首页 / 专利库 / 电脑编程 / XML用户界面语言 / 확장성 마크업 언어 문서 저장 관리 방법 및 이 방법을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된 소프트웨어가 저장된 매체

확장성 마크업 언어 문서 저장 관리 방법 및 이 방법을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된 소프트웨어가 저장된 매체

阅读:794发布:2020-12-10

专利汇可以提供확장성 마크업 언어 문서 저장 관리 방법 및 이 방법을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된 소프트웨어가 저장된 매체专利检索,专利查询,专利分析的服务。并且PURPOSE: A method for storing and managing an extendable mark-up language document and a medium storing a software being programmed for performing the method are provided to store and search a XML document as a database form through an interface by linking to all existing database schemata by performing a mapping between the used database schema structure and a DTD document defining a XML document structure. CONSTITUTION: A network connecting unit of a XML repository program for a user terminal controls a network adapter of a user terminal and connects to a server through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S210). If the user selects a menu for storing a XML document previously prepared on a user interface screen in a database, a browser controls a display of a user interface screen and reads a XML document wanted by a user(S220), and judges whether the user selects a XML document(S230). A XML processing unit analyzes a DTD of a XML document to be transmitted from a user terminal and a DTD managing unit judges whether the DTD of the XML document is the DTD being stored in a DTD repository of the server(S240). If the user selects a predetermined node in a tree structure of a DTD using a keyboard or a mouse, a browser displays contents of DTD of a node of a DTD tree selected by a user on a user interface screen(S250). The browser displays DMD list transmitted from a server on a user interface screen(S260) and controls the display for making the user select each DMD item(S270). The browser checks whether the user selects a displayed item(S280), and outputs a transmission request of DMD contents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The network connecting unit of a XML repository program transmits DMD contents information to an interface unit(S290). The browser controls the display for selecting a storage of a XML document(S300). The XML processing unit reads and maps DMD contents information and stores the information in the database(S310).,下面是확장성 마크업 언어 문서 저장 관리 방법 및 이 방법을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된 소프트웨어가 저장된 매체专利的具体信息内容。

  • 이용자가 이용자 단말기를 서버에 접속시켜 이 서버에서 제공되는 소정의 확장성 마크업 언어의 문자원형정의와 소정의 데이터베이스를 선택하고 선택된 확장성 마크업 언어의 문자원형정의와 선택된 데이터베이스의 스키마간에 매핑룰을 정의하는 문서매핑정의를 생성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서 생성된 문서매핑정의를 수신받아 저장하는 문서매핑정의등록스텝과,
    이용자가 이용자 단말기를 상기 서버에 접속시켜 이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문서매핑정의를 선택하고 미리 작성된 소정의 확장성 마크업 언어 문서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확장성 마크업 언어 문서를 정보통신망을 통해 수신받아 이를 상기 이용자가 선택한 문서매핑정의에 따라 매핑하여 데이터베이스로 변환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저장스텝과,
    이용자가 이용자 단말기를 상기 서버에 접속시켜 이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문서매핑정의를 선택하고 검색조건을 입력하여 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이용자가 선택한 문서매핑정의의 이름과 검색조건을 수신받아 수신된 검색조건과 문서매핑정의에 부합하는 확장성 마크업 언어 문서의 목록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이를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이용자단말기는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확장성 마크업 언어 문서의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데이터베이스검색스텝 및,
    이용자가 상기 데이터베이스검색스텝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확장성 마크업 언어 문서의 목록에서 소망하는 확장성 마크업 언어 문서를 선택하고 저장을 선택하면 상기 서버는 이 이용자가 선택한 확장성 마크업 언어 문서의 이름을 수신받아 수신된 이름의 확장성 마크업 언어 문서의 데이터베이스를 상기 데이터베이스검색스텝에서 이용자가 선택한 문서매핑정의에 따라 매핑해서 확장성 마크업 언어 문서로 변환하여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이용자 단말기는 상기 서버로부터 전달된 확장성 마크업 언어 문서를 저장하는 문서저장스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성 마크업 언어 문서 저장 관리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매핑정의등록스텝에서 문서매핑정의를 생성하는 과정은,
    이용자가 선택한 문자원형정의를 상기 이용자단말기 상에 트리구조로 디스플레이하는 스텝과,
    이용자가 선택한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을 상기 이용자단말기 상에 필드단위로 디스플레이하는 스텝과,
    이용자가 상기 문자원형정의 트리구조에서 소정의 노드를 선택하고 그에 대응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의 소정 필드를 선택하여 매핑룰의 적용을 지시하면 상기 문자원형정의 트리구조 중 선택된 노드와 상기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의 필드 중 선택된 필드가 하나의 매핑룰로 정의되는 노드별 매핑룰정의스텝과,
    상기 노드별 매핑룰정의스텝에서 이용자가 상기 문자원형정의 트리구조에서 차례로 다른 노드를 선택하고 그에 대응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의 소정 필드를 선택하여 매번 매핑룰의 적용을 지시하는 반복스텝과,
    이용자가 문서매핑정의의 생성을 선택하면 상기 노드별 매핑룰정의스텝과 상기 반복스텝에서 정의된 각 매핑룰을 하나로 모아 문서매핑정의를 생성하는 문서매핑정의생성스텝과,
    상기 생성된 문서매핑정의에 대한 내용을 상기 이용자 단말기를 통해 디스플레이함과 더불어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 파일형태로 저장하는 스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성 마크업 언어 문서 저장 관리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매핑정의등록스텝에서 문서매핑정의를 상기 서버에 저장할 때,
    이용자가 상기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할 문서매핑정의의 이름을 입력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스텝과,
    상기 서버에서 상기 이용자가 입력한 문서매핑정의의 이름과 동일한 이름이 존재하는지를 검색하는 스텝과,
    상기 이용자가 입력한 문서매핑정의의 이름과 동일한 이름이 서버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서 생성된 문서매핑정의가 상기 서버로 전송되어 상기 서버에 저장되는 스텝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성 마크업 언어 문서 저장 관리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매핑정의등록스텝에서는, 확장성 마크업 언어의문자원형정의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부터 제공받기 이전에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확장성 마크업 언어의 문자원형정의를 검색하여 검색된 확장성 마크업 언어의 문자원형정의에 대한 목록을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스텝을 더 수행하여,
    이용자가 매핑룰의 지정을 위해 선택한 문자원형정의가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확장성 마크업 언어의 문자원형정의와 중복되면 이용자가 이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문자원형정의와 서버에 저장된 문자원형정의를 선택할 수 있게 하고 이용자가 선택한 문자원형정의를 이용해 매핑룰을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성 마크업 언어 문서 저장 관리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저장스텝은,
    이용자가 이용자 단말기를 상기 서버에 접속시키는 스텝과,
    이용자가 선택한 미리 작성되어 있던 소정의 확장성 마크업 언어 문서를 상기 이용자단말기로부터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스텝과,
    상기 서버는 상기 이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확장성 마크업 언어 문서의 문자원형정의를 분석하여 분석된 상기 확장성 마크업 언어 문서의 문자원형정의가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것인지를 판단하는 문자원형정의판단스텝과,
    상기 문자원형정의판단스텝에서의 판단결과 서버에 등록된 문자원형정의인 경우 해당 문자원형정의의 내용과 이 문자원형정의와 관련된 문서매핑정의의 목록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이용자단말기로 전송하는 스텝과,
    상기 서버로부터 전달된 문자원형정의의 내용과 문서매핑정의의 목록을 상기 이용자단말기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스텝과,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문서매핑정의의 목록 중 이용자가 선택한 문서매핑정의의 내용을 상기 서버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이용자단말기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이용자가 선택한 문서매핑정의의 이름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스텝과,
    상기 서버는 상기 이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이름의 문서매핑정의에 따라 상기 확장성 마크업 언어 문서를 매핑하여 데이터베이스형태로 변환하고 이를 저장하는 스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성 마크업 언어 문서 저장 관리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검색스텝은,
    이용자가 이용자단말기를 상기 서버에 접속시키는 스텝과,
    상기 이용자단말기가 상기 서버로부터 문자원형정의의 목록을 전송받아 이를 디스플레이하는 스텝과,
    이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목록에서 소정의 문자원형정의를 선택하면 상기 이용자단말기는 상기 이용자가 선택한 문자원형정의와 관련되는 문서매핑정의의 목록을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받아 이를 디스플레이하는 스텝과,
    이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목록 중 소정의 문서매핑정의를 선택하고 검색조건을 입력하면 이용자가 입력한 검색조건과 문서매핑정의의 이름이 상기 서버로 전송되는 스텝과,
    상기 서버가 상기 이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검색조건과 문서매핑정의의 이름에 부합하는 확장성 마크업 언어 문서의 목록을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상기 이용자단말기로 전송하는 스텝과,
    상기 이용자단말기는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확장성 마크업 언어 문서의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스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성 마크업 언어 문서 저장 관리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검색스텝은, 이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목록에서 소정의 문자원형정의를 선택하면 이용자단말기를 통해 상기 선택된 문자원형정의의 내용을 트리구조로 디스플레이하는 스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성 마크업 언어 문서 저장 관리방법.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조건으로는, 상기 문자원형정의의 내용을 나타내는 트리구조에서 소정의 노드명 또는 소정의 확장성 마크업 언어 문서의 파일이름을 선택 입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성 마크업 언어 문서 저장 관리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저장스텝은,
    상기 데이터베이스검색스텝에서 검색되어 이용자단말기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확장성 마크업 언어 문서의 목록 중 이용자가 선택한 확장성 마크업 언어 문서의 이름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스텝과,
    상기 서버는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이름에 따라 상기 이용자가 선택한 확장성 마크업 언어 문서의 데이터베이스정보를 이와 관련된 문서매핑정의에 따라 매핑하여 원래의 확장성 마크업 언어 문서로 변환하여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스텝과,
    상기 이용자 단말기는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확장성 마크업 언어 문서를 저장하는 스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성 마크업 언어 문서 저장 관리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저장스텝은, 확장성 마크업 언어 문서의 목록 중 이용자가 선택한 확장성 마크업 언어 문서의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트리구조로 나타내는 스텝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성 마크업 언어 문서 저장 관리방법.
  • 제 1 항 내지 제 10 항의 확장성 마크업 언어 문서 저장 관리방법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된 소프트웨어가 저장된 매체.
  • 说明书全文

    확장성 마크업 언어 문서 저장 관리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된 소프트웨어가 저장된 매체 {Method for memorizing and managing of extensible markup language type document and medium for memorizing software programmed to perform the method}

    본 발명은 확장성 마크업 언어 문서 저장 관리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된 소프트웨어가 저장된 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확장성 마크업 언어로 작성된 문서를 다양한 스키마 구조의 데이터베이스로 자유롭게 저장 및 검색할 수 있는 확장성 마크업 언어 문서 저장 관리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된 소프트웨어가 저장된 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크 업 언어(Markup Language)는 그 파일이 프린터로 출력되거나 화면에서 어떻게 보여야할 것인지를 나타내기 위해 특정위치에 삽입되는 일련의 문자들이나 기호들을 말하는 것으로, 널리 알려진 마크 업 언어로는 SGML(Standard Generalized Markup Language)과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이 있다.

    상기 SGML은 주로 멀티미디어 전자문서를 이(異) 기종 시스템들 간에 정보의 손실 없이 효율적으로 전송, 저장 및 자동 처리하기 위한 마크 업 언어이며, 상기HTML은 주로 인터넷(Internet)상에서 이용되는 하이퍼미디어(Hyper media) 문서를 기술하기 위한 마크 업 언어이다.

    그런데, SGML은 다양한 기능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이 어렵고 문자원형정의(Document Type Definition; 이하, "DTD"라 한다)의 생성 및 이해가 쉽지 않는 단점이 있으며, HTML은 간단하고 사용하기 쉽지만 SGML에 의해 정의된 고정적인 마크업 언어인 관계로 웹(Web)이 지니고 있는 다양함이나 동적인 특성을 쉽게 반영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기존 마크 업 언어의 단점을 보안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 확장성 마크업 언어(eXtensible Markup Language; 이하 "XML"이라 한다)이며, 이 XML은 1996년 월드와이드웹컨소시엄(W3C)에서 제안되고 98년 봄 월드와이드웹컨소시엄에서 권장규격으로 채택된 차세대 인터넷 표준언어이다.

    상기한 XML은 HTML의 단순한 표현 기능을 개선하고 SGML의 실용적인 기능만을 모아 단순화한 메타언어로서, 호환성이 좋고 작성이 용이하며 데이터형식을 검증하기 위한 DTD와 이를 지원하는 도구들이 있고 태그(Tag)가 문서의 내용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어 XML 파일 자체가 하나의 잘 설계된 데이터베이스 역할을 할 수 있는 등의 장점으로 인해 현재 가장 각광받고 있는 인터넷 표준언어이다.

    이러한 XML로 작성된 문서를 저장 및 검색하는 XML 문서용 레포지토리 시스템은, 대략 2가지 형태가 개발되어 있는데, 이중 하나는 XML 문서의 구조에 기반하여 문서의 내용을 저장하는 방식으로 XML 분할 또는 비분할 방식으로 데이터베이스나 파일 시스템에 저장하였다가 XML 기반으로 삽입 및 삭제, 수정, 검색을 지원하는 시스템이고, 나머지 하나는 XML 문서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기 위해 새로이 데이터베이스를 만들고 새로 만들어진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에 같은 DTD를 갖는 XML문서를 저장하는 시스템이 있다.

    참고적으로, 레포지토리(Repository)는 하드웨어의 기억장치에 저장되는 논리적인 기억장소로, 데이터의 분배와 재사용성을 위해 프로젝트(Project)와 폼(Form)과 다이알로그(Dialog) 및 데이터모듈(Data Module) 등을 미리 등록해 놓은 집합으로 각 대상들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2종류의 XML 문서용 레포지토리 시스템 중 후자의 XML 문서용 레포지토리 시스템이 본 발명과 관련되는데, 종래에는 XML문서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의 스키마(Scheme)구조가 다를 경우 이전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사용하지 못하거나 기존에 구축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새 데이터베이스로 이동(Migration)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사용이 간편한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XML문서를 데이터베이스형태로 저장할 때 기존에 구축하여 사용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의 스키마 구조와 XML 문서의 구조를 정의하는 DTD 문서간의 매핑을 수행함으로써, 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어떤 스키마종류의 데이터베이스와도 연동되어 저장 및 검색을 수행할 수 있는 확장성 마크업 언어 문서 저장 관리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된 소프트웨어가 저장된 매체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의 개략적인 블록구성도,

    도 2는 서버용의 확장성 마크업 언어 문서용 레포지토리 관리 프로그램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이용자단말기용의 확장성 마크업 언어 문서용 레포지토리 관리 프로그램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확장성 마크업 언어 문서 저장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용자 인터페이스화면을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서버 20-1∼20-n: 이용자단말기

    30: 정보통신망 100: 서버용 XML 레포지토리 프로그램

    110, 210: 네트워크접속부 120, 220: 인터페이스부

    130: XML 처리부 140: DTD 관리부

    150: DB 스키마 관리부 160: DMD 관리부

    170: 데이터베이스 관리부 180: 데이터베이스부

    200: 서버용 XML 레포지토리 프로그램 230: 브라우져

    240: DMD 분석/생성부 250: 입력부

    260: 출력부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용자가 이용자 단말기를 서버에 접속시켜 이 서버에서 제공되는 소정의 확장성 마크업 언어의 문자원형정의와 소정의 데이터베이스를 선택하고 선택된 확장성 마크업 언어의 문자원형정의와 선택된 데이터베이스의 스키마간에 매핑룰을 정의하는 문서매핑정의를 생성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서 생성된 문서매핑정의를 수신받아 저장하는 문서매핑정의등록스텝과, 이용자가 이용자 단말기를 상기 서버에 접속시켜 이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문서매핑정의를 선택하고 미리 작성된 소정의 확장성 마크업 언어 문서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확장성 마크업 언어 문서를 정보통신망을 통해 수신받아 이를 상기 이용자가 선택한 문서매핑정의에 따라 매핑하여 데이터베이스로 변환 저장하는 데� �터베이스저장스텝과, 이용자가 이용자 단말기를 상기 서버에 접속시켜 이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문서매핑정의를 선택하고 검색조건을 입력하여 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이용자가 선택한 문서매핑정의의 이름과 검색조건을 수신받아 수신된 검색조건과 문서매핑정의에 부합하는 확장성 마크업 언어 문서의 목록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이를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이용자단말기는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확장성 마크업 언어 문서의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데이터베이스검색스텝 및, 이용자가 상기 데이터베이스검색스텝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확장성 마크업 언어 문서의 목록에서 소망하는 확장성 마크업 언어 문서를 선택하고 저장을 선택하면 상기 서버는 이 이용자가 선택한 확장성 마크업 언어 문서의 이름을 수신받아 수신된 이름의 확장성 마크업 언어 문서의 데이터베이스를 상기 데이터베이스검색스텝에서 이용자가 선택한 문서매핑정의에 따라 매핑해서 확장성 마크업 언어 문서로 변환하여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이용자 단말기는 상기 서버로부터 전달된 확장성 마크업 언어 문서를 저장하는 문서저장스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성 마크업 언어 문서 저장 관리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확장성 마크업 언어 문서 저장 관리방법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된 소프트웨어가 저장된 매체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의 개략적인 블록구성도로서, 동도면을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는, 서버(10)와 이용자 단말기(20-1∼20-n)와 정보통신망(30)으로 구성된다. 서버(10)와 이용자 단말기(20-1∼20-n)는 모뎀(Modem) 또는 CSU(Channel Service Unit) 등 현재 알려진 다양한 장치 및 방법을 통하여 정보통신망(30)에 접속할 수 있으며, 이는 주지관용의 기술이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서버(10)는 정보통신망(30)을 통해 접속한 이용자의 XML 문서를 데이터베이스형태로 저장하고 검색하는 컴퓨터장치로, 도시되지 않은 메인프로세서와 네트워크어댑터와 디스플레이 어댑터와 주기억장치와 보조기억장치와 키보드 등의 조작장치 등 컴퓨터시스템의 통상적인 하드웨어와, 운영체계(Operating System) 등을 포함하며, 이러한 사항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주지관용의 기술이므로 별도의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이용자 단말기(20-1∼20-n)는 정보통신망(30)을 매개로 서버(10)에 접속하여 XML문서 및 이 XML문서의 데이터베이스화를 위한 정보를 전송하는 컴퓨터장치로, 정보통신망(30)을 통해 웹을 서핑하는 네티즌(Netizen)의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인 것이 일반적이나, 개인휴대단말기(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t)나 인터넷 전용 단말기 등 정보통신망(30)을 통해 서버(1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XML문서를 편집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종류의 단말기라도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이용자 단말기(20-1∼20-n)는, 도시되지 않은 메인프로세서와 네트워크어댑터와 디스플레이 어댑터와 주기억장치와 보조기억장치와 키보드 등의 조작장치 등 컴퓨터시스템의 통상적인 하드웨어와, 운영체계 등을 포함하며, 이러한 사항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주지관용의 기술이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정보통신망(30)은 서버(10) 및 이용자 단말기(20-1∼20-n)가 공통적으로 접속하여 상호간에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면 충분하며, 일예로, 상기한 정보통신망(30)은 인터넷(Internet)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서버(10)에는 정보통신망(30)을 통해 접속한 이용자의 XML문서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이를 저장하고 검색하는 서버용 XML 레포지토리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 서버용 XML 레포지토리 프로그램(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접속부(110)와 인터페이스부(120)와 XML 처리부(130)와 DTD 관리부(140)와 DB 스키마 관리부(150)와 DMD 관리부(160)와 데이터베이스관리부(170)와 데이터베이스부(180)의 각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네트워크 접속부(110)는 하드웨어 장치인 서버(10)의 네트워크어댑터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모듈이고, 상기 인터페이스부(120)는 네트워크접속부(110)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인터페이싱(interfacing)하는 소프트웨어 모듈이다.

    상기 XML 처리부(130)는 네트워크접속부(110)로부터 인터페이스부(112)를 매개로 전달된 정보를 DTD 관리부(140)와 DB 스키마 관리부(150)와 DMD 관리부(160)와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70)와 데이터베이스부(180)의 액세스를 제어함과 더불어, 네트워크접속부(110)로부터 인터페이스부(112)를 매개로 전달된 정보를 DTD 관리부(140)와 DB 스키마 관리부(150)와 DMD 관리부(160)와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70)와 데이터베이스부(180)로 각각 전달하고, DTD 관리부(140)와 DB 스키마 관리부(150)와 DMD 관리부(160)와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70)와 데이터베이스부(180)로부터 검색된 정보를 인터페이스부(120)를 매개로 네트워크접속부(110)로 전송하는 소프트웨어 모듈이다.

    상기 DTD 관리부(130)는 네트워크접속부(110)로부터 인터페이스부(112)를 매개로 전달된 검색요청에 따라 서버(10)의 소정의 기억장소에 저장되어 있는 DTD 양식을 읽어들여 인터페이스부(112)와 네트워크접속부(110)를 매개로 이용자측으로 전송하고 네트워크접속부(110)로부터 인터페이스부(112)를 매개로 전달된 DTD 양식을 서버(10)의 기억장소에 저장하는 소프트웨어 모듈이다.

    상기 DB 스키마(Data Base Schema) 관리부(150)는 네트워크접속부(110)로부터 인터페이스부(112)를 매개로 전달된 검색요청에 따라 서버(10)의 소정의 기억장소에 저장되어 있는 DTD 양식을 읽어들여 인터페이스부(112)와 네트워크접속부(110)를 매개로 이용자측으로 전송하고 네트워크접속부(110)로부터 인터페이스부(112)를 매개로 전달된 DTD 양식을 서버(10)의 기억장소에 저장하는 소프트웨어 모듈이다.

    상기 DMD 관리부(160)는 네트워크접속부(110)로부터 인터페이스부(112)를 매개로 전달된 검색요청에 따라 서버(10)의 소정의 기억장소에 저장되어 있는 DMD(Document Mapping Definition)를 읽어들여 인터페이스부(112)와 네트워크접속부(110)를 매개로 이용자측으로 전송하고 네트워크접속부(110)로부터 인터페이스부(112)를 매개로 전달된 DMD를 서버(10)의 기억장소에 저장하는 소프트웨어 모듈이다.

    상기 데이터베이스관리부(170)는 데이터베이스부(18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관리하고 네트워크접속부(110)로부터 인터페이스부(112)를 매개로 전달된 검색요청 및 XML 처리부(130)로부터 전달된 검색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부(180)로부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인터페이스부(112)와 네트워크접속부(110)를 매개로 이용자측으로 전송하거나 XML 처리부(130)로 전송하고, XML 처리부(130)로부터 전달되는 새로운 XML문서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데이터베이스부(180)에 추가하는 소프트웨어 모듈이다.

    또한, 상기 이용자 단말기(20-1∼20-n)에는 XML 문서와 DTD 양식과 DMD를 작성하기 위한 이용자단말기용 XML 레포지토리 프로그램(200)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이용자 단말기용 XML 레포지토리 프로그램(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접속부(210)와 인터페이스부(220)와 브라우져(230)와 DMD 분석/생성부(240)와 입력부(250) 및 출력부(260)의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네트워크 접속부(210)는 하드웨어 장치인 이용자 단말기(20-1∼20-n)의 네트워크어댑터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모듈이고, 상기 인터페이스부(220)는 네트워크접속부(210)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인터페이싱하는 소프트웨어 모듈이다.

    상기 브라우져(230)는 XML 문서와 DTD 양식과 DMD를 작성하기 위한 이용자 인터페이스화면을 생성하여 하드웨어장치인 이용자 단말기(20-1∼20-n)의 디스플레이어뎁터를 통해 이용자 인터페이스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소프트웨어모듈이다.

    상기 DMD 분석/생성부(240)는 서버(10)로부터 전달된 DTD의 트리구조를 출력부로 출력하고 매핑룰이 지정된 DMD를 생성하여 출력부(260)를 통해 출력함과 동시에 인터페이스부(112)와 네트워크접속부(110)를 매개로 서버(10)로 전송하는 소프트웨어 모듈이다.

    상기 입력부(250)는 하드웨어 장치인 이용자 단말기(20-1∼20-n)의 조작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이용자의 조작명령을 DMD 분석/생성부(240) 및 인터페이스부(220)로 전달하는 소프트웨어 모듈이다.

    상기 출력부(260)는 인터페이스부(200) 및 DMD 분석/생성부(240)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하드웨어장치인 이용자 단말기(20-1∼20-n)의 보조기억장치나 디스플레이어뎁터 또는 프린터 등으로 전달하는 소프트웨어 모듈이다.

    이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이용자가 이용자 단말기(20-1∼20-n 중 어느 하나로서 이하, 20-1로 한다)에서 DTD 양식 및 이 DTD 양식과 데이터베이스 스키마간의 매핑룰(Mapping Rule)을 정의하는 DMD를 작성하고 작성된 DMD 문서를 DTD 문서와 함께 서버(10)에 저장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용자가 이용자 단말기(20-1)를 작동시키고 운영체계와 이용자단말기용 XML 레포지토리 프로그램(200)의 실행을 선택하면 이용자 단말기(20-1)의 프로세서에 의해 XML 레포지토리 프로그램(200)이 실행된다. 참고적으로, 실제의 제어 연산은 하드웨어인 이용자 단말기(20-1)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나, 동작설명의 용이성을 위해 하기에서는 이용자단말기용 XML 레포지토리 프로그램(200)을 제어 연산의 주체로 하여 설명을 진행한다.

    상기 이용자 단말기(20-1)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 XML 레포지토리 프로그램(200)은 그 중 브라우져(230) 소프트웨어 모듈이 이용자 인터페이스화면을 생성하여 이를 하드웨어장치인 이용자 단말기(20-1)의 디스플레이어뎁터를 통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이용자 인터페이스화면은 이용자가 DTD와 DMD를 작성하고 DMD작성에 이용할 데이터베이스를 선택할 수 있게 된 것으로,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용자 인터페이스화면에는 서버(10)와의 접속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또는 조그만 팝업창(Pop up Window) 등이 포함되어, 이용자는 이를 통해 서버(10)와의 접속을 선택할 수 있다.

    이용자가 키보드나 마우스입력기 등의 조작수단을 통해 상기 이용자 인터페이스화면상에서 서버와의 접속을 선택하면 이용자의 조작명령이 이용자단말기용 XML 레포지토리 프로그램(200)의 입력부(250)를 통해 인터페이스부(220)로 입력되고, 인터페이스부(220)는 네트워크접속부(210)로 서버(10)와 접속하도록 지시하는 조작명령을 입력한다.

    상기 이용자단말기용 XML 레포지토리 프로그램(200)의 네트워크접속부(210)는 하드웨어장치인 이용자단말기(20-1)의 네트워크어뎁터를 제어하여 정보통신망(30)을 통해 서버(10)에 접속한다(S10).

    서버(10)에 접속되면 서버(10)로부터 로그인요청에 대한 데이터가 정보통신망(30)을 통해 이용자 단말기(20-1)로 전달되고, 상기 로그인요청에 따라 이용자 단말기용 XML 레포지토리 프로그램(200)의 브라우져(230)는 이용자 인터페이스화면 상에 팝업창 등으로 로그인을 위한 식별자와 비밀번호의 입력을 이용자에게 요청한다.

    이용자가 식별자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입력된 식별자와 비밀번호는 XML 레포지토리 프로그램(200)의 입력부(250)와 인터페이스부(220)로 입력되고 네트워크접속부(210)의 제어에 따라 이용자단말기(20-1)의 네트워크어뎁터와 정보통신망(30)을 매개로 서버(10)로 접속된다.

    서버(10)에서는 이용자 단말기(20-1)로부터 전달된 식별자와 비밀번호를 등록되어 있는 식별자와 비밀번호와 대조하여 일치하는 경우 로그인 성공으로 처리하여 이용자 단말기(20-1)의 접속을 허용하고, 서버(10)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를 허용한다.

    로그인이 성공된 경우 이용자 단말기용 XML 레포지토리 프로그램(200)의 브라우져(230)에서는 이용자 단말기(20-1)의 소정의 기억장소(예컨대, 하드디스크드라이브 등의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DTD 양식의 정보를 읽어들여 이용자 인터페이스화면 상에서 DTD 양식의 목록을 이용자 단말기(20-1)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이용자는 이용자 인터페이스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DTD 양식을 키보드나 마우스입력기 등의 조작장치를 통해 선택하게 되며(S20), 이용자 단말기용 XML 레포지토리 프로그램(200)의 브라우져(230)는 DTD 양식의 선택여부를 판단하여(S30), 판단결과 이용자가 DTD 양식을 선택하였으면 이용자가 선택한 DTD 양식이 서버에도 존재하는 지를 체크하기 위해 서버(10)에 저장된 DTD 목록의 전송요청을 인터페이스부(200)를 매개로 네트워크접속부(210)로 출력한다.

    상기 네트워크접속부(21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이용자 단말기용 XML 레포지토리 프로그램(200)의 브라우져(230)로부터 발신된 전송요청이 이용자단말기(20-1)의 네트워크어뎁터와 정보통신망(30)을 매개로 서버(10)로 전송된다.

    상기 서버(10)로 전달된 전송요청은 하드웨어인 서버(10)의 네트워크어뎁터로 수신된 다음 서버용 XML 레포지토리 프로그램(100)의 네트워크접속부(110)와 인터페이스부(120)를 매개로 DTD관리부(140)로 전달된다.

    DTD관리부(140)는 이용자측의 전송요청에 따라 서버(10)의 소정 기억장소 즉, 레포지토리에 저장되어 있는 DTD 양식의 목록을 읽어들여 이를 인터페이스부(120)를 매개로 네트워크접속부(110)로 전달하고, 네트워크접속부(110)는 DTD관리부(140)로부터 전달된 DTD 양식의 목록을 하드웨어장치인 서버(10)의 네트워크 어뎁터를 제어하여 정보통신망(30)을 통해 이용자 단말기(20-1)로 전송한다.

    상기 이용자 단말기(20-1)로 전달된 DTD 양식의 목록은 하드웨어장치인 네트워크어뎁터로 전달되고 이용자단말기용 XML 레포지토리 프로그램(200)의 네트워크접속부(210)는 네트워크어뎁터로 전달된 DTD 양식의 목록을 인터페이스부(220)로 전달하며, 브라우져(230)는 인터페이스부(220)로 전달된 DTD 양식의 목록에 상기 스텝(S20)에서 이용자가 선택한 DTD 양식의 파일 목록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이때, 브라우져(230)는 상기 스텝(S20)에서 이용자가 선택한 DTD 양식이 서버(10)에도 존재하면 이용자 인터페이스화면을 통해 이용자 단말기(20-1)에 저장되어 있는 DTD 양식을 사용할 것인지 서버(10)에 저장되어 있는 DTD 양식을 사용할 것인지를 이용자에게 질의하는 메시지창을 생성한다.

    다음, 브라우져(230)는 이용자가 선택한 장소에 저장되어 있는 DTD 양식을 읽어들이고 읽어들인 DTD 양식을 트리(tree) 형태로 이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다(S40)(도 7의 "ex1" 참조).

    그리고, 브라우져(230)는 서버(10)에 있는 데이터베이스부(180)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요청을 인터페이스부(200)를 매개로 네트워크접속부(210)로 출력한다.

    상기 네트워크접속부(21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이용자 단말기용 XML 레포지토리 프로그램(200)의 브라우져(230)로부터 발신된 데이터베이스 연결요청이 이용자단말기(20-1)의 네트워크어뎁터와 정보통신망(30)을 매개로 서버(10)로 전송된다(S50).

    상기 서버(10)로 전달된 전송요청은 하드웨어인 서버(10)의 네트워크어뎁터로 수신된 다음 서버용 XML 레포지토리 프로그램(100)의 네트워크접속부(110)와 인터페이스부(120)를 매개로 데이터베이스관리부(170)로 전달된다.

    데이터베이스관리부(170)는 이용자측의 연결요청에 따라 이용자 단말기(20-1)와 데이터베이스부(180) 간에 데이터전송이 가능하도록 전송경로를 개방한다.

    이용자단말기용 XML 레포지토리 프로그램(200)의 브라우져(230)는 데이터베이스부(180)와 연결되었는지를 체크하여(S60), 체크결과 데이터베이스부(180)에 연결되었으면 데이터베이스관리부(170)를 통해 데이터베이스부(180)로부터 데이터베이스의 목록을 읽어와 이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에 데이터베이스의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며 이용자가 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한다(도 7의 "ex2" 참조).

    이용자가 상기한 이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데이터베이스의 목록에서 어느 하나의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을 선택하면(S70), 브라우져(230)는 이용자가 선택한 데이터베이스의 스키마정보에 대한 전송요청을 인터페이스부(200)를 매개로 네트워크접속부(210)로 출력한다.

    상기 네트워크접속부(21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이용자 단말기용 XML 레포지토리 프로그램(200)의 브라우져(230)로부터 발신된 전송요청이 이용자단말기(20-1)의 네트워크어뎁터와 정보통신망(30)을 매개로 서버(10)로 전송된다.

    상기 서버(10)로 전달된 전송요청은 하드웨어인 서버(10)의 네트워크어뎁터로 수신된 다음 서버용 XML 레포지토리 프로그램(100)의 네트워크접속부(110)와 인터페이스부(120)를 매개로 DB 스키마관리부(150)로 전달된다.

    DB 스키마관리부(150)는 이용자 단말기(20-1)측으로부터 요청된 데이터베이스의 스키마 즉, 테이블 정보를 서버(10)의 소정의 기억장소 즉, 레포지토리로부터 읽어들여 이를 인터페이스부(120)를 매개로 네트워크접속부(110)로 전달하고, 네트워크접속부(110)는 DB 스키마관리부(150)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 정보를 하드웨어장치인 서버(10)의 네트워크 어뎁터를 제어하여 정보통신망(30)을 통해 이용자 단말기(20-1)로 전송한다.

    상기 이용자 단말기(20-1)로 전달된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정보는 하드웨어장치인 네트워크어뎁터로 전달되고 이용자단말기용 XML 레포지토리 프로그램(200)의 네트워크접속부(210)는 네트워크어뎁터로 전달된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정보를 인터페이스부(220)로 전달한다.

    브라우져(230)는 인터페이스부(220)로 전달된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정보를 이용자 인터페이스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한다(도 7의 "ex3" 참조).

    상기와 같이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정보를 디스플레이한 후 브라우져(230)는 이용자 인터페이스화면에서 DTD 트리의 각 노드(node)와 각 노드별로 매핑(Mapping)할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의 필드(Field)에 대한 선택이 가능하게 한다(S90).

    여기서, 이용자는 키보드나 마우스입력기 등의 조작장치를 이용해 DTD 트리의 각 노드와 각 노드별로 매핑할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의 필드를 차례로 하나씩 양자가 서로 대응되게 선택한다(S90).

    예컨대, 브라우져(230)는 이용자가 이용자 인터페이스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DTD 트리의 각 노드 중 어느 하나의 노드에 마우스입력기의 지시자(Pointer)를 지시한 다음 마우스입력기의 버튼을 클릭하면 마우스입력기의 지시자가 지시된 부분의 DTD 트리의 노드를 다른 부위와는 다른 색깔로 표시하여 현재 선택된 상태임을 나타내고, 이용자가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 중 어느 하나의 필드에 마우스입력기의 지시자를 지시한 다음 마우스입력기의 버튼을 클릭하면 마우스입력기의 지시자가 지시한 부분의 DTD 트리의 노드를 다른 부위와는 다른 색깔로 표시하여 현재 선택된 상태임을 나타내게 할 수 있다.

    일예로, 도 7의 "ex1"에 표시된 DTD 트리의 각 노드 중 "Dept"로 기재된 노드를 마우스입력기의 지시자로 지시하여 클릭하면 해당 부위가 하이라이트(High Light)로 표시되고, 도 7의 "ex3"에 표시된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 중 "content"라고 기재된 필드를 마우스입력기의 지시자로 지시하여 클릭하면 해당 부위가 하이라이트로 표시되어 각 부위가 현재 선택되어진 상태이고 양자가 서로 대응되는 관계임을 나타낸다.

    이때, DTD 트리의 각 노드와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 중 원하는 다른 부분으로 마우스입력기의 지시자를 옮겨서 클릭하면 현재 클릭한 부분으로 선택 위치가 다르게 표시된다.

    브라우져(230)는 현재 DTD 트리의 각 노드와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의 각 필드가 각기 선택된 상태인지를 체크하여 체크결과 DTD 트리의 각 노드와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의 각 필드가 각기 선택된 상태이면 이용자가 "DMD 적용"을 선택할 수 있게 한다(S110).

    이때, 이용자가 키보드나 마우스입력기 등의 조작장치를 이용해 현재 선택된 DTD 트리의 노드와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의 필드를 서로 대응되는 하나의 매핑룰로 지정하는 "DMD 적용"을 선택하면, 브라우져(230)가 "DMD 적용" 선택 여부를 체크하여(S120), 체크결과 DMD 적용이 선택되었으면, 현재 DMD 적용이 선택된 DTD 트리의 노드와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의 필드에 대한 정보를 DMD분석/생성부(240)로 인가되고, DMD분석/생성부(240)는 현재 "DMD 적용"이 선택된 DTD 트리의 노드와 이에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의 필드를 매핑하고 매핑된 정보를 이용자 단말기(20-1)의 임시기억장소(예컨대, 메모리 등)에 저장한다.

    다음, 브라우져(230)는 이용자가 이용자 인터페이스화면상에서 "DMD 생성"을 선택하였는지를 체크하여(S130), 이용자가 "DMD 생성"을 선택하지 않았으면 상기 스텝(S90)으로 되돌아가 다음 차례의 DTD 트리의 노드와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의 필드를 선택하여 매핑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여기서, 이용자는 상기 스텝(S90∼S120)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DTD 트리의 노드를 차례로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의 필드와 하나씩 대응시켜 "DMD 적용"을 선택한 다음, 모든 DTD 트리의 노드에 대한 "DMD"적용 즉, 매핑이 완료되면 이용자 인터페이스화면에서 "DMD 생성"을 선택한다.

    상기와 같이 이용자가 "DMD 생성"을 선택하면 DMD 분석/생성부(240)는 이용자 단말기(20-1)의 임시기억장소를 검색하여 매핑된 DMD 정보가 있는지를 판단하고(S130), 판단결과 현재 매핑되어 있는 DMD 정보가 없으면 DTD 노드와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 필드를 선택하는 상기 스텝(S90)으로 되돌아간다.

    만약, 상기 스텝(S130)에서의 판단결과 매핑된 DMD 정보가 있으면 DMD 분석/생성부(240)는 현재까지 매핑된 DMD의 정보를 출력부(260)로 전송하고, 출력부(260)는 이용자 인터페이스화면 상에 매핑이 완료된 DMD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S150)(도 7의 "ex4" 참조).

    다음, 브라우져(230)는 이용자 인터페이스화면에서 이용자가 "DMD 저장"을 선택할 수 있도록 이용자 인터페이스화면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S160), 이용자가 키보드나 마우스입력기를 이용해 "DMD 저장"을 선택하면 DMD 분석/생성부(240)는 메모리 등의 임시기억장소에 임시 저장되어 있는 DMD 정보를 이용자 단말기(20-1)의 보조기억장치 등 기억장소에 파일형태로 저장한다(S170).

    상기와 같이 DMD 정보가 이용자 단말기(20-1)에 저장되면 브라우져(230)는 이용자 인터페이스화면을 통해 서버(10)의 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될 DMD 명을 입력하도록 안내하는 메시지창을 디스플레이한다(S180).

    이용자가 서버(10)의 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될 DMD 명을 입력하면 DMD 분석/생성부(240)는 이용자가 입력한 DMD 명과 이용자 단말기(20-1)에 저장된 DMD 정보를 인터페이스부(220)를 매개로 네트워크접속부(210)로 전송한다.

    상기 네트워크접속부(21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이용자 단말기용 XML 레포지토리 프로그램(200)의 DMD 분석/생성부(240)로부터 발신된 DMD 명과 DMD 정보가 이용자단말기(20-1)의 네트워크어뎁터와 정보통신망(30)을 매개로 서버(10)로 전송된다.

    상기 서버(10)로 전달된 DMD 명과 DMD 정보는 서버(10)의 네트워크어뎁터로 수신된 다음 서버용 XML 레포지토리 프로그램(100)의 네트워크접속부(110)와 인터페이스부(120)를 매개로 DMD 관리부(160)로 전달된다.

    DMD 관리부(160)는 상기 이용자측으로부터 전달된 DMD 명을 서버(10)의 DMD 레포지토리에 저장되어 있는 DMD 명과 비교하여 이용자측으로부터 전달된 DMD 명의 유효성을 판단한다(S190).

    상기 스텝(S190)에서 이용자측으로부터 전달된 DMD 명과 동일한 DMD 명이 서버(10)의 DMD 레포지토리에 저장되어 있으면 이용자측으로부터 전달된 DMD 명이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DMD 관리부(160)는 인터페이스부(120)와 네트워크접속부(110)를 통해 입력한 DMD 명이 유효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에러메시지를 이용자단말기(10)로 전송한다. 이 경우 이용자 단말기용 XML 레포지토리 프로그램(200)의 브라우져(230)는 이용자 인터페이스화면을 통해 이용자가 서버(10)의 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될 DMD 명을 새로 입력하도록 안내하는 메시지창을 디스플레이하여 이용자가 다른 DMD 명을 입력하게 한다.

    반면, 상기 스텝(S190)에서의 판단결과 이용자측으로부터 전달된 DMD 명과 동일한 DMD 명이 서버(10)의 DMD 레포지토리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이용자측으로부터 전달된 DMD 명이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여, DMD 관리부(160)는 이용자측으로부터 전달된 DMD 명을 데이터베이스관리부(170)를 통해 데이터베이스부(180)에 저장하고 DMD 정보는 서버(10)의 DMD 레포지토리에 저장한다(S200).

    다음으로는, 상기의 스텝(S10∼S200)의 과정을 통해 생성 등록한 DMD를 이용하여 이용자 단말기(20-1)의 XML 문서를 서버(10)의 데이터베이스부(180)에 데이터베이스형태로 저장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용자가 이용자 단말기(20-1)를 작동시키고 운영체계와 이용자단말기용 XML 레포지토리 프로그램(200)의 실행을 선택하면 이용자 단말기(20-1)의 프로세서에 의해 XML 레포지토리 프로그램(200)이 실행된다.

    상기 이용자 단말기(20-1)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 XML 레포지토리 프로그램(200)은 그 중 브라우져(230)가 출력부(260)를 매개로 이용자 인터페이스화면을 생성하여 이를 하드웨어장치인 이용자 단말기(20-1)의 디스플레이어뎁터를 통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한다(도 8 참조).

    상기 이용자 인터페이스화면에는 서버(10)와의 접속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 또는 조그만 팝업창(Pop up Window) 등이 포함되어, 이용자는 이를 통해 서버(10)와의 접속을 선택할 수 있다.

    이용자가 키보드나 마우스입력기 등의 조작수단을 통해 상기 이용자 인터페이스화면상에서 서버와의 접속을 선택하면 이용자의 조작명령이 이용자단말기용 XML 레포지토리 프로그램(200)의 입력부(250)를 통해 인터페이스부(220)로 입력되고, 인터페이스부(220)는 네트워크접속부(210)로 서버(10)와 접속하도록 지시하는 조작명령을 입력한다.

    상기 이용자단말기용 XML 레포지토리 프로그램(200)의 네트워크접속부(210)는 하드웨어장치인 이용자단말기(20-1)의 네트워크어뎁터를 제어하여 정보통신망(30)을 통해 서버(10)에 접속한다(S210).

    서버(10)에 접속되면 서버(10)로부터 로그인요청에 대한 데이터가 정보통신망(30)을 통해 이용자 단말기(20-1)로 전달되고, 상기 로그인요청에 따라 이용자 단말기용 XML 레포지토리 프로그램(200)의 브라우져(230)는 이용자 인터페이스화면 상에 팝업창 등으로 로그인을 위한 식별자와 비밀번호의 입력을 이용자에게 요청한다.

    이용자가 식별자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입력된 식별자와 비밀번호는 XML 레포지토리 프로그램(200)의 입력부(250)와 인터페이스부(220)로 입력되고 네트워크접속보(210)의 제어에 따라 이용자단말기(20-1)의 네트워크어뎁터와 정보통신망(30)을 매개로 서버(10)로 접속된다.

    서버(10)에서는 이용자 단말기(20-1)로부터 전달된 식별자와 비밀번호를 등록되어 있는 식별자와 비밀번호와 대조하여 일치하는 경우 로그인 성공으로 처리하여 이용자 단말기(20-1)의 접속을 허용하고, 서버(10)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를 허용한다.

    로그인이 성공된 상태에서 이용자는 이용자 인터페이스화면상에서 미리 작성되어 있는 XML 문서를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하기 위한 메뉴를 선택하면 브라우져(230)는 이용자 인터페이스화면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이용자가 원하는 XML 문서를 읽어올 수 있게 하고(S220), 이용자가 XML 문서를 선택했는지를 판단한다(S230).

    이때, 이용자가 이용자 인터페이스화면상에서 XML 문서의 읽어오기를 선택하고 이용자 단말기(20-1)의 소정의 기억장소에 저장되어 있는 미리 작성된 XML 문서를 지정하면, 브라우져(230)는 이용자가 선택한 XML 문서파일을 읽어 들여 인터페이스부(220)를 매개로 네트워크접속부(210)로 전송한다.

    네트워크접속부(21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이용자 단말기용 XML 레포지토리 프로그램(200)의 브라우져(230)로부터 발신된 XML 문서파일이 이용자단말기(20-1)의 네트워크어뎁터와 정보통신망(30)을 매개로 서버(10)로 전송된다.

    상기 서버(10)로 전달된 XML 문서는 서버(10)의 네트워크어뎁터로 수신된 다음 서버용 XML 레포지토리 프로그램(100)의 네트워크접속부(110)와 인터페이스부(120)를 매개로 XML 처리부(130)로 전달된다.

    XML 처리부(130)는 이용자 단말기(20-1)로부터 전달될 XML 문서의 DTD를 분석하고 DTD관리부(140)는 XML 처리부(130)에 의해 분석된 XML 문서의 DTD를 서버(10)의 DTD 레포지토리에 저장되어 있는 DTD 즉, 등록된 DTD 인지를 판단한다(S240).

    상기 스텝(S240)에서의 판단결과 XML 문서의 DTD가 등록된 DTD가 아닌 경우 DTD관리부(140)는 인터페이스부(120)를 매개로 네트워크접속부(110)에 등록된 DTD가 아님을 나타내는 에러메시지를 출력하고, 네트워크 접속부(110)는 하드웨어장치인 서버(10)의 네트워크어뎁터를 제어하여 상기 에러메시지를 정보통신망(30)을 통해 이용자 단말기(20-1)로 전송한다.

    상기와 같이 서버(10)로부터 에러메시지가 이용자 단말기(20-1)로 전달되면, 브라우져(230)는 이용자 인터페이스화면을 통해 현재 선택된 XML문서의 DTD가 등록된 DTD가 아님을 나타내는 에러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스텝(S220)으로 되돌아가서 이용자가 다른 XML문서를 선택하게 한다.

    만약, 상기 스텝(S240)에서의 판단결과 이용자측으로부터 전달된 XML 문서의 DTD가 등록된 DTD 이면 DTD 관리부(140)는 해당 DTD의 내용정보를 서버(10)의 레포지토리로부터 읽어들여 읽어 들인 DTD의 내용 정보를 인터페이스부(120)를 매개로 네트워크접속부(110)로 출력한다.

    이와 더불어 DMD 관리부(160)는 상기 XML 문서의 DTD와 관계되는 DMD 목록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180)로부터 읽어들여 인터페이스부(120)를 매개로 네트워크접속부(110)로 출력한다.

    서버(10)의 네트워크 접속부(110)는 하드웨어장치인 서버(10)의 네트워크어뎁터를 제어하여 상기 DTD 관리부(140)로부터 전달된 DTD의 내용정보와 상기 DMD 관리부(160)로부터 전달된 DMD 목록정보를 정보통신망(30)을 통해 이용자 단말기(20-1)로 전송한다.

    상기와 같이 서버(10)로부터 DTD 내용 정보 및 DMD 목록정보가 이용자 단말기(20-1)로 전달되면, 브라우져(230)는 출력부(260)를 매개로 서버(10)로부터 전달받은 DTD의 트리구조를 이용자 인터페이스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한다(도 8의 "ex5" 참조).

    이때, 이용자가 키보드나 마우스입력기 등의 조작장치를 이용해 DTD의 트리구조에서 소정의 노드를 선택하면, 브라우져(230)는 이용자가 선택한 DTD 트리의 노드별 DTD의 내용을 출력부(260)를 매개로 이용자 인터페이스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한다(도 8의 "ex6" 참조)(S250).

    이와 더불어, 브라우져(230)는 출력부(260)를 매개로 서버(10)로부터 전달받은 DMD의 목록을 이용자 인터페이스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고(도 8의 "ex7" 참조)(S260),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DMD의 목록 중 각 DMD의 항목을 이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출력부(260)를 매개로 이용자 인터페이스화면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한다(S270).

    다음, 브라우져(230)는 이용자가 상기 이용자 인터페이스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항목을 선택하는지를 체크하여(S280), 이용자가 목록 중 소정 항목의 DMD를 선택하면, 이용자가 선택한 항목에 대한 DMD의 내용정보에 대한 전송요청을 인터페이스부(200)를 매개로 네트워크접속부(210)로 출력한다.

    상기 네트워크접속부(21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이용자 단말기용 XML 레포지토리 프로그램(200)의 브라우져(230)로부터 발신된 전송요청이 이용자단말기(20-1)의 네트워크어뎁터와 정보통신망(30)을 매개로 서버(10)로 전송된다.

    상기 서버(10)로 전달된 전송요청은 하드웨어인 서버(10)의 네트워크어뎁터로 수신된 다음 서버용 XML 레포지토리 프로그램(100)의 네트워크접속부(110)와 인터페이스부(120)를 매개로 DMD관리부(160)로 전달된다.

    DTD관리부(160)는 이용자측의 전송요청에 따라 서버(10)의 DMD 레포지토리에 저장되어 있는 DMD 중 이용자측으로부터 요청된 DMD의 내용을 읽어들여 이를 인터페이스부(120)를 매개로 네트워크접속부(110)로 전달하고, 네트워크접속부(110)는 DMD관리부(160)로부터 전달된 DMD의 내용 정보를 하드웨어장치인 서버(10)의 네트워크 어뎁터를 제어하여 정보통신망(30)을 통해 이용자 단말기(20-1)로 전송한다.

    상기 이용자 단말기(20-1)로 전달된 DMD 내용 정보는 하드웨어장치인 네트워크어뎁터로 전달되고 이용자단말기용 XML 레포지토리 프로그램(200)의 네트워크접속부(210)는 네트워크어뎁터로 전달된 DMD의 내용정보를 인터페이스부(220)로 전달하며, 브라우져(230)는 출력부(260)를 매개로 인터페이스부(220)로 전달된 DMD의 내용을 이용자 인터페이스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도 8의 "ex8" 참조)(S290).

    다음, 브라우져(230)는 이용자가 현재 선택되어 있는 XML 문서의 저장을 선택할 수 있도록 출력부(260)를 매개로 이용자 인터페이스화면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한다(S300).

    이때, 이용자가 XML 문서의 저장을 선택하면 브라우져(230)는 이용자가 선택한 XML 문서를 서버(10)에 데이터베이스형태로 저장하기 위한 저장요청 및 이용자가 선택한 XML문서의 파일이름과 DMD 명을 인터페이스부(200)를 매개로 네트워크접속부(210)로 출력한다.

    상기 네트워크접속부(21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이용자 단말기용 XML 레포지토리 프로그램(200)의 브라우져(230)로부터 발신된 저장요청과 XML문서의 파일이름과 DMD 명이 이용자단말기(20-1)의 네트워크어뎁터와 정보통신망(30)을 매개로 서버(10)로 전송된다.

    상기 서버(10)로 전달된 저장요청과 XML문서의 파일이름과 DMD 명은 하드웨어인 서버(10)의 네트워크어뎁터로 수신된 다음 서버용 XML 레포지토리 프로그램(100)의 네트워크접속부(110)와 인터페이스부(120)를 매개로 XML처리부(130)로 전달된다.

    XML처리부(130)는 이용자측으로부터 전달된 저장요청에 따라 이용자측으로부터 전달된 DMD 내용정보를 DMD관리부(160)로부터 읽어 들여 상기 스텝(S240)에서 DTD구조를 분석했던 XML문서를 상기 DMD관리부(160)로부터 읽어 들인 DMD의 매핑룰에 따라 매핑하여 데이터베이스형태로 변환한 다음 데이터베이스관리부(170)를 매개로 데이터베이스부(180)에 저장한다(S310).

    다음으로는, 상기의 스텝(S210∼S310)의 과정을 통해 데이터베이스형태로 서버(10)에 저장한 XML문서를 검색하고 이용자가 원할 경우 XML 문서형태로 변환하여 이용자 단말기(20-1)에 저장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용자가 이용자 단말기(20-1)를 작동시키고 운영체계와 이용자단말기용 XML 레포지토리 프로그램(200)의 실행을 선택하면 이용자 단말기(20-1)의 프로세서에 의해 XML 레포지토리 프로그램(200)이 실행된다.

    상기 이용자 단말기(20-1)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 XML 레포지토리 프로그램(200)은 그 중 브라우져(230) 소프트웨어 모듈이 출력부(260)를 매개로 이용자 인터페이스화면을 생성하여 이를 하드웨어장치인 이용자 단말기(20-1)의 디스플레이어뎁터를 통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한다(도 9 참조).

    상기 이용자 인터페이스화면에는 서버(10)와의 접속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 또는 조그만 팝업창 등이 포함되어, 이용자는 이를 통해 서버(10)와의 접속을 선택할 수 있다.

    이용자가 키보드나 마우스입력기 등의 조작수단을 통해 상기 이용자 인터페이스화면상에서 서버와의 접속을 선택하면 이용자의 조작명령이 이용자단말기용 XML 레포지토리 프로그램(200)의 입력부(250)를 통해 인터페이스부(220)로 입력되고, 인터페이스부(220)는 네트워크접속부(210)로 서버(10)와 접속하도록 지시하는 조작명령을 입력한다.

    상기 이용자단말기용 XML 레포지토리 프로그램(200)의 네트워크접속부(210)는 하드웨어장치인 이용자단말기(20-1)의 네트워크어뎁터를 제어하여 정보통신망(30)을 통해 서버(10)에 접속한다(S410).

    서버(10)에 접속되면 서버(10)로부터 로그인요청에 대한 데이터가 정보통신망(30)을 통해 이용자 단말기(20-1)로 전달되고, 상기 로그인요청에 따라 이용자 단말기용 XML 레포지토리 프로그램(200)의 브라우져(230)는 이용자 인터페이스화면 상에 팝업창 등으로 로그인을 위한 식별자와 비밀번호의 입력을 이용자에게 요청한다.

    이용자가 식별자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입력된 식별자와 비밀번호는 XML 레포지토리 프로그램(200)의 입력부(250)와 인터페이스부(220)로 입력되고 네트워크접속부(210)의 제어에 따라 이용자단말기(20-1)의 네트워크어뎁터와 정보통신망(30)을 매개로 서버(10)로 접속된다.

    서버(10)에서는 이용자 단말기(20-1)로부터 전달된 식별자와 비밀번호를 등록되어 있는 식별자와 비밀번호와 대조하여 일치하는 경우 로그인 성공으로 처리하여 이용자 단말기(20-1)의 접속을 허용하고, 서버(10)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를 허용한다.

    로그인이 성공된 상태에서 이용자는 이용자 인터페이스화면상에서 서버(10)에 데이터베이스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XML 문서를 검색하기 위한 메뉴를 선택하면 브라우져(230)는 서버(10)에 저장된 DTD의 전송요청을 인터페이스부(200)를 매개로 네트워크접속부(210)로 출력한다.

    상기 네트워크접속부(21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이용자 단말기용 XML 레포지토리 프로그램(200)의 브라우져(230)로부터 발신된 전송요청이 이용자단말기(20-1)의 네트워크어뎁터와 정보통신망(30)을 매개로 서버(10)로 전송된다.

    상기 서버(10)로 전달된 전송요청은 하드웨어인 서버(10)의 네트워크어뎁터로 수신된 다음 서버용 XML 레포지토리 프로그램(100)의 네트워크접속부(110)와 인터페이스부(120)를 매개로 DTD관리부(140)로 전달된다.

    DTD관리부(140)는 이용자측의 전송요청에 따라 서버(10)의 소정의 기억장소에 저장되어 있는 DTD 양식의 목록을 읽어들여 이를 인터페이스부(120)를 매개로 네트워크접속부(110)로 전달하고, 네트워크접속부(110)는 DTD관리부(140)로부터 전달된 DTD 양식의 목록을 하드웨어장치인 서버(10)의 네트워크 어뎁터를 제어하여 정보통신망(30)을 통해 이용자 단말기(20-1)로 전송한다.

    상기 이용자 단말기(20-1)로 전달된 DTD 양식의 목록은 하드웨어장치인 네트워크어뎁터로 전달되고 이용자단말기용 XML 레포지토리 프로그램(200)의 네트워크접속부(210)는 네트워크어뎁터로 전달된 DTD 양식의 목록을 인터페이스부(220)로전달하고, 브라우져(230)는 출력부(260)를 매개로 이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에 서버(10)로부터 전달된 DTD 양식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이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DTD 중 원하는 DTD 를 선택하면 브라우져(230)는 이용자가 선택한 DTD와 이 선택된 DTD에 관련된 DMD의 목록에 대한 전송요청을 인터페이스부(200)를 매개로 네트워크접속부(210)로 출력한다.

    상기 네트워크접속부(21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이용자 단말기용 XML 레포지토리 프로그램(200)의 브라우져(230)로부터 발신된 전송요청이 이용자단말기(20-1)의 네트워크어뎁터와 정보통신망(30)을 매개로 서버(10)로 전송된다.

    상기 서버(10)로 전달된 전송요청은 하드웨어인 서버(10)의 네트워크어뎁터로 수신된 다음 서버용 XML 레포지토리 프로그램(100)의 네트워크접속부(110)와 인터페이스부(120)를 매개로 DTD관리부(140) 및 DMD관리부(160)로 전달된다.

    DTD관리부(140)는 이용자측의 전송요청에 따라 서버(10)의 DTD 레포지토리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DTD의 내용정보를 읽어들여 이를 인터페이스부(120)를 매개로 네트워크접속부(110)로 전달한다.

    이와 더불어 DMD 관리부(160)는 이용자측의 전송요청에 따라 상기 DTD와 관계되는 DMD 목록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180)로부터 읽어들여 인터페이스부(120)를 매개로 네트워크접속부(110)로 출력한다.

    서버(10)의 네트워크 접속부(110)는 하드웨어장치인 서버(10)의 네트워크어뎁터를 제어하여 상기 DTD 관리부(140)로부터 전달된 DTD의 내용정보와 상기 DMD 관리부(160)로부터 전달된 DMD 목록정보를 정보통신망(30)을 통해 이용자단말기(20-1)로 전송한다.

    상기와 같이 서버(10)로부터 DTD 내용 정보 및 DMD 목록정보가 이용자 단말기(20-1)로 전달되면, 브라우져(230)는 출력부(260)를 매개로 서버(10)로부터 전달받은 DTD의 트리구조를 이용자 인터페이스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한다(S440)(도 9의 "ex9" 참조).

    이와 더불어, 브라우져(230)는 서버(10)로부터 전달받은 DMD의 목록을 출력부(260)를 매개로 이용자 인터페이스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한다(도 9의 "ex10" 참조)(S450),

    다음, 브라우져(230)는 출력부(260)를 매개로 이용자인터페이스화면의 소정영역에 데이터베이스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XML 문서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조건을 입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검색메뉴를 디스플레이하여 이용자가 상기 검색메뉴의 입력란에 검색조건을 입력할 수 있게 한다(S460)(도 9의 "ex11" 참조).

    예컨대, 검색조건으로는 DTD의 트리구조 중 소정의 노드와 XML 문서의 파일이름을 입력하게 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브라우져(230)는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DMD의 목록 중 각 DMD의 항목을 이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출력부(260)를 매개로 이용자 인터페이스화면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한다(S470).

    다음, 브라우져(230)는 상기 이용자 인터페이스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검색조건입력란에 검색조건이 입력되고 DMD 항목이 선택되었는지를 체크하여(S480), 이용자가 목록 중 소정 항목의 DMD를 선택하고 검색조건을 입력하였으면,브라우져(230)는 이용자가 현재 선택한 검색조건과 DMD에 따라 XML문서에 대한 검색을 선택할 수 있도록 출력부(260)를 매개로 이용자 인터페이스화면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한다(S480).

    이때, 이용자가 이용자 인터페이스화면상에서 검색을 선택하면 브라우져(230)는 이용자가 선택한 검색조건과 DMD 명을 인터페이스부(200)를 매개로 네트워크접속부(210)로 출력한다.

    상기 네트워크접속부(21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이용자 단말기용 XML 레포지토리 프로그램(200)의 브라우져(230)로부터 발신된 검색조건과 DMD 명이 이용자단말기(20-1)의 네트워크어뎁터와 정보통신망(30)을 매개로 서버(10)로 전송된다.

    상기 서버(10)로 전달된 전송요청은 하드웨어인 서버(10)의 네트워크어뎁터로 수신된 다음 서버용 XML 레포지토리 프로그램(100)의 네트워크접속부(110)와 인터페이스부(120)를 매개로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70)로 전달된다.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70)는 이용자측으로부터 전달된 검색조건과 DMD명에 부합하는 XML문서의 목록을 검색하여 데이터베이스부(180)에서 XML문서의 목록을 검색하여 검색결과와 함께 검색된 XML문서의 목록 및 각 XML문서의 트리구조를 인터페이스부(120)를 매개로 네트워크접속부(110)로 전달한다.

    서버(10)의 네트워크 접속부(110)는 하드웨어장치인 서버(10)의 네트워크어뎁터를 제어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70)로부터 전달된 검색결과와 XML문서의 목록 및 각 XML문서의 트리구조를 정보통신망(30)을 통해 이용자 단말기(20-1)로 전송한다.

    상기와 같이 서버(10)로부터 검색결과와 XML문서의 목록정보 및 각 XML문서의 트리구조가 이용자 단말기(20-1)로 전달되면, 브라우져(230)는 서버(10)로부터 전달받은 검색결과를 출력부(260)를 매개로 이용자 인터페이스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함과 더불어(S500)(도 9의 "ex12" 참조), 검색된 XML문서의 목록을 출력부(260)를 매개로 이용자 인터페이스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한다(S510)(도 9의 "ex13" 참조).

    이와 더불어, 브라우져(230)는 이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XML문서의 목록에서 소망하는 XML문서의 파일명을 선택할 수 있도록 출력부(260)를 매개로 이용자 인터페이스화면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한다(S520).

    이때, 이용자가 상기 이용자 인터페이스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XML문서의 목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브라우져(230)는 이용자가 선택한 XML문서의 트리구조를 이용자 인터페이스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S530)(도 9의 "ex14" 참조).

    다음, 브라우져(230)는 이용자가 상기와 같이 트리구조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XML문서의 저장을 선택할 수 있도록 출력부(260)를 매개로 이용자 인터페이스화면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한다(S540).

    여기서, 이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이용자 인터페이스화면에서 XML 문서의 저장을 선택하면, 브라우져(230)는 XML문서의 목록 중 현재 선택되어 있는 XML 문서가 있는지를 체크하여(S550), 체크결과 XML문서의 목록 중 현재 선택되어 있는 XML 문서가 있으면 해당 XML문서에 대한 전송요청을 인터페이스부(200)를 매개로 네트워크접속부(210)로 출력한다.

    상기 네트워크접속부(21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이용자 단말기용 XML 레포지토리 프로그램(200)의 브라우져(230)로부터 발신된 전송요청이 이용자단말기(20-1)의 네트워크어뎁터와 정보통신망(30)을 매개로 서버(10)로 전송된다.

    상기 서버(10)로 전달된 전송요청은 하드웨어인 서버(10)의 네트워크어뎁터로 수신된 다음 서버용 XML 레포지토리 프로그램(100)의 네트워크접속부(110)와 인터페이스부(120)를 매개로 XML처리부(130)로 전달된다.

    XML 처리부(130)는 전송요청에 따라 해당 XML문서의 데이터베이스정보와 DMD명을 데이터베이스관리부(170)를 통해 데이터베이스부(180)로부터 읽어들이고 읽어들인 DMD정보를 DMD관리부(160)로부터 DMD레포지토리로부터 읽어들이며 읽어들인 DMD정보에 따른 매핑룰에 따라 데이터베이스형태의 XML문서를 원래의 XML문서형태로 변환하여 변환된 XML문서를 파일형태로 인터페이스부(120)를 매개하여 네트워크접속부(110)로 전달한다.

    서버(10)의 네트워크 접속부(110)는 하드웨어장치인 서버(10)의 네트워크어뎁터를 제어하여 상기 XML 처리부(130)로부터 전달된 XML문서파일을 이용자 단말기(20-1)의 기억장소(예컨대, 하드디스크드라이브 등의 보조기억장치)에 저장한다(S560).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는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변형, 수정을 용이하게 만들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 또는 수정이 본 발명의 특징을 이용하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특히,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용자 단말기와 서버를 정보통신망을 통해 연결한 경우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가능한 하나의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용자 단말기와 서버를 통신망의 매개 없이 직접 링크시켜 사용하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확장성 마크업 언어(XML) 문서의 문자원형정의(DTD)와 데이터베이스의 스키마간의 매핑룰을 생성하여 이 생성된 매핑룰에 따라 확장성 마크업 언어 문서를 데이터베이스로 변환하여 저장하고 또 데이터베이스형태의 확장성 마크업 언어 문서를 다시 원래의 확장성 마크업 언어 문서로 변환하여 저장함으로써, 확장성 마크업 언어와 호환되지 않는 데이터베이스에 확장성 마크업 언어를 저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을 이용하면, 확장성 마크업 언어의 시스템으로 전환하고자 하는 정보통신 서비스업체나 이용자들이 데이터베이스와 레포지토리시스템을 교체하지 않아도 되어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확장성 마크업 언어를 기반으로 하는 정보통신망에서의 서비스업체간에 정보를 교환하거나 확장성 마크업 언어를 지원하지 않는 시스템간에 정보를 교환할 때 특히 유용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확장성 마크업 언어 문서의 문자원형정의와 데이터베이스의 스키마간의 매핑룰을 정의하는 문서매핑정의(DMD) 생성하여 서버에 등록해두면, 확장성 마크업 언어 문서를 데이터베이스로 변환하거나 데이터베이스형태의 확장성마크업 언어 문서를 파일형태의 확장성 마크업 언어 문서로 변환할 때 변환에 이용할 문서매핑정의를 선택하기만 하면 선택한 문서매핑정의에 따라 자동으로 변환이 이루어지므로, 작업이 매우 간편하다.

    高效检索全球专利

    专利汇是专利免费检索,专利查询,专利分析-国家发明专利查询检索分析平台,是提供专利分析,专利查询,专利检索等数据服务功能的知识产权数据服务商。

    我们的产品包含105个国家的1.26亿组数据,免费查、免费专利分析。

    申请试用

    分析报告

    专利汇分析报告产品可以对行业情报数据进行梳理分析,涉及维度包括行业专利基本状况分析、地域分析、技术分析、发明人分析、申请人分析、专利权人分析、失效分析、核心专利分析、法律分析、研发重点分析、企业专利处境分析、技术处境分析、专利寿命分析、企业定位分析、引证分析等超过60个分析角度,系统通过AI智能系统对图表进行解读,只需1分钟,一键生成行业专利分析报告。

    申请试用

    QQ群二维码
    意见反馈