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식자기의 모니터 표시방법

申请号 KR1019790004258 申请日 1979-12-04 公开(公告)号 KR1019830002790B1 公开(公告)日 1983-12-16
申请人 가부시키가이샤샤켄; 发明人 후세시게루; 오까다다다오끼;
摘要 A display method in a photograph typesetting machine comprises procedures that: 1. Taking the character image with a camera(18), 2. Encoding the image with a reading address signal, 3. Supply the writting address signal, which is the sum-value with the reading address signal and the position signal for the typesetting on the film, 4. Display the selected character image on the CRT that corresponds with the character on the tablet(4).
权利要求
  • 광학적 문자판(4)중에서 소망 문자를 선택하여, 그 문자상을 변배렌즈(5)를 구비하는 투영인자 광학계를 통하여 감광재 방향으로 향하게 하는 동시에, 전기한 문자상을 광학적 문자판(4)과 감광재(11)사이에 삽입한 모니터 촬상부(18)상에 투영하고, 그 투영한 문자상에 해당하는 화상신호를 판독 어드레스 신호에 따라 판독하고, 그 판독한 화상신호를 그리고, 전기한 판독 어드레스 신호와 감광재 상에 있어서의 소망인자 위치신호의 합신호에 상당하는 신호를 표시(써넣기)용 어드레스 신호로하여 모니터 표시부(27)에 공급하고, 전기한 광학적 문자판(4) 중에서 선택한 문자상을 전기한 소망 인자 위치에 대응시켜서 모니터 표시부(27)에 기억시켜 표시하도록 한 사진식자기에 있어서의 모니터 표시방법
  • 说明书全文

    사진식자기의 모니터 표시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표시한 개략도.

    제2도는 제1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각 신호의 관계를 표시한 도면.

    제3도는 감광재상에 인자되는 상태를 표시한 일예도.

    제4도는 촬상 관상에서의 투영문자상의 일예를 표시한 도면.

    제5도는 표시수단상에서의 표시상태를 표시한 일예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개략도.

    제7도는 다로다른 Q수의 정보에 따라 편향 표시된 경우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제8도 및 제9도는 인자 상태와 표시 상태와를 동일 스케일로 표시한 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광학적문자판을 문자 발생원으로 하는 사진식자기에서의 모니터 표시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감광재상에서의 인자상태의 도중 결과를 인자작업중에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동기 라고 불리우는 광학적 문자판을 문자 발생원으로 하는 사진식자기에 있어서, 인자작업중에 감광재 상에서의 인자되는 상태를 직접 파악하는 것은 원리적으로 곤란하고, 그 인자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면 편리한 것은 말할것도 없지만, 특히 여러가지의 크기가 다른 문자를 인자하는 소위 혼식인자나 단물(端物)인자, 또는 문자의 형상에 따라 적절하게 문자의 간격을 채워서 인자하는 채우기 인자등에 있어서는, 인자물 전체에서 받는 감각적 인상이 중요하고, 인자 작업중에 그 짜임새를 판단할 수 있게 하는 뜻에서도 인자 작업중에 있어서의 도중경과의 파악이 요망되었었다.

    이와같은 요청하에 연구된 종래의 사진식자기의 모니터 표시방법으로서는 예를들면, 투영인자 광학계중에 삽입한 하아프 밀터 등을 통하여 인자코저하는 문자상을 분기하고 파인티상에 표시되게 하는 것과, 또는 이미 인자한 문자와 다음에 인자코저 하는 문자를 음극선 표시관상의 미리 정해진 일정한 일정위치에 일정한 크기로 순차나 열로 표시하는 것이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방법중 전자의 것은 반투명 유리등으로 구성된 파인더 상에 문자상을 투영하기 때문에 이에 표시되는 문자상은 일과성의 것이고, 따라서 이미 인자가 끝난 문자에 대하여는 전혀 관계가 없게된다. 또 후자의 표시방법은 단순히 문자의 종류(어떤 글자인지)를 알 수 있을 뿐이고 이들의 각 문자의 상이 감광재상에서 실제의 인자위치와 크기 및 형상등에 있어서는 전혀 알 수 없으며, 예를들면 감광재상에서 정해지지 않은 위치에 인자해가는 경우에도 인자의 순서에 따라서 계열적으로 정해진 일정위치에 나열 표시되기 때문에 오히려 오조작을 초래할 위험성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지금부터 인자코저하는 문자, 또는 이미 인자가 끝난 각종 문자에 대한 감광재상에서의 실제에 인자 상태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한 모니터 표시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하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을 실시한 장치의 일예를 표시한 개략도이다. 제1도에 있어서 부호(1-17)부분은 광학적 문자판을 문자발생원으로 하는 방식의 사진식자기를 구성하는 공지의 부분인데, 이것을 간단히 설명하면, 광원(1)에서의 빛은 집광렌즈(2)와 프리즘(3)을 통하여 광학적 문자판(4)상에서 문자를 선택조사하고 그 조사된 문자 에서의 광속을 변배(變倍) 렌즈(5)와 변형렌즈(6) 및 프리즘(7), 셔터(8), 이동광학계(9)등의 투영인자 광학계를 통하여 감광재 드럼(10)상에 투영하고, 그에따라 드럼(10)상에 장전된 감광재(11)상에 바라는 문자상이 투영 인자된다. 또 부호(12)는 이동 광학계()에 부착된 구동용택이고, (13)및(14)는 이동광학계(9)및 감광재드럼(10)을 구동함에 의하여 감광재상에서의 인자위치를 이동 시키기 위한 구동원이며(15)는 바라는 변배렌즈(5)및 변형렌즈(6)를 선택하여 투영인자 광학계중에 위치시키기 위한 구동원이고, (16)은 바라는 렌즈의 선택 신호를 상기한 구동원(15)으로 줄력하는 렌즈 선택제어 회로이며, (17)은 별도로 도시하지 않은 회로에서 지령된 바라는 인자위치 신호에 따라서 상기한 구동원(13)및 (14)을 작동시키는 이송 제어회로이다.

    또 제1도에 있어서, (18)은 인자 코저하는 문자상의 크기에 비례하는 결상의 문자신호를 얻기 위하여 투영인자 광학계 중에 삽입한 모니터 촬상부인데, 예를들면, 하아프 밀터(19)와 결상렌즈(20)로된 모니터 광학계및 촬상관(21), 촬상관의 판독제어회로(22)등으로 되어 있다.

    부호(23)는 감광재(11)상에 있어서의 소망 인자위치 즉, 감광재(11)에 대한 투영인자 광학계의 상대 위치에 상당한 신호를 출력하는 인자위치신호 설정부인데, 예를들면, 상기한 구동원(13)및 (14)의 동작에 추종하여 진행하는 X위치 레지스터(24)와, Y위치 레지스터(25)를 구비하고 있다. 부호(26)는 상기한 촬상관(21)상에 투영된 문자상을 스케닝(scanning)하는데 필요한 판독 어드레스 신호를 출력하는 판독 어드레스 신호 발생부이다. 부호(27)는 음극선 표시관(CRT) 축적형 표시관 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 적당한 표시 수단(28) 및 필요에 응하여 리프레쉬 데모리를 구비하여 상기한 표시 수단(28)을 구동제어 하기위한 표시제어 회로(29)등으로 된 모니터 표시부이며, 상기한 모니터 촬상부(18)에서의 화상(畵像)신호를 수신함과 아울러 상기한 판독 어드레스 신호 발생부(26)에서 출력되는 어드레스 신호와 상기한 인자위치 신호 설정부(23)에서 출력되는 소망인자 위치 신호의 함신호(sum signal)를 표시(또는 글쓰기)용 어드레스 신호로서 수신하여 바라는 문자상을 표시수단(28)상의 소정위치에 표시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표시수단(28)으로서 전기한 비(非) 축적형의 음극선 표시관(CRT)을 채용할 때에 있어서, 리프레쉬 메모리에 대한 글쓰기의 제어는 본 발명의 경우, 축적형 표시관에 대한 글쓰기의 제어와 기본적으로 같으므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축적형 표시관을 표시 수단(28)으로서 이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상기한 모니터 촬상부(18)에서 화상 신호를 판독 할 때 에는 전술한 판독 어드레스 신호 발생부(26)에서의 신호를 아나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한 촬상관(21)을 직접 구동하도록 해도 좋고, 혹은 상기한 모니터표시부(27)의 동작과 동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촬상관의 판독 제어회로(22)내에 화상메모리를 설치하여 그 메모리에서 바라는 신호를 판독하도록 해도 좋다.

    제2도는 제1도에 표시한 실시예에서의 각 신호의 관계를 표시한 도면이다. 제3도는 감광재(11)상에서의 현재의 인자위치(A)의 좌표와, 이제부터 인자코저 하는 문자(점선으로 표시한 문자“ぁ”) 일예를 표시한 도면이고, 제4도는 촬상관(21)상에 투영되고 있는 문자 즉, 이제부터 인자하기 위하여 광학적 문자판(4)중에서 선택한 문자(실선으로 표시한 문자 “ぁ”)의 일예를 표시한 도면, 제5도는 표시수단(28)상에서의 표시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제3도 내지 제5도에 표시한 감광재(11)와 촬상관(21)및 표시수단(28)상의 스케일을 같은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예를들면, 제3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감광재(11)상의 좌표(Xa Ya)를 소망 인자위치(A)로 하여 문자“ぁ”를 인자코저 하는 경우, 상기한 바와같이 인자위치 신호 설정부(23)는 당해 소망인자 위치신호(제1도에 도시한바와 같이 이송제어 회로(17)와 인자 위치신호 설정부(23)가 연동하여 있는 경우는, 감광재(11)에 대한 투영인자 광학계의 현재위치에 추종한 신호)를 출력하고 있으므로, 제1도의 선(30)(31)에는 각각(Xa),(Ya)에 상당하는 신호가 출력되고, 또 촬상관(21)에는 제4도와 같이 문자 “ぁ”가 투영되고 있다. 또 제1도의 구성에 있어서 투영인자 공학계의 현재위치가 제3도의 (B)점으로 이동하면, 상기한 선(30)(31)에는 물론(Xb),(Yb)에 상당하는 신호가 출력하게 되어, 제2도에서는 전자의 경우를(A), 후자의 경우를(B)로 표시하고 있다.

    상기한 촬상관의 판독제어 회로(22)는 제2도에 표시한 바와같은 수평 및 수직의 어드레스 신호(ΔX), (ΔY)를 선(32)(33)을 통하여 상기한 판독 어드레스 신호 발생부(26)로 부터 수신함에 의하여, 촬상관(21)상에 투영되고 있는 문자상의 화상신호 IS를 선(34)을 통하여 표시부(27)에 출력표다. 그리고 상기한 어드레스 신호(ΔX)(ΔY)는 표시(써넣기)용 어드레스 신호 발생부(35)의 가산회로 (36)및 (37)에 있어서 상기한 선(30),(31)을 통하여 보내오는 소망인자 위치 신호(Xa),(Ya)에 가산되어 그 함 신호가 제2도에 표시한 표시(써넣기)용 어드레스 신호(Xd),(Yd)로서 모니터 표시부(27)에 공급된다. 그 모니터 표시부(27)내의 표시 제어회로(29)는 상기한 화상신호 IS 및 표시(써넣기)용 어드레스 신호(Xd),(Yd)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한 표시수단(28)을 구동하고, 이에 의하여 그 표시수단(28) 상에는 예를들어 제5도와 같이, 촬상관(21)에 투영되고 있는 문자와 동일한 문자가 감광재(11)에서의 소망 인자위치(A)와 대응하는 위치(A')에 나타나게 된다. 또, 표시 제어회로(29)가 전기와 같이 리프레쉬 메모리를 구비하고 비축적형의 음극선 표시관을 구동하는 경우는 일단 리프레쉬 메모리에 상기한 표시와 같은 써넣기가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감광재에 대한 투영인자 광학계의 인자 위치가 제3도의(B)점에 있는 경우에는, 표시수단(28)상에 있어서 상기한(B)점에 대응하는 (B')점을 기준으로 한 영역(38)내에 바라는 문자가 요시되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표시수단(28)상에 표시된 문자상은 감광재(11)에 대한 투영인자 광학계의 인자 위치에 대응한 위치에, 더구나 인자코저하는 문자의 크기와 형상과 완전히 같은 상태로 표시되기 때문에, 그와같은 조건으로 순자로 인자작업을 진행한 경우, 표시수단(28)상에서의 표시상태는 감광재 상에서의 인자 상태를 충실하게 재현하는 것이 되어, 인자작업중에 그 인자 상태를 직접 파악할 수 있다는 큰 효과를 얻게된다. 제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개략도 인데, 모니터 촬상부(18)가 광학적 문자판(4)과 변배렌즈(5)사이에 설치되고 있는 점과 인자 문자의 크기(통상적으로 문자의 크기는 Q수로 표시함)에 관한 Q수 정보 설정부(61)가 새로이 설치되고 있는 점이 제1도의 실시예와 다르게 되어 있고, 이에 관련하여 표시(써넣기)용 어드레스 신호 발생부(35)의 동작도 일부 다르게 되어 있다.

    상기한 Q수 정보 설정부(61)는 현재 투영인자 광학계중에 삽입되어 있는 변배렌즈(5)에 해당하는 Q수 정보를 예를들면 상기한 렌즈선택회로(16)로 부터 수신하여 설정하고, 그 정보 Q를 선(62)을 통하여 출력하고 있다. 또 제6도의 실시예에서는 모니터 촬상부(18)가 변배렌즈(5)보다도 문자판(4)측에 설치되고 있으므로, 변배렌즈(5)의 종류에는 관계가 없다. 즉 환언하면 감광재상에 투영인자되는 문자상의 크기에는 관계없고, 항상 일정한 크기의 문자상이 촬상관(21)상에 투영되는 고로, 그 점에 있어서도 제1도의 실시예의 경우와 크게 다르게 되어 있다.

    상기한 표시(써넣기)용 어드레스 신호발생부(35)내에 설치한 비례회로(63)는 선(32)(33)을 통하여 촬상관의 판독제어회로(22)로 공급되는 상기한 어드레스 신호(ΔX)(ΔY)와 대를 같이하고, 또 그 진폭이 Q수 정보의 값Q(즉 인자문자의 크기)에 비례한 어드레스 신호(ΔX') 및 (ΔY')를 상기한 가산회로(36),(37)에 공급한다.

    따라서 상기한 어드레스 신호(ΔX') 및 (ΔY')에 따라 써넣고 표시한 경우에 얻어지는 문자상의 상태는 제7(a)도, 제7(b)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각각 해당하는 Q수의 값 Q1 및 Q2에 비례한(즉, 감광재상에서의 투영문자상의 크기와 같음)크기의 문자상이 된다.

    그리고 상기한 비례회로(63)에서 출력된 전기한 어드레스 신호(ΔX')(ΔY')는 가산회로(36)(37)에 있어서 인자위치 신호 설정부(23)에서의 신호에 가산되어, 그 합 신호가 표시(써넣기)용 어드레스 신호(Xd')(Yd')로서 모니터 표시부(27)에 공급된다.

    따라서, 이와같은 제6도의 구성에 있어서, 예를들면 제8도와 같이 감광재(11)상의 좌표(Xc,Yc)인 위치(C)를 광학계의 투영인자 위치로 하여 Q1급인 크기를 가진 문자 “ぁ”를 인자한 경우에, 표시수단(28)상에는 제9도와 같이 상기한 인자위치(C)와 대응하는 위치(C')에 제7(a)도와 같은 문자상이 표시된다. 또 인자위치가 (D)점에 있는 경우에는, 그 위치(D)에 대응하는 (D')점을 기준으로 하여 바라는 문자상이 표시되어, 결국 인자상태와 완전히 같은 표시가 표시수단(28)상에서 얻어지게 된다.

    이와같이 제6도의 실시에는 변배렌즈(5)의 앞면에 모니터 촬상부를 설치하고, 그 모니터 촬상부에 투영되는 문자상과 실제로 인자되는 문자상의 크기가 다르게 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항상 인자상태와 동일한 표시가 얻어지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제6도에 표시한 표시(써넣기)용 어드레스 발생부(35)의 구성은 단순히 1예를 표시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요컨데, 모니터 촬상부(18)에 공급되는 판독 어드레스 신호(ΔX)(ΔY)와 소망인자위치 신호를 가산할 때에, 상기한 어드레스 신호의 진폭을 Q수정보 Q에 비례시킨 표시(써넣기)용 어드레스 신호(Xd')(Yd')가 얻어질 수 있게 하면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 제6도에 관련된 이상의 설명에서는, 변형렌즈(6)에 의하여 상(像)이 변형되는 경우에 대하여 언급이 없었으나, 이 경우에도 주지되고 있는 변형문자 신호 발생회로를 상기한 비례회로(63)의 앞면 또는 후면등에 적절히 삽입하여, Q수정보 설정부(61)에 변형렌즈 정보도 가하게 함으로써 대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1도 및 제6도에 표시한 구성은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예를 표시한 것이고, 예를들면, 이동광학계(9)를 폐지하여 감광재 드럼(10)을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거나, 혹은 모니터 촬상부(18)를 투영 인자광학계에 대하여 출입가능하게 하거나, 또는 촬상관(21)을 고체 촬상소자로 하는등,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함이 없이 여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한 촬상관의 판독제어 회로(22)내에 적당한 화상 메모리를 설치하고, 촬상관(21)에 투영된 문자상을 일단 그 회상 메모리에 기억시키고 적당한 화상신호를 판독하게 하면, 표시수단(28)상에 표시한 문자상에 결함이 있는 경우에도, 그 화상 메모리에서의 신호에 따라 결함있는 문자에 관한 기억 및 표시만을 확실하게 소각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결함있는 문자에 관한 기억 및 표시만을 소거한 후, 근소하게 소망인자 위치를 변위해서 재차 전술한 바와 같은 모니터 표시 동작을 실시하도록 하면, 이미 인자가 끝난 문자의 표시는 고정한채, 이제부터 인자코저 하는 문자를 임의 소망의 위치에 이동 표시하는 일도 실시가 가능하게 된다. 물론, 이때 이미 인자가 끝난 문자는 축적형 표시관 또는 리프레쉬 메모리에 고정되어서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들 인자가 끝난 문자와 이제부터 인자코저 하는 문자의 위치, 관계(레이 아우트)를 보면서, 다음에 인자코저 하는 문자의 위치, 크기등을 디자인 할 수가 있다.

    또한, 제1도에서의 이송 제어회로(17)와 인자위치 신호설정부(23)의 동작을 떼어서, 외부로 부터 별도소망의 인자위치 신호를 전기한 레지스터(24),(25)에 설정하도록 하면, 전기한 모니터 촬상부(18)에서 촬상한 문자상을 외부로 부터 설정한 소망의 인자위치에 표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이상 상세히 기술한 바와같이, 광학적 문자판중에서 소망 문자를 선택하여 그 문자상을 변배렌즈를 구비하는 투영인자 광학계를 통하여 감광제 방향으로 향하게하는 동시에 : 전기한 문자상을 전기한 광학적 문자판과 감광재 사이에 삽입한 모니터 촬상부상에 투영하고 : 이 투영한 문자상에 해당하는 화상신호를 판독 어드레스 신호에 따라 판독하고 : 그 판독한 화상신호를 그리고 전기한 판독 어드레스 신호와 전기한 감광재상에 있어서의 소망 인자 위치 신호의 합신호에 상당하는 신호를 표시(써넣기)용 어드레스 신호로 하여 모니터 표시부로 공급하고 : 전기한 광학적 문자판 중에서 선택한 문자상을 상기한 소망인자 위치에 대응시켜서 모니터 표시부에 기억시켜 표시하도록 하고 이에 의하여 감광재 상에서의 인자상태의 레이아우트� �� 인자 작업중에 볼 수 있도록 하여 오식(誤植)에 수반되는 쓸데없는 작업의 방지, 작업성의향상, 감각적인 인자를 전체의 레이 아우트 설계의 실행등에 이바지 하는 것이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