首页 / 专利分类库 / 服装 / 衣服扣件;吊带 / 未列入其他类的衣服吊带 /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지면서 걸이끈의 탈착이 자유로운 의류용메달.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지면서 걸이끈의 탈착이 자유로운 의류용메달.

申请号 KR1020090053167 申请日 2009-06-16 公开(公告)号 KR1020100134836A 公开(公告)日 2010-12-24
申请人 최호영; 发明人 최호영;
摘要 PURPOSE: While being included of one body, the medal for the clothing in which for the gall, the desorption of string frees the desorption of the hanger string both ends. CONSTITUTION: The medal body(10) is that the penetration hole(12) is formed in top and bottom side(11a) of the girth(11) having the fixed thickness. It penetrates to center. The sticker is adhered in right and left edge(11b) of girth. The clip element(20) can attach and detaches in the penetration hole. In the clip element, the gall is formed in both ends of the string(40).
权利要求
  • 일정한 폭을 갖는 테두리의 상하변으로 메달몸체의 내측으로 관통되게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는 결합부와 해제부를 갖는 클립수단이 걸이끈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테두리의 좌우변으로는 브랜드가 형성되어진 스티커가 부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지면서 걸이끈의 탈착이 자유로운 의류용메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의 좌우변에는 단턱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지면서 걸이끈의 탈착이 자유로운 의류용메달.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의 클립요소가 결합된 메달몸체의 내측으로는 걸림단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지면서 걸이끈의 탈착이 자유로운 의류용메달.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요소는 걸림코를 갖는 결합부와 당김코를 갖는 해제부로 이루어져 탄력작동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지면서 걸이끈의 탈착이 자유로운 의류용메달.
  • 说明书全文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지면서 걸이끈의 탈착이 자유로운 의류용메달.{A tag for clothes}

    본 발명은 플라스틱으로 사출성형되는 의류용 메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달을 하나의 몸체로 성형한 후 걸이끈의 양단이 탈착이 가능토록 함으로서 메달 제작의 용이성과 사용의 편의성은 물론 사용후 걸이용 악세사리로 재사용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현재 플라스틱으로 사출 성형되어지는 의류용 메달의 대부분은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또는 원형의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대부분 2개의 몸체로 등분되어져 등분되어진 메달의 중간에 걸이끈을 위치시킨 후 등분된 메달을 접착이나 별도의 결합수단에 의하여 결합하여 사용하게 되고, 등분된 메달의 외측으로는 대부분 사용되는 의류의 브랜드가 구현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메달은 대부분 상품의 광고기능이 추가되어지면서 상당히 고급스럽게 제작되어짐으로 구매자들에게는 이들을 그냥 버리기가 매우 아까운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것을 걸이용의 악세사리로 재사용하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러한 방식이 대부분 하단의 걸이끈을 절단하여야 하나 이럴 경우에는 깔끔하게 절단이 불가능하여 악세사리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2개의 몸체로 성형하게 됨으로 생산이 비경제적이고, 또한 이러한 등분되어진 메달을 결합할 경우에는 텍의 사용을 위하여는 반드시 걸이끈의 양단이나 어느 일측은 메달몸체에 결합되어짐으로서 걸이끈이 메달에서의 탈착이 불가능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메달을 텍으로의 사용을 위하여 의류등에 걸어줄 경우에는 걸이줄의 양단이 모두 메달에 결합될 경우에는 반드시 별도의 고정핀 등이 사용되어야 하는 것이고, 반면 일측의 걸이끈 만이 결합될 경우에는 타측 단을 메달에 강제 결합토록 함으로서 별도의 걸이핀을 사용치 아니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것은 한번 결합 된 후에는 분리가 불가능하여 작업자가 잘못결합하였을 경우에는 절단하여 재사용이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또한 이렇게 등분된 메달은 하나의 몸체로 결합하기 위하여 접착일 경우에는 접착제의 사용에 의한 접착과 맞물림요소에 의한 결합일 경우에는 맞물림결합이후에 반드시 접착제를 동시에 사용하게 됨으로 결합작업에 상당히 어려움이 존재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몸체로 메달을 사출성형토록 한 후 상기 메달에 걸이끈의 양단이 탈착이 가능토록 함으로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토록 함은 물론 걸이용 악세사리로 사용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메달몸체를 플라스틱으로 사출성형함에 있어서 일정한 폭을 갖는 테두리와 상기 테두리의 상하변으로 관통된 홀과 관통된 홀이 형성된 테두리의 좌우변으로는 스티커를 접착하고, 상기 관통홀에는 끼움과 해제가 가능한 클립요소를 양단으로 구비한 걸이끈이 탈착이 가능하게 연결되어지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하나의 메달몸체에 걸이끈의 양단이 탈착이 가능하게 됨으로서 어떠한 형태에서도 재사용이 가능함은 물론 제작의 용이성과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하게 됨은 물론 사용후에는 각종 걸이용 악세사리로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일 실시 예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은 플라스틱으로 사출성형되어지는 일정한 형태와 넓이를 갖는 메달몸체(10)는 하나의 몸체만을 구현토록 한 후 일정한 두께를 갖는 테두리(11)의 상하변(11a)에 관통홀(12)이 형성되어 메달몸체(10)의 중앙으로 관통되고, 상기 테두리(11)의 좌우변(11b)으로는 스티커(30)를 접착하고, 상기 관통홀(12)에는 탈착이 가능하게 클립요소(20)가 걸이끈(40)의 양단에 형성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클립요소(20)의 탄성작동에 의하여 가압하기만 하면 탄성력에 의하여 가압되어지면서 결합하면 관통홀(12)에 결합되어져 있다가 해제하면 해제가 가능하게 되면서 사용후에 다른 용도로 재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관통홀에 결합된 클립요소가 삽입된 상태에서 걸림코가 관통홀의 내벽과 맞물림되면서 임의적으로 빠짐이 방지되는 것이고, 또한 전방으로 더 전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는 당김코를 형성하여 당김코에 의하여 관통홀에 걸림되어짐으로서 전진도 방지하게 되면서 당김코에 의하여 손톱등으로 잡아당겨 간단하게 해제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커(30)를 부착하게 되는 테두리(11)의 좌우변으로는 단턱면(13)을 형성함으로서 부착된 스티커(30)가 임의적인 이탈이 방지되어지면서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것이고, 이러한 단턱면(13)으로 관통홀(12)이 노출되어지면서 관통홀(12)에 결합되어진 클립요소(20)가 스티커(30)를 부착할 경우에 동시에 부착되어지면서 고정되어지는 것이다.

    이때 클립요소(20)는 상기 관통홀(12)에 끼움되어져 단턱면(13)으로 노출되어지게 결합부(21)를 갖고, 상기 결합부(21)의 후단으로는 해제부(22)를 형성하여 단턱면(13)으로 노출된 결합부(21)의 결합을 해제토록하는 것이고, 상기 클립요소(20)에는 걸이끈(40)이 일체로 연결되어지도록 한 것이다.

    이때 결합부에는 걸림코(21a)가 형성되는 것이고, 해제부(22)에도 당김코(22a)가 형성되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걸이끈(40)이 결합요소(20)와 일체로 사출성형토록 한 것이고, 이러한 방식은 인서트 사출성형으로 제조가 가능한 것이다.

    또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요소가 삽입되어지는 관통홀의 내측으로는 클립요소의 선단이 걸림되어져 더이상 진입되지 않도록 걸림단(15)을 형성하는 것 이다.

    또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11)의 단턱면(13)을 편심되게 형성한 후 깊게 형성된 테두리의 상변에 관통홀을 형성한 후 관통홀(12)과 직선방향으로 형성되는 단턱면(13)에는 클립요소(20)의 결합부(21)가 안착되어질 수 있는 내입홈(14)이 형성되고, 상기 내입홈(14)은 결합부(21)의 선단(21a)이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도록 걸림되어지게 하단이 막힌구조의 걸림턱(15)을 형성하여 클립요소(20)가 관통홀(12)에 삽입될 경우에 더이상 삽입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것이다.

    이때 클립요소의 결합부와 해제부는 가압에 의한 탄성력에 의하여 결합과 해제가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도시되어진 방법이외에 다양한 방식이 사용되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단턱면의 깊이는 단턱면에 부착되어지는 스티커의 두께와 연관되어지는 것이고, 스티커가 견고하게 결합되어질 수 있도록 일정한 폭을 형성하고, 단턱면의 내측은 공간으로 구현함으로서 저중량을 실현하면서 발향제의 내입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중앙부가 전후로 관통되어진 공간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어느 일측을 막힌 구조로 함으로서 다용도로의 메달로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달몸체의 일측이 막힌 상태에서 테두리의 상변에 관통홀을 형성할 경우에는 막힌 타측면으로 내입홈을 형성하여 방향제등을 수용토록 할 경우에는 또 다른 용도로의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메달몸체를 하나로 성형하면서 그 테두리의 상변에서 관통홀을 형성 한 후 관통홀에 삽입되어지는 걸이끈의 양단에 형성된 클립요소의 결합부가 삽입되어져 결합토록 하고, 해제할 경우에는 결합부의 탄성작동에 의한 해제부를 가압함으로서 간단하게 해제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클립요소가 결합된 상태도.

    도3은 본 발명의 클립요소가 더이상 전진하지 못하게 된 상태도.

    도4는 도3의 조립결합상태도.

    도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6은 도5의 조립도.

    도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단면도.

    도8은 도3의 단면도

    도9는 도1의 단면도.

    도10은 도5의 단면도.

    도11은 본 발명의 텍으로의 사용상태도.

    도12 및 도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용도로의 사용되는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메달몸체 20: 클립요소

    30: 스티커 40: 걸이끈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