음 발생부 사이에서 인터페이스기능을 수행하는 입력제어부 및 출력제어부와, 기능프로그램의 순서에 따라 송수신데이타를 포함하는 전반적인 데이타의 처리, 송수신타이밍 제어, 각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 관리기능을 수행하는 중앙처리장치와, 중앙처리장치의 제어를 받아 각 모드에서 입력되어진 데이타나 송수신데이타를 저장하는 데이타메모리와, 중앙처리장치의 제어를 받아 표시부를 제어하는 표시제어부와, 전지의 전압을 체크하여 설정된 전압이하로 떨어질 경우 저전압상태신호를 중앙처리장치로 출력하는 저전압 감시부와,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인가된 비밀번호를 디지탈코드로 변환하여 무선송신부로 출력하거나, 무선수신부로부터 인가된 디지탈코드를 처리 � �� 저장하기 용이한 데이타로 변환하여 중앙처리장치로 출력하는 통신인터페이스부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방지용 시계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는 모드변환 및 데이타수정을 행하기 위한 자리이동을 지정하는 모드버튼과, 각 모드에서의 데이타수정 및 수정해제기능을 수행하는 수정/해제버튼과, 모니터모드와 알람모드에서는 온/오프기능을, 시계모드와 카렌더모드에서는 램프 온/오프기능을 각각 수행하는 온/오프버튼과, 각 모드에서 데이타 수정시 1회에 하나씩 데이타를 증가시키는 카운트업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방지용 시계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송신부는 마이크로컴퓨터로부터 출력된 데이타코드를 고주파 발진부로 전달할때 주파수 변조를 위한 가변리액턴스부와, 송신주파수로 발진하여 입력된 데이타코드를 고주파에 싣는 고주파 발진부와, 고주파 발진부에서 출력된 고주파신호를 전력 증폭하는 고주파 증폭부와, 고주파 증폭부에서 출력된 신호중 소정대역의 신호만을 필터링하여 안테나로 출력하는 고주파 필터부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방지용 시계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수신부는 안테나로 수신된 고주파신호를 증폭하는 고주파 증폭부와, 고주파 증폭부에서 출력된 신호중 소정대역의 신호만을 필터링하는 고주파 필터부와, 고주파 필터부에서 출력된 고주파신호와 발진기에서 출력된 국부발진주파수를 혼합하는 혼합기와, 상기 혼합기에서 출력된 중간주파신호를 필터링하는 중간주파 필터부와, 상기 중간주파 필터부에서 출력된 중간주파신호의 진폭을 제한하고 노이즈를 제거하는 리미터와, 상기 리미터에서 출력된 중간주파신호로부터 데이타를 검파하는 검파기와, 검파기에서 출력된 데이타의 파형을 정형하여 마이크로컴퓨터로 출력하는 신호정형부와, 상기 리미터에서 출력된 중간주파신호를 설정된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비교결과에 따라 검파기와 신호정형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비 교기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방지용 시계장치.
  • 说明书全文

    미아방지용 시계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미아방지용 시계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제2도는 제1도의 마이크로컴퓨터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제3도는 제1도의 무선송신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블럭도.

    제4도는 제1도의 무선수신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블럭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미아방지용 시계장치의 외부 구조예를 나타낸 정면도.

    제6도는 키입력에 따른 가능변환 및 데이타 수정예를 나타낸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A,100B : 마이크로컴퓨터

    103 : 중앙처리장치 104 : 데이타메모리

    108 : 저전압 감시부 109 : 통신인터페이스부

    200A,200B : 키입력부

    300A : 자시계부 300B : 모시계부

    400A,400B : 표시부 500A : 무선송신부

    500B : 무선수신부 600B : 경보음 발생부

    502A : 고주파 발진부 504B : 혼합기

    506B : 리미터 507B : 검파기

    본 발명은 무선 송수신장치를 내장한 한쌍의 시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정주기로 자시계에서 송신한 데이타를 모시계에서 수신함으로써 두 시계가 일정거리이상 떨어져 데이타를 송수신하지 못하거나 일정거리내에 있더라도 데이타가 다를 경우에는 경우에는 경보음을 울려 미아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미아방지용 시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모와 어린아이가 함께 외출을 할 경우 어린아이들은 부모의 의지와 관계없이 각자의 호기심에 따라 돌아다니는 경향이 있으므로 부모가 계속적으로 관심을 갖고 돌보지 않으면 잃어버리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러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무선마이크(송신기)와 라디오수신기등을 사용하여 송수신하는 방식이 시도되었으나, 이러한 방식은 제품자체가 크기 때문에 외출시 휴대하기가 불편하고, 전파를 송수신할때 주위 잡음이 크기 때문에 주위사람들에게 혐오감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혼신의 가능성이 높고, 사용중에 배터리가 거의 다 소모되거나 혼신으로 인하여 오동작할 경우에는 더욱 미아발생의 위험성이 커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한쌍의 시계에 무선 송수신장치를 각각 내장하여 자시계에서 송출한 데이타를 모시계에서 수신함으로써 상기 시계를 휴대한 부모와 어린아이가 일정거리이상 떨어지면 경보음을 울려 미아발생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 미아방지용 시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모와 어린아이가 함께 외출할 경우 부모가 지속적으로 어린아이들을 감시해야함으로써 다른 일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미아방지용 시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부피가 큰 마이크나 스피커를 사용하지 않고 무선 송수신장치를 시계에 내장하여 데이터만을 송·수신함으로써 주위소음으로 인한 악영향을 없애고 배터리소모나 혼신에 따른 미아발생의 위험성을 최소화하여 휴대 및 사용이 간편해지도록 한 미아방지용 시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첨부된 제1도 내지 제6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미아방지용 시계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로서, 크게 송신장치(자시계 ; A)와 수신장치(모시계 ; B)로 구분된다.

    상기 송신장치(A)는 자시계장치의 전체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100A)와, 각종 기능선택버튼들로 구성되어 마이크로컴퓨터(100A)에 모드변환이나 데이타수정에 관한 명령, 비밀번호등을 입력시키는 키입력부(200A)와, 마이크로컴퓨터(100A)에 의해 제어되는 소정주파수의 기준신호를 분주하여 계수하고 현재의 시간이나 각 모드의 내용을 절환, 표시하는 표시부(400A)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00A)에서 출력되는 데이타를 변조하여 고주파신호로서 안테나를 통해 송출하는 무선송신부(500A)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신장치(B)는 모시계장치의 전체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100B)와, 각종 기능선택버튼들로 구성되어 마이크로컴퓨터(100B)에 모드변환이나 데이타수정에 관한 명령, 비밀번호등을 입력시키는 키입력부(200B)와, 마이크로컴퓨터(100B)에 의해 제어되는 소정주파수의 기준신호를 분주하여 계수하고, 마이크로컴퓨터(100B)의 제어에 따라 현재의 시간이나 각 모드의 내용을 절환, 표시하는 표시부(400B)와,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고주파신호를 복조하여 검파된 데이타를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00B)로 인가하는 무선수신부(500B)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00B)의 제어를 받아 기억된 비밀번호와 수신된 데이타가 다르거나 일정시간동안 수신데이타가 없을 경우에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음 발생부(600B)로 구성되어 있다.

    제2도는 제1도에서 송수신데이타를 처리하고 송수신 타이밍을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100)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여기서, 부호 101은 키입력부호로부터 인가되는 키신호를 중앙처리장치(103)에 전달하는 입력제어부이고, 부호 102는 중앙처리장치(103)의 출력신호를 경보음 발생부로 전달하여 알람세트시간과 현재시간이 일치하거나 비밀번호가 다를 경우의 경보음 발생을 제어하는 출력제어부로서, 상기 입력제어부(101)와 출력제어부(102)는 중앙처리장치(103)와 입출력장치간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중앙처리장치(103)는 프로그램메모리(105)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의 순서에 따라 송수신데이타를 포함하는 전반적인 데이타의 처리, 송수신타이밍 제어, 각 구성블럭들의 제어 및 관리기능들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중앙처리장치(103)의 제어를 받는 데이타메모리(104)는 각 모드에서 입력되어진 복수종류의 데이타와 모시계의 경우 수신된 데이타를 저장하고 저장된 내용을 출력하며, 프로그램 메모리(105)에는 중앙처리장치(103)에서 수행할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상기 중앙처리장치(103)에 연결된 발진부(106)은 마이크로컴퓨터(100)의 작동에 기준이 되는 소정주파수의 기준신호를 발생시켜 중앙처리장치(103)에 공급하고, 중앙처리장치(103)의 제어를 받는 표시제어부(107)는 시간데이타나 키입력에 따른 각 모드의 절환내용을 표시하기 위한 데이타를 표시부로 출력함으로써 현재의 시간이나 모드상태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저전압 감시부(108)는 주동력원인 전지의 전압을 체크하여 설정된 전압 이하로 떨어질 경우 저전압상태임을 나타내는 신호를 중앙처리장치(103)로 출력하고, 중앙처리장치(103)는 출력제어부(102), 경보음 발생부, 표시부등을 제어하여 전지교환을 요구하는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오동작을 일으킬 위험을 방지하게 된다.

    통신인터페이스부(109)는 모니터모드에서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비밀번호를 중앙처리장치(103)로부터 입력받아 디지탈코드로 변환하여 무선송신부로 출력하고, 무선수신부를 통해 입력된 디지탈코드를 중앙처리장치(103)에서 처리, 저장하기 용이한 데이타로 변환하여 중앙처리장치(103)로 출력하며, 이 데이타는 데이타메모리(104)에 저장된다.

    제3도는 제1도의 송신장치에서 본 발명을 실현하는 무선송신부(500A)의 구성을 좀더 상세하게 나타낸 블럭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선송신부(500A)는 마이크로컴퓨터(100A)내의 통신인터페이스부(109)를 통해 출력된 데이타코드를 고주파 발진부(502A)로 전달할때 주파수 변조를 위한 가변리액턴스부(501A)와, 송신주파수로 발진하여 가변리액턴스부(501A)를 통해 변조된 데이타코드를 고주파에 싣는 고주파 발진부(502A)와, 고주파 발진부(502A)에서 출력된 고주파 신호를 전력 증폭하는 고주파 증폭부(503A)와, 고주파 증폭부(503A)에서 출력된 신호중 소정대역의 신호만을 필터링하여 안테나로 출력하는 고주파 필터부(504A)로 구성된다.

    여기서, 송신장치의 나머지 블럭들의 구성과 같은 동작은 제1도에 도시된 동일부호의 블럭들과 동일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송신장치의 동작을 보면, 평상시에는 시계장치의 기본기능을 수행하므로 이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모니터모드에서 키입력부(200A)의 온/오프버튼(203)을 이용하여 모니터 온명령을 마이크로컴퓨터(100A)로 주게 되면, 중앙처리장치(103)는 모니터모드에서 입력되어 저장되어 있는 비밀번호, 예를 들어 4자리의 10진수 숫자로 이루어진 비밀번호를 데이타메모리(104)로부터 읽어들인다.

    다음에, 중앙처리장치(103)는 상기 비밀번호를 통신인터페이스부(109)로 출력하고, 통신인터페이스부(109)는 상기 비밀번호를 데이타코드로 변환하여 무선송신부(500A)의 가변리액턴스부(501A)로 출력한다.

    상기 가변리액턴스부(501A)를 거친 비밀번호 데이타는 고주파 발진부(502A)로 인가되고, 고주파 발진부(502A)는 송신주파수로 발진하여 발진된 주파수 신호에 상기 비밀번호 데이타를 싣게 된다.

    이 고주파신호는 고주파 증폭부(503A)로 인가되어 전력 증폭되고, 다시 고주파 필터부(504A)로 인가되어 소정대역의 신호만이 필터링됨으로써 대역이 제한된 상태로 안테나로 출력되며, 이러한 송신동작이 일정한 주기로 반복된다.

    제4도는 제1도의 수신장치에서 본 발명을 실현하는 무선수신부(500B)의 구성을 좀더 상세하게 나타낸 블럭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선수신부(500B)는 안테나로 수신된 고주파신호를 임의의 레벨로 증폭하는 고주파 증폭부(501B)와, 고주파 증폭부(501B)에서 출력된 신호중 소정대역의 신호만을 필터링하여 출력하는 고주파 필터부(502B)와, 고주파 필터부(502B)에서 출력된 고주파신호와 발진기(503B)에서 출력된 국부발진주파수를 혼합하는 혼합기(504B)와, 상기 혼합기(504B)에서 출력된 중간주파신호중 일정대역의 주파수만을 필터링하는 중간주파 필터부(505B)와, 상기 중간주파 필터부(505B)에서 출력된 중간주파신호의 진폭을 제한하고 노이즈를 제거하는 리미터(506B)와, 상기 리미터(506B)에서 출력된 중간주파신호로부터 데이타를 검파하는 검파기(507B)와 검파기(507B)에서 출력된 데이타의 파형을 정형하여 마이크로컴퓨터(100B)로 출력하는 신호정형부(508B)와 , 상기 리미터(506B)에서 출력된 중간주파신호를 설정된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비교결과를 검파기(507B)와 신호정형부(508B)에 전달하는 비교기(509B)로 구성된다.

    여기서, 수신장치의 나머지 블럭들의 구성과 같은 동작은 제1도에 도시된 동일부호의 블럭들과 동일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수신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시계로부터 송신된 전파가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면, 수신된 고주파신호는 고주파 증폭부(501B)에 의해 증폭된 후, 고주파 필터부(502B)를 거침으로써 소정대역의 신호만이 필터링되어 혼합기(504B)로 인가된다.

    혼합기(504B)에서는 상기 고주파신호에 발진기(503B)에서 출력된 국부발진주파수를 혼합하여 중간주파신호로 만들고, 상기 중간주파신호는 중간주파 필터부(505B)로 인가되어 필터링된 후 리미터(506B)로 인가되며, 리미터(506B)는 입력된 중간주파신호의 진폭을 일정하게 제한하고 상기 중간주파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한 후 출력하게 된다.

    상기 리미터(506B)에서 출력된 중간주파신호는 검파기(507B)와 비교기(509B)로 각각 인가되는데, 상기 검파기(507B)는 입력된 중간주파신호로부터 데이타를 검파하여 신호정형부(508B)로 출력하게 되고, 신호정형부(508B)는 상기 데이타의 파형을 마이크로컴퓨터(100B)에서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정형하여 마이크로컴퓨터(100B)내의 통신인터페이스부(109)로 출력하게 된다.

    비교기(509B)에서는 리미터(506B)로부터 인가된 중간주파신호를 설정된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노이즈인지 신호인지를 판정하는데, 입력신호가 노이즈로 판정될 경우에는 검파기(507B)와 신호정형부(508B)로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블럭들이 동작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마이크로컴퓨터(100B)에 노이즈가 입력되지 않도록 한다.

    마이크로컴퓨터(100B)내에 있는 통신인터페이스부(109)로 입력된 비밀번호 데이타는 처리 및 기억하기가 용이한 데이타로 변환되어 중앙처리장치(103)로 인가되고, 중앙처리장치(103)의 제어에 따라 데이타메모리(104)에 저장된다.

    중앙처리장치(103)는 다시 수신된 비밀번호 데이타와 모니터모드에서 입력 및 저장된 비밀번호를 데이타메모리(104)로부터 읽어내어 서로 비교하고, 두 비밀번호 데이타가 같을 경우에는 다음 비밀번호 데이타가 수신될때까지 기본 시계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두 비밀번호 데이타가 다르거나, 일정시간동안 수신된 비밀번호 데이타가 없을 경우 중앙처리장치(103)는 출력제어부(102)를 통해 경보음 발생부(600B)를 구동시켜 경보음을 송출하고, 표시제어부(107)를 통해 표시부(400B)를 제어하여 상기와 같은 상태를 표시해주게 된다.

    제5도는 본 발명을 적용시킨 미아방지용 시계의 외부 구조예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키입력부의 버튼들과 표시부의 액정표시판넬의 위치를 도시하였다.

    여기서, 부호 201-204는 키입력부의 기능선택버튼들로서, 모드변환 및 데이타수정을 행하기 위한 자리이동을 지정하는 모드버튼(201)과, 각 모드에서의 데이타수정 및 수정해제기능을 수행하는 수정/해제버튼(202)과, 모니터모드와 알람모드에서는 온/오프기능을, 시계모드와 카렌더(calender)모드에서는 램프 온/오프기능을 수행하는 온/오프버튼(203)과, 각 모드에서 데이타 수정시 1회에 하나씩 데이타를 증가시키는 카운트업(count-up)버튼(204)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키입력부의 버튼들의 기능을 제6도의 기능변환 설명예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먼저, 수정/해제버튼(202)을 눌러 수정모드가 되도록 한 상태에서 모드버튼(201)을 누르면 시간수정모드가 되고, 다시 모드버튼(201)을 누를때마다 디지트(digit)가 이동되면서 모니터수정모드, 카렌더수정모드, 알람수정모드, 시간수정모드로 모드가 바뀌게 된다.

    상기 각 모드에서 카운트업버튼(204)을 누르면, 상기 버튼(204)을 누를때마다 데이타가 하나씩 증가되므로 필요한 횟수만큼 버튼(204)을 눌러 데이타를 수정하고, 데이타의 수정이 끝난 상태에서 다시 수정/해제버튼(202)을 누르면 수정해제모드로 전환된다.

    이 상태에서 모드버튼(201)을 누르면 상기 버튼(201)을 누를때마다 모드가 시간모드, 모니터모드, 카렌더모드, 알람모드, 시간모드의 순서로 바뀌게 되고, 상기 모니터모드와 알람모드에서 온/오프버튼(203)을 누르면 상기 모니터기능과 알람기능이 온 또는 오프상태로 전환되며, 시간모드와 카렌더모드에서 온/오프버튼(203)을 누르면 램프며 켜지게 된다.

    상기 제5도에서 부호 AC는 표시부의 액정표시판넬을 나타낸 것으로, 현재의 시간을 표시하는 부분(A)과, 현재의 요일을 표시하는 부분(B)과, 모니터 온/오프를 표시하는 부분(C)등으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하기 쉬운 한쌍의 시계의 무선 송수신장치를 각각 내장하여 자시계에서 송출한 데이타를 모시계에서 수신하고 상기 시계를 휴대한 부모와 어린아이가 일정거리이상 떨어지면 경보음을 울려 이를 알려주므로 미아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부모와 어린아이가 함께 외출하는 경우에도 부모가 지속적으로 어린아이들을 감시할 필요가 없으므로 다른 일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부피가 큰 마이크나 스피커를 사용하지 않고 무선 송수신장치를 시계에 내장하였으므로 소음으로 인한 악영향을 없앨 수 있고, 전지소모나 혼신에 따른 미아발생의 위험성을 최소화하여 휴대 및 사용이 간편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간호인과 환자가 하나씩 착용하여 환자의 외출을 감시할 수도 있고, 물품의 주인이 모시계를 착용하고 자시계를 물품에 내장하거나 포함시켜 물품의 도난이나 분실을 방지할 수도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